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26A -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 Google Patents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26A
KR20140002726A KR1020137020228A KR20137020228A KR20140002726A KR 20140002726 A KR20140002726 A KR 20140002726A KR 1020137020228 A KR1020137020228 A KR 1020137020228A KR 20137020228 A KR20137020228 A KR 20137020228A KR 20140002726 A KR20140002726 A KR 2014000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agnesium alloy
temperature
width direction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99619B1 (en
Inventor
유키히로 오이시
노부유키 모리
류이치 이노우에
마사아키 후지이
마사히코 이토
노조무 가와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폭이 넓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 그 Mg 합금 압연재를 소성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Mg 합금 부재, 및 그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은, Mg 합금 소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Mg 합금 소재의 폭이 1000 ㎜ 이상이고, 압연롤은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영역을 갖는다. 압연롤 표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각 영역마다 온도 제어한다. 압연롤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으로 기계적 특성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를 제조할 수 있다.Provided are an Mg alloy rolled material having a wide width and a uniform mechanical property in the width direction, an Mg alloy member formed by plastic working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is a method of rolling and manufacturing Mg alloy material with a rolling roll. The width of the Mg alloy material is 1000 mm or more, and the rolling rolls have three or more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for every area | region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surface may be 10 degrees C or less. By making smal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Mg alloy rolling material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마그네슘 합금 부재, 및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마그네슘 합금 부재, 및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압연재의 폭이 넓어도 폭 방향의 기계적 특성이 균일한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그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를 소성 가공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 및 상기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a magnesium alloy memb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having a uniform mechanical property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s wide, a magnesium alloy member obtained by plastically processing 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최근, 마그네슘(이하, Mg) 합금판이 휴대 전화나 노트북의 하우징 등에 이용되고 있다. Mg 합금은 소성 가공성이 부족하다는 점 때문에, 다이캐스트법이나 틱소몰드법에 의한 주조재가 주류이다. 통상, 그 주조재에 압연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magnesium (Mg) alloy plates have been used for housings of cellular phones and notebooks. Since Mg alloy is inferior in plastic workability, the casting material by the die casting method or the thixomolding method is mainstream. Usually, the cast material is roll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특허문헌 1에서는, ASTM 규격에서의 AZ91 합금 상당의 마그네슘 합금을 쌍롤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한 주조재에 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연롤에 삽입하기 직전의 Mg 합금 소재판의 표면 온도와, 압연롤의 표면 온도를 각각 특정 온도로 제어하여 압연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rolling of the casting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twin roll continuous casting method of the magnesium alloy equivalent to the AZ91 alloy in ASTM specification is described. Specifical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immediately before inserting into a rolling roll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lling roll are controlled and rolled to specific temperature, respectively.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9847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098470

Mg 합금의 용도 범위의 확대에 따라, 크기가 큰 Mg 합금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압연에 따르면, 예컨대, Mg 합금 소재의 폭이 그다지 넓지 않은 경우에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Mg 합금 소재 및 압연롤의 각각의 표면 온도가 자연히 균일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폭 방향으로 압연 상태에 변동이 잘 생기지 않아,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가 되기 쉽다. 그러나, 상기 합금 소재의 폭이 넓어질수록, 특히 1000 ㎜ 이상이 되면, 그 폭 방향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 이유는, 폭이 넓어질수록, 압연 시에,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가열 상태가 유지되기 쉽고, 동(同)양단부에서는 냉각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균일한 가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압연 상태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As the use range of Mg alloy expands, development of the Mg alloy material of large size is calculated | required. According to the rolling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Mg alloy material is not very wide,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Mg alloy material and the rolling roll naturally tend to b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fluctuation | variation does not produce easily in the rolling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t becomes easy to become a Mg alloy rolling material with a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width direction. However, as the width of the alloying material became wider, especially when it became 1000 mm or more, it was difficult to make the mechanical propertie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wider the width, the easier the heating state is to be maintain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rolling, and the easier it is to cool at the both end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heating state at the center and both ends, and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rolled stat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폭이 넓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One of the objectives is to provide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with a wide width and a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Mg 합금 압연재를 이용한 Mg 합금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Mg alloy member using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는 Mg 합금 소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이루어지고, 폭이 1000 ㎜ 이상이다. 상기 Mg 합금 압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서의 (002)면, (100)면, (101)면, (102)면, (110)면, (103)면의 X선 회절의 피크 강도를 각각 IC(002), IC(100), IC(101), IC(102), IC(110), IC(103)으로 한다.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단부에서의 상기 각 면의 X선 회절의 피크 강도를 각각 IE(002), IE(100), IE(101), IE(102), IE(110), IE(103)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및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저면 피크비(OC, OE)를 이하의 식으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저면 피크비의 비율(OE/OC)이 0.89≤OE/OC≤1.15를 만족한다.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rolling an Mg alloy material with a rolling roll and has a width of 1000 mm or more. Peak intensity of X-ray diffraction of the (002) plane, (100) plane, (101) plane, (102) plane, (110) plane, and (103) plane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Let I C (002), I C (100), I C 101, I C 102, I C 110, and I C 103, respectively. In the width direction, the peak intensities of the X-ray diffractions of the respective surfaces at the ends are respectively set to I E (002), I E (100), I E (101), I E 102, and I E (110). , I E (103). And when the bottom peak ratios (O C , O E ) in each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portion a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e ratio ( E E / O C ) of the bottom peak ratio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is 0.89 ≦ O. Satisfies E / O C ≤1.15.

저면 피크비 OC: IC(002)/{IC(100)+IC(002)+IC(101)+IC(102)+IC(110)+IC(103)}Bottom Peak Ratio O C : I C (002) / {I C (100) + I C (002) + I C (101) + I C (102) + I C (110) + I C (103)}

저면 피크비 OE: IE(002)/{IE(100)+IE(002)+IE(101)+IE(102)+IE(110)+IE(103)}Bottom peak ratio O E : I E (002) / {I E (100) + I E (002) + I E (101) + I E (102) + I E (110) + I E (103)}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에 따르면, Mg 합금 압연재의 단부와 중앙부의 저면 피크비의 비율(OE/OC)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결정면의 배향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하다. 그 때문에, Mg 합금 압연재의 소성 가공성(성형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압연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할 때, 어느 개소를 가공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 E / O C ) of the bottom surface peak ratio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satisfies the above range, whereby the orientation of the crystal surface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rolling workability (formability)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can be made into a rolling material with a uniform width direction. Therefore, when plastic-working on this rolling material, even if it processes any part, a substantially uniform proces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압연재의 일 형태로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평균 결정립경을 각각 DC, D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평균 결정립경비(DE/DC)가 0.7≤DE/DC≤1.5를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rol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portion, when the average grain size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rolling direction is D C and D E , respectively, the average grain size ratio (D E) / D C ) satisfies 0.7 ≦ D E / D C ≦ 1.5.

상기 구성에 따르면, Mg 합금 압연재의 단부와 중앙부의 평균 결정립경비(DE/DC)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평균 결정립경이 폭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다. 그 때문에, 폭 방향으로 강도 및 내식성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연재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average grain size ratio (D E / D C ) of the edge part and center part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satisfy | fills the said range, an average grain size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rolling material which is substantially uniform i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압연재의 일 형태로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연신을 각각 EC, E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연신비(EE/EC)가 2/3≤EE/EC≤3/2를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when extending | stretching in the tension test of a rolling direction is E C and E E in the said center part and an edge part, the draw ratio (E E / E C ) of the said end part and a center part is 2 / 3≤E E / E C ≤3 / 2.

상기 구성에 따르면, Mg 합금 압연재의 단부와 중앙부의 연신비(EE/EC)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압연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이 폭 방향으로 균일하다. 즉, 어느 개소에 소성 가공을 실시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extending | stretching in a rolling direction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because the extending | stretching ratio (E E / E C ) of the edge part and center part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satisfy | fills the said range. That is, even if plastic working is performed in any place, a substantially uniform work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압연재의 일 형태로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인장 강도를 각각 TsC, Ts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인장 강도비(TsE/TsC)가 0.9≤TsE/TsC≤1.1을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when the tensile strength in the tension test of a rolling direction is set to Ts C and Ts E in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the tensile strength ratio (Ts E / Ts) of the said end part and the center part, respectively C) a include those satisfying the 0.9≤Ts E / Ts C ≤1.1.

상기 구성에 따르면, Mg 합금 압연재의 단부와 중앙부의 인장 강도비(TsE/TsC)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압연 방향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tensile strength ratio (Ts E / Ts C ) of the edge part and center part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satisfy | fills the said range, tensile strength in a rolling direction is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압연재의 일 형태로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0.2% 내력을 각각 PsC, Ps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0.2% 내력비(PsE/PsC)가 0.9≤PsE/PsC≤1.1을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rol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portion, when the 0.2% yield strength in the tensile test in the rolling direction is set to Ps C and Ps E , respectively, the 0.2% yield ratio (Ps E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 C Ps) are it includes those satisfying the 0.9≤Ps E / Ps C ≤1.1.

상기 구성에 따르면, Mg 합금 압연재의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0.2% 내력비(PsE/PsC)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압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내력비가 폭 방향으로 균일하다. 그 때문에, 압연 방향에 있어서의 성형성이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연재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0.2% yield ratio (Ps E / Ps C ) of the said edge part and center part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satisfy | fills the said range, the said yield ratio in a rolling direction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moldability in a rolling direction can be made into the rolling material which is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압연재의 일 형태로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는, 알루미늄을 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As one form of the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the said magnesium alloy raw material contains 5 mass% or more and 12 mass% or less of aluminum.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알루미늄을 상기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보다 고경도의 내식성이 우수한 Mg 합금 압연재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containing aluminum in the said range, it can be set as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of higher hardness.

본 발명의 Mg 합금 부재는 상기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된다.The Mg alloy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subjecting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lastic working.

상기 구성에 따르면, 폭 방향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하기 때문에, 어느 개소에서도 특성이 균일한 Mg 합금 부재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plastic working is given to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with a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set as the Mg alloy member with a uniform characteristic in any place.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은 마그네슘 합금 소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폭이 1000 ㎜ 이상이고, 상기 압연롤은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 표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각 영역마다 온도 제어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a method of rolling and manufacturing a magnesium alloy material with a rolling roll.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has a width of 1000 mm or more, and the rolling roll has three or more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for every area | region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rolling roll surface may be 10 degrees C or les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압연롤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폭이 1000 ㎜ 이상인 폭넓은 Mg 합금 소재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균일한 압연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의 변동이나 가장자리 균열 등이 적어, 폭이 1000 ㎜ 이상이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small. Therefore, rolling can be performed uniformly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e Mg alloy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Therefore, there is little variation in thickness, edge cracking, etc., and can manufacture Mg alloy rolling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and whose mechanical characteristic is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 내에 온도를 조정한 열매유(熱媒油)를 도입하여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what introduces and performs the fruit oil which adjusted the temperature in the said rolling roll.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온도 제어에 열매유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각 영역마다 압연롤의 내부로부터 조속히 정해진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using a heat oil for temperature control, it can control to the temperature set quickly from the inside of a rolling roll for each said area | region.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 표면에 온도를 조정한 가열 유체를 부착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attaching the heating fluid which adjusted temperature to the said rolling roll surface.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가열 유체를 롤 표면에 직접 부착시켜 온도 제어하기 때문에, 각 영역마다, 및 각 영역에 걸친 개소 등 압연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압연롤 내부에 온도 제어 기구를 삽입하지 않아도 좋다. 즉, 가열 유체의 이용에 의해 온도 제어 기구가 없는 기존의 압연롤이라도, 롤의 외부로부터 그 표면 온도를 영역마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a heating fluid adheres directly to a roll surface and temperature control, it can control precisely in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such as each area | region and the location over each area | region.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the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inside the rolling roll. That is, even with the existing rolling roll which does not have a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by use of a heating fluid, the surface temperature can be easily controlled for every area | region from the outside of a roll.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in the said rolling roll surface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points | pieces which separated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6 degrees C or less.

