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439U -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39U
KR20140002439U KR2020120009422U KR20120009422U KR20140002439U KR 20140002439 U KR20140002439 U KR 20140002439U KR 2020120009422 U KR2020120009422 U KR 2020120009422U KR 20120009422 U KR20120009422 U KR 20120009422U KR 20140002439 U KR20140002439 U KR 20140002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rugated pipe
ring
connection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영동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금속(주) filed Critical 영동금속(주)
Priority to KR2020120009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439U/ko
Publication of KR20140002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관을 연결관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주름관을 연결관에 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는,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34)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재(136)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형성된 조임링(13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3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3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A connection device of wrinkled tube for piping}
본 고안은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연결관과 주름관의 체결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 사이의 이음 부분에는 누수를 방지하면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용 연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용 연결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관을 연결하거나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조립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관 중에서 특히, 주름관의 경우에는 외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나사결합 방식만으로는 주름관과 연결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없으며, 주름관의 연결을 위한 특수한 형태의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는, 주름관(10), 너트(20), 조임링(30), 연결관(40) 및 패킹링(50)으로 구성된다. 이들 부품들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주름관(10)의 일측 선단부(11)가 너트(20)와 조임링(30)을 관통한 후에 패킹링(50)의 원통형 몸체부(51)와 함께 연결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패킹링(50)의 단부가 연결관(4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됨)에 걸림되고, 연결관(40)의 중앙에 위치하는 돌출부(4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42)에 너트(20)가 나사결합되는 조임력에 의해 너트(20)와 조임링(30) 및 연결관(40) 사이의 공간은 패킹링(50)에 의해 밀폐된다. 이 경우 패킹링(50)의 밀착부(52)는 조임링(30)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또한 연결관(40)의 돌출부(41)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43)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이 연결접속된다.
상기 고정링(30)은 주름관(10)을 연결관(40)에 끼운 후 너트(20)를 조일 때 주름관(10)이 연결관(40)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링(30)은, 원통형의 몸체부(31)와, 상기 너트(2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됨)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링(50)의 밀착부(52)에 밀착되는 머리부(32)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32)의 내측에는 주름관(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1)와 머리부(32)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33)는 주름관(10)의 선단부(11)에 조임링(30)을 체결할 때, 작업자가 조임링(30)을 주름관(10)의 외경보다 크게 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임링(30)에 절개부(33)를 형성하여 조임링(30)을 벌려 주름관(10)에 조립하는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조임링(30)을 벌려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과도한 힘으로 조임링(30)을 벌릴 경우에는 조임링(30)이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조임링(30)의 체결과정에서 주름관(10)이 변형될 경우에는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연결부위에 틈새가 생기게 되어 기밀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름관(10)과 연결관(40)의 해체시에도 주름관(10)으로부터 조임링(30)을 분리하기가 어렵고, 분리과정에서 조임링(30)이나 주름관(10)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름관을 연결관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관을 연결관에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는,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34)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재(136)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형성된 조임링(13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3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3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의 대향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향면 사이에 이격공간(135)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 및 제2부재(130b)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1)는,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64)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일측 연결부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66a)와, 상기 결합돌출부(166a)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66b)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67)와 걸림홈(168)이 형성된 조임링(16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6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6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출부(166a)의 외측면에는 체결돌기(166c)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6b)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66c)에 결합되는 체결홈(166d)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2)는,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74;174-1,174-2)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 사이는 상기 제1부재(170a)로부터 연장된 제1결합돌출부(176)와 상기 제2부재(170b)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돌출부(177)가 적층되어 피봇(17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 사이는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 