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698A -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698A
KR20140001698A KR1020120070224A KR20120070224A KR20140001698A KR 20140001698 A KR20140001698 A KR 20140001698A KR 1020120070224 A KR1020120070224 A KR 1020120070224A KR 20120070224 A KR20120070224 A KR 20120070224A KR 20140001698 A KR20140001698 A KR 2014000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injection nozzle
injection
particle size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453B1 (ko
Inventor
오상윤
전관옥
김창학
강기웅
강정훈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to KR2012007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4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5/00Treatment of  metallurgical  slag ; Artificial stone from molten  metallurgical  slag 
    • C04B5/06Ingredients, other than water, added to the molten slag or to the granulating medium or before remelting; Treatment with gases or gas generating compounds, e.g. to obtain porous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디시에서 고온 용융상태로 낙하하는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킨 후 볼 형태로 냉각 및 고체화시키는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비산되는 슬래그 볼이 균일한 입도 및 크기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슬래그 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슬래그 포트를 통하여 일정량 출탕되는 고온 용융상태의 슬래그를 일정 방향 및 일정 위치로 낙하시키기 위한 턴디시; 및 턴디시에서 낙하되는 용융상태의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분사장치; 를 포함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나의 분사부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를 조절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article Size of reduction slag ball for control an angle of inclination}
본 발명은 슬래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턴디시에서 고온 용융상태로 낙하하는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장치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슬래그의 입도 및 회수율을 조절할 수 있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슬래그란, 선철을 전로에서 정련하여 분순물인 탄소(C), 인(P) 및 유황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며, 전기로 및 전로 등의 제강로에서 생성된 산화물인 탄소, 실리카, 인 및 망간 산화물 등이 생석회와 결합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제강 슬래그는 철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철 위에 뜨고, 이 성질을 이용하여 제강로에서 배출시키며, 용강 1톤당 약 0.05 내지 0.07톤 정도의 제강 슬래그가 발생된다.
한편,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의 경우, 적절한 사용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전체 제강 슬래그에서 유리 석회(Free CaO)가 최대 0.1 내지 2% 존재하기 때문에 부가가치적으로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제강 슬래그는 대기 중의 일반적인 환경에서 수일 동안 방치하거나, 살수 방식을 통해 냉각시킨 후 분쇄 및 가공하는 공정을 통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강 슬래그의 처리 시 소음, 진동, 비산 먼지 및 침출수 등의 환경오염이 유발되고, 대량의 제강 슬래그를 보관 또는 방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제강 슬래그의 냉각 시 이에 부합되는 공간을 갖는 부지가 필요하며, 냉각 후 제강 슬래그에 포함되는 유리 석회에 대한 안정성 등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강 슬래그의 경우, 적절한 사용처가 없기 때문에, 단순히 슬래그의 재활용율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시급한 재활용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의 용융상태로 배출되는 제강 슬래그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배출되는 제강 슬래그에 분사장치를 통해 가스를 분사하여 냉각 및 고체화시킴으로써 슬래그를 볼 또는 파이버 형태로 변형하여 건축 및 건설용 자재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슬래그 처리방법은 비산먼지, 침출수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고압의 가스 분사에 의해 비산되면서 냉각 및 고체화되는 슬래그 볼 등의 입도, 크기 및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건축 및 건설용 자재로의 활용 시 요구되는 입도 및 크기가 작을 경우, 냉각 및 고체화된 슬래그 볼의 입도 및 크기를 볼 밀 등을 이용하여 재차 분쇄 가공처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턴디시에서 고온 용융상태로 낙하하는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킨 후 볼 형태로 냉각 및 고체화시키는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비산되는 슬래그 볼이 균일한 입도 및 크기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슬래그 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면서 냉각 및 고체화되는 슬래그 볼의 입도 및 크기를 건축자재 및 건설자재에서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로의 다양한 제작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된 후 슬래그 포트를 통하여 낙하되는 슬래그의 유량을 제어하는 턴디시; 및 턴디시에서 낙하되는 용융상태의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분사장치; 를 포함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나의 분사부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를 조절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된 후 슬래그 포트를 통하여 낙하되는 슬래그의 유량을 제어하는 턴디시; 및 상기 턴디시에서 낙하되는 용융상태의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분사장치; 를 