KR20140003937U -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 Google Patents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37U
KR20140003937U KR2020120011941U KR20120011941U KR20140003937U KR 20140003937 U KR20140003937 U KR 20140003937U KR 2020120011941 U KR2020120011941 U KR 2020120011941U KR 20120011941 U KR20120011941 U KR 20120011941U KR 20140003937 U KR20140003937 U KR 201400039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obbin
cable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504Y1 (ko
Inventor
이지현
김광우
김승현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0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73Constructional details without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rotating the core or for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와이어, 섬유 등(이하, '케이블 등'이라 한다)를 권취하기 위한 보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및 동심도(기준 축심과 동일한 직선상에 축심을 가져야하는 원통의 축심과 상기 기준 축심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내마모성이 개선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Bobbin for winding cable or wire}
본 고안은 케이블, 와이어, 섬유 등(이하, '케이블 등'이라 한다)를 권취하기 위한 보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및 동심도(기준 축심과 동일한 직선상에 축심을 가져야하는 원통의 축심과 상기 기준 축심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내마모성이 개선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200)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원통형 드럼(drum) 형상의 스풀(spool)(210), 및 상기 스풀(210)의 양 말단에 배치된 한 쌍의 회전 플레이트(2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의 회전에 의해 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기 스풀(210)이 회전함으로써, 이에 케이블 등이 권취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보빈(200)은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빈(20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스풀(210)은 강성이 불충분하여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처짐, 직진도의 손상 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특히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이 심하고 동심도가 크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보빈(200)이 파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에는 모터 등의 별도의 회전체(미도시)와 결합되는 홈(221)이 구비되는데, 상기 홈(221) 역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의 고속 회전시 마모가 발생하여 상기 보빈(2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빈(200)은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때문에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부품의 마모,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스풀(210)에 권취되어 있는 잔여 케이블 등의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및 동심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마모성이 개선되어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및 동심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내마모성이 개선되어 대용량 고속 권취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수명 단축을 억제할 수 있는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이를 구성하는 일부 부품의 마모 또는 파손시 해당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스풀에 권취된 잔여 케이블 등의 제거가 용이한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 드럼(drum) 형상을 갖는 금속 재질의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양쪽 말단 각각에 배치되고 크기가 상기 스풀의 직경보다 크며 바깥쪽 면의 중심에 중심홀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한 쌍의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중심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부시(bush)를 포함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풀은 복수의 부채꼴 부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풀 또는 이를 구성하는 상기 부채꼴 부재의 내부는 중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풀 또는 이를 구성하는 상기 부채꼴 부재는 이의 내부 중공에 하나 이상의 보강 측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풀은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케이블 제거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이의 바깥쪽 면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는 이의 중앙부가 양쪽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풀은 이의 양쪽 말단의 안쪽 표면에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홀의 둘레에 상기 스풀의 일 말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둘레에 상기 각각의 나사 체결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나사 체결홈과 상기 각각의 나사홈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시는 하나 이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홀 둘레에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풀은 이의 내부 중공에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 상기 중심홀 둘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 및 상기 스풀의 내부 중공에 포함된 나사 체결홈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은 이를 구성하는 스풀의 재질이 금속이고 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및 동심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은 이를 구성하는 금속재 스풀이 내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플레이트가 경량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자체의 무게를 감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별도의 회전체가 결합되는 장착홈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고속 권취시 마모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보빈의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은 이를 구성하는 부품들, 스풀, 회전 플레이트, 회전체 결합을 위한 장착홈 형성부 등이 조립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부품들 중 일부의 마모 또는 파손시 이의 개별적인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풀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이용함으로써 권취된 잔여 케이블 등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및 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구성하는 스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및 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100)은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스풀(110), 상기 스풀(110)의 양 말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플레이트(120), 및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20) 바깥쪽 면의 중심홀(123)에 삽입되는 원통형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별도의 회전체가 결합되는 부시(bush)(1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풀(110)에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등이 권취되지만, 도 2 및 3에서는 보빈(100)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케이블 등을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등은 동선, 에나멜선 등의 전원선, 통신선, 섬유, 광섬유 등일 수 있고,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풀(110)은 탄소강, 주강,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풀(110)의 재질인 금속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일 금속, 합금, 코팅 금속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성이 우수하고 경량인 금속,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성이 우수하고 경량인 동시에 단가가 저렴한 금속일 수 있다.