조임링(17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7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7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돌출부(176)와 제2결합돌출부(177)는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단턱(172a,172b)에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부(174;174-1,174-2)에는 라운드면(174a,174b)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조임링을 반원통형의 제1부재와 제2부재로 분할 구성하고, 주름관의 외측면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위치시켜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주름관과 조임링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름관의 외측면에 조임링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주름관과 조임링의 변형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므로 유지보수 작업 후에도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임링의 체결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7에 도시된 조임링의 체결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임링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C-C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임링의 체결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는, 주름관(110), 너트(120), 조임링(130), 연결관(140) 및 패킹링(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름관(110)은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유체의 유로를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이며, 그 소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120)는 연결관(14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42)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후단부에는 조임링(130)을 연결관(140) 측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조임링(130)의 머리부(132)에 걸림되는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링(130)은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체결시 주름관(110)이 연결관(140)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원통형의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연결부재(136)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는, 반원통형의 몸체부(131;131-1,131-2)와, 상기 몸체부(131)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너트(120)의 걸림턱(122)에 걸림되는 경사부(133;133-1,133-2)와, 상기 경사부(133)의 연장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머리부(132;132-1,132-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32)의 내주면에는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134;134-1,13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의 대향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향면 사이에 이격공간(135)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 및 제2부재(130b)와 동일한 소재로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부재(130a) 및 제2부재(130b)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6)는, 조임링(130)의 체결 또는 분리시에 용이하게 벌려질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30a) 및 제2부재(130b)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36)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에 의해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상기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자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걸림이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머리부(132-1,132-2)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형성된 위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관(140)은 중앙의 돌출부(141)를 기준으로 양측에 나사부(142,143)가 형성되어, 일측의 나사부(142)에는 상기 주름관(110)이 연결되고, 타측의 나사부(143)에는 주름관(미도시됨) 또는 기타 배관(미도시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40)은 일자형 구조 이외에 엘보형 또는 T자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40)의 내부에는 패킹링(150)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걸림되는 걸림턱(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링(150)은 주름관(110)과 너트(120) 및 연결관(14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류, 실리콘, 합성수지 등 신축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140)의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130)의 머리부(132)가 밀착되는 밀착부(153)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51)의 내측 선단부에는 주름관(110)의 선단이 걸림되는 걸림턱(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51)의 내주면에는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끼워져 걸림되는 밀착돌기(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의 조립과 분리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주름관(110)의 선단부(111)에 너트(120)와 조임링(130)을 순차로 끼운다. 이때, 조임링(130)의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에 형성된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를 벌려 주름관(110)의 선단부 외주면의 주름 사이에 조임링(130)의 걸림부(134)가 끼워지도록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를 위치시킨 후, 걸림부재(137)를 걸림홈(138)에 걸어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에 연결된 연결부재(136)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신축되므로, 주름관(110)의 외측면에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주름관(110)의 선단이 패킹링(15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52)에 밀착되도록 주름관(110)을 패킹링(150) 측으로 밀어넣고, 주름관(110)의 선단부(111)와 패킹링(150)의 몸체부(151)를 연결관(140)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너트(120)를 연결관(140)의 나사부(142)에 조여 결합하게 되면, 너트(120)의 걸림턱(122)이 조임링(130)의 경사부(133)에 걸림되어 조임링(130)이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되며, 이때 연결관(140)과 조임링(130)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링(150)이 압착되면서 주름관(110)과 너트(120) 및 연결관(140)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밀봉하게 된다. 