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218A - 유체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218A
KR20110021218A KR1020090078877A KR20090078877A KR20110021218A KR 20110021218 A KR20110021218 A KR 20110021218A KR 1020090078877 A KR1020090078877 A KR 1020090078877A KR 20090078877 A KR20090078877 A KR 20090078877A KR 20110021218 A KR20110021218 A KR 2011002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attern
membrane module
connection member
male screw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름
신용철
이광진
이무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218A/ko
Publication of KR2011002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05Microfluidic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케이스 내에 여과막이 내장되어 구성된 여과막 모듈; 상기 여과막 모듈을 외부 배관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배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 배관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접속 부재를 매개로 하여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와 외부 배관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외부 배관의 구성이 변경될 경우 그에 대응하도록 접속 부재의 구성만을 변경하면 충분하고, 따라서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여과막 모듈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다.
여과막 모듈, 외부 배관, 접속 부재, 연결부

Description

유체 여과 장치{FLUID 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막 모듈과 외부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유체 처리 방법으로는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과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은 여과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 공정의 신뢰도가 높고, 또한, 여과막을 이용할 경우 가열 등의 조작이 필요 없게 되어 가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분리 공정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여과막을 이용한 유체 처리 방법은 여과막을 모듈화하여 구성한 여과막 모듈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며, 여과막 모듈에는 다수의 외부 배관이 연결된다. 즉, 여과막 모듈 내로 피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여과막 모듈에 연결되고 또한 여과막 모듈에서 처리된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 여과막 모듈에 연결되며, 그 외에도 다양한 설계에 따라 여과막 모듈에는 외부 배관이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여과막 모듈과 외부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 여과막 모듈에는 외부 배관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연결홀이 구성된다. 그런데, 외부 배관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그 크기 등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이 경우 여과막 모듈에 형성된 연결홀을 외부 배관에 대응하도록 변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과막 모듈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한다.
외부 배관은 유체 여과 장치를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설치 장소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외부 배관의 크기 등이 변경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여과막 모듈을 외부 배관이 변경될 때 마다 다시 제작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배관이 변경된다 하더라도 여과막 모듈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도록 한 유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듈 케이스 내에 여과막이 내장되어 구성된 여과막 모듈; 상기 여과막 모듈을 외부 배관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배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 배관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여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그 외표면에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암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 패턴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외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 케이스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오-링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배관은 그 외표면에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관의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암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타단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배관은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관의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타단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배관과 상기 접속 부재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배관과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오-링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몸체,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일단 및 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타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부,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부, 여과막 모듈 내의 유체를 드레인하는 드레인부, 또는 여과막 모듈 내의 농축수를 배출하는 농축수 배출부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외부 배관과 클램프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와 외부 배관을 직접 접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접속 부재를 매개로 하여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와 외부 배관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외부 배관의 구성이 변경될 경우 그에 대응하도록 접속 부재의 구성만을 변경하면 충분하고, 따라서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여과막 모듈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체 여과 장치는 여과막 모듈로서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 적용되는 여과막 모듈이 반드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이외에 흡입식 중공사막 모듈, 및 그 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여과막 모듈이 유체 여과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는, 모듈 케이스(100), 상기 모듈 케이스(100) 내에 내장된 중공사막(200), 상기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400, 410, 420, 430), 상기 연결부(400, 410, 420, 430)와 외부 배관(300)을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케이스(100)는 중공사막 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케이스(100) 내에 중공사막(200)이 내장되게 된다.
상기 중공사막(200)은 복수 개가 집합하여 다발 형태로 상기 모듈 케이스(100) 내에 내장되는데, 상기 중공사막(20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부(210)는 중공사막(200)의 일단부를 모듈 케이스(100)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중공사막(200)의 일단에서는 중공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220)는 중공사막(20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중공사막(200)의 타단에서는 중공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20) 사이에는 다수의 개구부(220a)가 형성되어 있어, 모듈 케이스(100) 내에 있는 원수 등이 상기 개구부(220a)를 경유하여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개구부(220a)를 통해 중공사막에 대한 산기 세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0, 410, 420, 430)는 외부 배관(30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00, 410, 420, 430)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부(400),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부(410), 여과막 모듈 내의 유체를 드레인하는 드레인부(420), 및 여과막 모듈 내의 농축수를 배출하는 농축수 배출부(43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연결부의 구성은 중공사막 모듈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모듈 케이스(100), 중공사막(200), 제1 및 제2고정부(210, 220), 및 연결부(400, 410, 420, 430) 등이 조합되어 중공사막 모듈을 구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은 접속 부재(500)를 통해서 외부 배관(30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접속 부재(500)는 중공사막 모듈의 연결부((400, 410, 420, 430)와 외부 배관(300)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연결부 중 원수 유입부(400)를 예로 들어 접속 부재(500)가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 사이를 접속하는 모습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1a에는 접속 부재(500)가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 사이를 접속시키는 모습만을 도시하였지만, 접속 부재(500)는 상기 연결부(400, 410, 420, 430) 각각과 외부 배관(300)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원수 유입부(400)는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00a)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00a)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어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돌출부(400a)의 외표면에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된다.