상기 구성에 따르면, 근접한 2점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압연롤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 분포의 변동을 제어하기 쉽다. 그 때문에,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으로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it is easy to contro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adjacent points. Therefore, the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can be reduced.

본 발명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상기 압연롤을 통과하기 직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8℃ 이하가 되도록 예열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heat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is 8 ° C. or less.

상기 구성에 따르면,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으로 압연 상태의 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즉, 압연롤뿐만 아니라, 소재의 온도도 폭 방향으로 변동을 저감시킴으로써, 균일한 압연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making smal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Mg alloy materia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Mg alloy material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That is, not only a rolling roll but also the temperature of a raw material can reduce uniformity to a width direction, and can perform uniform rolling.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상기 압연롤을 통과하기 직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예열하고, 그리고,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을 통과한 직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표면에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n the surface of the said magnesium alloy raw material just before passing through the said rolling roll, it pre-heats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2 points | pieces separated by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6 degrees C or less, and 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points | pieces which separated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said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said rolling roll may be 6 degrees C or less.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압연 전후에서, 근접한 2점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압연롤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 분포의 변동을 한층 더 제어하기 쉽다. 그 때문에,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으로 압연 상태의 변동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it is easy to contro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further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adjacent points before and behind rolling. Therefore,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Mg alloy material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는 폭이 넓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하다.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width and uniform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Mg 합금 부재는 어느 개소에서나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The Mg alloy member of this invention can make a characteristic uniform in any location.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은 폭이 1000 ㎜ 이상인 폭넓은 Mg 합금 소재라도,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압연재를 제조할 수 있다. Even i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a wide Mg alloy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a rolled material with a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a width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과정의 개략도로서, (A)는 압연 라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Mg 합금 소재의 예열에 이용하는 히트 박스의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A)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of a rolling line typically, (B) of the heat box used for the preheating of Mg alloy material. It is explanatory draw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Mg 합금 압연재를 설명하고, 그 후, 도 1을 적절하게 참조하여 그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 Mg alloy rolling material is demonstrat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1 suitably.

<<Mg 합금 압연재>><< Mg alloy rolled material >>

[조성] [Furtherance]

Mg 합금 압연재는 Mg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그 Mg에 첨가 원소를 함유한 여러가지 조성의 것(잔부: 불가피적 불순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첨가 원소에 적어도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Mg-Al계 합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Al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내식성이 우수한 데다가, 강도, 내소성 변형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도 우수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l을 3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특히 7.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7.3 질량% 이상 함유하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다만, Al의 함유량이 12 질량%를 초과하면 소성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상한은 12 질량%로 한다. Al의 함유량은 특히 11 질량% 이하, 또한 8.3 질량% ~ 9.5 질량%가 바람직하다.The Mg alloy rolled material has Mg element as a main component, and the thing (remainder: unavoidable impurity) of the various composition which contains the additive element in Mg is mentioned. Especially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Mg-Al type alloy which contains at least aluminum (Al) in an additional element. As the content of Al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is excell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plastic deformation are also excellent. Therefore,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3 mass% or more of Al, 5 mass% or more, especially 7.0 mass% or more is more preferabl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if it contains 7.3 mass% or more. However, since the content of Al exceeds 12 mass%, the plastic workability will be reduced, so the upper limit is 12 mass%. As for content of Al, 11 mass% or less is especially preferable, and 8.3 mass%-9.5 mass% are preferable.

Al 이외의 첨가 원소에는, 아연(Zn), 망간(Mn), 규소(Si), 베릴륨(Be), 칼슘(Ca), 스트론튬(Sr), 이트륨(Y), 구리(Cu), 은(Ag), 주석(Sn), 니켈(Ni), 금(Au), 리튬(Li), 지르코늄(Zr), 세륨(Ce) 및 희토류 원소(RE)(Y, Ce을 제외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합계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를 들 수 있다. 이들 첨가 원소 중, Si, Sn, Y, Ce, Ca, 및 희토류 원소(Y, Ce을 제외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합계 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합계 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함유하면,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다. 희토류 원소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합계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Y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불순물은, 예컨대 Fe 등을 들 수 있다.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Al include zinc (Zn), manganese (Mn), silicon (Si), beryllium (Be), calcium (Ca), strontium (Sr), yttrium (Y), copper (Cu), and silver (Ag). ), Tin (Sn), nickel (Ni), gold (Au), lithium (Li), zirconium (Zr), cerium (Ce) and rare earth elements (RE) (except Y, Ce) An element is mentioned. When it contains such an element, the content is 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in total, Preferably 0.1 mass% or more and 5 mass% or less are mentioned. Of these additional element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Si, Sn, Y, Ce, Ca, and rare earth elements (except Y, Ce) is at least 0.001 mass% in total, preferably at least 0.1 mass% in total 5 When it contains mass% or less, it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e. In the case of containing a rare earth element, the total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ontaining Y, the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0.5% by mass or more. The impurities include, for example, Fe.

Mg-Al계 합금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예컨대 ASTM 규격에서의 AZ계 합금(Mg-Al-Zn계 합금, Zn: 0.2 질량% ~ 1.5 질량%), AM계 합금(Mg-Al-Mn계 합금, Mn: 0.15 질량% ~ 0.5 질량%), Mg-Al-RE(희토류 원소)계 합금, AX계 합금(Mg-Al-Ca계 합금, Ca: 0.2 질량% ~ 6.0 질량%), AJ계 합금(Mg-Al-Sr계 합금, Sr: 0.2 질량% ~ 7.0 질량%)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Al을 8.3 질량% ~ 9.5 질량%, Zn을 0.5 질량% ~ 1.5 질량% 함유하는 Mg-Al계 합금, 대표적으로는 AZ91 합금이 내식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More specific compositions of the Mg-Al-based alloys include, for example, AZ-based alloys (Mg-Al-Zn-based alloys, Zn: 0.2% by mass to 1.5% by mass) and AM-based alloys (Mg-Al-Mn-based alloys) in the ASTM standard. , Mn: 0.15 mass% to 0.5 mass%), Mg-Al-RE (rare earth element) alloy, AX alloy (Mg-Al-Ca alloy, Ca: 0.2 mass% to 6.0 mass%), AJ alloy (Mg-Al-Sr type alloy, Sr: 0.2 mass%-7.0 mass%) etc. are mentioned. In particular, Mg-Al-based alloys containing 8.3 mass% to 9.5 mass% of Al and 0.5 mass% to 1.5 mass% of Zn, typically the AZ91 alloy, are preferred because of their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치수] [size]

Mg 합금 압연재의 폭은 1000 ㎜ 이상이면, 길이 및 두께는 제조하는 Mg 합금 부재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장척재나 코일재를 적절한 길이로 잘라낸 단척재 등을 들 수 있다. 어떠한 길이를 갖는 압연재라도, 폭 방향에 있어서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Mg 합금 압연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두께를 tC, tE로 할 때, 두께의 비(tE/tC)가 0.97≤tE/tC≤1.0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Mg 합금 압연재를 코일로 권취하는 경우, 폭 방향으로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어긋나게 감기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란, 압연재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양가장자리 방향으로 대략 50 ㎜ 이내의 범위로 하고, 단부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대략 100 ㎜ 이내, 바람직하게는 50 ㎜ 이내의 지점 근방으로 한다. 이후, 중앙부 및 단부는,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 및 단부와 동일한 위치를 나타낸다.If the width | variety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is 1000 mm or more, length and thickness should just be selected suitably according to the magnitude | size of the Mg alloy member to manufacture,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For example, the short material which cut | disconnected the elongate material and coil material to an appropriate length, etc.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ing material which has any length is substantially uniform in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center part and the end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when each thickness is t C and t E , the ratio of thickness (t E / t C ) is 0.97≤t E / t C ≤1.03 It is desirable to be satisfied. By satisfy | filling this range, when winding a Mg alloy rolled material with a coil, since thickness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winding off shift | deviation can be reduced. The center part here is in the range of about 50 mm or less in both edge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material, and the end part is in the vicinity of the point within about 100 mm, preferably 50 mm or less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an edge. . Thereafter, the center part and the end part show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er part and end part here.

[기계적 특성][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는 폭이 1000 ㎜ 이상이어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압연 상태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폭 방향 전역에 걸쳐 이하의 각 물리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기계적 특성을 이하에 서술한다.Even if the width | variety is 1000 mm or more in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the following physical quantities can be made uniform over the whole width direction by making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uniform as mentioned later. Specific mechanical properties are described below.

(저면 피크비)(Bottom peak ratio)

저면 피크비는, Mg 합금 압연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단부에 관해서 X선 회절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에서의 저면 피크비(OC)란, (002)면, (100)면, (101)면, (102)면, (110)면, (103)면에서의 X선 회절에 의해 구한 피크 강도 IC(002), IC(100), IC(101), IC(102), IC(110), IC(103)으로부터, IC(002)/ {IC(100)+IC(002)+IC(101)+IC(102)+IC(110)+IC(103)}으로 표기된다. 마찬가지로, 단부에서의 저면 피크비(OE)란, (002)면, (100)면, (101)면, (102)면, (110)면, (103)면에서의 X선 회절에 의해 구한 피크 강도 IE(002), IE(100), IE(101), IE(102), IE(110), IE(103)으부터, IE(002)/{IE(100)+IE(002)+IE(101)+IE(102)+IE(110)+IE(103)}으로 표기된다. 그렇게 하여 구해진 단부와 중앙부의 저면 피크비의 비율(OE/OC)이 0.89≤OE/OC≤1.15를 만족할 때, 폭 방향에 있어서 저면 피크비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Mg 합금 압연재는 Mg 합금 압연재의 폭 방향으로 결정면의 배향성이 균일하고, 폭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소성 가공성(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의 X선 회절을 측정하는 개소와 관련하여, 상기 중앙부 및 단부에 있어서 각각 표면에서 측정한다.A bottom peak ratio is calculated | required by X-ray diffra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Mg alloy rolling material. The bottom peak ratio (O C ) at the center part here is X-ray diffraction at (002) plane, (100) plane, (101) plane, (102) plane, (110) plane, and (103) plane. From the obtained peak intensities I C (002), I C (100), I C (101), I C (102), I C (110), and I C (103), I C (002) / {I C ( 100) + I C (002) + I C (101) + I C (102) + I C (110) + I C (103)}. Similarly, the bottom peak ratio O E at the end is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at the (002) plane, the (100) plane, the (101) plane, the (102) plane, the (110) plane, and the (103) plane. From the obtained peak intensities I E (002), I E (100), I E (101), I E (102), I E (110), and I E (103), I E (002) / {I E (100) + I E (002) + I E (101) + I E (102) + I E (110) + I E (103)}. When the ratio (O E / O C ) of the bottom face peak ratio obtained in this way satisfies 0.89? O E / O C ? Such Mg alloy rolled material may have uniformity in orientation of the crystal pla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and may have substantially uniform plastic workability (formability) in the width direction. Regarding the point where these X-ray diffractions are measured, it measures on the surface in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respectively.

