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059A -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059A
KR20140003059A KR1020120070533A KR20120070533A KR20140003059A KR 20140003059 A KR20140003059 A KR 20140003059A KR 1020120070533 A KR1020120070533 A KR 1020120070533A KR 20120070533 A KR20120070533 A KR 20120070533A KR 20140003059 A KR20140003059 A KR 2014000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axis
vertical
shaft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889B1 (ko
Inventor
송기수
Original Assignee
송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수 filed Critical 송기수
Priority to KR102012007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8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6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the wind engaging parts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rotor
    • F03D3/067Cyclic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축 지지 하우징과 축 지지 하우징에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 조립체를 구비한다. 축 지지 하우징은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 중앙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축 지지부 및 상부 축 지지부와, 상하부 축 지지부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구비한다. 회전 날개 조립체는 수직축에 동심원을 이루고 회전반경이 동일한 원형의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하부 지지부들 사이에 수직축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동심원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가상 현이 제1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상변 지지대와, 가상 현이 회전방향에 대해 제1방사선 보다 일정 각도로 진상된 제2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하변 지지대와, 상변 지지대와 하변 지지대들 사이에 상변 에지 및 하변 에지가 각각 고정되고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고 비틀린 경사면을 이루는 곡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VERTICAL SHAFT WIND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가 지표면에 설치하여 낮밤으로 해풍과 육지풍의 바람방향이 바뀌더라도 항상 최대의 발전 효율을 획득할 수 있는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 장치는 바람의 힘인 풍력에 의해 날개를 회전시켜 이때 생기는 회전력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풍력 발전 장치는 기본적으로 바람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 날개부와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회전 날개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형태에 따라 수평축 풍력발전장치와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로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는 높은 기주 첨두에 프로펠러형 회전 날개부를 설치한 것으로 60% 이상의 효율을 얻을 수 없으며 기주 설치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초기 시설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평축 보다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는 주로 회전날개부가 터빈형으로 수직축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들이 배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바람방향과 회전날개부의 회전진행방향과 마주치는 회전반경에서의 바람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진행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블레이드 단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순방향에서는 바람을 최대한 많이 품어 최대의 회전 추진력을 얻고 역방향에서는 유선형으로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풍력발전장치의 회전날개부의 구조는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어 주변 공간이 충분하여 바람의 방향이 일정한 공중에서는 유효하나 요철이 심한 지표면에서는 바람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변하며 와류 또는 상승기류 등 다양한 형태로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공중 부양된 회전 날개부의 구조로는 지표면에서 에너지 변환 효율을 충분히 높일 수 없었다.
또한 해안지역에는 예기치 않게 태풍 등의 초강풍이 가끔씩 들어치게 되므로 강풍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안가 지표면에 설치하여 낮밤으로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변화무쌍한 바람 특성 조건에서도 충분히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은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축의 길이를 가능한 짧게 구성함으로써 해안지역에 설치되더라도 태풍 또는 돌풍과 같은 매우 강한 강풍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날개 어셈블리를 상하 가이드 롤러로 지지함으로써 수직축의 길이 보다 긴 높이를 가진 블레이드의 원활한 회전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표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기주시설물 등이 불필요하므로 초기 설치비를 낮출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기를 수직축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축 지지 하우징과 축 지지 하우징에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 조립체를 구비한다. 축 지지 하우징은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 중앙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축 지지부 및 상부 축 지지부와, 상하부 축 지지부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구비한다. 회전 날개 조립체는 수직축에 동심원을 이루고 회전반경이 동일한 원형의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하부 지지부들 사이에 수직축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동심원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가상 현이 제1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상변 지지대와, 가상 현이 회전방향에 대해 제1방사선 보다 일정 각도로 진상된 제2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하변 지지대와, 상변 지지대와 하변 지지대들 사이에 상변 에지 및 하변 에지가 각각 고정되고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고 비틀린 경사면을 이루는 곡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 날개 조립체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의 상변 지지대의 가상 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하부 지지대들 사이의 수직 간격을 일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 틀들과, 복수의 수직 틀들 각각으로부터 수직축으로 연장되어 회전 날개 조립체를 수직축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평 암들을 구비한 다.