상기 조임링(130)의 걸림부(134)는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린 상태이므로 너트(120)를 조여서 조임링(130)을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킬 때, 상기 조임링(130)에 걸림된 주름관(110) 또한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되며 주름관(11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연결관(140)에서 주름관(110)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너트(120)를 풀어 연결관(140)과 너트(120)를 분리시키고, 주름관(110)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주름관(110)과 그 외측에 결합된 조임링(130)과 패킹링(150)이 함께 연결관(140)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주름관(110)에서 패킹링(150)을 분리한 후에, 조임링(130)의 걸림부재(137)과 걸림홈(138) 간의 결합을 해체시키면 주름관(110)에서 조임링(13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1)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새롭게 대체된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7에 도시된 조임링의 체결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1)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주름관(110), 너트(120), 연결관(140), 패킹링(150)을 포함하고, 첫번째 실시예와는 조임링(160)의 구성을 달리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링(160)은, 반원통형의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일측 연결부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66a)와, 상기 결합돌출부(166a)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66b)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166a)의 외측면에는 체결돌기(166c)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6b)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66c)에 결합되는 체결홈(166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일측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1부재(160a)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66a)를 제2부재(160b)에 형성된 결합홈부(166b)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결합돌출부(166a)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66c)가 결합홈부(166b)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홈(166d)에 끼움결합되어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 사이에 이격공간(165)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일측 연결부를 서로 분리시킬 경우에는 결합돌출부(166a)를 결합홈부(166b)의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체결돌기(166c)를 체결홈(166d)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67)와 걸림홈(168)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137) 및 걸림홈(138)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는, 반원통형의 몸체부(161;161-1,161-2)와, 상기 몸체부(161)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너트(120)의 걸림턱(122)에 걸림되는 경사부(163;163-1,163-2)와, 상기 경사부(163)의 연장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머리부(162;162-1,162-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62)의 내주면에는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164;164-1,16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1)의 작용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작용과 비교하여, 상기 주름관(110)에 조임링(160)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작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며, 기타의 구성에 따른 작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임링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C-C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2)는, 전술한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100-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주름관(110), 너트(120), 연결관(140), 패킹링(150)을 포함하고,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와는 조임링(170)의 구성을 달리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링(170)은, 반원통형의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은 분리되어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는, 반원통형의 몸체부(171;171-1,171-2)와, 상기 몸체부(171)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너트(120)의 걸림턱(122)에 걸림되는 경사부(173;173-1,173-2)와, 상기 경사부(173)의 연장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머리부(172;172-1,172-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72)의 내주면에는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174;174-1,17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170a)의 머리부(172-1)의 일측단에는 제1결합돌출부(176)가 연장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상기 제2부재(170b)의 머리부(172-2)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결합돌출부(176)에 적층되도록 제2결합돌출부(177)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돌출부(176)와 제2결합돌출부(177)를 관통하여 피봇(178)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돌출부(176)와 제2결합돌출부(177)는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단턱(172a,172b)에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링(150)의 밀착부(153)에 접촉되는 제1부재(170a)의 머리부(172-1)와 제2부재(170b)의 머리부(172-2)의 접촉면은 서로 일정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은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분리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175)이 마련되며, 상기 피봇(178)을 중심으로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175)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부(174;174-1,174-2)에는 주름관(110)에의 접촉시 주름관(110)의 긁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라운드면(174a,17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링(170)을 주름관(110)에 결합하는 경우에 주름관(110)의 외측면에 상기 라운드면(174a,174b)이 접촉되도록 하여 주름관(110)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임링(170)의 구성에 의하면, 조임링(170)을 구성하는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되는 일측단이 피봇(17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임링(170)의 구조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주름관(110)에 탈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00-2)의 작용은, 전술한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작용과 비교하여, 상기 주름관(110)에 조임링(170)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작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며, 기타의 구성에 따른 작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110,100-1,100-2)에 의하면, 조임링(130,160,170)을 두 개의 부재로 분할형성하고, 이들 부재 간의 연결부위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주름관(110)과 조임링(130,160,170)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름관(110)과 조임링(130,160,170)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유지보수 후에도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기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10 : 주름관
