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12B1 -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12B1
KR102101112B1 KR1020190002316A KR20190002316A KR102101112B1 KR 102101112 B1 KR102101112 B1 KR 102101112B1 KR 1020190002316 A KR1020190002316 A KR 1020190002316A KR 20190002316 A KR20190002316 A KR 20190002316A KR 102101112 B1 KR102101112 B1 KR 10210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ixed
dead center
shaft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수
Original Assignee
송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수 filed Critical 송기수
Priority to KR102019000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4Fixing wind engaging parts to rest of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는 수직지지대에 설치되어 수직지지대를 중심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 조립체를 통해 에너지를 발전한다. 회전날개 조립체는 수직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날개부들과 날개폴딩부를 구비한다. 회전축은 수직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형 본체와, 본체에 고정된 상부원판과 본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와이어 고정링을 구비한다. 다수의 날개부들 각각은 상부 및 하부 원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축과, 날개축에 고정된 캔틸레버 타입의 상부 및 하부 날개살들과, 상부 및 하부 날개살들에 결합되어 바람을 받는 날개판과, 날개축에 고정된 보빈과, 날개축에 설치되고, 날개판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날개축을 회전시키려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제1스프링을 구비한다. 날개 폴딩부는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와이어 고정링을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슬라이딩 구동하기 위한 폴딩 구동부와, 보빈에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 고정링에 타단이 고정되어 와이어 고정링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보빈에 감기고, 하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와, 폴딩구동부를 구동하여 와이어 고정링을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직축 풍력발전장치{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수칙축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풍 등으로 과도한 고속회전으로 인한 풍력장치의 고장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계속도이상이면 날개부를 접어서 고장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187792호 및 등록특허 제10-1363889호의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를 개발한 적이 있다.
그러나 태풍 등과 같이 풍속이 매우 심한 경우에는 회전체의 과회전으로 발전기나 회전체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98243호에서는 폴딩식 날개부를 가진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를 소개한다. 종래의 특허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과 무게부재의 원심력에 의해 블레이드판의 펄침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과풍속에 의한 파손은 방지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회전체의 중량을 상승시키는 역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등록번호 제10-1754863호에서는 신축 연결바와 상하 이동 슬라이드의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판의 펼침각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특허 역시 별도의 신축 연결바의 추가 구성으로 회전체의 중량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풍력발전장치에서 회전체의 하중이 상승하면 회전체의 축결합을 위한 베어링구성이 복잡해지고 그만큼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고가의 베어링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하중이 상승하게 되면 원심력과 관성력이 커지게 되므로 과풍속 감지시 고속 폴딩동작을 방해하거나 그만큼 폴딩 작동을 위한 메카니즘의 설계가 곤란해지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187792호 등록특허 제10-1363889호 등록번호 제10-1754863호 등록번호 제10-1898248호 공개특허 제10-2013-0021113호 공개특허 제10-2016-00936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회전체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과풍속에 따라 날개가 접힐 수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다운시킬 수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딩형 날개구성으로 이동이 용이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는 수직지지대에 설치되어 수직지지대를 중심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 조립체를 통해 에너지를 발전한다. 회전날개 조립체는 수직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날개부들과 날개폴딩부를 구비한다. 회전축은 수직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형 본체와, 본체에 고정된 상부원판과 본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와이어 고정링을 구비한다. 다수의 날개부들 각각은 상부 및 하부 원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축과, 날개축에 고정된 캔틸레버 타입의 상부 및 하부 날개살들과, 상부 및 하부 날개살들에 결합되어 바람을 받는 날개판과, 날개축에 고정된 보빈과, 날개축에 설치되고, 날개판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날개축을 회전시키려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제1스프링을 구비한다. 날개 폴딩부는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와이어 고정링을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슬라이딩 구동하기 위한 폴딩 구동부와, 보빈에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 고정링에 타단이 고정되어 와이어 고정링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보빈에 감기고, 하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와, 회전날개 조립체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한계속도에 도달하면 폴딩구동부를 구동하여 와이어 고정링을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링의 상방에 위치한 하부 원판의 다수의 통공들 중 대응하는 통공을 통하여 대응하는 날개축에 고정된 보빈에 감기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에서 폴딩 구동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사점에서 피스톤과 와이어 고정 링은 소정 틈새를 유지하여 비접촉상태로 되고,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끌어내릴 때에는 피스톤과 와이어 고정링을 접촉상태로 하면서 접촉면에서 미끄럼(슬립)이 발생하도록 와이어 고정 링의 재질을 황동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에서는 과풍속이 감지되면 와이어를 당겨서 날개축을 회전시켜서 전개상태에서 폴딩상태로 빠르게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과풍속에 대해서 고속으로 폴딩작동시킬 수 있다. 과풍속이 제거되면 폴딩상태를 해제하고 이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날개축이 전개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되어 날개가 전개된다. 그러므로 와이어 및 스프링의 상호작용으로 날개부를 폴딩 및 전개시키므로 과풍속이나 돌풍 등에 의한 순간적인 외력에 대해서도 완충작동으로 유연하게 작동될 수 있어서 고장 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와 스프링의 구성이므로 회전체의 하중의 증가없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의 작동에 크게 영향을 주거나 무리를 주지 않는 잇점이 있으며, 제조원가를 다운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날개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날개부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회전축(2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날개 폴딩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부의 블록도.