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재질의 스풀(110)은 종래 플라스틱 소재의 스풀(210)에 비해 강성이 뛰어나 고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에도 상기 권취되는 케이블 등의 장력, 무게 등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직진성을 유지함으로써, 고속 권취시 자중에 의한 떨림, 동심도 등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빈(100)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스풀(110)은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피하기 위해 내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드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110)은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등의 장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부 중공에 보강 측벽(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풀(110)의 직경이 작으면 보빈(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지만, 권취된 케이블 등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있다. 이에 비하여, 스풀(110)의 직경이 크면 케이블 등의 품질에는 좋지만 보빈(100)의 무게가 커지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풀(110)의 두께가 작으면 보빈(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지만, 대용량 고속 권취시 요구되는 강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반면, 스풀(110)의 두께가 크면 높은 강성을 달성할 수 있지만, 보빈(100)의 무게가 증가하고 제조단가 역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풀(110)의 두께 및 직경은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고,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스풀(110)에 권취되는 케이블 등의 종류, 용량, 보빈의 무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스풀(110)의 두께 및 직경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스풀(110)은 이의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풀(110)에 권취된 잔여 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제거홈(11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제거홈(111)의 갯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일 수 있고, 상기 케이블 제거홈(111)의 갯수가 복수인 경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제거홈(111)은 상기 스풀(110)에 권취된 잔여 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의 형상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회전 플레이트(120)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스풀(11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케이블 제거홈(110)에 후크(hook) 등을 삽입하여 상기 스풀(110)의 일 말단으로 당기면 상기 스풀(110)에 권취되어 있는 잔여 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상기 스풀(1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판 형상, 예를 들어, 원판 형상 또는 바깥쪽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함몰되는 구조를 갖는 원형 접시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풀(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BS 수지를 구성하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기는 강성, 내약품성,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하고, 부타디엔(Butadiene)기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스티렌(Styrene)기는 광택, 성형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ABS 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평균입도 100~120㎛의 ABS 합성수지를 교반기로 고르게 혼합한 후, 질소가스, 크랙 암모니아 또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165~950℃의 온도에서 60~120분간 소결을 행하여 용융된 ABS 합성수지를 미리 제작된 회전 플레이트 주형의 틀에 붓고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빈(100)에 있어서, 가장 큰 중량을 차지하는 부분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이의 소재로서 상대적으로 경량인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보빈(10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대용량 고속 권취시 보빈(100)의 자중에 의한 떨림, 동심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이의 바깥쪽 면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재(121)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1)의 갯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일 수 있다.또한, 상기 보강재(122)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보강재(122)의 중앙부(122a)는 양쪽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는 후술할 금속 재질의 원통형 베어링인 부시(bush)가 삽입될 중심홀(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홀(123)의 둘레에는 상기 스풀(110)의 일 말단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flange)(1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부시(130)는 예를 들어 원통형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 각각의 중심홀(123)에 삽입된다. 상기 원통형 베어링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별도의 회전체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대용량 고속 권취시에도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보빈(10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등의 권취용 보빈(100)은 스풀(110), 회전 플레이트(120), 및 부시(130)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보빈(100)을 구성하는 일부 부품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해당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기 스풀(110)에 권취된 잔여 케이블 등의 제거가 용이한 등,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풀(110)은 이의 양쪽 말단의 안쪽 표면에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11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이의 플랜지(124) 둘레에 상기 각각의 나사 체결홈(112)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풀(110)은 이의 양쪽 말단이 각각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플랜지(124)에 삽입되어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 체결홈(112)과 상기 나사홈(125)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풀(110)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130)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나사홈(131)을 갖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는 이의 중심홀(123) 둘레에 상기 나사홈(131)과 동일 축심을 갖는 별도의 나사 체결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부시(130)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홀(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 체결홈(126)과 상기 나사홈(131)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부시(130)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스풀(1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풀(110)은 복수의 부채꼴 부재(113)의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채꼴 부재의 갯수는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부채꼴 부재의 갯수가 4개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써, 대용량의 케이블 등이 권취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등의 장력에 의해 상기 부채꼴 부재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파손된 부채꼴 부재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부채꼴 부재(113)는 인접한 다른 부채꼴 부재와의 조립을 위한 돌출부(113a) 및 상기 돌출부(113a)가 삽입되는 홈부(113b)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3a) 및 상기 홈부(113b)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역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채꼴 부재(113)는 대용량의 케이블 등의 권취시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이의 내부 중공부에 별도의 하나 이상의 보강 측벽(113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부채꼴 부재(113)의 내부 중공부 하단에는 상기 부시(130)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키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 체결홈(126) 및 나사홈(131)과 동일 축심을 갖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113d)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보빈 110 : 스풀