(평균 결정립경)(Average grain size)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평균 결정립경을 각각 「철-결정 입도의 현미경 시험 방법 JIS G 0551(2005)」에 기초하여 구한다. 그리고, 중앙부와 단부의 상기 평균 결정립경을 각각 DC, DE로 하고,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평균 결정립경비(DE/DC)가 0.7≤DE/DC≤1.5를 만족할 때, 평균 입경이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Mg 합금 압연재이면, 폭 방향으로 강도 및 내식성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평균 결정립경비(DE/DC)는 0.9≤DE/DC≤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the average grain size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a rolling direction is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microscope test method JIS G 0551 (2005) of an iron-crystal grain size," respectively. And, when the average grain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nd C to D, D and E, respectively, said end portion to the average grain guard (D E / D C) of the central portion satisfies the 0.7≤D E / D C ≤1.5, average The particle diameter is assumed to be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If it is such an Mg alloy rolling material, intensity |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can be made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As for this average grain size ratio (D E / D C ), it is more preferable that 0.9 <= D E / D C < 1.1.

(연신·인장 강도·0.2% 내력)(Stretching, tensile strength, 0.2% yield strength)

연신, 인장 강도, 0.2% 내력은 상기 중앙부와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JIS Z 2241(1998)」에 기초하여 구한다. 이 인장 시험은, 상기 중앙부와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긴 쪽이 압연 방향을 따르도록 JIS 13B호 시험편(JIS Z 2201(1998))을 잘라내고, 그 시험편에 대하여 행한다.Drawing, tensile strength, and 0.2% yield strength are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the metallic material tensile test method JIS Z 2241 (1998)" in each of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This tension test cuts JIS 13B test piece (JIS Z 2201 (1998)) so that a long side may follow a rolling direction in each of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and it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test piece.

그리고, 중앙부와 단부의 연신을 각각 EC, EE로 하고,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연신비(EE/EC)가 2/3≤EE/EC≤3/2를 만족할 때, 폭 방향으로 연신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한다.And when extending | stretching of a center part and an edge part is E C and E E , respectively, and when the draw ratio (E E / E C ) of the said end part and a center part satisfies 2/3 < E E / E C < 3/2, the width direction Stretching is made to be substantially uniform.

마찬가지로, 인장 강도를 각각 TsC, TsE로 하고,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인장 강도비(TsE/TsC)가 0.9≤TsE/TsC≤1.1을 만족할 때, 폭 방향으로 인장 강도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한다.Similarly, a tensile strength substantially when the tensile strength in each Ts C, Ts E, and the end portion and the tensile strength ratio (Ts E / Ts C) of the central portion satisfies the 0.9≤Ts E / Ts C ≤1.1, the transverse direction It shall be uniform.

또한, 0.2% 내력을 각각 PsC, PsE로 하고,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0.2% 내력비(PsE/PsC)가 0.9≤PsE/PsC≤1.1을 만족할 때, 폭 방향으로 0.2% 내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0.2% proof stress in each C Ps, Ps E, and the end and the 0.2% proof stress ratio (Ps E / Ps C) of the central portion satisfies the 0.9≤Ps E / Ps C ≤1.1, 0.2 %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ad capacity is assumed to be substantially uniform.

이들 연신, 인장 강도, 0.2% 내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폭 방향으로 성형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When these stretching, tensile strength, and 0.2% yield strength satisfy | fill the said range, moldability can be mad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마그네슘 합금 부재> <Magnesium alloy member>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Mg 합금 부재가 얻어진다. 소성 가공으로는, 프레스 가공, 딥드로잉(deep-drawing) 가공, 단조 가공, 굽힘 가공 등의 여러가지 가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성 가공이 실시된 Mg 합금 부재로는, 대표적으로, 그 전체에 소성 가공이 실시된 것, 예컨대 통형 부재나 물결형 부재 등의 입체 형상의 소성 가공 부재나, Mg 합금 압연재의 일부에만 소성 가공이 실시된 형태, 즉 소성 가공부를 갖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는 폭 방향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균일하므로, 소성 가공하는 개소가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굽힘 등의 소성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소성 가공은, 상기 압연재를 200℃ ~ 300℃로 가열하여 실시하면, 균열 등이 잘 생기지 않고, 표면 성상이 우수한 Mg 합금 부재가 얻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로 함으로써, Mg 합금 부재의 어느 개소에서나 특성이 균일하다.By performing plastic working on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is invention, an Mg alloy member is obtained. As the plastic working, various processing such as press working, deep drawing processing, forging processing and bending processing can be adopted. As the Mg alloy member subjected to such plastic working, representatively, plastic working is performed on the whole thereof, for example, only a part of a three-dimensional plastic working member such as a cylindrical member or a wavy member, or a part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is fired. It also includes the form which processed, ie, the form which has a plastic processing part. Since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uniform in mechanical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location to plastic-work is not restrict | limited, it can select suitably and can perform plastic working, such as bending, freely. When plastic working is performed by heating the said rolled material to 200 degreeC-300 degreeC, a crack etc. do not produce easily and the Mg alloy member excellent in the surface property is obtain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having a uniform mechanical property in the width direction makes the properties uniform at any place of the Mg alloy member.

그 밖에,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에 적절하게 절단이나 펀칭 등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여러가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정해진 형상의 판형 Mg 합금 부재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t as the plate-shaped Mg alloy member of a predetermined shape by giving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various processes which change shapes, such as cutting and punching, suitably.

얻어진 Mg 합금 부재에, 연마 등의 표면 성상 개질 처리, 화성 처리, 양극 산화 처리 등의 방식 처리, 도장 등의 장식 표면 처리를 하여,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기계적 보호를 도모하거나, 상품 가치를 높이거나 할 수 있다.The obtained Mg alloy member is subjected to surface property modification treatment such as polishing, anticorrosive treatment such as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anodization treatment, and decorative surface treatment such as painting to further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chieve mechanical protection, or improve product value. You can raise or do it.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 << Manufacturing method of Mg alloy rolled material >>

전술한 폭이 1000 ㎜ 이상이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는 Mg 합금 소재에 압연롤로 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압연은,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릴(10a)(10b)로부터 조출되는 Mg 합금 소재판(1)을 압연롤(3)로 압연하고, 그 압연된 소재판(1)을 다른 쪽의 릴(10b)(10a)에서 권취하는 것을 1패스로 하여 복수 패스 행한다. 여기서는, 1패스마다 각 릴(10a)(10b)의 회전 방향을 역전하는 리버스 압연을 행한다. 압연롤 전후에서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가 내려가지 않도록, 릴(10a)(10b)과 압연롤(3)의 도중에 보호 커버(5)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압연롤(3)과, 압연롤(3)을 통과하기 직전, 직후의 소재판(1)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4r, 4bf, 4bb)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특징은, 압연롤은,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영역을 갖고, 압연롤 표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각 영역마다 온도 제어하는 것에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g alloy rolled material whose width mentioned above is 1000 mm or more and whose mechanical property is uniform in a width direction is manufactured by rolling a Mg alloy material with a rolling roll. As shown in FIG. 1 (A), this rolling rolls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fed from one reel 10a, 10b with a rolling roll 3, and the rolled material sheet. A plurality of passes are performed by winding (1) in the other reels 10b and 10a as one pass. Here, reverse rolling which reverses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reel 10a, 10b is performed every one pass. The protective cover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reels 10a and 10b and the rolling roll 3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may not fall before and behind a rolling roll. And the temperature sensor 4r, 4bf, 4bb which measur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plate 1 just 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3 and the rolling roll 3 is provided. The characteristic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that a rolling roll has three or more area |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emperature control for every area | region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surface may be 10 degrees C or less. In this way,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is method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Mg 합금 소재의 준비][Preparation of Mg Alloy Material]

(주조)(casting)

우선, Mg 합금 소재판(1)을 준비한다. 이 Mg 합금 소재판(1)에는, 전술한 압연재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주조재(주조판)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조재는, 예컨대 쌍롤 주조법과 같은 연속 주조법이나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제조한다. 특히, 쌍롤 주조법은 급랭 응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산화물이나 편석물 등의 내부 결함을 저감할 수 있고, 압연 등의 소성 가공 시에 이들 내부 결함이 기점이 되어 균열 등이 생기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즉, 쌍롤 주조법은 압연성이 우수한 주조재가 얻어져 바람직하다. 특히, Al의 함유량이 많은 Mg 합금 소재에서는 주조 시에 정출물이나 편석이 발생하기 쉽고, 주조 후에 압연 등의 공정을 거쳐도 내부에 정출물이나 편석물이 잔존하기 쉬운데, 쌍롤 주조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석 등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Mg 합금 소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지나치게 두꺼우면 편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10 ㎜ 이하, 더욱 5 ㎜ 이하, 특히 4 ㎜ 이하가 바람직하다. 주조재의 폭은 1000 ㎜ 이상으로 한다. 제조 설비에서 제조 가능한 폭의 주조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주조한 장척의 주조재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여 주조 코일재로 하고, 다음 공정에 제공한다. 권취 시, 주조재에 있어서 특히 권취 시작 부분의 온도를 100℃ ~ 200℃ 정도로 하면, AZ91 합금과 같은 균열이 생기기 쉬운 합금종이라도, 굽히기 쉬워져 권취하기 쉽다.First,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prepared. As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a casting material (cast plate)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of the rolling material described above can be suitably used. Casting materials are manufactured by continuous casting methods, such as a twin roll casting method, die casting, etc., for example. In particular, since the twin roll casting method enables rapid solidification, internal defects such as oxides and segregates can be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and the like can be reduced when these internal defects originate during plastic working such as rolling. That is, the twin roll casting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casting material excellent in rolling property is obtained. In particular, Mg alloy material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l tend to cause crystallization and segregation during casting, and crystallization and segregation are likely to remain inside even after a casting or the like process. Since segregation etc. can be reduced as mentioned above, it can utilize suitably for Mg alloy materials. Although the thickness of a casting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Since it is easy to produce segregation when it is too thick, 10 mm or less, Furthermore, 5 mm or less, Especially 4 mm or less are preferable. The width of the cast material is at least 1000 mm. Casting materials of a width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manufacturing facility can be used. In this example, the cast elongate cast material is wound into a coil shape to form a cast coil material, which is then provided to the next step. At the time of winding, especially in the casting materia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tart of winding is about 100 ° C. to 200 ° C., even an alloy species such as AZ91 alloy, which tends to be cracked, is easily bent and wound up.

