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31U - 덕트 운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덕트 운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31U
KR20140003331U KR2020120010910U KR20120010910U KR20140003331U KR 20140003331 U KR20140003331 U KR 20140003331U KR 2020120010910 U KR2020120010910 U KR 2020120010910U KR 20120010910 U KR20120010910 U KR 20120010910U KR 20140003331 U KR20140003331 U KR 20140003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uct
support piece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331U/ko
Publication of KR20140003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덕트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한 덕트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관(管)부와, 관부의 각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플랜지의 플랜지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나사공;상기 나사공 및 플랜지의 플랜지공을 통과하여 플랜지를 삽입홈에 고정시킨 고정볼트;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덕트 운반용 클램프{clamp for transporting duct}
본 고안은 덕트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하여 덕트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덕트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발전 및 일반 건축물의 경우 공기를 열매체로 이용하는 대류현상을 이용한 공기조화(HVAC ;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설비를 갖추고 있는데, 이 경우 덕트(DUCT) 설비는 공기의 분배 및 공기 반송을 위한 통로로 이용되는 등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 설비와 관련하여,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공조산업과 관련이 있는 공공기관, 단체 등을 중심으로 덕트와 관련된 규격들이 작성되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역으로 유도되는 덕트의 크기는 덕트의 길이를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한요소 등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대적인 HVAC 시스템이 복합적인 제어요소를 고려하여 개량됨에 따라, 다수의 개별 구역 내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덕트의 종류, 크기, 설치 위치 등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공기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덕트의 종류, 크기,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제작된 덕트를 정해진 위치에 탑재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덕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작업 과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덕트를 구성하는 관(管)부(10)의 각 단부에는 관부(10)의 너비보다 큰 플랜지(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에는 플랜지공(11a)이 형성된다.
이때, 각 플랜지공(11a)에 아이볼트(eyebolt)(20)를 결합한 후, 상기 아이볼트(20)의 통공(21)에 와이어(W)를 고정시킨다.
이후,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상기 와이어(W)를 들어올려 덕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한 후,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덕트를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덕트를 운반하는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의 플랜지공(11a)에 아이볼트(20)를 체결한 후 아이볼트(20)에 와이어(W)를 고정하여 크레인으로 하여금 와이어(W)를 들어올리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볼트(20)의 지지력을 극대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의 플랜지공(11a)에 체결된 아이볼트(20)와 플랜지공(11a)에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덕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아이볼트(20)의 지지력을 극대화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즉, 아이볼트(20)의 체결부위에 덕트의 하중이 집중되므로, 상당한 무게의 덕트를 들어올리기 위해 아이볼트(20)의 체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아이볼트(20)가 견디기에 무리가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각각의 아이볼트(20)에 고정된 와이어(W)는 한 곳으로 모인 후에,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짐으로써, 아이볼트(20)에 가해지는 하중 역시 수직이 아닌 경사지게 작용함에 따라 아이볼트(20)의 지지력은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것 외에, 덕트를 눕혀 수평으로 들어올리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아이볼트(20)의 체결력만으로 덕트를 수평으로 들어올리는 것은 더욱 무리가 있으며, 사실상 아이볼트(20)를 이용해 덕트를 수평으로 들어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766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7439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레인에 의한 덕트 운반시 덕트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여 덕트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관(管)부와, 관부의 각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플랜지의 플랜지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나사공;상기 나사공 및 플랜지의 플랜지공을 통과하여 플랜지를 삽입홈에 고정시킨 고정볼트;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플랜지의 일면을 지지하며, 플랜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받침편;상기 하부 받침편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하부 받침편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부 받침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나사공은 상부 받침편과 하부 받침편에 각각, 서로 일직선으로 통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패드아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덕트를 수직으로 들어올릴 때, 덕트의 플랜지에 결합된 하부 받침편은 플랜지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플랜지를 지지하는 하부 받침편의 접촉 면적이 넓음에 따라, 크레인이 덕트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덕트 하중에 대한 클램프의 지지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플랜지에 결합된 볼트의 결합부위에 덕트의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클램프의 