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99A - 전복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전복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99A
KR20140003699A KR1020120067693A KR20120067693A KR20140003699A KR 20140003699 A KR20140003699 A KR 20140003699A KR 1020120067693 A KR1020120067693 A KR 1020120067693A KR 20120067693 A KR20120067693 A KR 20120067693A KR 20140003699 A KR20140003699 A KR 2014000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abalone
pipe
fram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922B1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철 filed Critical 이용철
Priority to KR102012006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 프레임(10)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제1 선별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관(20); 제1 선별관(20)의 내부에 동심 형태로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에 제1 선별홀(22)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제2 선별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선별관(30); 제1 선별관(20) 또는 제2 선별관(3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복 선별장치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복 선별장치 {SORTER FOR ABALONE}
본 발명은 전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련의 공정을 통해 전복을 크기별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전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복(全鰒)은 원시복족목(原始腹足目) 전복과에 딸린 연체동물의 총칭으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복은 양식화에 성공한 이후 그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보조하여 전복 양식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전복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전복 선별장치도 그 중 하나이다.
종래의 전복 선별장치는‘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복 선별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 프레임(1)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 선별홀(2)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 형태의 제1 드럼(3); 제1 드럼(3)과 연결 설치되며, 제1 선별홀(2)보다 크기가 큰 제2 선별홀(4)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 형태의 제2 드럼(5) 및 제2 드럼(5)을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부재(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복 선별장치는 전복 투입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투입된 다수의 전복이 제1 드럼(3) 및 제2 드럼(5)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크기가 작은 전복은 제1 선별홀(2)을 통해 선별되고, 제1 선별홀(2)보다 크기가 큰 전복은 제2 선별홀(4)을 통해 선별되며, 제1 선별홀(2) 및 제2 선별홀(4)을 통해 선별되지 않은 나머지 전복은 제2 드럼(5)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전복 선별장치는 제1 드럼(3) 및 제2 드럼(5)이 일렬로 연결 배치됨으로 인해, 그 길이가 상당히 길어질 수 밖에 없어 설치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제1 드럼(3) 및 제2 드럼(5)이 메쉬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우며, 특히 외부충격을 받거나 많은 양의 전복이 투입될 경우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특허문헌 1) KR 20-2011-0007129 U 2011. 07. 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복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제1 선별홀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관; 상기 제1 선별관의 내부에 동심 형태로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선별홀보다 크기가 큰 제2 선별홀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제2 선별관; 상기 제1 선별관 또는 제2 선별관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는 제1 선별관 및 제2 선별관이 동심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그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복 선별장치의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 및 보관 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제1 선별관 및 제2 선별관이 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복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투입구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물분사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투입구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100)는 프레임(10);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1 선별관(20); 제1 선별관(20)과 연결되는 제2 선별관(30); 제1 선별관(20) 또는 제2 선별관(30)과 연결되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제1 선별관(20), 제2 선별관(30) 및 회전부재(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하단에는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바퀴(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 선별관(20)은 전복이 이동되면서 배출구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프레임(10)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전복을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선별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선별관(20)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제1 선별홀(22)의 형상은 전복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선별관(20)의 단면 형상, 제1 선별홀(22)의 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2 선별관(30)은 연결체(90)에 의해 제1 선별관(20)의 내부에 동심 형태로 연결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제1 선별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홀(22)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제2 선별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선별관(30)은 전복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제2 선별홀(32)의 형상은 제1 선별관(20)의 제 1선별홀(22)과 마찬가지로 전복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90)는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연결체(90)는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선별관(30)의 투입구 측에는 제2 선별관(30)과 연통되는 전복투입대(60)가 설치된다. 물론, 전복투입대(60)에 수용되는 전복은 제2 선별관(30)으로 투입된다.
전복투입대(60)는 프레임(10)에 지지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 및 내강도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40)는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부재(40)는 모터(42); 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44) 및 기어(44)의 회전에 의해 맞물림 동작되어 제1 선별관(20)을 회전시키는 체인(46)으로 이루어진다.
체인(46)은 후술되는 한 쌍의 회전링(5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이와 같은 체인(46)은 필요에 따라 제1 선별관(20)의 외주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선별관(20)의 양측 외주면 각각에는 한 쌍의 회전링(52)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회전링(52)은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선별관지지대(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선별관(20)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별관지지대(54)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53) 및 한 쌍의 연결부(5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링(52)을 지지하는 지지부(55)로 이루어진다. 지지부(55)의 중앙에는 회전링(52)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선별관(2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전복은 제1 선별관(20)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분리수거대(71)를 통해 분리 수거되고, 제2 선별관(3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전복은 제2 선별관(30)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분리수거대(72)를 통해 분리 수거되며, 제1 선별홀(22)을 통해 배출되는 전복은 제1 선별관(20)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3 분리수거대(73)를 통해 분리 수거된다.
그리고 제1, 2, 3 분리수거대(71, 72, 73) 각각에는 분리 수거되는 전복의 개수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는 계수기(74)가 구비되어 있으며, 계수기(74)로는 전자식 계수기 또는 기계식 계수기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선별관(20)의 상측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기(80)가 제1 선별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러한 물분사기(80)는 이송되는 전복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전복의 품질을 확보함과 아울러 전복의 이송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분사기(8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선별관(20)의 길이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분사관(82) 및 분사관(82)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8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분사관(82)으로 공급되는 물이 복수 개의 분사노즐(84)을 통해 제1 선별관(20) 내부에서 이송되는 전복을 향해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장치는 제1 선별관(20) 및 제2 선별관(30)을 통해 전복을 3종류의 크기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선별하고자 하는 전복의 크기가 많을 경우에는 선별관을 다수 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복 선별장치를 이용한 전복의 선별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전복 공급장치(200)를 통해 공급된 전복이 전복 선별장치(100)의 전복투입대(60)를 거쳐 제2 선별관(30)의 내부로 투입되면, 제2 선별관(30)을 따라 전복이 이송되면서 제2 선별홀(32)보다 크기가 작은 전복은 제2 선별홀(32)을 통해 제1 선별관(20)으로 낙하된다.
이때, 제2 선별홀(32)보다 크기가 큰 전복은 제2 선별관(3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제2 분리수거대(72)로 수거된다.
그리고 제1 선별관(20)으로 낙하된 전복은 제1 선별관(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제1 선별홀(22)보다 크기가 작은 전복은 제1 선별홀(22)을 통해 낙하되어 제3 분리수거대(73)로 수거된다.
이때, 제1 선별홀(22)보다 크기가 큰 전복은 제1 선별관(2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제1 분리수거대(71)로 수거된다.
마지막으로 제1, 2, 3 분리수거대(71, 72, 73)로 분리 수거된 전복은 그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계수기(74)에 의해 정확하게 계수된 상태에서 저장박스 등에 저장된다.
한편, 전복의 이송 중에는 제1 선별관(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물분사기(80)를 통해 물이 지속적으로 분사된다.
10: 프레임 20: 제1 선별관
22: 제1 선별홀 30: 제2 선별관
32: 제2 선별홀 40: 회전부재
42: 모터 42: 기어
46: 체인 52: 회전링
54: 선별관지지대 60: 전복투입대
71: 제1 분리수거대 72: 제2 분리수거대
73: 제3 분리수거대 74: 계수기
80: 물분사기