(용체화 처리)(Solubilization)

상기 주조재에 압연을 실시해도 좋지만, 압연 전의 주조재에 용체화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용체화재를 Mg 합금 소재판(1)으로 해도 좋다. 용체화 처리에 의해 주조재의 균질화가 가능해진다. 용체화 처리의 조건은 유지 온도: 350℃ 이상, 바람직하게는 380℃ ~ 420℃, 유지 시간: 30분 ~ 2400분을 들 수 있다. Al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유지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지 시간으로부터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수랭이나 충풍과 같은 강제 냉각 등을 이용하여,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면, 조대한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하고, 압연성이 우수한 판재로 할 수 있다. 용체화 처리를 장척의 주조재에 실시하는 경우, 상기 주조 코일재와 같이, 주조재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상태에서 행하면,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Although the said casting material may be rolled, you may make the molten material obtained by performing the solution treatment on the casting material before rolling as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The solution treatment allows homogenization of the cast material. As for the conditions of a solution treatment, holding temperature: 350 degreeC or more, Preferably 380 degreeC-420 degreeC, holding time: 30 minutes-2400 minutes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time is made longer as the content of Al is higher. In the cooling step from the holding time, when the cooling rate is increased by using forced cooling such as water cooling or air blowing, precipitation of coarse precipitates can be suppressed and the sheet material can be excellent in rollability. When the solution treatment is performed on a long casting material, the casting material can be efficiently heated when the casting material is wound in a coil shape like the casting coil material.

[예열][Preheat]

상기 주조재나 상기 용체화 처리가 실시된 Mg 합금 소재에 압연을 실시하여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Mg 합금 압연재를 제조한다. 압연에 있어서, Mg 합금 소재의 소성 가공성(압연성)을 높이는 것에 덧붙여, 폭 방향으로 압연 상태의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예열을 행해도 좋다. 예열에는, 예컨대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히트 박스(2)와 같은 가열 수단을 이용하면, 장척의 Mg 합금 소재판(1)을 한번에 가열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히트 박스(2)는 코일형으로 권취된 Mg 합금 소재판(1)을 수납할 수 있는 밀폐 용기로서, 정해진 온도의 열풍이 이 용기 내에 순환 공급되어, 이 용기 내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분위기로(爐)이다. 특히, 히트 박스(2)로부터 그대로 Mg 합금 소재판(1)을 인출하여 압연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가열된 Mg 합금 소재판(1)이 압연롤(3)에 접촉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압연롤(3)에 접촉할 때까지 Mg 합금 소재판(1)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 박스(2)는 코일형으로 권취된 Mg 합금 소재판(1)을 수납할 수 있고, 이 Mg 합금 소재판(1)을 조출 및 권취할 수 있는 릴(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히트 박스(2)에 Mg 합금 소재판(1)을 수납하여, 특정 온도로 가열한다. 또, 도 1의 (B)는 코일형으로 권취된 Mg 합금 소재판(1)을 히트 박스(2) 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로는 폐쇄하여 이용되지만, 이해하기 쉽도록 앞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The cast material or the Mg alloy material subjected to the solution treatment is rolled to produce an Mg alloy rolled material having desired mechanical properties. In rolling, in addition to improving plastic workability (rollability) of an Mg alloy material, you may preheat, in order not to produce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a rolling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preheating, for example, using a heating means such as the heat box 2 shown in Fig. 1B, the elongated Mg alloy material sheet 1 can be heated at once, and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The heat box 2 is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the coiled Mg alloy material sheet 1, and an atmosphere in which hot ai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circulated and supplied into this containe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t a desired temperature. It is ro. In particular, when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taken out from the heat box 2 and rolled as it is, the time until the heated Mg alloy material sheet 1 contacts the rolling roll 3 is measured. It can shorten and it can suppress effectively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falls until it contacts the rolling roll 3. Specifically, the heat box 2 can accommodate the coiled Mg alloy material sheet 1 and rotatably rotates the reel 10 that can feed and wind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The supporting structure is mentioned. The Mg alloy material plate 1 is accommodated in this heat box 2, and it heats to specific temperature.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wound in a coil shape is housed in the heat box 2, and is actually closed and used, but the front surface is opened for easy understanding. The state is shown.

예열 공정에서는, Mg 합금 소재의 온도가 300℃ 이하가 되도록 가열한다. 히트 박스 등의 가열 수단의 설정 온도는 30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특히, 압연 직전에 있어서, 소재의 표면 온도가 전(全)패스에 걸쳐 150℃ ~ 280℃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g 합금 소재에 다(多)패스의 압연을 실시하면, 가공열에 의해 Mg 합금 소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Mg 합금 소재를 풀어서 압연롤에 접촉할 때까지 Mg 합금 소재의 온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압연 속도(주로 압연 시의 소재의 주행 속도), 가열 수단으로부터 압연롤까지의 거리, 압연롤의 온도, 패스수 등을 고려하여, 가열 수단의 설정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수단의 설정 온도는 150℃ ~ 28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0℃ 이상, 특히 230℃ ~ 280℃가 이용하기 쉽다. 가열 시간은 Mg 합금 소재를 정해진 온도로 가열할 수 있을 때까지로 하면 되지만, 코일형으로 권취된 Mg 합금 코일재에서는, 코일의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의 온도 변동을 저감하여, Mg 합금 코일재 전체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가열 시간은 코일의 중량, 크기(폭, 두께), 권취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In a preheating process, it heats so that the temperature of a Mg alloy material may be 300 degrees C or less. The set temperature of heating means, such as a heat box, can be selected in the range of 300 degrees C or less, In particular, just before rolling, set temperature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raw material may be in the range of 150 degreeC-280 degreeC over all the passes. It is desirable to adjust. Here, when a multipass rolling is performed to Mg alloy material,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temperature of Mg alloy material to rise by processing heat.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Mg alloy material may fall until it loosens an Mg alloy material and contacts a rolling rol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in consideration of the rolling speed (mainly the runn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in rolling), the distance from the heating means to the rolling roll, the temperature of the rolling roll, the number of passes, and the like. As for the preset temperature of a heating means, 150 degreeC-280 degreeC is preferable, Especially 200 degreeC or more, Especially 230 degreeC-280 degreeC is easy to use. The heating time is sufficient until the Mg alloy material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owever, in the Mg alloy coil material wound in a coil shape, the temperature fluctuations in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of the coil are reduced, so that the entire Mg alloy coil member It is preferable to employ | adopt sufficient time so that it may become a uniform temperature. 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heating time suitab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a coil, a magnitude | size (width, thickness), winding number, etc.

압연롤(3)을 통과하기 전에, 예열되어 조출된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가 폭 방향으로 변동하지 않도록, 소재판(1)을 단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5)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재판(1)의 폭 방향의 양단부의 가열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워 냉각되기 쉽기 때문에, 적어도 양단부를 덮도록 하여 폭 방향의 온도가 변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후의 압연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실시하기 쉬워져, 압연 상태에 변동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3, covering the raw material sheet 1 with the protective cover 5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reheated and extracted Mg alloy raw material sheet 1 does not fluctuate in the width direction. desirable. In particular, since the heating state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board 1 is hard to be maintained, and it is easy to cool, it is preferable to cover at least both end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idth direction may not fluctuate. By doing so, subsequent rolling becomes easy to be performed uniform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fluctuations are less likely to occur in the rolling state.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를 압연롤(3)의 통과 전후에 측정한다. 그러기 위한 온도 센서는 압연롤(3)과 릴(10a, 10b)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1의 (A)에 있어서, 지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소재판(1)이 진행하는 방향을 왕로(往路) 방향이라 할 때, 압연롤(3)의 좌측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4bf)가 압연롤(3)을 통과하기 직전의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압연롤(3)의 우측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4bb)가 압연롤(3)을 통과한 직후의 압연판의 표면 온도를 검출한다. 한편, 지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소재판(1)이 진행하는 방향을 복로(復路) 방향이라 할 때, 압연롤(3)의 우측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4bf)가 압연롤(3)을 통과하기 직전의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압연롤(3)의 좌측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4bb)가 압연롤(3)을 통과한 직후의 압연판의 표면 온도를 검출한다.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measured before and after passing the rolling roll 3. A temperature sensor for this purpose is arranged between the rolling roll 3 and each of the reels 10a and 10b. For example, in FIG. 1A,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w material sheet 1 travels from the left side of the paper to the right side is a path direction, the temperature sensor 4bf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olling roll 3 ) Detect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3, and the temperature sensor 4bb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lling roll 3 passes through the rolling roll 3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lling plate immediately after it is de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w material sheet 1 travels from the right side of the paper to the left side is the return direction, the temperature sensor 4bf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lling roll 3 passes through the rolling roll 3.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mmediately before is detected,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lled plate immediately after the temperature sensor 4bb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olling roll 3 passes through the rolling roll 3 is detected. do.

상기한 온도 범위로 예열된 Mg 합금 소재판(1)의 표면 온도를, 압연 전에 온도 센서(4bf)로 측정한다. 이 온도 센서(4bf)의 종류는 소재판(1)에 접촉시켜 측정하는 접촉식 센서여도 좋지만, 소재판(1)에 흠집을 내지 않기 위해서는 비접촉식 센서가 바람직하다. 이 온도 센서(4bf)의 수나 배치 개소는 적어도 소재판(1)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양단부의 3개소를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3개의 온도 센서(4bf)를 중앙부와 양단부에 각각 배치하여,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재판(1)(압연판)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00 ㎜ 간격마다 온도차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100 ㎜마다 판폭에 따른 수의 온도 센서를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이 센서(4bf)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예열의 가열 온도나 후술하는 발열 램프 등의 보조 가열 수단의 가열 온도를 변경하는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저감하기 쉽다.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preheated 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is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4bf before rolling. The type of the temperature sensor 4bf may be a contact senso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aw plate 1 and measured, but a non-contact sensor is preferable in order not to damage the raw plate 1.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suitably the number and arrangement place of this temperature sensor 4bf so that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board 1, and three places of both ends can be measured individually. For example, three temperature sensors 4bf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and both ends, respectively, and it is mentioned to measure each temperat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for every 100 mm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sheet 1 (rolled sheet), a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plate width may be provided every 100 mm. And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is sensor 4bf, it is preferable to perform control, such as chang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aid preheating heating and auxiliary heating means, such as a heat generating lamp mentioned later. By doing s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easy to be reduced.