포함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다수개의 분사부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를 조절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고온의 용융상태로 낙하된 후 비산되는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비산된 후 바닥면에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 및 크기가 균일함으로써 건축자재 및 건설자재에서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분쇄 가공처리 등 별도의 공정 없이 건축자재 및 건설자재에 직접적인 적용 및 활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래그 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재로써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입도 및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연마재, 웨이트재, 자전거 도로용 평탄재 등 현장 작업 상황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슬래그 처리 시 발생되는 소음, 진동, 비산 먼지 및 침출수 등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기되는 슬래그 등의 패자원을 재처리 및 재활용함으로써 폐자재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가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라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1)는 턴디시(10) 및 분사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턴디시(10)는 전기로(미도시) 및 전로(미도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되는 슬래그(3)가 슬래그 포트(2)에 담아 이송된 후 상기 슬래그 포트(2)를 기울여 슬래그(3)를 낙하시킬 경우, 고온 용융상태의 슬래그(3)를 일정 방향 및 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슬래그(3)의 유량을 제어하면서 바닥면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턴디시(10)는 슬래그 포트(2)에서 공급되되,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의 체류 시간 및 배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장치(30)는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고온 용융상태의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3)를 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턴디시(10)의 하측에 위치하고,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31)에서 분사되는 고속가스에 의하여 슬래그(3)를 냉각 및 고체화시킨다.
이때,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노즐(31)에서 분사되는 고속가스에 의하여 턴디시(10)에서 낙하하여 비산하는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장치(30)가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를 구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이루어지나, 상기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를 비산시켜 구 형태로 변형시키기 용이하다면 상기 분사장치(30)에서 고압의 에어 또는 냉각수 등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노즐(31)에서 분사되는 고속가스는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를 비산 및 냉각시키기 용이하도록 질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노즐(31)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분사부(33a)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과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사부(33b, 33b')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31b)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나의 분사부(33a)에 형성되는 분사공(35a)을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2개 이상의 분사부(33b, 33b')에 형성되는 분사공(35b, 35b')을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턴디시(10)로부터 낙하하는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함으로써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 및 크기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분사노즐(31a, 31b)의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향하여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사장치(30)에 구비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향하여 18°내지 36°범위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턴디시(10)를 통하여 낙하하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3) 비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노즐각도
(°)
입도 분포율(%) 회수율
(%)
<0.1mm 0.1~0.6mm 0.6~1.0mm 1.0~2.0mm 2.0~5.0mm >5.0mm
18 20 30 35 10 5 0.5 62.50
24 10 25 34.5 20 10 0.5 88.40
30 10 15 25 30 15 5 70.60
36 7 13 15 35 20 10 52.50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1a, 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질 경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산되는 슬래그 볼은 0.1mm 내지 5.0mm의 범위 내의 입도 분포율을 나타낸다.
즉, 상기 분사장치(30)에 구비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질 경우, 슬래그 볼은 0.1mm 이하, 0.1 내지 0.6mm, 0.6 내지 1.0mm, 1.0 내지 2.0mm, 2.0 내지 5.0mm, 5.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슬래그 볼의 입도 분포율을 나타내며, 이에 따른 슬래그 볼의 회수율은 52.50% 내지 88.40%의 범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장치(30)에 구비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분사노즐(31a, 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질 경우, 0.1 내지 5.0mm의 범위 내의 입도 분포율에 대한 슬래그 볼의 회수율은 88.40% 정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슬래그 볼의 입도 분포율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마재, 웨이트재, 자전거 도로용 평탄재 등으로 활용이 용이하다.