도 6, 도 7 및 도 8은 날개축과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탑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폴딩상태에서 폴딩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날개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날개부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날개판은 편의상 외곽선만 표시하여 투명하게 처리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10)는 크게 수직지지대(100)와 회전날개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대(100)는 하부가 지상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날개 조립체(20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한다. 수직지지대(100)에 기어박스(감속기) 및 발전기가 설치되고 발전기는 회전날개 조립체(20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에너지를 발전한다. 회전날개 조립체(200)는 회전축(210)과 5개의 날개부(220, 230, 240, 250, 260) 및 날개 폴딩부(27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5엽 날개부들(220, 230, 240, 250, 260)은 전개되면 날개축은 72도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배열되고, 날개 종단부가 다음 날개부의 만곡부와 대략 36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을 받는 진행 날개부를 중심으로 전행 날개부는 맛바람이 빗겨가게 가이드를 해주는 역할을 하여 진행 날개부의 맛바람 저항력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후행 날개부는 바람이 진행 날개부로 모아지도록 뒷바람을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날개부 상호 배치관계에 의해 진행 방향의 맛바람 저항력은 줄이고, 뒷바람은 최대한 모아 주어서 회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회전축(2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축(210)은 실린더형 본체(212), 상부원판(214), 하부원판(216) 및 와이어 고정링(218)을 포함한다.
실린더형 본체(212)는 수직지지대(100)의 상부에 상부 및 하부 베어링들을 통하여 축결합된다. 본체(212)의 상단에는 상부원판(214)이 고정되고, 하부에는 하부원판(216)이 고정되고, 하부원판(216)의 하방에는 와이어 고정링(218)이 본체(212)에 상하로 슬라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어 고정링(218)은 본체(212)의 외주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8a)을 따라 상사점(218b)과 하사점(218c) 사이를 슬라이딩 한다. 와이어 고정 링(218)은 원통 상단에 플랜지가 달린 구조로 플랜지에는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30)는 날개축(231), 상부날개살(232), 하부날개살(233), 날개판(234), 보빈(235), 제1스프링(236)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날개살(232, 233)은 날개축(2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날개축(231)으로부터 멀리 수직으로 연장되되 날개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캔틸레버 타입을 한다. 날개판(234)은 상부 및 하부날개살(232, 233)에 고정된다.
날개폴딩부(270)는 폴딩구동부(272), 와이어(274), 제2스프링(276) 및 제어부(278)를 포함한다. 폴딩구동부(272)는 좌우 한 쌍으로 각각 브래킷(272a), 실린더(272b), 피스톤(272c), 한 쌍의 가이드 바(272d), 수평바(272e)를 포함한다.
폴딩구동부(272)는 브래킷(272a)에 의해 수직 지지대(100)에 고정되고, 브래킷(272a)에 한 쌍의 가이드 바(272d)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평바(272e)는 피스톤(272c)의 종단에 센터가 고정되고, 센터 좌우가 한 쌍의 가이드 바(272d)의 종단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므로 수평바(272e)는 실린더에 결합된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수평바(272e)의 일단은 와이어 고정 링(218)의 플랜지를 하방으로 이동시 잡아 당기도록 플랜지에 중첩되게 연장된다.
