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00A -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00A
KR20140003300A KR1020120071511A KR20120071511A KR20140003300A KR 20140003300 A KR20140003300 A KR 20140003300A KR 1020120071511 A KR1020120071511 A KR 1020120071511A KR 20120071511 A KR20120071511 A KR 20120071511A KR 20140003300 A KR20140003300 A KR 20140003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atient
plate
sitt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405B1 (ko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김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일 filed Critical 김진일
Priority to KR102012007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4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매트부에 보조 좌판부재를 별개로 구성하여서 공회전되는 보조 좌판부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방향을 편하고 안전하게 변환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좌판이 승하강되도록 장치하여 배변시에 간이변기가 위치될 공간이 확보됨으로 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배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좌판(4a)과 매트(7)에 형성된 관통공(10)에 장치된 보조 좌석부재(13)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침대에 있어서, 보조 좌석부재(13)의 지지판(12)에 형성된 회동축(15)을 승하강부재(16)에 공회전되도록 장치하며, 승하강부재(16)에 연결된 링크(19)와 지축(20)을 지점으로 원운동하는 레버(21)에 의하여 보조 좌석부재(13)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a multi-function medical bed}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매트부에 보조 좌판부재를 별개로 구성하여서 공회전되는 보조 좌판부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방향을 편하고 안전하게 변환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좌판이 승하강되도록 장치하여 배변시에 간이변기가 위치될 공간이 확보됨으로 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배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누워 거동을 할 수 없는 와상환자의 경우 배변을 볼 때에 환자 자신은 물론,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에게 많은 어려움이 따랐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수단이 강구되어왔다.
근래에는 침대에 자동으로 처리되는 배변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변기와, 용변을 수세식으로 세척하는 수세시스템과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시스템으로 구성하여서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용무를 볼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배변용 침대는 그 구조와 장치가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조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격이 고가이므로 전문 병원 등과 같이 특별한 경우에만 한정하여 사용될 뿐 일반 가정이나 요양시설 등과 같은 여건에서는 상기 침대를 사용할 수 없었다.
때문에, 많은 배변침대 등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간이변기를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간이변기를 이용하여 용무를 보기 위하여는 일정 두께의 변기를 환자의 둔부와 매트 상면 사이에 넣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의 둔부가 허리보다 상승된 상태가 되고 간이변기가 둔부를 압박하는 상태가 되므로 불편한 자세에서 배변을 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배변 후에 닦아내거나 기저귀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둔부가 매트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여유 공간이 없기 때문에 둔부를 들어올리거나 환자를 옆으로 자세를 변환하는 등의 어려움이 따랐다.
최근 국내 특허 제 0844442호의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가 있으며, 이러한 선발명은 하부 지지틀체로 된 프레임의 상부에 굴절 가능한 매트리스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중앙에 장방형의 삽입구를 관통 형성하고 그 삽입구에는 상기 매트리스의 두께와 같고 상기 삽입구와 대응형상으로 된 쿠션부재를 삽입형성하되,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 상에 수직 고정된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승강구를 결합하고, 상기 승강구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이 힌지 연결된 엑츄에이터의 작동축이 힌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는 그 가이드관과 나란한 승강홈을 갖는 안내대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승강구의 일측으로 돌출된 안내축 단부의 베어링이 상기 승하강홈을 따라 회전 승강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쿠션부재를 하강시켜 간이변기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나, 쿠션부재의 하부가 엑츄에이터의 작동축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승하강되는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고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사용으로 인하여 충격의 피로감이 축적되면 쉽게 변형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회동이 불가능한 고정식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간이변기를 놓을 수 있는 기는 배변기능 이외에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배변기능은 물론 자세 변경, 욕창 방지 등의 많은 기능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개발된 의료용 침대는 배변, 욕창, 자세변경 등의 용도를 각각의 침대에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는 실정이었으며, 거동을 할 수 없는 와상환자의 경우에 배변기능의 침대가 필요하지만 거동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 배변 기능보다 자세변경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즉, 환자가 평상시에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눕거나 앉은 상태로 생활하게 되고 침대에서 내려오고자 할 경우에는 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하여야 되는 것으로서, 이때 병약한 환자가 스스로 자세를 전환하거나 간병인이 자세 전환을 하고자 할 경우에 푹신한 매트 바닥에 둔부가 가압되어 접촉면적이 증대된 상태가 되므로 많은 힘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러한 기능의 침대는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와상환자의 경우에 오랜 기간 누워 있으면 욕창이 발생되며, 특히 신체 부위 중 매트면과 가장 