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28U -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Google Patents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3928U KR20140003928U KR2020120011922U KR20120011922U KR20140003928U KR 20140003928 U KR20140003928 U KR 20140003928U KR 2020120011922 U KR2020120011922 U KR 2020120011922U KR 20120011922 U KR20120011922 U KR 20120011922U KR 20140003928 U KR20140003928 U KR 201400039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rain valve
- valve
- water flow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설비 유수검지장치 조립체의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배수밸브 일체형으로 유수확인용 키트를 설치하여 배수밸브 내부의 물의 흐름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토록 하여, 스프링클러설비의 점검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한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수의 확인기능을 갖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건물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에서 물을 배수시킬 때 배관내의 물의 흐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중 화재시 소화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식소화설비로는 스프링클러설비가 가장많이 사용되고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소화설비중 자동식소화설비로서 배관내부에 가압수가 충전되어 있다가 화재구역의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염으로 부터 감열되어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내의 가압수가 방출되고 가압수의 방출을 유수검지장치에서 검지하여 화재경보를 발하고, 소방펌프를 기동시켜 연속적으로 소화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클러설비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주배관(10)에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가 설치되고,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 2차측에 방수구역을 담당할 복수의 스프링클러헤드(30)가 설치되는 가지배관(40)이 갖추어지며,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의 일측으로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창(51A)이 형성된 배수배관(50)이 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는 주배관(10)과 접속되는 유수검지장치몸체(21)와, 이 유수검지장치몸체(21)의 일측에는 알람스위치(22) 및 배수밸브가(23) 구비되고, 밸브몸체(21) 하부 입수부(21a)와 상부 출수부(21b)측에는 각각 압력게이지(P1)(P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밸브의 구조물(23)은 유수검지장치 몸체(21)와 연통되어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개폐밸브(23a)와, 이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배출확인창 조립체(51)와 연결되는 배수연결관(52)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클러 설비에는 정상적으로 스프링클러 설비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테스트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장치(60)는 스프링클러 헤드(30)가 구비된 가지배관(40) 끝단부에 설치되고 테스트장치(60)에는 테스트함(70) 및 테스트밸브(61), 압력게이지(P3),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테스트장치(60)는 통상적으로 건물내의 배수가 가능한 화장실 또는 발코니에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클러 설비는 소화수가 각 층마다 설치된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를 거쳐 가지배관(40)의 말단까지 채워져 설정수압을 유지하고 있다가 스프링클러 헤드(30)가 화재 등에 의해 개방되어 소화수가 방출되면 가지배관(40)의 압력이 저하되고, 가지배관내(40)의 압력저하로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 내부에도 유수가 발생하게 되어 유수검지장치 입구부(21a) 및 출구부(21b)를 거쳐서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30)에 소화수가 방출되도록 한다. 이때 알람스위치(22)는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 내의 유수를 검지하여 경보를 울리게 한다.
또한 스프링클러 설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장치(60)를 구비하고 있으며, 테스트함(70) 안에 갖추어진 테스트밸브(61)를 개방하여 테스트장치(60)의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2)의 방수를 통하여 방수압 및 방수량을 확인하고, 해당 방호구역의 음향경보 작동상태, 스프링클러 설비용 펌프의 정상기동상태, 화재수신반에서 화재표시등 점등확인 등을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배수밸브(23)는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 2차측 배관 등을 정비하거나 배관내의 청소작업 등 배관내 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하는 배수밸브(23)이며,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 2차측의 과압을 방출할 때 사용하는 배수밸브(23)이다. 또한 배출관(50)상에 구비한 확인창(51a)은 배수밸브의 개폐밸브(23a) 개방시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51a)으로 별도의 확인창 조립체(51)가 구성되어 배출관(50)과 연결되어진다.