온도 센서(4bf)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Mg 합금 소재판(1)을 재가열하기 위한 보조 가열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 가열 수단은 발열 램프 등을 들 수 있고, 온도 센서(4bf)보다 릴(10a)(10b)측에 배치한다. 이 보조 가열 수단을 배치하는 수는,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양단부의 2개소를 개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압연에 의해 가열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운, 즉 냉각되기 쉬운 양단부를 개별적으로 온도 제어할 수 있어, 폭 방향으로 온도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auxiliary heating means (not shown) for reheating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4bf. A heating lamp etc. are mentioned as this auxiliary heating means, and are arrange | positioned rath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4bf on the reel 10a, 10b sid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the number which arrange | positions this auxiliary heating means suitably so that at least two places of both ends may be individually he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By doing so, temperature control of both ends which are hard to maintain a heated state by rolling, that is, easy to cool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and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이 재가열을 포함한 예열에 의해, Mg 합금 소재판(1)은 상기 설정 온도 내에서,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 전역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8℃ 이하, 특히 5℃ 이하가 되도록, 온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폭이 1000 ㎜ 이상인 폭넓은 Mg 합금 소재판(1) 등이라도, 폭 방향 전체의 온도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Mg 합금 소재판(1)의 압연 상태에 변동이 잘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 또한 3℃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하는 2점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 분포의 변동을 제어하기 쉽고, 그 결과, Mg 합금 소재판(1)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By preheating including this rehe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8 ° C. or less, in particular 5 ° C. or less, within the set temperature.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as much as possible. By doing so, even if the width | variety of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etc. which are 1000 mm or more in width is small in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a change does not produce easily in the rolling state of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100 mm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6 ° C or less and 3 ° C or less.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oints, it is easy to control the fluctu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and as a result, the fluctu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reduced more effectively. can do.

[압연][Rolling]

히트 박스(2)와 같은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한 Mg 합금 소재판(1)을 히트 박스(2)로부터 조출하고, 압연롤(3)에 공급하여 압연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압연 라인을 구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압연 라인은, 반전 가능한 한쌍의 릴(10a, 10b)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들 한쌍의 릴(10a, 10b) 사이에 배치되고, 주행하는 Mg 합금 소재판(1)을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압연롤(3)을 구비한다. 한쪽의 릴(10a)에 코일형의 Mg 합금 소재판(1)을 설치하여 풀고, Mg 합금 소재판(1)의 일단을 다른 쪽의 릴(10b)에서 권취함으로써, Mg 합금 소재판(1)은 양 릴 사이(10a, 10b)를 주행한다. 이 주행 중, 압연롤(3)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Mg 합금 소재판(1)에 압연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각 릴(10a, 10b)은 각각, 히트 박스(2a, 2b)에 수납되고, 각 릴(10a, 10b)에 권취된 Mg 합금 소재판(1)은 각 히트 박스(2a, 2b)에 의해 가열 가능하다. 그리고, 가열된 Mg 합금 소재판(1)은 한쪽의 릴로부터 풀려서, 한쪽의 히트 박스로부터 배출되고, 다른 쪽의 히트 박스를 향하여 주행하여, 다른 쪽의 릴에 권취된다.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heated by the heating means like the heat box 2 is taken out from the heat box 2, and is supplied to the rolling roll 3 to perform rolling. Specifically, for example, building a rolling line as shown in Fig. 1A is mentioned. The rolling line is disposed between the reversible pair of reels 10a and 10b and the pair of reels 10a and 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so as to sandwich the traveling Mg alloy material sheet 1. A pair of rolling rolls 3 is provided. The coil-shaped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attached to one reel 10a and unwound, and one end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wound by the other reel 10b, thereby obtaining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Travels between both reels 10a and 10b. During this run,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can be roll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rolling rolls 3. In the example shown to FIG. 1A, each reel 10a, 10b is accommodated in the heat box 2a, 2b, respectively, and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wound up in each reel 10a, 10b. Is heatable by each heat box 2a, 2b. Then, the heated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unwound from one reel, discharged from one heat box, traveling toward the other heat box, and wound up on the other reel.

여기서는, Mg 합금 소재판(1)의 양단을 각각, 각 릴(10a, 10b)에 권취하고, 릴(10a, 10b)에 권취된 양단측 영역을 제외한 중간 영역을 압연롤(3)에 도입하여, 복수 패스의 압연을 실시한다. 각 패스의 압연은 1패스마다 릴(10a, 10b)의 회전 방향을 역전하여 행한다. 즉, 리버스 압연을 행한다. 따라서, 최종 패스까지 Mg 합금 소재판(1)을 릴(10a, 10b)로부터 떼어내지 않는다.Here, both ends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are respectively wound on the reels 10a and 10b, and an intermediate region excluding the both end side regions wound on the reels 10a and 10b is introduced into the rolling roll 3 , Multiple passes are rolled. Rolling of each pass is performed by reversing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reels 10a and 10b every one pass. That is, reverse rolling is performed. Therefore,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is not removed from the reels 10a and 10b until the final pass.

한편, 도 1에 있어서 압연롤(3)의 수는 예시이고, Mg 합금 소재판(1)의 주행 방향으로 여러 쌍의 압연롤을 배치시킨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1, the number of the rolling rolls 3 is an illustration,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several pairs of rolling rolls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As shown in FIG.

그리고, 압연롤(3)을 표면 온도가, 구체적으로는 230℃ ~ 290℃의 범위가 되 도록 가열한다. 230℃ 이상으로 함으로써, 소재판(1)을 충분히 가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판을 소성 가공성이 우수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압연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290℃ 이하로 함으로써, 소재판(1)의 결정립경의 조대화나 압연에 의해 도입되는 가공 왜곡의 해방을 억제하여,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압연판을 제조할 수 있다.And the rolling roll 3 is heated so that surface temperature may become 230 degreeC-290 degreeC specifically ,. By setting it as 230 degreeC or more, since the raw material plate 1 can be kept in a fully heated state, a raw material plate can be made into the state excellent in plastic workability, and rolling can be performed favorably. By setting it as 290 degrees C or less, release of the process distortion introduced by coarsening of the grain size of the raw material plate 1 and rolling can be suppressed, and the rolled sheet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can be manufactured.

상기 온도의 범위 내에서, 압연롤 표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온도 제어한다. 압연롤(3)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즉, Mg 합금 압연재의 기계적 특성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압연판의 두께의 변동이나, 이 두께의 변동에 따르는 어긋나게 감기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압연롤(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는 5℃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ithin the range of the said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is carried out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surface may be 10 degrees C or less.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3 small. That i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can be mad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fluctuations in the thickness of the rolled plate and the phenomenon of unwinding due to the variation in the thickness.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is rolling roll 3,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5 degrees C or less.

게다가, 압연롤(3)의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 또한 3℃ 이하가 되도록 온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하는 2점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압연롤(3)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 분포의 변동을 제어하기 쉽고, 그 결과, Mg 합금 소재판(1)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2점의 거리는 100 ㎜ 이상이어도 좋고 이하여도 좋지만, 짧을수록 폭 방향 전체의 온도 변동을 제어하기 쉬워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points | pieces separated by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3 may be 6 degrees C or less, and 3 degrees C or less.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oints, it is easy to control the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whole rolling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3, and as a result, the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have. Although the distance of these two points may be 100 mm or more, or less, it is preferable, so that it is easy to control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as it is short.

압연롤(3)의 온도는 온도 센서(4r)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온도 센서(4r)도 롤(3)에 접촉시켜 측정하는 접촉형 센서여도 좋고, 비접촉형 센서여도 좋다. 온도 센서(4r)를 배치하는 수나 위치는 롤(3)의 폭 방향의 적어도 중앙부 및 양단부의 3개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3개의 온도 센서(4r)를 중앙부와 양단부에 각각 배치하여,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압연롤(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00 ㎜ 간격마다 온도차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100 ㎜마다 압연롤 폭에 따른 수의 온도 센서를 설치하면 된다.The temperature of the rolling roll 3 can be confirm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r. This temperature sensor 4r may also be a contact type sensor which contacts and measures the roll 3, and a non-contact type sensor may be sufficient as i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the number and position which arrange | position the temperature sensor 4r so that at least 3 center part and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 3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three temperature sensors 4r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and both ends, respectively, and the thing which measures each temperature is mention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number according to the rolling roll width every 100 mm, in the case of controlling a temperature difference for every 100 mm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3.

또한, 압연롤(3)을 통과한 직후의 소재판(1)의 온도도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4bb)로 확인한다. 온도 센서(4bb)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압연롤(3)의 가열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등의 온도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보다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온도 센서(4bb)의 측정에 의해, Mg 합금 소재판(1)의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plate 1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3 is also confirm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bb.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such as chang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rolling roll 3 suitably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bb. By doing s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1 can be reduced more easily. By the measurement of this temperature sensor 4bb, it is preferable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wo points | pieces which separated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board 1 is 6 degrees C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if it is 3 degrees C or less.

또한, 코일형으로 권취된 소재판(1)의 전체는 풀린 일부분에 비교하여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상기 반송 시나 설치 시에는 비교적 온도가 저하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릴(10)이나 서플라이 장치로부터 조출한 후, 압연롤(3)에 접촉할 때까지의 온도 저하는, 비교적 커질 우려가 있다. 그 이유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재의 일부분이며, 열용량이 작은 점이나, 마그네슘 합금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인 점에서, 냉각되기 쉬운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압연롤(3)에 접할 때까지의 소재판(1)의 온도의 저하 정도는 소재판(1)의 두께나 소재판(1)의 주행 속도 등에 영향을 받아, 판두께가 얇을수록, 또한 압연 속도가 느릴수록 이 온도가 저하하기 쉽다. 소재판(1)의 표면 온도가 170℃보다 낮아지기 전,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 특히 210℃ 이상에서 압연롤(3)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압연롤의 회전 속도[주속(周涑)]는 소재의 주행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되고, 예컨대 5 m/분 ~ 200 m/분이면, 효율적으로 압연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hole of the raw material sheet 1 wound by the coil shape has a large heat capacity compared with the unwound part, it is considered that temperature is hard to fall comparatively at the time of the said conveyance or installation. On the other hand, after feeding out from the reel 10 or a supply apparatu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temperature fall until it may contact the rolling roll 3 may become comparatively large. As a reason for this, it is conceivable that it is easy to cool because it is a part of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 capacity is small, or the magnesium alloy is a met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sheet 1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 3 i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the raw material sheet 1, the travel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sheet 1, and the like. The slower the rate, the easier the temperature is to fall. Befo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sheet 1 becomes lower than 170 degreeC, it is preferable to supply to the rolling roll 3 at 180 degreeC or more, especially 210 degreeC or more. 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circle speed) of a rolling roll suitably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a raw material, and roll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s it is 5 m / min-200 m / min, for example.