큰 압력으로 접촉되는 꼬리뼈와 둔부부위에 욕창이 집중적으로 발병되는 실정으로서, 이러한 욕창방지를 위한 많은 침대와 매트가 개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로서 기존의 침대에 간단히 적용할 수 없었으므로 욕창이 발병하기 전에 일반 침대에서 생활하는 환자의 경우에 간단하게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욕창이 발병한 후에 고가의 욕창기능이 있는 침대를 사용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기존의 침대에 승하강되는 좌판을 구성하여 간이변기가 놓여지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와상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용변 후에 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좌판이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내려오기 위하여 침대의 측면방향으로 몸을 돌리고자 하고자 할 경우에 좌판을 이용하여 쉽고 편안하게 자세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와상환자의 둔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여 욕창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좌판과 매트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치된 보조 좌석부재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침대에 있어서, 보조 좌석부재의 지지판에 형성된 회동축을 승하강부재에 공회전되도록 장치하며, 승하강부재에 연결된 링크와 지축을 지점으로 원운동하는 레버에 의하여 보조 좌석부재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을 하강시키면 간이변기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용무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뒷처리를 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판의 상승과 하강의 작동이 다수의 안내레버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동작이 부드럽고 소음발생이 없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 발생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판의 평면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수평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서 환자가 좌판을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게 자세를 변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상환자의 경우에 욕창의 발병 우려가 가장 많은 엉덩이부위에 위치된 좌판을 하강시키면 엉덩이부위의 압박이 제거됨으로 욕창을 방지할 뿐 아니라 누운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하중이 분산됨으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침대로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배변기능 및 욕창방지, 자세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침대에 간단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한 전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요부를 확대한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좌판이 하강 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예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다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을 상하로 설치하고 하부프레임(2)의 하방에 바퀴(3)를 장치하며, 상부프레임(1)에 고정된 좌판(4a)의 좌우에 각각 장치된 등받이판(4b)와 하부받침판(4c)과 다리받침판(4d)가 각각 힌지(5)로 연결되어 엑츄에이터(도면에 도시되어있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장치하여서 된 매트받침부재(6)의 상면에 매트(7)가 위치되도록 하여 침대(B)를 구성한다.
그리고,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된 관통공(10)을 상기 좌판(4a)의 중앙부와 매트(7)에 각각 뚫어 형성하고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지지판(12)의 상부에 탄성질의 좌석부(12)가 고정된 보조 좌석부재(13)가 관통공(10)에 위치되도록 장치하며, 상기 좌판(4a)에 상부가 고정된 지지프레임(14)을 좌석부재(13)의 하방에 설치하고 지지판(12)의 하방에 회동축(15)를 형성하여 승하강부재(16)의 상부에 회동축(15)이 공회전되도록 장치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4)에 상부와 하부가 고정 설치된 안내봉(17)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승하강부재(16)의 일측에 고정된 슬라이딩부(18)를 안내봉(17)에 결합하여 승하강부재(16)가 안내봉(17)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장치하며, 상부가 승하강부재(16)에 연결된 링크(19)를 상하 방향으로 장치하여 지축(20)을 지점으로 원운동하는 레버(21)를 링크(19)의 하방에 연결하며, 콘트롤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엑츄에이터(22)의 피스톤(22a) 끝단부를 레버(21)의 끝단부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좌석부재(13)가 상승된 상태에서 매트(7)와 동일한 수평위치에 있으므로 매트받침부재(6)의 좌판(4a),등받이판(4b), 하부받침판(4c), 다리받침판(4d)을 펼치거나 절곡하면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하며, 이때 매트(7)와 동일 재질로 구성된 보조 좌석부재(13)가 매트(7)와 일체감이 있으므로 사용상의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것이다.
거동을 할 수 없는 와상환자가 침대에서 배변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좌석부재(13)를 하강시키고 공간이 확보된 관통공(10) 내에 간이변기(3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즉, 간병인 등이 콘트롤 스위치(도면에 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엑츄에이터(22)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피스톤()이 후퇴되면서 레버(21)의 끝단부를 당기게 됨으로 지축(20)을 지점으로 원운동하는 레버(21)의 상단부가 링크(19)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링크(19)의 상단부에 연결된 승하강부재(16)가 하강되면서 승하강부재(16)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보조 좌석부재(13)가 하강되는 것이다. 승하강부재(16)는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8)가 상하 길이방향의 안내봉(17)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됨으로 승하강부재(16)의 승하강 작동이 정확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보조 좌석부재(13)가 하강된 상태에서 관통공(10) 내측에 간이변기(30)가 위치될 여유 공간이 확보됨으로 보조 좌석부재(13)의 좌석부() 상면에 간이변기(30)를 올려 놓으면 간이변기(30)가 매트(7)의 상면 하부에 위치됨으로 환자는 종래와 같이 둔부가 올려지는 상태에서 배변하는 일 없이 매트(7)에 둔부가 지지된 편안한 상태에서 배변을 할 수 있다. 