하부 받침편에 덕트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덕트의 하중에 대한 클램프의 지지력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덕트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를 눕혀 수평한 방향으로 들어올리더라도, 고정볼트가 체결된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램프의 몸체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덕트를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운반을 위해 크레인의 와이어를 아이볼트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랜프를 덕트의 플랜지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덕트 프랜지에 결합하여 크레인의 와이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덕트 운반용 클램프는 크레인에 의한 덕트 운반시, 덕트 플랜지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덕트 운반용 클램프는 크레인이 덕트를 운반하기 위해 덕트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운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덕트 운반용 클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고정볼트(200)와, 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덕트 운반용 클램프의 외관을 구성하며,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몸체(100)는 삽입홈(110)을 형성하여 덕트의 플랜지(11)를 수용함으로써, 덕트의 플랜지(11)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몸체(100)는 하부 받침편(120)과, 상부 받침편(130)과, 연결부(14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부 받침편(120)은 덕트의 플랜지(11) 저면을 지지하며, 덕트 플랜지(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받침편(130)은 하부 받침편(120)의 상방에 배치되어 하부 받침편(120) 사이에 삽입홈(110)을 형성한다.
즉, 상부 받침편(130)과 하부 받침편(1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삽입홈(110)이 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홈(110)의 간격은 덕트 플랜지(11)의 두께보다 크게만 형성되면 무방하다.
그리고, 연결부(140)는 상부 받침편(130)과 하부 받침편(120)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부 받침편(130)의 일단부와 하부 받침편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몸체(100)의 구성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ㄷ'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받침편(130)과 하부 받침편(120)에는 각각, 나사공(150)이 형성된다.
나사공(150)은 몸체(100)를 덕트의 플랜지(11)에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200)가 통과되는 구성이다.
나사공(150)은 상부 받침편(130) 및 하부 받침편(120) 각각에 복수로 형성되되, 각각의 받침편(120,13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받침편(130)에 형성된 나사공(150)과 하부 받침편(120)에 형성된 나사공(150)은 서로 상,하로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나사공(15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각 받침편(120,130)에 두 개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몸체(100)는 덕트 플랜지(11)의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고정볼트(200)는 몸체(100)를 덕트 플랜지(11)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볼트(200)는 몸체(100)의 상부 받침편(130)에 형성된 나사공(150)을 통과한 후, 삽입홈(110)에 배치된 플랜지(11)의 플랜지공(11a)을 통해 플랜지(11)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 받침편(120)의 나사공(15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볼트(200)의 개수는 각 몸체(100) 당, 두 개씩 제공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받침편(120)의 나사공(150)을 통해 돌출된 고정볼트(2000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너트 체결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므로, 너트 체결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고정수단(300)은 덕트 플랜지(11)에 결합된 몸체(100)를 크레인의 와이어(W)에 매달기 위한 구성이며, 패드 아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패드아이(300)는 크레인의 와이어(W)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10)을 형성하며, 몸체(100)의 상부 받침편(13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드 아이(300)는 나사공(150) 사이에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받침편(130)의 중간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덕트를 들어올릴 때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이용한 덕트 운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운반하고자 하는 덕트가 수직으로 제공된다.
이후, 작업자는 덕트 운반용 클램프의 몸체(100) 삽입홈(110)에 덕트 플랜지를 수용시킨다.
즉, 덕트의 플랜지(11)는 몸체(100)의 삽입홈(110)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덕트의 플랜지(11)는 플랜지공(11a)이 몸체(100)의 나사공(150)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고정볼트(200)를 몸체(100)의 나사공(150) 및 플랜지공(11a)을 통과하여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몸체(100)는 고정볼트(200)에 의해 덕트 플랜지(11)에 결합된다.
이후, 패드아이(300)에 와이어(W)를 고정한 후, 크레인의 후크(H)를 상기 와이어(W)에 걸어 덕트 운반을 위한 크레인의 결합을 완료시킨다.
이후, 크레인으로 하여금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들어올리면, 덕트의 플랜지(11)는 몸체(100)의 하부 받침편(120)에 밀착 지지되면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하부 받침편(120)은 플랜지(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힘을 받는 면적이 넓어져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진 덕트는 정해진 장소로 이동됨으로써, 덕트 운반용 클램프를 이용한 덕트 운반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덕트 운반용 클램프는 덕트 플랜지와 닿는 면적을 늘려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효과를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덕트 하중이 작용하는 힘이 하부 받침편에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덕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 덕트 운반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삽입홈
120 : 하부 받침편 130 : 상부 받침편
140 : 연결부 150 : 나사공
200 : 고정볼트 300 : 고정수단
310 : 고정공 H : 후크
W : 와이어