또한 회전 날개 조립체는 본체 프레임의 바닥 및 천정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블레이드들은 곡판 중앙에 비틀린 경사면을 따라 수직 이등분하는 슬릿이 형성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축 지지부 내부 공간에 발전기를 내장한다. 이는 수직축 상부에 발전기를 배치시킴으로써 회전 날개 조립체의 분해조립 없이 크레인으로 발전기를 들어 올려 설치하고 유지 보수시에 쉽게 들어 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 날개 조립체의 블레이드가 회전진행방향에 대해 볼록하면서 순방향으로 비틀린 경사면을 이루기 때문에 바람진행 방향의 회전반경에서는 바람을 최대한 많이 품는 구조를 형성하고 바람진행의 역방향의 회전반경에서는 바람을 맞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풍향의 변화가 심하며 풍속이 느린 지역에서도 터빈형 회전날개 조립체가 원활히 회전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변환을 통한 전력 생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해안지역의 바람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지표면에 설치함으로써 높은 기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초기 시설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블레이드의 높이 보다 수직축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축에 가해지는 비틀림 힘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축 베어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축 지지부 내부 공간에 발전기를 내장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회전 날개 조립체의 분해조립 없이 크레인으로 발전기를 들어 올려 설치하고 쉽게 들어 낼 수 있어서 시공 상 편리성과 유지 보수시 편리성을 도모한다.
따라서 3면이 바다에 면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상 해안 도서지역의 농가나 지역 단위 소규모 풍력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의 플랜트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축 지지 하우징(100)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날개 조립체(200)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 날개 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블레이드와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34의 블레이드의 비틀린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계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날개 조립체의 블레이드 상변 에지에서의 바람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날개 조립체의 블레이드 하변 에지에서의 바람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의 플랜트 구조의 설계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축 지지 하우징(1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5개의 블레이드를 가진 회전 날개 조립체(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의 일실시예는 크게 수직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 하우징(100)과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축 지지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입방체 구조를 한 본체 프레임(110)과, 본체 프레임(110)의 중앙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축 지지부(120) 및 상부 축 지지부(130)와, 상하부 축 지지부들(120, 130)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회전 날개 조립체(200)의 높이 보다 작은 축 길이를 가진 수직축(140)을 포함한다. 하부 축 지지부(120)는 원통형으로 본체 프레임(110)의 바닥에 고정되고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설치된다. 하부 축 지지부(120)의 상면 중앙에 수직축(140)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부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부 축 지지부(130)도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본체 프레임(110)의 천정에 고정되고 천정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부 축 지지부(130)의 저면 중앙에 수직축(1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수직축(140)은 하부 축 지지부(120)의 상단에서 상부 축 지지부(130)의 하단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부 축 지지부(130)의 내부 공간에는 발전기(150)가 설치되어 발전기(150)의 회전축과 수직축(140)이 축이음을 통해 회전력이 발전기로 전달되게 축 결합된다. 수직축(140)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5개의 수직 방사판(142)을 가진다. 수직 방사판(142)에 회전날개 조립체(200)가 결합된다. 발전기(150)는 크레인 등에 의해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내려져 설치되고 유지 보수시에는 분해 후 상부로 들어 올려 분리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부 축 지지부(120)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즉 하부 축 지지부(120)에 설치할 경우에는 회전 날개 조립체(200)를 조립하기 전에 발전기를 먼저 설치하고 나중에 회전 날개 조립체를 조립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설치 구조는 발전기의 분해 조립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날개 조립체(200)의 분해 없이 발전기를 별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환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축 지지 하우징(100)의 바닥과 천정에는 회전 날개 조립체(200)를 지지하고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및 상부 롤러가이드들(160, 17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직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켜서 강풍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고 회전날개의 회전을 원활하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날개 조립체(200)는 상부 프레임(210), 하부 프레임(220), 5개의 블레이드들(230)과 5개의 수직 틀(240), 5개의 수평 암(250)을 포함한다.
상부 고정부(210)는 동심원을 이루는 상부 내환(212) 및 상부 외환(214)로 구성되고, 하부 고정부(220)는 동심원을 이루는 하부 내환(222) 및 하부 외환(224)으로 구성된다. 상부 외환(214)은 원형강관으로 구성되고 상부 롤러가이드(170)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외환(224)은 원형강관으로 구성되고 하부 롤러가이드(160)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외환(214) 및 하부 외환(224)의 반지름은 상부 내환(212) 및 하부 내환(222)의 반지름의 2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회전 날개 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3의 블레이드와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3의 블레이드의 비틀린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계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5개의 블레이드들(230)은 정오각형을 이루면서 72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블레이드(230)는 원호형 상변 지지대(232)와, 원호형 하변 지지대(234) 및 곡판(236)을 포함한다.