한편, 건축자재 또는 건설자재에 활용이 용이하도록 현장에서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의 슬래그 볼 제작 시 상기 분사장치(30)에 설치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슬래그(3)를 비산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의 슬래그 볼을 제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분사부(33b, 33b')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1b)의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형성한 후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 볼의 입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b, 33b')의 경사각도를 각각 달리한 후 턴디시(10)에서 낙하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 볼의 입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분사장치(3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부(33b, 33b') 형성되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b, 33b')를 각각 다른 경사각도로 조절 및 설정한 후 각 분사부(33b, 33b')에서 상호 다른 각도로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턴디시(10)에서 낙하하면서 비산하는 슬래그(3)의 입도롤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31a)과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만의 경사각도를 제어한 후 고속가스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각 분사노즐(31a, 31b)과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제어한 후 고속가스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되는 슬래그(3)를 슬래그 포트(2)에 담아 이송한 후 상기 슬래그 포트(2)를 기울여 고온 용융상태의 슬래그(3)가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턴디시(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턴디시(10)로 출탕되는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의 공급량 및 토출량은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슬래그(3)의 공급량 및 토출량에 따른 데이터는 연산처리된 후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가 턴디시(10)를 통하여 일정 방향 및 일정 위치로 낙하할 경우, 턴디시(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분사장치(30)가 분사노즐(31)을 통하여 상기 턴디시(10)의 전면측으로 고속가스를 분사하고, 이로 인해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가 턴디시(10)의 전면측으로 비산된다.
이때,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노즐(31)은 하나의 분사부(33a)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수개의 분사부(33b, 33b')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31b)로 이루어져 턴디시(10)로부터 낙하하는 고온의 용융상태로 이루어지는 슬래그(3)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3)를 비산시켜 냉각 및 고체화시킨다.
이렇게 상기 분사장치(30)에 하나의 분사부(33a)를 갖는 단공형 분사노즐(31a)이 설치될 경우, 상기 분사부(33a)의 분사공(35a)으로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3)를 비산시키고, 상기 분사장치(30)에 다수개의 분사부(33b, 33b')를 갖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이 설치될 경우, 상기 각 분사부(33b, 33b')의 분사공(35b, 35b')으로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3)를 비산시켜 슬래그 볼로 변형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의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를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향하여 18°내지 36°범위로 조절하여 분사가스에 의해 비산되는 슬래그(3)를 0.1 내지 5.0mm의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갖는 슬래그 볼로 변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분사장치(30)의 단공형 분사노즐(31a) 또는 다공형 분사노즐(31b)을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턴디시(10)에서 낙하하는 슬래그(3)를 비산시킬 경우,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높을수록 큰 입도를 갖는 슬래그 볼의 입도 분포율이 높고, 상기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낮을수록 작은 입도를 갖는 슬래그 볼의 입도 분포율이 높아 건축자재 또는 건설자재에서 요구하는 입도를 갖는 슬래그 볼의 제조 시 분사노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요구하는 입도 및 크기의 슬래그 볼을 제작한다.
한편, 상기 각 분사부(33a, 33b, 33b')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향하여 24°로 조절하여 최적화한 후 분사가스를 분사할 경우, 0.1mm 내지 0.6mm의 슬래그 볼 입도 분포율이 25%이고, 0.6mm 내지 1.0mm의 슬래그 볼 입도 분포율이 34.5%이며, 1.0mm 내지 2.0mm의 슬래그 볼 입도 분포율이 20%로 이루어지는 등 건자재용 잔골재 입도 분포와 유사한 입도 분포를 갖는 슬래그 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재, 웨이트재, 자전거 도로용 평탄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도 및 크기의 슬래그 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노즐(31)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속가스에 비산되면서 냉각 및 고체화되어 바닥면으로 낙하한 슬래그 볼은 별도의 수집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수거되고, 수거된 슬래그 볼은 건축 및 건설자재 또는 기타 다양한 제품에 첨가재로 사용되어 재활용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슬래그 처리장치, 2 : 슬래그 포트,
3 : 슬래그, 10 : 턴디시,
30 : 분사장치, 31 : 분사노즐,
31a : 단공형 분사노즐, 31b : 다공형 분사노즐,
33a, 33b, 33b' : 분사부,
35a, 35b, 35b' : 분사공.