외부 배관(300)은 상기 원수 유입부(400)로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외부 배관(300)의 외표면에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된다.
접속 부재(500)는 몸체(510), 몸체(5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일단(520), 및 몸체(5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타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은 상기 원수 유입부(400)와 결합되고 상기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은 상기 외부 배관(300)과 결합된다. 상기 몸체(510)는 체결 공구 사 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각 형태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속 부재(500)를 구성하는 몸체(510), 일단(520), 및 타단(530)은 모두 내부가 관통되어 있어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은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암나사 패턴은 상기 돌출부(400a)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400a)의 수나사 패턴과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의 암나사 패턴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원수 유입부(400)와 상기 접속 부재(500)가 결합된다.
상기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도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암나사 패턴은 상기 외부 배관(300)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배관(300)의 수나사 패턴과 상기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의 암나사 패턴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 배관(300)과 상기 접속 부재(500)가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을 직접 접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접속 부재(500)를 매개로 하여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원수 유입부(400)의 형태를 외부 배관(300)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결국, 외부 배관(300)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기존의 접속 부재(500)를 원수 유입부(400)로부터 분리한 후 변경된 외부 배관(300)에 대응하는 새로운 접속 부재(500)를 적용함으로써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수 유입부(400)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결국 중공사막 모듈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2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는 외부 배관(300) 및 접속 부재(500)의 구성을 제외하고 중공사막 모듈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외부 배관(300)은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 배관(300)과 결합하는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은 그 외표면에 상기 외부 배관(300)의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배관(300)의 암나사 패턴과 상기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의 수나사 패턴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 배관(300)과 상기 접속 부재(5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500)와 외부 배관(30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오-링(6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600)은 접속 부재(500)의 몸체(510)와 외부 배관(300)의 끝단 사이를 밀봉한다.
제3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는 원수 유입부(400) 및 접속 부재(500)의 구성을 제외하고 그 외 중공사막 모듈 및 외부 배관(3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원수 유입부(400)는 돌출부(400a)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00a)는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돌출부(400a)와 결합하는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은 그 외표면에 상기 돌출부(400a)의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400a)의 암나사 패턴과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의 수나사 패턴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원수 유입부(400)과 상기 접속 부재(500)가 결합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서, 외부 배관(300) 및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의 구성이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 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는 원수 유입부(400) 및 접속 부재(500)의 구성을 제외하고 그 외 중공사막 모듈 및 외부 배관(3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원수 유입부(400)는 암나사 패턴의 홀(4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원수 유입부(400)와 결합하는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은 그 외표면에 상기 암나사 패턴의 홀(400b)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암나사 패턴의 홀(400b)과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의 수나사 패턴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원수 유입부(400)과 상기 접속 부재(5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부(400)와 상기 접속 부재(50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오-링(6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600)은 접속 부재(500)의 몸체(510)와 모듈 케이스(100) 사이를 밀봉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서, 외부 배관(300) 및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의 구성이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 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는 접속 부재(500)의 구성을 제외하고 중공사막 모듈 및 외부 배관(3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접속 부재(500)는 경사면을 구비한 몸체(510), 상기 몸체(5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일단(520), 및 상기 몸체(5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타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51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접속 부재(500)과 유사하다. 접속 부재(500)와 원수 유입부(400) 사이의 결합관계, 및 접속 부재(500)와 외부 배관(300) 사이의 결합관계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5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서, 외부 배관(300) 및 접속 부재(500)의 타단(530)의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원수 유입부(400)의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 또는 제4실시예와 같이 변경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접속 부재(500)의 일단(520)의 구성도 함께 변경될 것이다.
이상은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접속 부재(500)를 이용하여 여과막 모듈의 원수 유입부(400)와 외부 배관(300) 사이를 접속시키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여과막 모듈의 다른 연결부, 즉, 여과수 배출부(410), 드레인부(420), 또는 농축수 배출부(430) 등과 외부 배관(300) 사이의 접속도 동일한 접속 부재(5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여과막 모듈의 연결부(400, 410, 420, 430), 접속 부재(500), 및 외부 배관(300)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 각각에 수나사 패턴 또는 암나사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수나사 패턴 및 암나사 패턴에 의한 결합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클램프 결합방식, 볼트/너트 결합방식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중공사막 모듈, 접속 부재, 및 외부 배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모듈 케이스 200: 중공사막
300: 외부 배관 400: 연결부(원수 유입부)
500: 접속 부재 600: 오-링