원호형 상변 지지대(232)는 상부 내환(212)과 상부 외환(214)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을 연결하는 가상 현이 수직틀(240) 및 수평 암(250)과 동일 방사선(232a) 상에 배치된다. 수평 암(250)의 일단은 수직축(140)에 고정된 수직 방사판(142)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수평 암(250)들에 의해 회전날개 조립체(200)가 수직축(140)에 결합되어 회전날개의 회전력이 수직축(140)을 회전시켜 축 결합된 발전기(150)의 회전자를 회전시켜서 발전을 이루어진다.
원호형 하변 지지대(234)는 하부 내환(222)과 하부 외환(224)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을 연결하는 가상 현이 수직틀(240)로부터 일정 각도 예컨대 0도 보다는 크고 32도 보다는 작은 각도 이내로 진상된 방사선(234a)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25 ~ 31도 사이가 좋다.
원호형 상변 지지대(232)와 원호형 하변 지지대(234)의 반지름은 내환 반지름의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판(236)의 상변 에지는 원호형 상변 지지대(232)에 고정되고, 하변 에지는 원호형 하변 지지대(234)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230)는 하측은 외측으로 열리고 상측은 내측을 가리는 형상으로 순방향으로 비틀린 경사면을 형성한다.
곡판(236)의 중앙에는 슬릿(23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곡판(236)은 외측 곡판(236a), 내측곡판(236b)로 분할된다. 외측 곡판(236a)의 내측 에지에는 외측 슬릿 곡판(236c)이 연결되고, 내측 곡판(236b)의 외측 에지에는 내측 슬릿 곡판(236d)이 연결된다. 슬릿(238)은 블레이드(230)가 바람방향의 역방향의 회전반경을 통과할 때 곡판이 유선형을 이루면서 바람을 슬릿을 통하여 흘려보냄으로써 저항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반대로 블레이드(230)가 바람방향의 순방향의 회전반경을 통과할 때 외측 슬릿 곡판(236c)과 내측 슬릿 곡판(236d)이 블레이드(230) 내부로 품은 바람이 슬릿(238)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한다. 외측 슬릿 곡판(236c)과 내측 슬릿 곡판(236d)은 외측 곡판(236a) 및 내측 곡판(236b)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되어 역방향 회전반경을 통과할 때에는 바람의 힘에 의해 열리고, 순방향 회전반경을 통과할 때에는 닫치는 개폐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날개 조립체(200)의 구성은 해안지역의 지역적 바람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미풍에도 회전력을 얻을 수 있어서 고효율의 발전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날개 조립체의 블레이드 상변 에지에서의 바람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날개 조립체의 블레이드 하변 에지에서의 바람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따라서 블레이드가 순방향 회전반경에 진입하기 시작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방향 바람에 대해 블레이드 하측부터 열리므로 바람이 블레이드 하측으로부터 들어와서 바닥은 지표면으로 막혀 있으므로 곡판의 내측면을 따라 역경사를 비틀어 올라가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하여 상방으로 빠져나간다. 이때 상승기류가 역경사를 비틀어 올라가면서 곡판의 내측면에 회전방향으로 분력을 발생하므로 회전 추진력이 배가된다.
블레이드가 순방향 회전반경에서 바람 방향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측 및 하측 모두 최대의 회전 추진력을 받게 된다.
블레이드의 하측이 순방향 회전반경을 빠져나가기 시작하지만 상측은 여전히 열려 있으므로 순방향 회전력이 가해진다.
블레이드가 역방향 회전반경에 진입하기 시작하면 상측은 아직 순방향 바람을 받는 상태로 진입하므로 바람 저항력을 받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순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하측에 부딪치는 바람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비틀린 경사면을 따라 빗겨나가게 되므로 바람 저항력을 최소화 시킨다.