와이어(274)는 일단이 보빈(235)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단이 하부원판(216)에 형성된 통공(216a)을 통해 하방에 위치한 와이어 고정 링(218)의 플랜지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 홀을 통해 삽입되어 제2스프링(276)을 통해서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폴딩구동부(272)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272b)에 결합된 피스톤(272c)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수평바(272e)의 일단에 걸린 와이어 고정 링(218)의 플랜지를 상사점(218b)에서 하사점(218c)까지 하방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와이어(274)는 보빈(235)로부터 풀리면서 날개축(231)을 회전시킨다. 날개축(231)이 회전되면서 제1스프링(236)은 감기면서 복원력이 축적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78)는 회전축(212)의 회전속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회전속도가 일정 임계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폴딩구동부(272)를 구동시킨다. 이에 피스톤(272c)이 유압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와이어 고정 링(218)이 상사점(218b)의 위치에서 하사점(218c)의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폴딩구동부(272)의 동작에서 제1스프링(236) 및 제2스프링(276)의 구성에 의해 폴딩동작시 완충작용으로 날개부(230)에 작용하는 외력의한 충격으로부터 날개부(230) 및 와이어(27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날개축과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날개축(231)은 2/3되는 지점에서 상부원판(214)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1/3되는 지점에서 하부원판(216)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축(232)은 회전축(212)의 중심선과 비교하여 하단이 상단보다 앞서도록 일정 각도(
Figure 112019002386126-pat00001
), 예컨대 6 내지 10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축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원판(214)에는 상부 브래킷(214a)가 고정되고, 상부 브래킷(214a)에는 날개축 상부 베어링(214b) 및 상부스톱퍼(214c)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3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날개살(232)의 돌기(232a)가 상부 스톱퍼(214c)에 걸려 날개부(230)는 최대 전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원판(216)에는 하부 브래킷(216a)가 고정되고, 하부 브래킷(216a)에는 날개축 상부 베어링(216b), 하부스톱퍼(216c) 및 가이드 봉(216d)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30)이 전개된 상태에서 하부날개살(233)의 돌기(233)가 하부 스톱퍼(216c)에 걸려 날개부(230)는 최대 전개 상태를 유지한다. 와이어(274)는 가이드봉(216d)에 걸쳐져 보빈(235)에 감겨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탑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날개부(220, 230, 240, 250, 260)가 전개된 경우와 폴딩된 경우를 중첩하여 표시한 것이다. 상부 및 하부날개살(234, 236)의 길이는 접었을 때 상부 및 하부원판(234, 236)의 대략 절반정도를 감싸는 길이를 가진다. 즉 날개부(230)을 기준으로 보면 뒤따르는 2개의 날개부(220, 260)의 날개축들을 덮고, 날개부(250)의 날개축 바로 앞까지 덮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폴딩시에 완전하게 실린더 형상으로 접어지게 되므로 태풍과 같은 과풍속에 의한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의 폴딩상태에서 폴딩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와이어 고정링(218)은 폴딩구동부(272)에 의해 하사점(218c) 위치로 당겨진 상태이고, 수평바(272e)와 와이어 고정링(218)의 플랜지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평바(272e) 및 와이어 고정링(218)의 플랜지는 황동으로 제작되므로 폴딩상태에서 회전축(212)이 회전력이 수평바(272e) 및 와이어 고정링(218)의 플랜지는의 접촉부의 마찰력 보다 크게 작용하면 미끄럼이 발생되어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폴딩상태에서 접촉면의 슬립현상은 접혀진 날개부에 미치는 강한 풍속에 의한 회전력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날개부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사점(218b)에서는 수평바(272e)와 와이어 고정링(218)의 플랜지는 틈새를 유지한 비접촉상태로 되므로 회전축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100 : 수직지지대
200 : 회전날개 조립체
210 : 회전축
212 : 본체
214 : 상부원판
216 : 하부원판
218 : 와이어 고정링
220, 230, 240, 250, 260 : 날개부
231 : 날개축
232 : 상부날개살
233 : 하부날개살
234 : 날개판
235 : 보빈
236 : 제스프링
270 : 날개 폴딩부
272 : 폴딩구동부
274 : 와이어
276 : 제2스프링

Claims (5)

  1. 수직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지지대를 중심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 조립체를 통해 에너지를 발전하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조립체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날개부들과 날개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형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부원판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와이어 고정링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날개부들 각각은 상기 상부 및 하부원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축과, 상기 날개축에 고정된 캔틸레버 타입의 상부 및 하부날개살들과, 상기 상부 및 하부날개살들에 결합되어 바람을 받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축에 고정된 보빈과, 상기 날개축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판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상기 날개축을 회전시키려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제1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 폴딩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링을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슬라이딩 구동하기 위한 폴딩 구동부와, 상기 