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39B1 -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39B1
KR101468439B1 KR1020130160018A KR20130160018A KR101468439B1 KR 101468439 B1 KR101468439 B1 KR 101468439B1 KR 1020130160018 A KR1020130160018 A KR 1020130160018A KR 20130160018 A KR20130160018 A KR 20130160018A KR 101468439 B1 KR101468439 B1 KR 10146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rotrusion
pipe
hous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신
허미
오재환
김진홍
호요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3016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에 관한 것으로, 중공구조인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바디부를 기준으로 헤드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중공 하우징이 삽입되어 결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및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탈부착 가능한 파이프 결착구를 포함하며, 유체 연결 파이프와 하우징 캡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의 결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A water treatment module capable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본 발명은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 기술은 막의 기공크기, 기공분포 및 막 표면 전하에 따라 처리수 중에 존재하는 처리 대상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분리 제거하기 위한 고도의 분리기술로서, 수처리 분야에 있어서는 양질의 음용수 및 공업용수의 생산, 하/폐수 처리 및 재이용, 무방류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청정생산공정 등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21세기에 주목 받게 될 핵심기술의 하나로서 자리잡고 있다.
중공사막 여과기는 중공사 모듈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이물질을 여과 및 세정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중공사막여과기는 통 형상의 하우징에 중공사막모듈을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에 위치한 하우징캡에 유체의 흡. 배기구와 공기분배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종래의 중공사막 여과기는 하우징 캡에 유체의 흡/배기구 및 공기분배기 역할을 하는 파이프가 일체화 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가 손상 또는 노후 등의 이유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우징 캡까지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공사막 여과기는 상기 파이프가 정해진 규격을 가지고 하우징 캡에 일체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0108호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유체 연결 파이프를 체결할 수 있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중공구조인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바디부를 기준으로 헤드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중공 하우징이 삽입되어 결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및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파이프 결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헤드부 및 스커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된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중공사 모듈;
중공사 모듈이 삽입되는 중공 하우징; 및
중공 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며, 유체 연결 파이프가 결착되는 파이프 결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캡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결착부는 나사선 체결에 의해 하우징 캡에 결착된 구조인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모듈용 캡은 유체 연결 파이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유체 연결 파이프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하우징캡을 전면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파이프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규격이 서로 다른 유체 결합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오링의 단면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은,
중공구조인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바디부를 기준으로 헤드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중공 하우징이 삽입되어 결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및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파이프 결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헤드부 및 스커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된 구조이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구조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사선 체결, 클림프 조임 및 벨트 체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에서, 바디부와 헤드부; 및 바디부와 스커트부는, 각각 나사선 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사 모듈 부분과 스커트부가 접착제 혹은 회전 융착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고, 스커트부에 바디부가 나사선 체결에 의해 결착되고, 바디부에 다시 헤드부가 나사선 체결에 의해 결착된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헤드부가 바디부와 탈부착 가능함으로써, 분리막 운전중 중공사의 파단이 발생할 경우, 헤드부를 분리하여, 파단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사 파단을 보수하기 위한 포팅(Potting)면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수처리 모듈은 설치후 오랜기간 동안 품질을 유지 및/또는 보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수처리 모듈의 품질 유지 및/또는 보증을 위해서는 중공사막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유지 및 보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수처리 모듈의 유지 및 보수 과정에서, 모듈 내에 장입된 중공사의 총량 대비 1~1.5% 수준에서 파단을 보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수처리 모듈의 유지 및 보수 과정에서, 중공사의 파단을 보수하기 위한 포팅면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헤드부에는 바디부와 나사선 체결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나사선의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바디부에는 헤드부의 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에는 스커트부와 나사선 체결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의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스커트부에는 바디부의 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혹은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혹은 홈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밀봉성을 향상시켜 물 또는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링의 재질은 고무막과 같은 탄성재질이나, 비닐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오링은 단면을 기준으로 2 회 이상 꺽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링은 "ㄷ" 형태의 굴곡구조를 포함하는 단면 구조이다. 본 발명은 단면을 기준으로 굴곡이 형성된 오링을 사용함으로써, 밀봉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바디부 및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파이프 결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결착구는 유체 연결 파이프와 나사선 체결에 의해 결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결착구에 형성된 나사선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와 나사선 체결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 결착구의 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밀봉성을 향상시켜 물 또는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오링은 단면을 기준으로 2 회 이상 꺽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링은 "ㄷ" 형태의 굴곡구조를 포함하는 단면 구조이다. 본 발명은 단면을 기준으로 굴곡이 형성된 오링을 사용함으로써, 밀봉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모듈은,
중공사 모듈;
중공사 모듈이 삽입되는 중공 하우징; 및
중공 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며, 유체 연결 파이프가 결착되는 파이프 결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캡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결착부는 나사선 체결에 의해 하우징 캡에 결착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중공사 모듈" 이란, 수처리 분리막 역할을 하는 수 많은 중공사가 뭉쳐서 다발을 형성한 구조를 의미한다.