그러나, 배출되는 물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확인창 조립체(51)가 필요하고 확인창 양단의 배관부속품 수량이 많아지고,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배수밸브(23)와 결합되는 확인창 조립체(51)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해야 하고, 확인창 조립체(51)에 별도의 확인창(51a) 결합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고, 수밀작업이 필요해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투명한 확인창(51a)은 반복사용에 의해 확인창(51a)내부의 마모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에 의해 배관내부의 유수 확인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수검지장치 조립체에 설치되는 배수밸브에 배수밸브 일체형 유수확인 키트를 구성하여 별도의 확인창 조립체를 설치하지 않고도 유수를 확인할 수 있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의 움직임으로 유수를 확인함으로써 유수의 상태확인이 명확하고, 확인창의 마모나 오염으로 인한 확인기능 상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유수검지장치 조립체에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이 흐르는 배수밸브로서,
상기 배수밸브는 배수를 차단하는 개폐밸브와 일측에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의 움직임으로 물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키트부가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수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는 개폐밸브와 유수 확인창 조립체를 일체화 하여 배관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시공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시공비가 절약된다.
또한, 유수의 상태를 흐르는 물에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로 확인함으로써 유수확인이 명확하고, 확인창 방식의 유수확인 장치의 마모나 오염에의한 기능 불능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설비의 구조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설비의 구조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설비의 구조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확인 키트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배관(10)과,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와, 가지배관(40)과, 배수밸브(200)와, 배출배관(50)과, 테스트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배관(10)은 소방펌프 및 소화수조와 연결되어 화재시 소방펌프에 의하여 소화수조의 물이 상부로 이송되는 통로이다.
상기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는 주배관(10)의 일단에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되면 주배관(10)을 통하여 이송된 물이 통과되고, 알람스위치(22)가 동작되어 화재경보를 발한다.
상기 가지배관(40)은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를 통하여 이송된 물이 방호구역의 스프링클러헤드(30)에 방수되는 물의 이동 경로 이다.
상기 배수밸브(200)는 일측에 유수검지지장치 몸체(21)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유수검지장치 몸체(21)의 연결부위에 배수를 위한 개폐밸브(210)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밸브(200) 하부에는 배수밸브(200) 내부의 유수를 확인할 수 있는 유수확인 키트(240)가 설치된다.
상기 유수확인 키트(240)는 도 5 및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트본체(240a)와 투명창(240b), 유수확인 회전체(240c), 내부수차(240d)로 구성되고, 유수에 흐름에 따라 내부수차(240d)가 회전되면 유수확인 회전체(240c)가 동시에 회전되어 외부에서 배수밸브(200) 내부의 유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배수밸브(200)의 전체의 전체 구조를 알 수 있다.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200) 측면은 유수검지장치 조립체(20)와 연결되는 바, 그 연결부위에 개폐밸브(210)가 설치된다. 즉 두개의 시트(211)사이에 볼(212)이 설치되고, 아답타(213)가 조립되며, 상기 볼(212)에는 스템(214)과 스템 와셔(215), 오링(216)과, 손잡이와셔(217), 손잡이(218), 스프링와셔(219), 육각너트(220)가 체결되어 배수밸브(200)가 완성된다.
또한, 배수밸브(200) 전면 하부에 유수확인용 키트(240)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수확인용 키트(240)는 부싱(241)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모든 부품을 조립하여 연결하면, 유수확인 기능을 가진 배수밸브(200)가 완성된다.