11 : 선단부 20 : 너트
30 : 조임링 31 : 몸체부
32 : 머리부 33 : 절개부
40 : 연결관 41 : 돌출부
42,43 : 나사부 50 : 패킹링
51 : 몸체부 52 : 밀착부
100,100-1,100-2 :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110 : 주름관
111 : 선단부 120 : 너트
121 : 나사산 122 : 걸림턱
130 : 조임링 130a : 제1부재
130b : 제2부재 131,131-1,131-2 : 몸체부
132,132-1,132-2 : 머리부 133,133-1,133-2 : 경사부
134,134-1,134-2 : 걸림부 135 : 이격공간
136 : 연결부재 137 : 걸림부재
138 : 걸림홈 140 : 연결관
141 : 돌출부 142,143 : 나사부
144 : 걸림턱 150 : 패킹링
151 : 몸체부 152 : 걸림턱
153 : 밀착부 154 : 밀착돌기
160 : 조임링 160a : 제1부재
160b : 제2부재 161,161-1,161-2 : 몸체부
162,162-1,162-2 : 머리부 163,163-1,163-2 : 경사부
164,164-1,164-2 : 걸림부 165 : 이격공간
166a : 결합돌출부 166b : 결합홈부
166c : 체결돌기 166d : 체결홈
167 : 걸림부재 168 : 걸림홈
170 : 조임링 170a : 제1부재
170b : 제2부재 171,171-1,171-2 : 몸체부
172,172-1,172-2 : 머리부 172a,172b : 단턱
173,173-1,173-2 : 경사부 174,174-1,174-2 : 걸림부
174a,174b : 라운드면 175 : 이격공간
176 : 제1결합돌출부 177 : 제2결합돌출부
178 : 피봇

Claims (8)

  1.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34)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재(136)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37)와 걸림홈(138)이 형성된 조임링(13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3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3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의 일측 연결부의 대향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향면 사이에 이격공간(1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6)는, 상기 제1부재(130a) 및 제2부재(130b)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4.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64)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일측 연결부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166a)와, 상기 결합돌출부(166a)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66b)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60a)와 제2부재(160b)의 타측 연결부에는 걸림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걸림부재(167)와 걸림홈(168)이 형성된 조임링(16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6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6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166a)의 외측면에는 체결돌기(166c)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6b)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66c)에 결합되는 체결홈(166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6. 주름관(110)을 연결관(140)에 연결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10)의 주름 사이에 걸림되는 걸림부(174;174-1,174-2)가 내부에 형성되고, 반원통형의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 사이는 상기 제1부재(170a)로부터 연장된 제1결합돌출부(176)와 상기 제2부재(170b)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돌출부(177)가 적층되어 피봇(17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 사이는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 조임링(170);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링(170)에 일측면이 밀착되는 패킹링(150); 및
    상기 연결관(14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170)을 상기 연결관(140) 측으로 밀착시키는 너트(120);를 포함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출부(176)와 제2결합돌출부(177)는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일측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단턱(172a,172b)에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70a)와 제2부재(170b)의 대향된 타측단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부(174;174-1,174-2)에는 라운드면(174a,17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20120009422U 2012-10-18 2012-10-18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1400024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22U KR20140002439U (ko) 2012-10-18 2012-10-18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22U KR20140002439U (ko) 2012-10-18 2012-10-18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39U true KR20140002439U (ko) 2014-04-28

Family

ID=5244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22U KR20140002439U (ko) 2012-10-18 2012-10-18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4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1215A (zh) * 2022-03-30 2022-07-29 无锡金羊管件有限公司 一种燃气波纹管连接表具用可拆卸快速接头
CN114883982A (zh) * 2022-05-11 2022-08-09 无锡市锡山环宇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高强度不锈钢波纹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1215A (zh) * 2022-03-30 2022-07-29 无锡金羊管件有限公司 一种燃气波纹管连接表具用可拆卸快速接头
CN114883982A (zh) * 2022-05-11 2022-08-09 无锡市锡山环宇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高强度不锈钢波纹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0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20140002439U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KR101505652B1 (ko) 안전 커플링 장치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101917671B1 (ko)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100114679A (ko) 고압호스용 커플링
CN210890526U (zh) 一种汽车胶管快速连接件
WO2014079229A1 (zh) 一种管接件密封结构及管接件
KR101973010B1 (ko) 관 피팅 장치
JP2016063656A (ja) 通信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のガス漏洩補修具及びガス漏洩補修工法
KR101744603B1 (ko) 관체 연결시스템
KR101243643B1 (ko) 체결성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장치
TWI580882B (zh) A quick-connect filter
KR200451358Y1 (ko) 주름관 연결구용 패킹부재
CN116658729A (zh) 一种管路安装结构和管路系统
KR101468439B1 (ko)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KR101172024B1 (ko) 상수도관 연결 고정구
KR200372973Y1 (ko) 꼬임방지호스연결쇠
KR101262098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 링
KR102056133B1 (ko)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200274144Y1 (ko) 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