상기 유체 연결 파이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처리 대상수 공급 라인, 공기 주입 라인, 정제수 배출 라인 및 농축수 배출 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처리 모듈(100)은, 중공사 모듈(10, 상세구조 미도시), 중공사 모듈(10)이 삽입되는 중공 하우징(20), 중공 하우징(20)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하우징 캡(30a, 30b)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 캡(30a, 30b)은 중공 구조인 바디부(31a, 31b), 상기 바디부(31a, 31b)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헤드부(33a, 33b) 및 바디부(31a, 31b)를 기준으로 헤드부(33a, 33b)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중공 하우징(20)이 삽입되어 결착되는 스커트부(32a, 32b)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스커트부(32a, 32b)는 나사선 체결(41a, 41b)에 의해 중공 구조의 바디부(31a, 31b)와 결합된다. 또한, 바디부(31a, 31b)는 다시 나사선 체결(40a, 40b)에 의해 헤드부(33a, 33b)와 체결되는 구조이다.
도 2를 통해, 하우징 캡(31a)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 캡(31a)의 스커트부(32a)에 중공사 모듈을 포함하는 중공 하우징이 회전 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중공 하우징이 스커트부(32a)에 삽입되는 끝단에는 홈(90)이 형성된 구조이다. 중공 하우징의 끝단에 형성된 홈(90)은 회전 융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지 찌꺼기가 유입된다. 즉, 회전 융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지찌꺼기가 제거되지 않으며, 결합부위에 틈이 발생되며, 이는 밀봉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스커트부(32a)는 나사선 체결에 의해 중공 구조의 바디부(31a)와 결합된다. 스커트부(32a)와 바디부(31a)가 결합되는 나사선의 일측에는 홈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이 형성된 오링(61)이 위치하여 밀봉성을 높이게 된다.
바디부(31a)는 다시 나사선 체결에 의해 헤드부(33a)와 체결되는 구조이다. 나사선 체결되는 부위의 일측에는 역시 홈부/돌출부가 존재하고, 상기 홈부/돌출부 사이에는 오링(6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오링(60, 61)은 하우징캡(30a)의 헤드부(33a), 바디부(31a) 및 스커트부(32a)가 연결되는 홈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의 유입 및 배출 시 연결부 틈으로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링(60, 61)은 단면을 기준으로 2 회 이상 굴곡이 형성된 단면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링(60, 61)은 "ㄷ" 형태의 굴곡구조를 포함하는 단면 구조를 갖는다.
바디부(31a)와 헤드부(33a)의 각각 일측에는 파이프 체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체결구에는 나사선 체결(50, 51)에 의해 유체 연결 파이프(80, 81)가 체결된다. 파이프 체결구에 형성된 나사선(50, 51)의 일측에는 홈부/돌출부가 존재하고, 상기 홈부/돌출부 사이에는 오링(70, 71)이 각각 위치한다.
상기 오링(70, 71)이 홈부와 돌출부의 굴곡구조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홈부와 돌출부 사이에서 미세한 틈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기 때문에 유체의 유입 및 배출 시 고정부 틈으로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오링의 사시도이다. 오링(200)은 결합되는 부분의 굴곡 구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오링의 가운데 부분이 2회 이상 꺾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오링(200)은 결합부분에서 유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을 기준으로, 굴곡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링의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결합부위의 일측에 홈부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구조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오링(300)은 상기 홈부 및 돌출부의 결합부분에 대응되도록 굴곡 구조를 형성한 구조이다.