또한 배변이 완료된 상태에서 몸을 닦거나 기저귀 착용 등과 같이 뒷처리를 할 경우에 승하강부재(16)가 하강된 상태에서 간이변기(30)를 꺼내면 관통공(10)에 생긴 여유공간에 의하여 둔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간편하고 쉽게 뒷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누워 생활하는 와상환자의 경우에, 둔부, 특히 꼬리뼈부위가 집중적으로 압박받게 되므로 욕창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위이므로 필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보조 좌석부재(13)를 하강시키면 환자의 둔부 하방에 여유 공간이 확보되면서 둔부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공기와 접촉이 원활하여 욕창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상시 바로 누우면, 둔부와 어깨 등 일정 부위에 알력이 가해지는 일자형의 누운 자세에서 둔부의 하강으로 인하여 다른 신체의 부위에 압력이 분산되므로 욕창 방지 뿐 아니라 신체 전채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좌석부재(13)의 하강은 필요에 따라 그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나 여건에 따라 여유 공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의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배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침대 기능으로 사용하면서 자세를 변환시키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생활하던 환자가 화장실이나 운동 등의 용무로 침대를 내려오고자 할 경우에는 몸 전체를 침대의 측면으로 돌려야 되는 것으로서, 이때 환자의 둔부가 보조 좌석부재(13)에 올려진 상태이므로 환자가 몸을 돌리면 둔부에 밀착된 보조 좌석부재(13)가 회동축(15)을 지점으로 공회전 되므로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으며, 침대에 오를 때도 내릴 때의 역순으로 침대의 측면에 앉으면 둔부가 보조 좌석부재(13)에 위치되므로 몸을 가볍게 돌려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자세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침대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배변, 욕창방지, 자세변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침대로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거동을 할 수 없는 와상환자이거나 또는 거동이 가능한 일반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여 상용화가 가능하므로 의료나 요양 및 일반가정의 환자들리 상기의 기능이 부가된 침대가 절실하게 필요함에도 비용이 고가인 문제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쉽게 제작하여 누구나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1: 상부프레임 2: 하부프레임 3: 바퀴 4a: 좌판
4b: 등받이판 4c: 하부받침판 4d: 다리받침판 5: 힌지
6: 매트받침부재 7: 매트 11: 관통공 12: 좌석부
13: 보조 좌석부재 14: 지지프레임 15: 회동축 16: 승하강부재
17: 안내봉 18: 슬라이딩부 19: 링크 20: 지축
21: 레버 22: 엑츄에이터 22a: 피스톤

Claims (2)

  1. 환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좌판(4a)과 매트(7)에 형성된 관통공(10)에 장치된 보조 좌석부재(13)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침대에 있어서, 보조 좌석부재(13)의 지지판(12)에 형성된 회동축(15)을 승하강부재(16)에 공회전되도록 장치하며, 승하강부재(16)에 연결된 링크(19)와 지축(20)을 지점으로 원운동하는 레버(21)에 의하여 보조 좌석부재(13)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좌석부재(13)의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1020120071511A 2012-07-01 2012-07-01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10136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11A KR101364405B1 (ko) 2012-07-01 2012-07-01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11A KR101364405B1 (ko) 2012-07-01 2012-07-01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00A true KR20140003300A (ko) 2014-01-09
KR101364405B1 KR101364405B1 (ko) 2014-02-17

Family

ID=5013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511A KR101364405B1 (ko) 2012-07-01 2012-07-01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0689A (zh) * 2019-12-25 2020-04-14 朱怀宇 一种治疗床
CN111956417A (zh) * 2020-08-25 2020-11-20 王晓东 护理床
CN114795686A (zh) * 2022-06-07 2022-07-29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用于医用转运床的臀位防滑脱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397B1 (ko) 2018-05-04 2020-07-08 유장호 모션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573B2 (ja) * 1978-06-13 1984-07-06 勇 元木 用便装置付きベツド
JPS59167522U (ja) * 1983-04-23 1984-11-09 折野 秋子 便器付きベツド
JP2003225261A (ja) *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トイレを有するベッド
JP2003265545A (ja) * 2002-03-14 2003-09-24 Shigezo Tatsumi 身障者用ベ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0689A (zh) * 2019-12-25 2020-04-14 朱怀宇 一种治疗床
CN111000689B (zh) * 2019-12-25 2021-08-03 朱怀宇 一种治疗床
CN111956417A (zh) * 2020-08-25 2020-11-20 王晓东 护理床
CN114795686A (zh) * 2022-06-07 2022-07-29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用于医用转运床的臀位防滑脱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405B1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655B1 (ko) 환자용 굴절형 침대와 매트리스
CN111671587B (zh) 护理用辅助翻身装置
CN109907901A (zh) 一种老年人多功能护理床
JP2005304626A (j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KR101364405B1 (ko)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CN109998815B (zh) 一种多姿态自由控制的智能护理床
CN111759609A (zh) 一种多功能型深度护理床
CN107411909A (zh) 一种模块化多功能护理床
KR100842943B1 (ko) 전동침대의 등판과 둔부판 각도조절장치
KR101264030B1 (ko) 환자용 침대
JP2015073891A (ja) 水洗トイレ付き介護ベッド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CN201492603U (zh) 医用重患护理床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KR20130098508A (ko) 와상환자용 이동수단
CN111407559A (zh) 一种辅助病人转运及入厕的康复器械
JP4586038B2 (ja) 療養用ベッド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20100118470A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KR200420149Y1 (ko) 장애인 및 환자 이동장치
TWM582384U (zh) Nursing robot
JP3006428U (ja) 介護用ベッド
JPH11226060A (ja) 介護支援用寝台
CN211512399U (zh) 一种全电动护理床
CN216908399U (zh) 一种适用于卧床人的折叠加宽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