압연롤(3) 표면의 온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기 위해, 압연롤(3)은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영역을 갖고, 각 영역마다 온도 제어한다. 그 수단으로서, 예컨대 카트리지 히터와 같은 히터를 내장시키거나(히터식), 가열한 오일(열매유) 등의 액체를 압연롤 내에 도입 혹은 롤 내에서 순환시키거나(액체 순환식), 온도를 조절한 가열 유체를 직접 부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가열 유체를 압연롤(3)에 직접 부착시키는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열풍 등의 기체를 분사하는(열풍식) 것이나, 후술하는 윤활제 등을 도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압연롤(3)의 내부에 가열한 오일을 순환시켜 이 롤을 가열하면, 압연롤(3)에 있어서 폭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빠짐없이 가열 액체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영역마다 압연롤(3)의 내부로부터 조속히 정해진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이 롤의 폭 방향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를 전술한 범위로 억제하기 쉽다. 순환시키는 액체의 온도는 압연롤(3)의 크기(폭, 직경)나 재질, 상기 영역의 폭이나 위치에 따르기도 하지만, 압연롤(3)의 설정 표면 온도+10℃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의 순환에는, 예컨대 수랭 구리 등에 이용되고 있는 액체 순환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압연롤(3)의 폭 방향의 온도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히터식에서는, 복수개의 히터를 상기 영역마다 조정하여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 상태가 유지되기 쉬운 롤 중앙부와, 가열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운 단부에서 수납하는 히터의 개수를 바꾸거나, 히터의 온도를 바꾸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롤(3)의 회전축에서의 각 히터측과 전원측의 전기적 접속에는, 슬라이딩 접점을 이용하면 된다. 열풍식에서는, 기체의 온도, 분사량, 분출구의 수, 분출구의 배치 위치 등을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rolling roll 3 as mentioned above, the rolling roll 3 has three or more area |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emperature-controls for every area | region. As a means thereof, for example, a heater such as a cartridge heater is incorporated (heater type), a liquid such as heated oil (solvent oil) or the like is introduced into the rolling roll or circulated in the roll (liquid circulation type), or the temperature is adjusted. Direct attachment of one heating fluid. As a specific means of directly attaching a heating fluid to the rolling roll 3, spraying gas, such as a hot air (hot air type), and apply | coating the lubricant etc. which are mentioned later are mentioned. In particular, when the heated oil is circulated inside the rolling rolls 3 and the rolls are heated, the heating liquid can be filled in the rolling rolls 3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promptly from the inside of the rolling roll 3 for each region, and it is easy to sup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 in the above-described range. Al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to circulate depends on the magnitude | size (width, diameter) of a rolling roll 3, a material, and the width | variety or position of the said area | region, the set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lling roll 3 + about 10 degreeC is preferable. The liquid circulation mechanism used for water-cooled copper etc. can be applied to circulation of the said liquid, for example.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3, it is preferable to adjust and accommodate several heater for every said area in a heater type | mol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number of heaters accommodated in the roll center part which a heating state is easy to maintain, and the edge part which is hard to maintain a heating state, or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a heater. A sliding contact may b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heater side and the power supply side i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ing roll 3. In the hot air type,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the injection amount, the number of jet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jets,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각 패스의 압연에 있어서 1패스당의 압하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1패스당의 압하율은 10% 이상 40% 이하, 총압하율은 75% 이상 8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하율로 복수회(다패스)의 롤압연을 소재에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판두께로 하거나, 평균 결정립경을 작게 하거나, 프레스 가공성을 높이거나 할 수 있는 데다가 표면 균열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rolling of each pass, the reduction ratio per pas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The reduction ratio per pass is preferably 10% or more and 40% or less, and the total reduction ratio is preferably 75% or more and 85% or less. By performing roll rolling a plurality of times (multipass) to the material at such a reduction ratio, the desired sheet thickness, the average grain size can be reduced, the press work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surface cracks can be suppressed. Can be.

압연에 있어서, 윤활제를 이용하면, 압연롤과 소재의 마찰을 저감하여, 양호하게 압연을 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압연롤에 적절하게 도포하면 된다. 다만, 윤활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소재에 잔존한 윤활제가 다음의 예열 공정에서의 가열이나 압연롤과의 접촉에 의한 가열에 의해 눌어붙어 변질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이러한 변질층이 존재하면, 소재가 균일적으로 압연되지 않고, 두께에 변동이 생기거나, 이 두께의 변동에 의해 소재가 사행하거나, 한 방향으로 치우쳐 주행하거나(옆으로 흐르거나) 하여, 그 결과, 어긋나 감기는 것이 커지기 쉽다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자세한 메카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소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 양가장자리부측에 윤활제가 잔존하기 쉽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래서, 윤활제는 압연롤의 가열 온도의 최대치: 290℃, 여유를 고려하여, 300℃ 정도에서 변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재에 윤활제나 변질층이 국소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연롤에 소재를 공급하기 직전에, 소재 표면의 윤활제를 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압연롤의 상류측에, 솔이나 와이퍼 등의 고르게 하는 수단을 배치해 두고, 소재 표면의 윤활제의 불균일을 균일화하는 것을 들 수 있다.In rolling, when a lubricant is used, friction between a rolling roll and a raw material can be reduced, and rolling can be performed favorably.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pply a lubricant to a rolling roll suitably.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lubrica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lubricant remaining in the raw material may be squeezed out by heating in the next preheating step or by contact with a rolling roll, resulting in a deteriorated layer. In addition, when such a deteriorated layer is present, the material is not uniformly rolled, and a variation occurs in the thickness, or due to the variation in the thickness, the raw material meanders or runs in one direction and runs (flows sideways), As a result, knowledge has been obtained that shifting and winding are likely to be large. Moreover, although the detailed mechanism is not clear, the knowledge that a lubricant is easy to remain | survive on both edge parts side rather tha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a raw material was acquir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value of the heating temperature of a rolling roll: 290 degreeC and a spac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in which a deterioration layer is not formed at about 300 degreeC. Moreover, in order to prevent the presence of a lubricant and a deterioration layer locally in a raw material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justify the lubricant of the surface of a raw material immediately before supplying a raw material to a rolling roll. For example, it arrange | positions a smoothing means, such as a brush and a wiper, on the upstream side of a rolling roll, and makes uniform the nonuniformity of the lubricant on the surface of a raw material.

압연 시에 소재판(1)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압연롤(3)의 전후에 핀치롤(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할 수 있다. 핀치롤과의 접촉에 의한 소재의 온도 저하를 막기 위해, 핀치롤은 200℃ ~ 250℃ 정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raw material sheet 1 at the time of rolling, a pinch roll (not shown) can be arrange | positioned before and behind the rolling roll 3.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fall of the raw material by contact with a pinch roll, it is preferable to heat a pinch roll about 200 degreeC-250 degreeC.

(권취)(Winding)

상기 압연이 실시되어 얻어진 압연판은 코일형으로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예열 공정, 압연 공정, 이 권취 공정을 포함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반복 행하여, 원하는 횟수의 롤압연을 행한 후, 얻어진 압연판(마그네슘 합금판)을 최종적으로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다. 얻어진 코일재를 구성하는 마그네슘 합금판은 압연에 의한 도입된 가공 왜곡(전단대)이 존재하는 조직을 갖는다. 이러한 조직을 가짐으로써, 상기 마그네슘 합금판은 프레스 가공과 같은 소성 가공 시에 동적 재결정화를 발생시켜, 소성 가공성이 우수하다. 특히, 최종 패스의 압연에 있어서, 권취 직전의 압연판의 온도를, 재결정시키지 않는 온도, 구체적으로는 150℃ 이하로 하여 권취하면, 평탄도가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판이 얻어지는 데다가, 상기 가공 왜곡이 충분히 잔존하는 조직으로 할 수 있다. 권취 직전의 압연판을 재결정시키지 않는 온도로 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주행 속도를 조정해도 좋지만, 충풍 등의 강제 냉각에 의해 압연판을 냉각시키면 단시간에 정해진 온도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The rolled plate obtained by performing the said rolling is wound up in coil form. Then, the preheating step, the rolling step, and the series of steps including the winding step are successively repeated, and after rolling the desired number of times, the obtained rolled plate (magnesium alloy plate) is finally wound into a coil shape. The magnesium alloy plate which comprises the obtained coil material has the structure which the processing distortion (shear stage) introduce | transduced by rolling exists. By having such a structure, the said magnesium alloy plate produces | generates dynamic recrystallization at the time of plastic working like press work, and is excellent in plastic workability. In particular, in the rolling of the final pas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olled sheet immediately before the winding is wound at a temperature not to be recrystallized, specifically, 150 ° C. or lower, a magnesium alloy sheet having excellent flatness is obtained, and the processing distortion remains sufficiently. You can do it with an organization. In order to se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olled sheet immediately before the winding is not recrystallized, the runn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may be adjusted. However, if the rolled sheet is cooled by forced cooling such as air blast, the temperature can be set in a short time and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교정 공정)(Calibration process)

상기 권취된 코일재는 그대로 제품(대표적으로는 소성 가공재와 같은 마그네슘 합금재의 소재)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코일재를 풀어서, 압연판에 정해진 굽힘을 부여하여, 압연에 의해 도입된 가공 왜곡을 교정할 수 있다. 교정에는 롤러 레벨러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롤러 레벨러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 배치된 롤러를 구비하고, 이 롤러 사이에 소재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굽힘을 부여하는 것이다. 특히 복수의 롤러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롤러 사이에 압연판을 통과시켜, 압연판에 반복 굽힘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을 행함으로써, 평탄도가 더욱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판으로 할 수 있는 데다가, 상기 가공 왜곡이 충분히 존재하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과 같은 소성 가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롤러에 가열 수단, 예컨대 히터를 구비하고, 가열한 롤러에 의해 압연판에 굽힘을 부여하는 온간 교정으로 하면, 균열 등이 잘 생기지 않는다. 상기 롤러 온도는 100℃ 이상 300℃ 이하가 바람직하다. 교정에 의해 부여하는 굽힘량의 조정은 롤러의 크기, 수, 대향 배치되는 롤러 사이의 간격(갭), 소재의 진행 방향으로 인접하는 롤러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교정을 실시하기 전에 소재가 되는 마그네슘 합금판(압연판)을 미리 가열해도 좋다. 구체적인 가열 온도는 100℃ 이상 2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을 들 수 있다.The coiled coil material can be used as a product (typically a material of a magnesium alloy material such as a plastic working material) as it is. Moreover, this coil material can be unwound, a predetermined bending is given to a rolled board, and the process distortion introduced by rolling can be corrected. A roller leveler can be used suitably for straightening. The roller level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f opposing rollers, and imparts bending by inserting a raw material between the rollers.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roller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nd a rolled plate can be passed between these rollers, whereby repeated bending can be applied to the rolled plate. By performing such correction, a magnesium alloy sheet having even more flatness can be obtained, and since the processing distortion is sufficiently present, it is excellent in plastic workability such as press working. When the roller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for example, a heater, and is subjected to warm calibration to give bending to the rolled plate by the heated roller, cracks and the like are less likely to occur. The roller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 C or more and 300 ° C or less. Adjustment of the amount of bending provided by the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size, number of rollers, the gap (gap) between the rollers arranged oppositely,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adjac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and the like. Before performing the calibration, the magnesium alloy sheet (rolled sheet) serving as a raw material may be heated in advance. The specific heating temperature is not less than 100 ° C and not more than 250 ° C, preferably not less than 200 ° C.