100: 수처리 모듈
200, 300: 오링
10: 중공사 모듈
20: 중공 하우징
30a, 30b: 하우징 캡
31a, 31b: 바디부
32a, 32b: 스커트부
33a, 33b: 헤드부
40a, 40b, 41a, 41b: 하우징 캡의 나사선
50, 51: 유체 연결 파이프의 나사선
60,61: 오링
70,71: 오링
80,81: 유체 연결 파이프
90: 수지 찌꺼기가 유입되는 홈

Claims (13)

  1. 중공구조인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바디부를 기준으로 헤드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중공 하우징이 삽입되어 결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헤드부 및 스커트부 각각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되고,
    바디부와 헤드부; 및 바디부와 스커트부는, 각각 나사선 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며,
    상기 바디부 및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파이프 결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결착구는 외부 유체 연결 파이프와 나사선 체결에 의해 결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는 나사선 체결, 클림프 조임 및 벨트 체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부에는 바디부와 나사선 체결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의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바디부에는 헤드부의 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된 구조이고,
    바디부에는 스커트부와 나사선 체결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의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스커트부에는 바디부의 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된 구조인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홈부와 대응되는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 결착구에 형성된 나사선 일측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홈부 또는 돌출부에 오링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9.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오링은 단면을 기준으로 2 회 이상 꺽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오링은 "ㄷ" 형태의 굴곡구조를 포함하는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모듈용 하우징 캡.
  11. 삭제
  12. 중공사 모듈;
    중공사 모듈이 삽입되는 중공 하우징; 및
    중공 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며, 외부 유체 연결 파이프가 결착되는 파이프 결착구가 형성된 제 1 항에 따른 하우징 캡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결착구는 나사선 체결에 의해 하우징 캡에 결착된 구조인 수처리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 파이프는, 수처리 대상수 공급 라인, 공기 주입 라인, 정제수 배출 라인 및 농축수 배출 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20130160018A 2013-12-20 2013-12-20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KR10146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18A KR101468439B1 (ko) 2013-12-20 2013-12-20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18A KR101468439B1 (ko) 2013-12-20 2013-12-20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39B1 true KR101468439B1 (ko) 2014-12-03

Family

ID=526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018A KR101468439B1 (ko) 2013-12-20 2013-12-20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900B1 (ko) 2014-09-30 2016-05-19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수처리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845A (ja) * 1998-11-26 2000-06-13 Asahi Chem Ind Co Ltd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固定構造
KR200282564Y1 (ko) * 2002-04-30 2002-07-22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워셔액 노즐
KR100808831B1 (ko) * 2007-01-23 2008-03-03 주식회사 동우 여과 엘리먼트 교체가 용이한 오일필터 조립 구조
KR20130076178A (ko) * 2011-12-28 2013-07-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845A (ja) * 1998-11-26 2000-06-13 Asahi Chem Ind Co Ltd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固定構造
KR200282564Y1 (ko) * 2002-04-30 2002-07-22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워셔액 노즐
KR100808831B1 (ko) * 2007-01-23 2008-03-03 주식회사 동우 여과 엘리먼트 교체가 용이한 오일필터 조립 구조
KR20130076178A (ko) * 2011-12-28 2013-07-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900B1 (ko) 2014-09-30 2016-05-19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수처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819B1 (ko) 정수라인의 튜브 피팅구조
KR101177674B1 (ko) 정수라인의 튜브 접속구조
CN111225731B (zh) 中空纤维膜模块
US20140000937A1 (en) Method for passing an electrical cable through a hole and device for same
KR200469264Y1 (ko) 정수필터의 연결호스 접속구조
KR101468439B1 (ko)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수처리 모듈
KR20170003601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수도미터기하우징
KR101487765B1 (ko) 회전융착에 의해 체결된 수처리 모듈
TWM410111U (en) Air filter device for compressor
KR101149501B1 (ko) 전원케이블 방수장치
KR200340528Y1 (ko) 중공사막 여과기의 결합 및 세정장치
JP7357352B2 (ja) フィルタ内蔵継手
KR20160095661A (ko) 정수필터 고정 기구
KR200433925Y1 (ko) 산업용 여과장치
JPH07299334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円筒体接続具
JP2010063955A (ja) 膜モジュール
CN206724432U (zh) 一种送风机和过滤箱用快速连接件
CN202538450U (zh) 一种可快速连接和更换的液体过滤装置
CN210693370U (zh) 用于穿壁管件的密封件
KR20140002439U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CN210266283U (zh) 一种管道连接件的锁固结构
KR20110021218A (ko) 유체 여과 장치
KR100723985B1 (ko) 정수기 부품용 하우징의 결합구조
JP3141519U (ja) フィルタ機構
JP2009235814A (ja) 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