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40U -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40U
KR20140002740U KR2020120009935U KR20120009935U KR20140002740U KR 20140002740 U KR20140002740 U KR 20140002740U KR 2020120009935 U KR2020120009935 U KR 2020120009935U KR 20120009935 U KR20120009935 U KR 20120009935U KR 20140002740 U KR20140002740 U KR 20140002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refl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2020120009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740U/ko
Publication of KR20140002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주위에 형성된 베젤(Bezel)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리모콘 수신부; 및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반사 수단을 통해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되어,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된다.

Description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COMPRISING REFLECTION MEANS}
본 고안은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포함하여,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그리고 이들 LCD나 PDP를 여러 개 결합한 멀티스크린 패널(예, M-PDP 등)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화면이 커지고 두께가 얇아지게 됨에 따라 그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우수할 뿐 아니라 두께가 얇아 실내 공간 점유도를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물의 실내 벽면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스탠드를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외부의 입력장치를 통해 작동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 수신부가 장착되어 있고, 외부에서 리모콘(remote controller)으로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5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11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735호 등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공항이나 지하철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디지털 인포메이션(Digital Information) 디스플레이 장치(통상, 'DID Set'라 함)는 테두리(Bezel)를 슬림(Slim)화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림 베젤(Slim Bezel)을 위하여, 리모콘 수신부가 장치(SET)의 밑면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요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DID Set 등)는 디스플레이 패널(P)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은 화면부(1)와, 상기 화면부(1)의 주위에 형성된 테두리로서의 베젤(2, Bezel)을 갖는다. 그리고 외부의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IR(Infrared Ray) 등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3)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리모콘 수신부(3)는 베젤(2)의 슬림(Slim)화를 위해, 장치의 밑면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2)의 슬림(Slim)화에 의해 화면부(1)가 커지고 디자인은 좋지만,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리모콘 수신부(3)가 장치의 밑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리모콘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5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1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4735호
이에, 본 고안은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리모콘 수신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주위에 형성된 베젤(Bezel)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리모콘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힌지 수단이나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리모콘 수신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하단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반사 수단을 통해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되어,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리모콘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보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요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요부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요부 구성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 및 도 8에 보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요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P)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은 화면부(10)와, 상기 화면부(10)의 주위에 형성된 테두리로서의 베젤(20, Bezel)을 갖는다. 그리고 PCB 기판이나 제어 요소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등도 통상과 같으며, 이들 구성 요소들은 디스플레이 패널(P)에 내장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하부에 형성되어 실내의 테이블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나,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에 결합되어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벽 걸이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과 같이 외부 입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30), 즉 외부의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IR(Infrared Ray) 등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모콘 수신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테두리 영역, 즉 베젤(20)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콘 수신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밑면, 측면 및 상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베젤(20)의 슬림화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부(30)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장치의 밑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밑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라서, 반사 수단(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되,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상기 반사 수단(40)을 통해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되어,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리모콘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본 고안에서, 반사 수단(40)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반사 수단(4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plate) 형상이나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 수단(40)은,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으로서, 반사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수단(40)은 거울, 그리고 반사성의 유리나 금속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반사 수단(40)은,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기판은 플라스틱 사출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층은 반사가 잘되는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을 구성하는 증착 물질은 금속 및 금속산화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니켈(Ni), 은(Ag), 크롬(Cr), 인듐(In), 주석(Sn), 마그네슘(Mg) 및 아연(Zn) 등의 단일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산화물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나열된 금속 원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을 함유하는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수단(40)은 리모콘 수신부(30)의 근방에 위치하되, 리모콘 수신부(3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수단(40)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콘 수신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 수단(40)은 리모콘 수신부(30)의 후방 쪽으로 일직선상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사 수단(40)은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또는 나사, 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패널(P)의 배면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반사 수단(40)은 절첩(접어지고 펴짐)되거나 슬라이딩(sliding)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반사 수단(40)이 돌출되지 않아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장치의 포장이나 운반에 유리하다. 이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수단(40)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에 힌지 수단(50, hinge means)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 수단(50)은 반사 수단(40)을 절첩(접어지고 펴짐)되게 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힌지 수단(50)은 예를 들어 힌지 공과 힌지 축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 수단(40)과 패널(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힌지 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힌지 축이 형성되어 절첩되게 할 수 있다. 힌지 수단(50)은 다른 예를 들어 경첩이 사용되어, 반사 수단(40)과 패널(P)을 결합시키면서 절첩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힌지 수단(50)에 의해 반사 수단(40)이 접어진 모습이고, 도 6은 반사 수단(40)이 펴진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이나 운반 시에, 즉 디스플레이 패널(P)의 포장이나 운반 시에, 또는 리모콘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반사 수단(40)을 접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사 수단(40)이 정면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의 사용 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반사 수단(40)이 펴지게 하여, 리모콘의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되게 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반사 수단(40)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에 슬라이딩 수단(60, sliding means)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수단(60)은 반사 수단(40)을 슬라이딩되게 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수단(60)은 예를 들어 하우징(61,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에는 반사 수단(40)이 상하로 출입(出入)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61)은 예를 들어 사각 박스 등의 형상으로서 플라스틱재나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1)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 하단에 예를 들어 접착제나 체결부재(나사, 피스 등)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수단(60)은 조립 구조로서 조립돌기(42)와, 상기 조립돌기(42)가 끼워지는 조립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돌기(42)는 반사 수단(4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홈(62)은 하우징(6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수단(40)은 조립돌기(42)와 조립홈(62)의 조립 구조에 의해, 하우징(61)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하우징(61)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7은 슬라이딩 수단(60)에 의해 반사 수단(40)이 돌출되지 않는 모습, 즉 반사 수단(40)이 하우징(61)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이고, 도 8 및 도 9는 반사 수단(40)이 돌출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이나 운반 시에, 즉 디스플레이 패널(P)의 포장이나 운반 시에, 또는 리모콘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반사 수단(40)을 하우징(61)에 삽입시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의 사용 시에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반사 수단(40)을 하우징(61)으로부터 돌출시켜 리모콘의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수단(40)에 의해,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리모콘 수신부(30)로 반사되어, 리모콘의 작동 시 수신이 잘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리모콘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상기 반사 수단(40)이 힌지 수단(50)이나 슬라이딩 수단(6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P)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절첩(접어지고 펴짐)이나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반사 수단(40)이 돌출되지 않아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장치의 포장이나 운반에 유리하고, 외관성에서도 유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그리고 이들 LCD나 PDP를 여러 개 결합한 멀티스크린 패널(예, M-PDP 등)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외부 리모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항이나 지하철 등의 공공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디지털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장치(DID Set ;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et)에 유용하다.
P : 디스플레이 패널 10 : 화면부
20 : 베젤 30 : 리모콘 수신부
40 : 반사 수단 42 : 조립돌기
50 : 힌지 수단 60 : 슬라이딩 수단
61 : 하우징 62 : 조립홈