Claims (6)

  1.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된 후 슬래그 포트를 통하여 낙하되는 슬래그의 유량을 제어하는 턴디시; 및 상기 턴디시에서 낙하되는 용융상태의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분사장치; 를 포함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나의 분사부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단공형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를 조절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입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공형 분사노즐의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4. 전기로 및 전로에서 발생되어 일정량 출탕된 후 슬래그 포트를 통하여 낙하되는 슬래그의 유량을 제어하는 턴디시; 및 상기 턴디시에서 낙하되는 용융상태의 슬래그에 고속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비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분사장치; 를 포함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다수개의 분사부를 통하여 고속가스를 분사하는 다공형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속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낙하하는 슬래그 볼의 입도를 조절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입도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18°내지 36°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공형 분사노즐의 각 분사부의 경사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24°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KR20120070224A 2012-06-28 2012-06-28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KR10137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224A KR101379453B1 (ko) 2012-06-28 2012-06-28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224A KR101379453B1 (ko) 2012-06-28 2012-06-28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98A true KR20140001698A (ko) 2014-01-07
KR101379453B1 KR101379453B1 (ko) 2014-03-31

Family

ID=5013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70224A KR101379453B1 (ko) 2012-06-28 2012-06-28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4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840B1 (ko) * 1991-03-21 1994-02-02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팩시밀리용 렌즈
KR20020033008A (ko) * 2000-05-19 2002-05-04 오옥수 제강 슬래그로부터의 지금회수 및 슬래그 처리방법
KR101194277B1 (ko) * 2004-11-23 2012-10-29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KR101115772B1 (ko) * 2009-11-16 2012-03-08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453B1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505A (zh) 由粉化炉渣制成的磨料、该磨料的生产设备和方法
KR101957366B1 (ko) 실리콘망간 슬래그 경량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15772B1 (ko) 슬래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79452B1 (ko) 제강공정의 2차 정련 환원 슬래그 처리장치
KR101379454B1 (ko) 폐열 재활용이 가능한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처리시스템
KR101379453B1 (ko)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KR101379459B1 (ko) 폐열에 의한 습증기 활용구조를 갖춘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처리시스템
CN207756865U (zh) 一种热坯角部裂纹在线清理装置
WO2013065940A1 (ko) 고속가스를 이용한 급냉 친환경 니켈슬래그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14951B1 (ko) 슬래그볼 제조 장치
KR20140005032A (ko)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송풍압력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CN104831006A (zh) 一种回收精炼废渣生产钢水覆盖剂的方法
KR20150084789A (ko) 금속 슬래그를 가공하는 방법 및 기기
JP4367330B2 (ja) 溶融スラグの風水砕装置
KR101379456B1 (ko) 기류 집적화 기능이 가능한 슬래그 볼 아토마이징 처리시스템
KR20130081887A (ko) 실리콘망간 슬래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55460B1 (ko) 실리콘망간 슬래그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7300B1 (ko) 슬래그 안정화 처리 시스템
KR20140001635A (ko) 제강 환원슬래그 볼 조재제 및 그 제조방법
JPS6025538A (ja) 製鋼スラグ砕片の製造方法
CN206069901U (zh) 一种高温液态熔渣粒化系统
KR101379457B1 (ko) 아토마이징용 분사공기 예열장치를 갖춘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처리 시스템
CN103966372B (zh) 液态钢渣固化分散处理系统
KR20140075105A (ko) 금속 분말의 수분사 제조장치
KR20140047294A (ko)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