Claims (3)

  1.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관(管)부와, 관부의 각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플랜지의 플랜지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나사공;
    상기 나사공 및 플랜지의 플랜지공을 통과하여 플랜지를 삽입홈에 고정시킨 고정볼트;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운반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플랜지의 일면을 지지하며, 플랜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받침편;
    상기 하부 받침편의 상방으로 형성되어 하부 받침편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부 받침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사공은 상부 받침편과 하부 받침편에 각각, 서로 일직선으로 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운반용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패드아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운반용 클램프.


KR2020120010910U 2012-11-27 2012-11-27 덕트 운반용 클램프 KR201400033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10U KR20140003331U (ko) 2012-11-27 2012-11-27 덕트 운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10U KR20140003331U (ko) 2012-11-27 2012-11-27 덕트 운반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31U true KR20140003331U (ko) 2014-06-05

Family

ID=5244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910U KR20140003331U (ko) 2012-11-27 2012-11-27 덕트 운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6947A (zh) * 2019-05-07 2019-07-19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角钢法兰风管紧固螺栓的工具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6947A (zh) * 2019-05-07 2019-07-19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角钢法兰风管紧固螺栓的工具及其使用方法
CN110026947B (zh) * 2019-05-07 2020-10-09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角钢法兰风管紧固螺栓的工具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225B1 (en) Multi-pipe suspension system
US9200729B2 (en) Combination hanger and reinforcement bracket
CN101979308B (zh) 塔式起重机及其平衡臂拉杆结构及该结构的安装方法
US20120318934A1 (en) Multiple vertical clevis hangers
US20090321587A1 (en) Double clevis hanger
US20160108615A1 (en) Hanging load support
FI118436B (fi) Leijupetikattilan erotinrakenne
KR20140003331U (ko) 덕트 운반용 클램프
US11072941B1 (en) Load transfer arrangement
CN107618099B (zh) 一种具有防护机构的循环喷釉线基座
CN112239134B (zh) 一种用于玻璃窑炉铂金通道运输吊装的专用固定装置
CN204237258U (zh) 聚丙烯项目压缩机入口高压气粉两相流管线装置
CN209217606U (zh) 一种槽式异型无铜铝水平三通
CN207830711U (zh) 一种角铁法兰风管的悬吊装置
KR102027164B1 (ko) Gre 파이프의 수직방향 구속장치
KR102024621B1 (ko) 크레인 후크
CN207844822U (zh) 一种扶梯内嵌式led灯安装结构及扶梯
TWM555580U (zh) 載重封閉式托架及使用在托架的邊板結構
KR20170126620A (ko) 조립식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101498769B1 (ko) 복수 중공슬래브의 양중을 위한 지그장치
KR101377255B1 (ko) 무구동 각도 교정장치용 가이드 어셈블리
JP6180878B2 (ja) 発電プラントにおける蒸気タービンの内部ケーシング下半吊り上げ用玉掛け装置および内部ケーシング下半吊り上げ方法
CN214468954U (zh) 古建筑风管机安装结构
CN104712150A (zh) 室外走廊及其运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