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59A - 알약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알약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59A
KR20140002859A KR1020120069533A KR20120069533A KR20140002859A KR 20140002859 A KR20140002859 A KR 20140002859A KR 1020120069533 A KR1020120069533 A KR 1020120069533A KR 20120069533 A KR20120069533 A KR 20120069533A KR 20140002859 A KR20140002859 A KR 2014000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tablet
weight
discharg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설
김기주
Original Assignee
에치엘팜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엘팜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치엘팜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59A/ko
Publication of KR2014000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ocketed rollers, e.g. two co-operating pocket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분말의 알약 성형시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품과 정상품을 판별하고, 불량품과 정상품을 다른 배출로를 통해 각각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자동 조절하여 장치의 멈춤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토록 한 알약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압롤러에 장착되어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으로부터 개개의 알약 무게 정보가 전달되면 정상 무게와 비교·연산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알약이 불량으로 판정되면 당해 위치의 알약만 다른 것과 분리하여 배출해주는 배출수단과; 상기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하부펀치의 높낮이를 조절해주어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정상범위로 보상해주는 투입량 조절수단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알약 성형장치{Tablet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알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분말의 알약 성형시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품과 정상품을 판별하고, 불량품과 정상품을 다른 배출로를 통해 각각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자동 조절하여 장치의 멈춤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약품의 원료인 약제 분말을 일정한 함량을 갖는 크기의 알약으로 압축해주게 되면 휴대가 편리하고 복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어 이를 위한 약재 알약화 기술이 점차 발달하였으며, 최근에는 로터리 타입으로 다수의 개소에 약제 분말을 각각 담아 이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각각 압축성형하여 알약화하는 알약 성형기가 개발되어 대량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인 로타리식 알약 성형장치는 도 1과 같이 주디스크(20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각 알약성형홀(201)에 호퍼(101)에 담긴 약제 분말이 각각 투입되고, 주디스크(200) 상하부의 상디스크(204)와 하디스크(205)에 각각 삽입된 상부펀치(211)와 하부펀치(212)가 상부레일(221)과 하부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부레일(221)과 하부레일(222)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쌍으로 설치된 예압롤러(231)와 본압롤러(231)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서로 모이면서 그 압력에 의해 상기 투입된 약제 분말이 알약으로 압축성형되며, 상기 성형된 알약은 배출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약제 분말은 여러가지 성상이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뭉침정도가 달라져 불균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알약성형홀(201)에 동일한 양의 약제 분말이 투입된다고 보장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각 알약성형홀(201)에 상이한 양의 약제 분말이 공급되면 생산되어 나오는 알약의 밀도가 달라지면서 일부 알약의 경우 정상적인 무게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약품은 그 용량에 따라 효능이 달라지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되므로 제조된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를 선별해내야만 하는데, 일반적인 알약 성형기는 초기설정 후에는 알약의 양불 판정없이 지속적으로 생산공정만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후작업으로 불량품을 선별해내는 공정이 추가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약제 분말의 알약 성형시 알약 개개의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품과 정상품을 판별하고, 불량품을 정상품과는 다른 배출로를 통해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자동 조절하여 장치의 멈춤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토록 한 알약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디스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각 알약성형홀에 호퍼에 담긴 약제 분말이 각각 투입되고, 상기 주디스크 상하부의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에 각각 삽입된 상부펀치와 하부펀치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쌍으로 설치된 예압롤러와 본압롤러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서로 모이면서 그 압력에 의해 상기 투입된 약제 분말이 알약으로 압축성형되며, 상기 성형된 알약은 배출가이드를 따라 외측으로 유도되는 알약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압롤러에 장착되어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개개의 알약 무게 정보가 전달되면 정상 무게와 비교·연산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알약이 불량으로 판정되면 당해 위치의 알약만 다른 것과 분리하여 배출해주는 배출수단; 및 상기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상기 하부펀치의 높낮이를 조절해주어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정상범위로 보상해주는 투입량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본압롤러 중 하부측 본압롤러에 장착되어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주디스크 일측 하부에 위치되어 각 알약성형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2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수단은, 양호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1 배출로와 불량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2 배출로가 제1 격벽을 통해 구분되면서 샘플이 배출되는 제3 배출로가 상기 제1 배출로의 하부 중간에서 제2 격벽을 통해 분지된 상태로 상기 배출가이드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배출판과, 일정시간 동안 배출되는 알약을 모두 상기 제2 배출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격벽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게이트와, 샘플 채취시간이 경과하면 양호한 알약이 상기 제1 배출로로만 배출되도록 상기 제2 격벽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게이트와, 상기 배출가이드의 일측에 