블레이드가 역방향 회전반경에서 바람 방향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유선형의 곡면과 비틀린 경사면 및 슬릿에 의해 바람이 빗겨 가게 되므로 블레이드에 미치는 바람의 저항력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역방향 회전반경에서는 유선형 형태로 비탈진 경사면 구조에 의해 바람이 빗겨 가도록 하여 맞바람 저항력을 최소화하고 순방향 회전반경에서는 바람을 최대로 품고 이를 유입된 바람은 비탈진 역경사면을 따라 상승기류로 전환시켜서 상방으로 빠져 나가게 유도함으로써 회전 추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지역에서는 낮에는 금방 데워지는 육지의 온도가 바다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저기압을 가지므로 바람은 지면에서는 해풍(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며 밤에는 금방 식은 육지의 온도가 바다보다 낮아져 상대적으로 고기압을 가지므로 바람은 지면에서는 육풍 상공에서는 해풍이 불게 된다. 이와 같은 해안지역의 바람의 특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지표면에서는 바람 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상측에 비해 하측이 빨리 열리도록 블레이드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회전 날개 조립체(200)는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코리올리의 힘(전향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조화되도록 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하여야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축 지지 하우징과 상기 축 지지 하우징에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축 지지 하우징은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중앙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축 지지부 및 상부 축 지지부와, 상기 상하부 축 지지부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날개 조립체는 상기 수직축에 동심원을 이루고 회전반경이 동일한 원형의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하부 지지부들 사이에 상기 수직축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동심원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가상 현이 제1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상변 지지대와, 가상 현이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제1방사선 보다 일정 각도로 진상된 제2방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에 결합된 원호형 하변 지지대와, 상기 상변 지지대와 하변 지지대들 사이에 상변 에지 및 하변 에지가 각각 고정되고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고 비틀린 경사면을 이루는 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 조립체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의 상기 상변 지지대의 가상 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사이의 수직 간격을 일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 틀들과, 상기 복수의 수직 틀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수직축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 날개 조립체를 상기 수직축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평 암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 조립체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 및 천정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레이드들은 곡판 중앙에 비틀린 경사면을 따라 수직 이등분하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축 지지부 내부 공간에 발전기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KR1020120070533A 2012-06-29 2012-06-29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KR10136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33A KR101363889B1 (ko) 2012-06-29 2012-06-29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33A KR101363889B1 (ko) 2012-06-29 2012-06-29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59A true KR20140003059A (ko) 2014-01-09
KR101363889B1 KR101363889B1 (ko) 2014-02-27

Family

ID=5013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533A KR101363889B1 (ko) 2012-06-29 2012-06-29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042A (zh) * 2020-05-16 2020-09-22 朱志刚 一种多模式风力发电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12B1 (ko) 2019-01-08 2020-04-16 송기수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NL2028678B1 (en) * 2021-07-09 2023-01-16 If Adamas B V Vertical axis wind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813A (ja) * 1997-08-22 1999-03-05 Zefuaa Kk サボニウス型風車及びサボニウス型風車を利用した風力発電装置
KR100895038B1 (ko) * 2007-11-07 2009-05-04 주식회사 케이.알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용 터빈의 블레이드 구조
KR101042683B1 (ko) * 2008-10-31 2011-06-20 윤미현 풍력 발전장치
KR100927237B1 (ko) * 2009-03-30 2009-11-16 서영건 바람 집중식 풍력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042A (zh) * 2020-05-16 2020-09-22 朱志刚 一种多模式风力发电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889B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664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AU2010359619B2 (en) Vertical axis turbine
US7040859B2 (en) Wind turbine
US20090218823A1 (en) Wind turbin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peller-type rotors
US20100158697A1 (en) Multi-rotor vertical axis wind turbine
US11236724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EP2663768A1 (en) Dynamic turbine system
KR100620948B1 (ko) 풍력 발전기
KR101363889B1 (ko)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JP2006090246A (ja) 風力発電装置
GB2444334A (en) Shrouded wind turbine
JP2015166562A (ja) 強風による過回転を防止できる垂直軸抗力型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KR20140142500A (ko) 터빈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기구
RU2722982C1 (ru) Карусельный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WO2001086140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2066031B1 (ko) 2축 수직형 풍력발전장치
JP2012122477A (ja) 抗力型風車および風力発電装置
KR20100035136A (ko) 리프트 제트형 다단 날개 부력 풍차
KR20230118278A (ko) 바람막이 원리를 활용한 스크류형 풍력 발전 장치
RU142745U1 (ru) Ветротурбина
KR20080004507U (ko) 풍력발전용 풍차
KR20130009937A (ko) 날개각도 제어기능을 갖는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
KR20130034645A (ko) 풍력 발전 시스템
KR20190115142A (ko) 풍력발전기
KR20100109533A (ko) 발전효율을 향상시킨 풍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