Claims (6)

  1.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제1 선별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관(20);
    상기 제1 선별관(20)의 내부에 동심 형태로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선별홀(22)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제2 선별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선별관(30) 및
    상기 제1 선별관(20) 또는 상기 제2 선별관(3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관(20)의 양측 외주면에는 한 쌍의 회전링(52)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링(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로 다른 높이의 선별관지지대(5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0)는,
    모터(42); 상기 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44)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링(51,5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44)의 회전에 의해 맞물림 동작되는 체인(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별관(30)의 투입구와 연통되는 전복투입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관(2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전복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제1 분리수거대(71); 상기 제2 선별관(3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전복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제2 분리수거대(72) 및 상기 제1 선별홀(22)을 통해 배출되는 전복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제3 분리수거대(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관(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물분사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장치.
KR1020120067693A 2012-06-23 2012-06-23 전복 선별장치 KR10137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93A KR101378922B1 (ko) 2012-06-23 2012-06-23 전복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93A KR101378922B1 (ko) 2012-06-23 2012-06-23 전복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99A true KR20140003699A (ko) 2014-01-10
KR101378922B1 KR101378922B1 (ko) 2014-03-28

Family

ID=5014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693A KR101378922B1 (ko) 2012-06-23 2012-06-23 전복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95A (ko) * 2014-09-02 2016-03-10 배창민 전복치패 선별장치
CN108812850B (zh) * 2018-06-25 2020-12-18 日照市匠心独运知识产权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温度差变化的推进摆动式花蛤吐沙装置
KR2021001490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KR20220028295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12B1 (ko) * 2017-04-14 2018-07-20 (주)참코청하 전복 선별기용 전복 개별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87B1 (ko) * 1994-02-08 1996-07-20 백계호 꼬막 선별 시스템
JP2728236B2 (ja) * 1995-03-24 1998-03-18 沖舘鉄工有限会社 貝の選別機
JP3723961B2 (ja) 2001-11-29 2005-12-07 政義 小形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95A (ko) * 2014-09-02 2016-03-10 배창민 전복치패 선별장치
CN108812850B (zh) * 2018-06-25 2020-12-18 日照市匠心独运知识产权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温度差变化的推进摆动式花蛤吐沙装置
KR2021001490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KR20220028295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22B1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922B1 (ko) 전복 선별장치
DE102009021583B4 (de) Maschine zum Ausrichten und aufeinanderfolgenden Anordnen von Artikel
CN110052393A (zh) 一种滚筒式浙贝母分选机
JPH05221489A (ja) 容器を配向し容器に充填し容器を閉鎖するための機械及び方法
KR200453860Y1 (ko) 세척브러쉬가 구비된 과실선별세척장치
CN108402501A (zh) 一种原料肉滚筒上粉设备
KR101629652B1 (ko) 우렁쉥이 분리 및 세척장치
CN110420829A (zh) 筛网式茶叶分拣机
CN205762193U (zh) 一种药丸筛选装置
CN210546907U (zh) 电镀铜球清洗机的出料装置
KR101182184B1 (ko) 자동 꼬막 선별장치
CN210115222U (zh) 一种滚筒式浙贝母分选机
CN105396773A (zh) 洗沙双层滚筒筛
CN206963688U (zh) 一种罗非鱼养殖用筛选装置
CN110152973A (zh) 果实筛选机
CN107927844A (zh) 一种用于农业的果蔬农作物清洗器
CN109123476A (zh) 一种用于海参清洗烘干的加工设备
CN211888011U (zh) 一种槟榔去核后分选系统
CN208724887U (zh) 一种原料肉滚筒上粉设备
CN213194469U (zh) 一种带分选功能的转筒筛分机
CN212550362U (zh) 一种药浴中药材规格分练机
CN204297710U (zh) 一种面粉加工过程中的入料系统
CN208292277U (zh) 一种便于收缩吸料管道的吸粮机
CN207948755U (zh) 一种鱼类加工分流输送机构
CN110270505A (zh) 翻转式浙贝母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