고정되어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알약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알약의 무게정보를 토대로 정상 무게범위와 대비하여 상기 성형된 알약의 양불을 판정하고, 상기 성형된 알약이 불량일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전달된 해당 알약성형홀의 위치 데이터와 매칭시켜 상기 공기분사기에 공기분사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량 조절수단은, 상기 약제 분말의 투입위치 하부에 상기 하부펀치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위치되면서 높이조절모터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가변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알약의 압축 성형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각 알약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고, 이러한 각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무게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양불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판정결과에 따라 불량품은 제2 배출로를 배출되고 정상품은 제1 배출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멈춤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후공정으로 별도의 선별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불량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적정하게 조절해줄 수 있어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알약 성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성형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성형장치의 가변레일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성형장치의 배출판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성형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성형장치의 가변레일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판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알약 성형장치는, 주디스크(20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각 알약성형홀(201)에 호퍼(101)에 담긴 약제 분말이 각각 투입되고, 주디스크(200) 상하부의 상디스크(204)와 하디스크(205)에 각각 삽입된 상부펀치(211)와 하부펀치(212)가 상부레일(221)과 하부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부레일(221)과 하부레일(222)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쌍으로 설치된 예압롤러(231)와 본압롤러(231)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서로 모이면서 그 압력에 의해 상기 투입된 약제 분말이 알약으로 압축성형되며, 상기 성형된 알약은 배출가이드(301)를 따라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로터리식 알약 성형장치가 적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도면 부호를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부여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알약 성형장치에 있어서,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여 양불을 판정하고, 불량품은 정상품과 다른 배출로를 통해 배출해주며,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지속적으로 조절하여 장치의 운전정지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압롤러(231) 중 하부측 본압롤러(231)에는 제1 센서(233)를 장착하여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토록 구성하고, 주디스크(200) 일측 하부에는 각 알약성형홀(201)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2 센서(700)를 설치하게 된다. 제1 센서(233)로는 로드셀과 같은 전자저울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 센서(700)로는 고속회전하는 주디스크로부터 각각의 알약성형홀 위치를 측정해야 하므로 엔코더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센서(233)와 제2 센서(700)가 감지수단을 이루게 된다.
또한, 불량품의 배출로와 정상품의 배출로를 구분하여 배출해주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출수단은, 양호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1 배출로(311)와 불량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2 배출로(312)가 제1 격벽(314)을 통해 구분되면서 샘플이 배출되는 제3 배출로(313)가 제1 배출로(311)의 하부 중간에서 제2 격벽(316)을 통해 분지된 상태로 배출가이드(301)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배출판(310)과, 일정시간 동안 배출되는 알약을 모두 제2 배출로(312)로 배출되도록 제1 격벽(314)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게이트(315)와, 샘플 채취시간이 경과하면 양호한 알약이 제1 배출로(311)로만 배출되도록 제2 격벽(316)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게이트(317)와, 배출가이드(301)의 일측에 고정되어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알약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320)로 구성된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게이트(315)와 제2 게이트(317)는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과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해줌은 자명하다.
또한,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개개의 알약이 정상품인지 불량품인지를 판별하고, 불량품으로 판별될 경우 배출수단을 작동시켜 제2 배출로(312)를 통해 배출토록 중앙처리장치(6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중앙처리장치(600)는 제1 센서(233)를 통해 감지되는 알약의 무게정보를 토대로 정상 무게범위와 대비하여 상기 성형된 알약의 양불을 판정하고, 상기 성형된 알약이 불량일 경우 제2 센서(700)를 통해 전달된 해당 알약성형홀(201)의 위치 데이터와 매칭시켜 공기분사기(320)에 공기분사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600)는, 제1 센서(233), 제2 센서(700), 공기분사기(320), 제1 게이트(315), 제2 게이트(317)와 신호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중앙처리장치(600)의 명령에 따라 하부펀치(212)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정상적으로 보상해줌으로써 정상적인 알약이 제조되도록 투입량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이러한 투입량 조절수단은, 약제 분말의 투입위치 하부에 하부펀치(212)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위치되면서 하부측으로는 높이조절모터(401)와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 가변레일(400)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압롤러(231)와 본압롤러(232) 역시 알약의 종류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해주게 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2는 회전축을 나타내고, 203은 회전축(202)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구동모터(20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02)이 회전되면서 주디스크(200)가 같이 회전되고, 주디스크(200) 상하부의 상디스크(204)와 하디스크(205)에 끼워진 각 상부펀치(211)와 하부펀치(212) 역시 회전되면서 상부레일(221)과 하부레일(222)에 의해 각각의 위치가 유도된다.
이와 동시에 호퍼(101)에 담긴 약제 분말이 주디스크(200)의 각 알약성형홀(201)에 순차 공급된다. 약제분말의 투입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도시 및 설명생략한다.