교정 공정을 거친 마그네슘 합금판은 그대로 제품(대표적으로는 소성 가공재와 같은 마그네슘 합금재의 소재)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연마 벨트 등을 이용하여 표면 연마를 행해도 좋다.The magnesium alloy plate subjected to the calibrating process can be used as it is as a product (typically, a magnesium alloy material such as a sintering material). Moreover, in order to make surface state favorable, you may perform surface grinding | polishing using a polishing belt etc.

<작용 효과> &Lt; Action >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Mg 합금 압연재, 및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Mg alloy rolling material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Mg alloy rolling material,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1) 폭이 1000 ㎜ 이상인 폭넓은 Mg 합금 압연재이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그 때문에, 이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할 때, 어느 개소를 가공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1) It is a wide Mg alloy rolled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when plastic-working on this rolling material, even if it processes any part, a substantially uniform process can be performed.

(2) 폭 방향으로 기계적 특성이 균일하기 때문에, 1장의 압연재를 폭 방향으로 분할하여 폭이 좁은 Mg 합금 압연판을 복수개 제작해도, 동일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압연재를 얻을 수 있다.(2) Si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a single rolled material is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narrow Mg alloy rolled sheets are produced, the rolled material having the same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3) 전술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압연롤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폭이 1000 ㎜ 이상이어도, 폭 방향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폭이 1000 ㎜ 이상이고, 폭 방향으로 기계적 특성이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를 제조할 수 있다.(3)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even if the width | variety is 1000 mm or more by making smal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and uniform mechanical property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시험예> <Test Example>

시험예로서, 다음의 Mg 합금 압연재를 제작하고, 기계적 특성을 조사한다. 우선, 쌍롤 주조에 의해, Mg-9.0 질량% Al-1.0 질량% Zn을 함유하는 AZ91 상당의 조성인 Mg 합금 소재판과, Mg-3.0 질량% Al-1.0 질량% Zn을 함유하는 AZ31 상당의 조성인 Mg 합금 소재판을 제조한다. 이들 각 소재판의 판두께는 5.0 ㎜, 판폭은 1020 ㎜, 길이는 1000 ㎜이다. 이들 각 시료에는, 압연 전에 400℃에서 20시간의 용체화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압연을 실시하여, AZ91로 이루어지는 시료 1 ~ 3과, AZ31로 이루어지는 시료 4 ~ 6을 제작했다.As a test example, the following Mg alloy rolling material is produced,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xamined. First, Mg alloy material sheet which is a composition equivalent to AZ91 containing Mg-9.0 mass% Al-1.0 mass% Zn and a composition equivalent to AZ31 containing Mg-3.0 mass% Al-1.0 mass% Zn by twin roll casting Mg alloy plate is produced.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these raw material boards is 5.0 mm, plate | board width is 1020 mm, and length is 1000 mm. Each of these samples is subjected to a solution treatment for 20 hours at 400 ° C. before rolling. Thereafter, roll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below to prepare Samples 1 to 3 made of AZ91 and Samples 4 to 6 made of AZ31.

(압연 조건)(Rolling conditions)

·복수 패스 압연 압하율: 15 ~ 25%/패스Multiple pass rolling reduction rate: 15-25% / pass

·최종 두께: 1.0 ㎜까지 압연(폭: 1020 ㎜) 총압하율: 80%Final thickness: rolled to 1.0 mm (width: 1020 mm) Total pressure drop: 80%

·소재판의 예열(가열로 내, 가열 시간: 30분)Preheating of the material board (in the furnace, heating time: 30 minutes)

·압연롤의 가열 방법: 롤 외부에서 가열Heating method of rolling roll: Heating outside the roll

압연롤의 가열 방법은, 압연롤의 폭 방향을 균등하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 3개의 영역에 온도를 조정한 윤활제를 직접 도포시킴으로써 행했다. 시료 1에서는, 3개의 영역의 중앙에 250℃ ~ 255℃로 조절한 윤활제를 도포하고, 그 양측에 255℃ ~ 260℃로 조절한 윤활제를 도포하여, 롤 표면 온도를 폭 방향으로 균일해지도록 했다. 한편, 시료 4에서는, 상기 중앙에 230℃ ~ 235℃로 조절한 윤활제를 도포하고, 그 양측에 235℃ ~ 240℃로 조절한 윤활제를 도포하여, 롤 표면 온도를 폭 방향으로 균일해지도록 했다.The heating method of a rolling roll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equally into three area | regions, and apply | coating the lubricant which adjusted the temperature directly to those three area | regions. In the sample 1, the lubricant adjusted to 250 degreeC-255 degreeC was apply | coated to the center of three area | regions, and the lubricant adjusted to 255 degreeC-260 degreeC was applied to the both sides, and roll surface temperature was mad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 On the other hand, in sample 4, the lubricant adjusted to 230 degreeC-235 degreeC was apply | coated to the said center, and the lubricant adjusted to 235 degreeC-240 degreeC was applied to the both sides, and roll surface temperature was mad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압연을 실시할 때에, 압연 직전의 Mg 합금 소재판의 표면, 압연롤 표면, 압연 직후의 Mg 합금 압연판의 표면의 온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구했다. 압연롤의 표면에 있어서 소재판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서, 이 롤의 폭 방향(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임의의 직선을 긋고, 이 직선 상에서 복수점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는, Mg 합금 소재판, 압연롤, Mg 합금 압연재의 각각의 표면에서 상기 임의의 직선을 긋고, 이 직선 상에서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10 ㎜의 점과, 그 점으로부터 100 ㎜씩 등간격으로 10점의 총 11점을 취하여 각 점의 온도를 비접촉식 온도 센서로 측정했다. 그 때, 압연롤의 폭 방향의 온도는, 윤활제 자체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도록, 압연롤의 표면 중, 윤활제의 분사 영역에서 벗어난 개소의 온도를 계측한다. 이들 값을 표 1 ~ 표 3에 나타낸다.When 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g alloy raw material board immediately before rolling, the rolling roll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Mg alloy rolling board immediately after rolling was measured and calculated | required as follows. An arbitrary straight line is drawn along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is roll in the area | region which a raw material plate contacts on the surface of a rolling roll, and the temperature of several points is measured on this straight line. Here, the arbitrary straight lines are drawn on the surfaces of the Mg alloy material sheet, the rolling roll, and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and on this straight line, a point of 10 mm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10 points at equal intervals of 100 mm from the point. A total of 11 points were taken and the temperature of each point was measured with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In that case, the temperature of the width direction of a rolling roll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ich deviated from the injection | pouring area of a lubricant among the surfaces of a rolling roll so that the temperature of lubricant itself may not be measured. These values are shown in Tables 1-3.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기계적 특성 평가][Mechanical Characterization]

얻어진 Mg 합금 압연재의 시료 1 ~ 6에 대하여, 이하의 특성에 관해서 평가하였다.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bout the samples 1-6 of the obtained Mg alloy rolling material.

[저면 피크비][Base Peak Ratio]

시료 1 ~ 6의 저면 피크비를, X선 회절의 피크 강도에 의해 측정했다. 이 측정은, 각 시료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50 ㎜(단부), 500 ㎜(중앙부), 950 ㎜(단부)의 지점의 표면에 대하여 X선 회절시킴으로써, (002)면, (100)면, (101)면, (102)면, (110)면, (103)면의 피크 강도를 구했다. 그 결과로부터, 단부와 중앙부의 저면 피크비(OE, OC)를 각각 구하고, 그 비율(OE/OC)도 구했다. 이 저면 피크비(OC, OE)는 중앙부와 단부에서의 상기 각 면의 X선 회절의 피크 강도를 각각 IC(002), IC(100), IC(101), IC(102), IC(110), IC(103), IE(002), IE(100), IE(101), IE(102), IE(110), IE(103)으로 할 때, 다음 식으로 표기된다.The bottom peak ratio of Samples 1-6 was measured by the peak intensity of X-ray diffraction. This measurement is performed by X-ray diffra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50 mm (end), 500 mm (center), and 950 mm (end) points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sample, and the (002) plane, the (100) plane, ( The peak intensities of the 101 plane, the (102) plane, the (110) plane, and the (103) plane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s, the bottom peak ratios (O E , O C ) of the end and the center portion were obtained, respectively, and the ratio (O E / O C ) was also obtained. The bottom peak ratios (O C , O E ) represent the peak intensities of the X-ray diffractions of the respective surfaces at the center and the end, respectively, as follows: I C (002), I C (100), I C (101), and I C ( 102), I C (110), I C (103), I E (002), I E (100), I E (101), I E (102), I E (110), I E (103) When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is written.

저면 피크비 OC: IC(002)/{IC(100)+IC(002)+IC(101)+IC(102)+IC(110)+IC(103)}Bottom Peak Ratio O C : I C (002) / {I C (100) + I C (002) + I C (101) + I C (102) + I C (110) + I C (103)}

저면 피크비 OE: IE(002)/{IE(100)+IE(002)+IE(101)+IE(102)+IE(110)+IE(103)}Bottom peak ratio O E : I E (002) / {I E (100) + I E (002) + I E (101) + I E (102) + I E (110) + I E (103)}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평균 결정립경][Average grain size]

시료 1 ~ 6의 평균 결정립경을, 「철-결정 입도의 현미경 시험 방법 JIS G 0551(2005)」에 기초하여 측정했다. 이 측정은, 각 시료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50 ㎜(단부), 510 ㎜(중앙부), 970 ㎜(단부)의 지점에서,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관해서 행했다. 그 결과로부터, 단부와 중앙부 간의 평균 결정립경비(DE/DC)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The average grain size of Samples 1-6 was measured based on "microscope test method JIS G 0551 (2005) of iron-crystal grain size". This measurement was performed about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a rolling direction at the point of 50 mm (end part), 510 mm (center part), and 970 mm (end 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end of each sample. From the results, the average grain size ratio (D E / D C )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was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인장 시험][Tensile test]

시료 1 ~ 6의 연신, 인장 강도, 0.2% 내력을,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JIS Z 2241(1998)」에 기초하여 측정했다. 이 측정 시에, 시료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50 ㎜(단부), 510 ㎜(중앙부), 970 ㎜(단부)의 지점에서, JIS 13B호 시험편(JIS Z 2201(1998))을, 그 긴 쪽이 압연 방향을 따르도록 잘라내고, 그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단부와 중앙부의 연신비(EE/EC), 인장 강도비(TsE/TsC), 0.2% 내력비(PsE/PsC)를 각각 구했다.The stretching, tensile strength, and 0.2% yield strength of Samples 1 to 6 were measured based on "Metal Material Tensile Testing Method JIS Z 2241 (1998)". At the time of this measurement, the JIS 13B test piece (JIS Z 2201 (1998)) is longer at the points of 50 mm (end), 510 mm (center), and 970 mm (end) from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sample. It cut out along a rolling direction, and the tension test was done about the test piece. From the results, the draw ratios (E E / E C ), the tensile strength ratios (Ts E / Ts C ), and the 0.2% yield strength ratios (Ps E / Ps C ) were obtained, respectively.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표 5에 나타낸다.The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5.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결과] [result]