Claims (5)

  1.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주위에 형성된 베젤(Bezel)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된 리모콘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힌지 수단을 통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하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120009935U 2012-10-31 2012-10-31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2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5U KR20140002740U (ko) 2012-10-31 2012-10-31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5U KR20140002740U (ko) 2012-10-31 2012-10-31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40U true KR20140002740U (ko) 2014-05-09

Family

ID=5244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35U KR20140002740U (ko) 2012-10-31 2012-10-31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74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2682B (zh) 具有减小的边界区域的便携式电子装置的外壳
KR102182617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232958A1 (en) Flat panel electronic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US8730411B2 (en) Display device
EP3853073A1 (en) Vanity mirror
US106996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ransparent organic lighting diode (TOLED) display on architectural glass
US11098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ransparent organic lighting diode (TOLED) display with transparency control on architectural glass
US20060150462A1 (en) Decorative cover frame assembly for selectively concealing a flat panel 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display
US7672121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detachable base
JP5232839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装置
EP2348380A1 (en) Stand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9599029B (zh) 显示屏、显示屏模组及显示装置
JP4565681B2 (ja) 情報表示装置
US20070056201A1 (en) Frame and ornamental cover for wall-mounted television
US20200218308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8572235U (zh) 一种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08600418A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8349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
US20060077623A1 (en) Display device
EP1445751A1 (en) Light reflection display method, light reflect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89866B1 (ko) 룸미러겸용 터치스크린 카-내비게이션 및 디엠비 에이브이표시장치
JP7014587B2 (ja) 表示装置
KR201301006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미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40002740U (ko) 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3975B1 (ko)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