주디스크(200)는 지속적을 회전하고 있으므로 약제 분말이 각각의 알약성형홀(201)에 채워지면서 계속 회전되다가 상부펀치(211)와 하부펀치(212)가 예압롤러(231)와 본압롤러(232)의 표면과 접촉하여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제 분말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알약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알약성형시 가해지는 압력이 100%라 하면 상부펀치(211)와 하부펀치(212)가 예압롤러(231)와의 접촉시 약 10~40% 정도의 압력이 약제 분말에 가해지고, 다시 본압롤러(232)와의 접촉시 나머지 압력이 약제 분말에 가해져 알약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후, 상부펀치(211)는 상승하여 알약성형홀(201)으로부터 이탈되고, 하부펀치(212) 역시 상승하여 알약을 외부로 밀어주게 되며, 외부로 밀려나온 알약은 원심력과 배출가이드(301)의 안내에 따라 유도되어 배출판(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약제 분말은 여러가지 물질이 혼합된 것이므로 그 뭉침정도가 달라 불균일한 상태에서 각 알약성형홀(201)에 공급되는 경우 약제 분말의 양이 각각 상이하게 되어 성형되어져 나온 알약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압롤러(232) 중 하부측 본압롤러(232)에 제1 센서(233)를 장착하여 본압롤러(23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치를 토대로 알약의 무게를 환산하여 그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600)로 전송해주게 되며, 중앙처리장치(600)에서는 제1 센서(233)를 통해 전송되는 알약의 무게 데이터를 기입력되어 있는 정상적인 무게범위와 비교하여 성형되는 알약이 정상적인 무게범위 내에 부합하는 정상품인가 아니면 정상적인 무게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인가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600)에서는 알약이 불량품인 경우 배출위치에서 공기분사기(320)를 통해 공기를 분사토록 신호를 전달하여 그에 해당하는 알약을 제2 배출로(312)측으로 불어주어 제2 배출로(312)를 통해 불량품수거통으로 배출되며, 정상품인 경우 배출판(310)의 제1 배출로(311)를 통해 정상품수거통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주디스크(200) 근접위치에 장착된 제2 센서(700)는 지속적으로 각 알약성형홀(201)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600)로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600)에서는 불량발생시 제2 센서(700)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데이터와 매치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해당 알약을 공기분사기(320)를 통해 불어줄 수 있으므로 불량품을 정확하게 제2 배출로(312)측으로 배출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치의 작동초기와 작동정지 직전에는 호퍼(101)에 투입된 약제 분말이 약제 분말 공급기(103)로 불균일하게 공급될 것이므로 성형되어져 나오는 알약이 불량품일 확률이 높다. 이를 감안하여 장치의 작동초기와 작동정지 직전 일정시간동안에는 제1 게이트(315)를 제1 배출로(311)측으로 회전시켜 정상품으로 판정되었든지 아니면 불량품으로 판정되었든지 상관없이 모두 제2 배출로(312)측으로 배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샘플을 채취하여 현재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는 경우에는 제2 게이트(317)를 제1 배출로(311)측으로 회전시켜 제1 배출로(311)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정상품을 제3 배출로(313)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불량품이 발생된다는 것은 정상적인 양의 약제 분말이 알약성형홀(201)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알약의 무게가 정상범위를 벗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알약의 무게와 정상적인 알약의 무게의 차에 해당하는 만큼의 약제 분말을 더하거나 빼주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불량이 발생되면 중앙처리장치(600)에서 가변레일(400)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명령을 하달하여 높이조절모터(401)를 구동시켜줌으로써 가변레일(400)의 높낮이를 조정해주게 되고, 가변레일(400)의 높낮이가 조정되면 가변레일(400)과 접촉하는 하부펀치(212)의 높낮이가 조정되어 결국 알약성형홀(201)에 투입되는 약제 분말의 양이 정상적인 범위 내에 들어올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로 예압롤러(231)와 본압롤러(232)를 통과하면 정상적인 알약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가변레일(400)에도 제1 센서와 같은 무게센서를 구비하여 과도한 압력 발생시 이를 외부로 경보해주거나 경광등을 점등시켜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예압롤러(231)에도 무게센서를 구비하여 데이터 처리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의 중앙처리장치(600)와 연결되도록 모니터를 구비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모니터를 보면서 셋팅을 하거나, 작업도중 발생되는 데이터값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프린터를 연결하여 출력을 할 수도 있다.