P1,P2,P3 : 압력게이지
10 : 주배관
20 : 유수검지장치 조립체
21 : 유수검지장치 몸체
21a : 유수검지장치 입구부
21b : 유수검지장치 출구부
22 : 알람스위치
23 : 배수밸브
23a : 개폐밸브
30 : 스프링클러 헤드
40 : 가지배관
50 : 배출관
51 : 확인창 조립체
51a : 확인창
52 : 확인창 조립체 연결관
60 : 테스트장치
61 : 개폐밸브
62 : 개방향헤드
70 : 테스트함
200 : 배수밸브
210 : 개폐밸브
211 : 시트
212 : 볼
213 : 아답터
214 : 스템
215 : 스템 와셔
216 : 오링
217 : 손잡이 와셔
218 : 손잡이
219 : 스프링 와셔
220 : 육각너트
240 : 유수확인 키트
240a : 키트 본체
240b : 투명창
240c : 유수확인 회전체
240d : 내부수차
241 : 부싱
10 : 주배관
20 : 유수검지장치 조립체
21 : 유수검지장치 몸체
21a : 유수검지장치 입구부
21b : 유수검지장치 출구부
22 : 알람스위치
23 : 배수밸브
23a : 개폐밸브
30 : 스프링클러 헤드
40 : 가지배관
50 : 배출관
51 : 확인창 조립체
51a : 확인창
52 : 확인창 조립체 연결관
60 : 테스트장치
61 : 개폐밸브
62 : 개방향헤드
70 : 테스트함
200 : 배수밸브
210 : 개폐밸브
211 : 시트
212 : 볼
213 : 아답터
214 : 스템
215 : 스템 와셔
216 : 오링
217 : 손잡이 와셔
218 : 손잡이
219 : 스프링 와셔
220 : 육각너트
240 : 유수확인 키트
240a : 키트 본체
240b : 투명창
240c : 유수확인 회전체
240d : 내부수차
241 : 부싱
Claims (2)
- 스프링클러설비 유수검지장치에 연결되어 배관내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의 측면에 상기 유수검지장치의 연결부위에 배수를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밸브 몸체에 배수밸브 내부의 물의 흐름이 수차를 회전시켜 밸브 내부의 유수를 확인할 수 있는 유수확인용 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 정면에 설치된 유수를 확인할 수 있는 유수확인용 키트를 전방 및 후방 양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1922U KR20140003928U (ko) | 2012-12-18 | 2012-12-18 |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1922U KR20140003928U (ko) | 2012-12-18 | 2012-12-18 |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3928U true KR20140003928U (ko) | 2014-06-26 |
Family
ID=5244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1922U KR20140003928U (ko) | 2012-12-18 | 2012-12-18 |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392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6355A (ko) * | 2018-05-30 | 2019-12-10 | 김병환 | 동파 방지 소방 시스템 |
-
2012
- 2012-12-18 KR KR2020120011922U patent/KR2014000392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6355A (ko) * | 2018-05-30 | 2019-12-10 | 김병환 | 동파 방지 소방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6591B2 (en) | Modular valve assembly | |
US9265980B2 (en) | Flow control assembly for a fire sprinkler system | |
KR101193629B1 (ko) |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 |
KR101753809B1 (ko)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 |
KR102181151B1 (ko) | 누수 감지 소화전 | |
KR101277477B1 (ko) | 소방용 감압 밸브 시스템 | |
EP2068221A1 (en) | Flow-sensing device | |
KR20120016742A (ko) |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 | |
KR20080001532U (ko) |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 |
KR101193053B1 (ko) | 알람밸브 조립체 | |
KR20140003928U (ko) | 유수 확인 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
JP6153363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気水分離排水装置 | |
KR101701454B1 (ko)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밸브 감지 스위치 | |
KR100935550B1 (ko) |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 |
US116086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 |
KR20140140454A (ko) | 알람밸브 | |
AU2018211907A1 (en) | Dry sprinkler system manifold adapter | |
KR200444334Y1 (ko) | 오리피스 겸용 투명창을 갖는 유수검지 작동테스트확인장치 | |
KR20060091331A (ko) |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 |
KR200465322Y1 (ko) | 알람밸브용 밸브 | |
KR20120032154A (ko) | 벨로우즈관을 갖는 드레인 밸브 어셈블리 | |
KR20100011295U (ko) | 일체형 구조를 갖는 알람 체크밸브 | |
JP5020213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JP5317923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KR200451906Y1 (ko) |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유수검지 확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