Claims (12)

  1. 모듈 케이스 내에 여과막이 내장되어 구성된 여과막 모듈;
    상기 여과막 모듈을 외부 배관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배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 배관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외표면에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암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암 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 패턴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 케이스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오-링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관은 그 외표면에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관의 수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암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타단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관은 그 내표면에 암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 관의 암나사 패턴에 대응하는 수나사 패턴이 상기 접속 부재의 타단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관과 상기 접속 부재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배관과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오-링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몸체,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일단 및 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타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부,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부, 여과막 모듈 내의 유체를 드레인하는 드레인부, 또는 여과막 모듈 내의 농축수를 배출하는 농축수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외부 배관과 클램프 결합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KR1020090078877A 2009-08-25 2009-08-25 유체 여과 장치 KR20110021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77A KR20110021218A (ko) 2009-08-25 2009-08-25 유체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77A KR20110021218A (ko) 2009-08-25 2009-08-25 유체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18A true KR20110021218A (ko) 2011-03-04

Family

ID=4393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877A KR20110021218A (ko) 2009-08-25 2009-08-25 유체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2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558A1 (ko) * 2012-12-29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CN114247396A (zh) * 2020-09-23 2022-03-2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聚四氟乙烯中空纤维膜微通道反应器及其制备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558A1 (ko) * 2012-12-29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US10159937B2 (en) 2012-12-29 2018-12-2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ressuriz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backwashing method using same
CN114247396A (zh) * 2020-09-23 2022-03-2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聚四氟乙烯中空纤维膜微通道反应器及其制备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8453A1 (en) Coupling for an outlet conduit of a washing tank of a washing machine
KR101881388B1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KR20110021218A (ko) 유체 여과 장치
CN103977626B (zh) 水净化装置
KR101384239B1 (ko) 침지형 세라믹 분리막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CN212998795U (zh) 一种管式精密过滤器
KR20160060344A (ko) 가압식 중공사형 막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JP3272847B2 (ja) 複数結合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1192921B1 (ko) 노즐 커플링
JP2019093322A (ja) ろ過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ール水浄化装置
JP7357352B2 (ja) フィルタ内蔵継手
KR101702820B1 (ko) 가압식 중공사형 막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US20240042386A1 (en) Liquid purification system
CN209501371U (zh) 一种便于清洗的反渗透水质净化设备
KR20170079375A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US20210008500A1 (en) Device for Processing Water, System, and Methods
JP200522479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のカートリッジの交換方法
JP6556112B2 (ja) 膜モジュール
CN204485431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KR200426860Y1 (ko) 산업용 여과장치의 필터헤드
CN210266345U (zh) 一种紧凑型排污管
CN209259807U (zh) 水过滤壳体结构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CN212440268U (zh) 一种应用于微电子芯片冲洗的超纯水滤芯
CN219430924U (zh) 一种水槽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