101 : 호퍼 200 : 주디스크 201 : 알약성형홀
202 : 회전축 203 : 구동모터 204 : 상디스크
205 : 하디스크 211 : 상부펀치 212 : 하부펀치
221 : 상부레일 222 : 하부레일 231 : 예압롤러
232 : 본압롤러 233 : 제1 센서 301 : 배출가이드
310 : 배출판 311 : 제1 배출로 312 : 제2 배출로
313 : 제3 배출로 314 : 제1 격벽 315 : 제1 게이트
316 : 제2 격벽 317 : 제2 격벽 320 : 공기분사기
400 : 가변레일 401 : 높이조절모터 600 : 중앙처리장치
700 : 제2 센서

Claims (3)

  1. 주디스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각 알약성형홀에 호퍼에 담긴 약제 분말이 각각 투입되고, 상기 주디스크 상하부의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에 각각 삽입된 상부펀치와 하부펀치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쌍으로 설치된 예압롤러와 본압롤러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서로 모이면서 그 압력에 의해 상기 투입된 약제 분말이 알약으로 압축성형되며, 상기 성형된 알약은 배출가이드를 따라 외측으로 유도되는 알약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압롤러에 장착되어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개개의 알약 무게 정보가 전달되면 정상 무게와 비교·연산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알약이 불량으로 판정되면 당해 위치의 알약만 다른 것과 분리하여 배출해주는 배출수단; 및
    상기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상기 하부펀치의 높낮이를 조절해주어 약제 분말의 투입량을 정상범위로 보상해주는 투입량 조절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알약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본압롤러 중 하부측 본압롤러에 장착되어 알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개개의 알약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주디스크 일측 하부에 위치되어 각 알약성형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2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수단은, 양호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1 배출로와 불량한 알약이 배출되는 제2 배출로가 제1 격벽을 통해 구분되면서 샘플이 배출되는 제3 배출로가 상기 제1 배출로의 하부 중간에서 제2 격벽을 통해 분지된 상태로 상기 배출가이드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배출판과, 일정시간 동안 배출되는 알약을 모두 상기 제2 배출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격벽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게이트와, 샘플 채취시간이 경과하면 양호한 알약이 상기 제1 배출로로만 배출되도록 상기 제2 격벽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게이트와, 상기 배출가이드의 일측에 고정되어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알약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알약의 무게정보를 토대로 정상 무게범위와 대비하여 상기 성형된 알약의 양불을 판정하고, 상기 성형된 알약이 불량일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전달된 해당 알약성형홀의 위치 데이터와 매칭시켜 상기 공기분사기에 공기분사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조절수단은, 상기 약제 분말의 투입위치 하부에 상기 하부펀치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위치되면서 높이조절모터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알약의 무게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가변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성형장치.
KR1020120069533A 2012-06-28 2012-06-28 알약 성형장치 KR20140002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33A KR20140002859A (ko) 2012-06-28 2012-06-28 알약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33A KR20140002859A (ko) 2012-06-28 2012-06-28 알약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59A true KR20140002859A (ko) 2014-01-09

Family

ID=501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33A KR20140002859A (ko) 2012-06-28 2012-06-28 알약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6440A (ja) * 2018-07-04 2020-01-16 フェッテ コンパクティ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タブレットプレスのタブレット排出部用ゲートおよびゲートの作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6440A (ja) * 2018-07-04 2020-01-16 フェッテ コンパクティ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タブレットプレスのタブレット排出部用ゲートおよびゲートの作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2231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perties of pharmaceutical articles
JP6681764B2 (ja) 成形品製造システム
US8568630B2 (en) Rotary press for quality surveillance of powdered pressed material
CN108311414A (zh) 一种压片机药片自动检测装置
JP6883316B2 (ja) 粉体供給装置及び粉体供給方法
WO2006055956A3 (en) Automated drug discrimination during dispensing
KR20150018978A (ko) 고형 제형 의약품의 분쇄장치
JP5073443B2 (ja) 回転式粉末圧縮成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93599A (ja) 回転式粉末圧縮成形機
JP6775311B2 (ja) 成形品製造システム
KR20140002859A (ko) 알약 성형장치
US5186956A (en) Rotary powder compression molding machine
US202103941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ixing apparatus of a manufacturing plant
JP2012006058A (ja) ロータリプレスの不良品排出確認装置
AU2013306730B2 (en) Granulation system
CN107539749A (zh) 一种上料皮带物料跟踪与打滑检测的方法及其装置
KR20110084687A (ko) 정제 압축성형장치
CN106742375A (zh) 用于装盒机药板输送系统的检测方法及装置
WO20190023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VOLUMIC MASS OF GRANULAR MATERIAL PROVIDED
US8292607B2 (en) Powder compression molding machine
CN107661956A (zh) 组合螺丝的搓牙加工方法
CN107352094A (zh) 一种精确对版的双铝包装机及其对版方法
JP2021000647A (ja) 回転式粉体圧縮成形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20332076A1 (en) System for continuously processing pulverulent products
WO2013005138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cess parameters in a pharmaceutical product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