120 : 회전 플레이트 130 : 부시

Claims (9)

  1. 원통형 드럼(drum) 형상을 갖는 금속 재질의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양쪽 말단 각각에 배치되고 크기가 상기 스풀의 직경보다 크며 바깥쪽 면의 중심에 중심홀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한 쌍의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중심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부시(bush)를 포함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복수의 부채꼴 부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또는 이를 구성하는 상기 부채꼴 부재의 내부는 중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또는 이를 구성하는 상기 부채꼴 부재는 이의 내부 중공에 하나 이상의 보강 측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케이블 제거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이의 바깥쪽 면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이의 중앙부가 양쪽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이의 양쪽 말단의 안쪽 표면에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홀의 둘레에 상기 스풀의 일 말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둘레에 상기 각각의 나사 체결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나사 체결홈과 상기 각각의 나사홈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하나 이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홀 둘레에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풀은 이의 내부 중공에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과 동일 축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시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나사홈, 상기 중심홀 둘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홈 및 상기 스풀의 내부 중공에 포함된 나사 체결홈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KR2020120011941U 2012-12-18 2012-12-18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KR200485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1U KR200485504Y1 (ko) 2012-12-18 2012-12-18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1U KR200485504Y1 (ko) 2012-12-18 2012-12-18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37U true KR20140003937U (ko) 2014-06-26
KR200485504Y1 KR200485504Y1 (ko) 2018-01-16

Family

ID=524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41U KR200485504Y1 (ko) 2012-12-18 2012-12-18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500A (ko) * 2014-07-29 2016-02-11 고려전선(주) 적재와 운반이 용이한 케이블 드럼
WO2020085443A1 (ja) * 2018-10-25 2020-04-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巻き取りボビン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95A (ja) * 1994-05-27 1995-12-05 Iwata Sangyo Kk 線材巻回用合成樹脂製ボビン
JPH09503192A (ja) * 1993-10-01 1997-03-31 クリエイティブ・プラスティクス・アンド・マーケティング・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リールアセンブリ
KR20060013893A (ko) * 2004-08-09 2006-02-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용 스풀
KR100868123B1 (ko) * 2007-07-02 2008-11-10 최문선 권취 보빈
KR20090010067U (ko) * 2008-03-31 2009-10-06 대영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플런저
JP2009227361A (ja) * 2008-02-27 2009-10-08 Mitsuboshi Belting Ltd 樹脂製ボビン
JP2011251613A (ja) * 2010-06-01 2011-12-15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192A (ja) * 1993-10-01 1997-03-31 クリエイティブ・プラスティクス・アンド・マーケティング・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リールアセンブリ
JPH07315695A (ja) * 1994-05-27 1995-12-05 Iwata Sangyo Kk 線材巻回用合成樹脂製ボビン
KR20060013893A (ko) * 2004-08-09 2006-02-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용 스풀
KR100868123B1 (ko) * 2007-07-02 2008-11-10 최문선 권취 보빈
JP2009227361A (ja) * 2008-02-27 2009-10-08 Mitsuboshi Belting Ltd 樹脂製ボビン
KR20090010067U (ko) * 2008-03-31 2009-10-06 대영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플런저
JP2011251613A (ja) * 2010-06-01 2011-12-15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500A (ko) * 2014-07-29 2016-02-11 고려전선(주) 적재와 운반이 용이한 케이블 드럼
WO2020085443A1 (ja) * 2018-10-25 2020-04-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巻き取りボビン
JPWO2020085443A1 (ja) * 2018-10-25 2021-09-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巻き取りボ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04Y1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7488C (en) Composite coil spring
KR200485504Y1 (ko)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KR20100075776A (ko) 환상 코어 꼬임 비드 코드 및 그것을 사용한 차량용 타이어
WO2007116857A1 (ja) ビードコード及び車両用タイヤ
BR112013021064A2 (pt) roda de veículo
US20210313853A1 (en) Rotor for an electromagnetic motor or generator with tapered branches
JP2016188704A (ja) シーブ
EP1874518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pulley of plastic material and pulley produced with such method
KR101743458B1 (ko) 복합재 프리폼 제작용 부싱
US20110300978A1 (en) Timing pulley
CN102390761A (zh) 一种组合式槽筒
JP5898211B2 (ja) ループを保護するカラー・ブッシング配置を有する弾性継手体
JP2009113591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SK283539B6 (sk) Usporiadanie vinutého krytu rotora elektromotora
CA2729132C (en) Reels with corrugated flanges and undercuts
CN100402322C (zh) 具有载荷均布胎边的增加运动性的轮胎
KR100952706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2462335B1 (ko) 평각권선 권취용 보빈
CN109891115A (zh) 制动盘毂和具有改进的车辆接口的制动盘
JP6138073B2 (ja) 車両用ホイール
CN107240977B (zh) 电机后端盖及电机
EP2460923B1 (en) Washing machine bearing hub
US1010636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spool with rounded edges
CN214448498U (zh) 一种高速光纤二次套塑牵引装置
KR200303576Y1 (ko) 와이어용 금속 보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