보빈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링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링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보빈에 감기고, 하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와, 상기 회전날개 조립체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한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폴딩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 링을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고정링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하부원판의 다수의 통공들 중 대응하는 통공을 통하여 대응하는 날개축에 고정된 보빈에 감기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구동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에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와이어 고정링은 소정 틈새를 유지하여 비접촉상태로 되고, 상기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끌어내릴 때에는 상기 피스톤과 와이어 고정링을 접촉상태로 하면서 접촉면에서 미끄럼(슬립)이 발생하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링의 재질을 황동으로 구성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링에 고정되는 와이어의 타단은 제2스프링에 통해서 탄력적으로 고정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1020190002316A 2019-01-08 2019-01-08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10210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16A KR102101112B1 (ko) 2019-01-08 2019-01-08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16A KR102101112B1 (ko) 2019-01-08 2019-01-08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12B1 true KR102101112B1 (ko) 2020-04-16

Family

ID=7045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16A KR102101112B1 (ko) 2019-01-08 2019-01-08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1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194A (en) * 1986-10-02 1988-02-16 Bartsch Ronald V Self-regulating vertical axis windmill
JPH09222070A (ja) * 1996-02-15 1997-08-26 Yamaha Corp サボニウス型風車
KR20120021471A (ko) * 2010-08-02 2012-03-09 이인남 발전효율 증대수단을 구비한 가변 풍차날개 풍력발전기
KR101187792B1 (ko) 2010-02-05 2012-10-11 김승헌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KR20130021113A (ko) 2011-08-22 2013-03-05 정이정 풍력발전기용 접이식 날개장치
KR101363889B1 (ko) 2012-06-29 2014-02-27 송기수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KR20160093693A (ko) 2013-12-03 2016-08-08 내츄럴 파워 컨셉 인코포레이티드 폴딩 블레이드 윈드 터빈
US20160298605A1 (en) * 2015-03-13 2016-10-13 Douglas Brendle Self-Regulating Wind Amplifier and Brake System
KR101754863B1 (ko) 2016-07-15 2017-07-0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블레이드 구조를 가진 풍력 발전 터빈
KR101898248B1 (ko) 2018-04-19 2018-09-12 홍쿠이 진 풍력터빈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194A (en) * 1986-10-02 1988-02-16 Bartsch Ronald V Self-regulating vertical axis windmill
JPH09222070A (ja) * 1996-02-15 1997-08-26 Yamaha Corp サボニウス型風車
KR101187792B1 (ko) 2010-02-05 2012-10-11 김승헌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KR20120021471A (ko) * 2010-08-02 2012-03-09 이인남 발전효율 증대수단을 구비한 가변 풍차날개 풍력발전기
KR20130021113A (ko) 2011-08-22 2013-03-05 정이정 풍력발전기용 접이식 날개장치
KR101363889B1 (ko) 2012-06-29 2014-02-27 송기수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KR20160093693A (ko) 2013-12-03 2016-08-08 내츄럴 파워 컨셉 인코포레이티드 폴딩 블레이드 윈드 터빈
US20160298605A1 (en) * 2015-03-13 2016-10-13 Douglas Brendle Self-Regulating Wind Amplifier and Brake System
KR101754863B1 (ko) 2016-07-15 2017-07-0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블레이드 구조를 가진 풍력 발전 터빈
KR101898248B1 (ko) 2018-04-19 2018-09-12 홍쿠이 진 풍력터빈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0823A1 (en) Wind turbine
JPH03185273A (ja) 流体モータ
DK2141354T3 (en) A cleaning device for wind turbine blades
KR20110063475A (ko) 폴딩 블레이드 터빈
CN102105683B (zh) 用于风能转换器的空气动力制动装置的控制装置和方法
CN209637942U (zh) 一种新型高压直流风力发电机组
EP3256720B1 (en) Turbine for vertical axis wind generator.
KR102101112B1 (ko)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GB2466209A (en) Wind turbine wake expansion device
EP2409025B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speed regulation and storm protection system
CN112267973A (zh)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风力发电装置
JP2013535611A5 (ko)
CN109488534A (zh) 一种风力发电机
KR101291356B1 (ko) 풍력발전기용 기류 상승장치
CN110374797B (zh) 一种自调节式风力发电机叶片
KR20140011876A (ko) 가변날개가 구비된 풍차
KR102186684B1 (ko) 수직축 풍력 터빈
CN104018989B (zh) 立轴式的流体能量转换装置以及流体能量转换方法
EP1457672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EP0438189A1 (en) Wind turbine
CN209100194U (zh) 一种风力发电机的叶片减震装置
JP2014058959A (ja) 風力発電機
EP3460230B1 (en) Wind turbine
WO2011039777A2 (en) System for controlling cone and pitch angle of a rotor blade assembly of a wind turbine
CN206845401U (zh) 一种风力发电机用叶片以及风力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