이상의 결과로부터, 폭이 1000 ㎜ 이상인 폭넓은 Mg 합금 소재를 압연할 때, 압연롤 표면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것 외에도, 압연 전에 Mg 합금 소재의 표면의 폭 방향 전체의 온도차도 작게 함으로써, 압연 상태의 변동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고, Mg 합금 소재의 폭 방향으로 균일한 압연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압연 상태의 변동을 저감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가 얻어지는 것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 when rolling the wide Mg alloy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it turned out that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rolling state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hol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surfa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by chang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Mg alloy material before rolling, the variation in the rolling state can be further reduced, and uniform rolling can be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g alloy material. there was. B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rolling state in this manner, it was also found that an Mg alloy rolled material having a uniform 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또,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can be suitab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류의 구성 부재, 특히 휴대용이나 소형의 전기·전자 기기류의 하우징, 고강도가 요구되는 여러 분야의 부재, 예컨대 자동차나 항공기와 같은 수송 기기의 구성 부재의 소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은, 폭이 1000 ㎜ 이상이고, 기계적 특성이 폭 방향으로 균일한 Mg 합금 압연재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er of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housings of portable and small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members of various fields requiring high strength, for example, materials of structural members of transport equipment such as automobiles and aircrafts. It can be used suitab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suitably for manufacture of the Mg alloy rolled material whose width is 1000 mm or more and a mechanical characteristic is uniform in a width direction.

1: Mg 합금 소재판 2, 2a, 2b: 히트 박스
3: 압연롤 4bf, 4bb, 4r: 온도 센서
5: 보호 커버 10, 10a, 10b: 릴
1: Mg alloy plate 2, 2a, 2b: heat box
3: rolling roll 4bf, 4bb, 4r: temperature sensor
5: protective cover 10, 10a, 10b: reel

Claims (13)

마그네슘 합금 소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폭은 1000 ㎜ 이상이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서의 (002)면, (100)면, (101)면, (102)면, (110)면, (103)면의 X선 회절의 피크 강도를 각각 IC(002), IC(100), IC(101), IC(102), IC(110), IC(103),
단부에서의 상기 각 면의 X선 회절의 피크 강도를 각각 IE(002), IE(100), IE(101), IE(102), IE(110), IE(103)으로 하고,
상기 중앙부 및 단부의 각각에서의 저면 피크비(OC, OE)를 이하의 식으로 할 때,
저면 피크비 OC: IC(002)/{IC(100)+IC(002)+IC(101)+IC(102)+IC(110)+IC(103)}
저면 피크비 OE: IE(002)/{IE(100)+IE(002)+IE(101)+IE(102)+IE(110)+IE(103)}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저면 피크비의 비율(OE/OC)은 0.89≤OE/OC≤1.1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In the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formed by rolling a magnesium alloy material with a rolling roll,
The width of 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is 1000 mm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The peak intensities of the X-ray diffraction of the (002) plane, the (100) plane, the (101) plane, the (102) plane, the (110) plane, and the (103) plane at the center are respectively set to I C (002) and I C ( 100), I C 101, I C 102, I C 110, I C 103,
The peak intensities of the X-ray diffractions of the respective surfaces at the ends are respectively I E (002), I E (100), I E (101), I E (102), I E (110), and I E (103). With
When the bottom peak ratios (O C , O E ) at each of the center and the end are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Bottom Peak Ratio O C : I C (002) / {I C (100) + I C (002) + I C (101) + I C (102) + I C (110) + I C (103)}
Bottom peak ratio O E : I E (002) / {I E (100) + I E (002) + I E (101) + I E (102) + I E (110) + I E (103)}
The ratio (O E / O C ) of the bottom peak ratio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satisfies 0.89≤O E / O C ≤1.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서,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평균 결정립경을 각각 DC, D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평균 결정립경비(DE/DC)는 0.7≤DE/DC≤1.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grain size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rolling direction at the center and the end is D C and D E , respectively.
Average grain guard (D E / D C)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s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0.7≤D E / D C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연신을 각각 EC, E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연신비(EE/EC)는 2/3≤EE/EC≤3/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The said central part and the edge part WHEREIN: When extending | stretching in the tension test of a rolling direction is E C and E E , respectively,
The draw ratio (E E / E C )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satisfies 2 / 3≤E E / E C ≤ 3/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인장 강도를 각각 TsC, Ts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인장 강도비(TsE/TsC)는 0.9≤TsE/TsC≤1.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WHEREIN: When the tensile strength in the tension test of a rolling direction is set to Ts C and Ts E , respectively, in any one of Claims 1-3,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on-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Ts E / Ts C) is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which satisfy the 0.9≤Ts E / Ts C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단부에서, 압연 방향의 인장 시험에서의 0.2% 내력을 각각 PsC, PsE로 할 때,
상기 단부와 중앙부의 0.2% 내력비(PsE/PsC)는 0.9≤PsE/PsC≤1.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
The 0.2% yield strength in the tension test of a rolling direction is set to Ps C and Ps E in any one of Claims 1-4, respectively.
The 0.2% yield ratio (Ps E / Ps C ) of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satisfies 0.9 ≦ Ps E / Ps C ≦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는, 알루미늄을 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contains 5% by mass to 12% by mass of aluminum.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에 소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부재.A magnesium alloy member produced by subjecting 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o plastic working. 마그네슘 합금 소재를 압연롤로 압연하여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를 제조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폭은 1000 ㎜ 이상이며,
상기 압연롤은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영역을 갖고,
상기 압연롤의 표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각 영역마다 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in which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is rolled with a rolling roll to produce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has a width of at least 1000 mm,
The rolling roll has three or more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Temperature control is carried out for every area | region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said rolling roll may be 10 degrees C or les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 내에 온도를 조정한 열매유(熱媒油)를 도입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introducing a heat oil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in the rolling roll.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의 표면에 온도를 조정한 가열 유체를 부착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attaching the heating fluid which adjusted temperature to the surface of the said rolling rol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of Claim 8 or 9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의 표면에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The magnesium alloy press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such that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100 mm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rolling roll is 6 ° C or less. Method of manufacturing softwood.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을 통과하기 직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표면에서, 폭 방향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가 8℃ 이하가 되도록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The surface of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s is preheate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is 8 ° C. or less. Method for producing a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을 통과하기 직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표면에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예열하고,
상기 온도 제어는, 상기 압연롤을 통과한 직후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표면에서, 폭 방향으로 100 ㎜ 떨어진 2점의 온도차가 6℃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압연재의 제조 방법.
The prehea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where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100 mm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magnesium alloy material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 is 6 ° C or less,
The sai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aid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said rolling roll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2 points | pieces separated by 100 mm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6 degrees C or les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gnesium alloy roll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KR1020137020228A 2011-02-14 2012-02-13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KR1017996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8607A JP5776873B2 (en) 2011-02-14 2011-02-14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JPJP-P-2011-028607 2011-02-14
PCT/JP2012/053308 WO2012111632A1 (en) 2011-02-14 2012-02-13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26A true KR20140002726A (en) 2014-01-08
KR101799619B1 KR101799619B1 (en) 2017-11-20

Family

ID=4667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228A KR101799619B1 (en) 2011-02-14 2012-02-13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23523A1 (en)
JP (1) JP5776873B2 (en)
KR (1) KR101799619B1 (en)
CN (1) CN103379968B (en)
DE (1) DE112012000802T5 (en)
TW (1) TW201247336A (en)
WO (1) WO201211163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54A1 (en) * 2014-02-21 2015-08-2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agnesium alloy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60006320A (en) 2014-07-08 2016-01-19 주식회사 포스코 Magnesium alloy pla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6874B2 (en) * 2011-02-14 2015-09-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rolled material
TWI526258B (en) * 2013-12-27 2016-03-21 Continuous linear rolling equipment for linear slides
CN106862272B (en) * 2015-12-14 2020-01-3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high-strength high-ductility magnesium alloy plates
DE102017220416A1 (en) * 2016-11-18 2018-05-24 Sms Group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ntinuous band-shaped composite material
US11906483B2 (en) * 2019-05-15 2024-02-20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edge strength of sheet of material having detection mechanism for optically measuring strain in sheet
CN113145641B (en) * 2021-03-19 2023-05-23 兴化市广福金属制品有限公司 Stainless steel hot rolling forming device
CN117922021A (en) * 2024-03-20 2024-04-26 城资泰诺(山东)新材料科技有限公司 Hot-press forming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rmoplastic plate multilayer composit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256B2 (en) * 2000-01-06 2009-06-10 日本金属株式会社 Warm plastic working method
JP4730601B2 (en) * 2005-03-28 2011-07-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Magnesium alloy plate manufacturing method
JP4692882B2 (en) * 2005-08-11 2011-06-0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Magnesium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sium plate
CN100463732C (en) * 2006-05-22 2009-02-25 苏州有色金属加工研究院 Casting-rolling process and equipment for magnesium alloy slab
EP3026137B1 (en) * 2007-06-28 2018-02-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agnesium alloy plate
JP5660374B2 (en) * 2009-11-24 2015-0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Magnesium alloy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CN101811136A (en) * 2010-04-23 2010-08-25 山西银光华盛镁业股份有限公司 Magnesium alloy wide plate casting-roll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54A1 (en) * 2014-02-21 2015-08-2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agnesium alloy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60006320A (en) 2014-07-08 2016-01-19 주식회사 포스코 Magnesium alloy pla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6873B2 (en) 2015-09-09
CN103379968B (en) 2015-07-15
DE112012000802T5 (en) 2013-11-14
CN103379968A (en) 2013-10-30
WO2012111632A1 (en) 2012-08-23
US20130323523A1 (en) 2013-12-05
KR101799619B1 (en) 2017-11-20
JP2012166230A (en) 2012-09-06
TW201247336A (en) 201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726A (en)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KR101466143B1 (en)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sheet and magnesium alloy coil stock
KR101404826B1 (en) Magnesium alloy coil stock,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coil stock, and magnesium alloy structural member
CN102471859B (en) Coi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7168890A1 (en) Al-mg-si-based alloy material, al-mg-si-based alloy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mg-si-based alloy plate
JP5757085B2 (en)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magnesium alloy member, and magnesium alloy member manufacturing method
US9598749B2 (en)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magnesium alloy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gnesium alloy material
JP5942573B2 (en) Magnesium alloy plate manufacturing method
JP6274483B2 (en)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JP2015172252A (en) magnesium alloy coil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