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277B1 -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277B1
KR101194277B1 KR1020050038101A KR20050038101A KR101194277B1 KR 101194277 B1 KR101194277 B1 KR 101194277B1 KR 1020050038101 A KR1020050038101 A KR 1020050038101A KR 20050038101 A KR20050038101 A KR 20050038101A KR 101194277 B1 KR101194277 B1 KR 10119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abrasive
ball
gas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497A (ko
Inventor
오옥수
오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932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942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ublication of KR2006005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2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09Abrasive particles per se
    • C09K3/1427Abrasive particles per se obtained by division of a mass agglomerated by melting, at least partially, e.g. with a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6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using air, inert gases or removable conductive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62Jet nozzles or pressurised fluids for cooling, fragmenting or atomis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재용 슬래그 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스트 크리닝(blast cleaning)에 사용되는 연마재로 제철소 제강공정에서 강을 제조하고 남은 폐기물인 제강 슬래그(전로 슬래그 또는 전기로 슬래그)를 아토마이징 처리한 슬래그 볼을 이용하는 것과 상기 연마재용 슬래그 볼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볼 발명의 연마재는, 전로 또는 전기로 슬래그를 아토마이징 처리하여 제조된 연마재로서, 입경이 0.1 내지 2.0mm, 모스 경도 6.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융 제강슬래그를 특수가공한 연마재와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 슬래그 사용법에서 요구되는 파쇄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경도가 높으며, 균일한 입도를 가지고 있어 피연마재의 표면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성이 있어 회수가 수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분진발생량이 현저하게 작다는 다양한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Figure R1020050038101
슬래그 볼, 아토마이징, 연마재, 전로 슬래그, 전기로 슬래그

Description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BRASIVE MATERIAL MADE OF ATOMIZED SLAG,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를 제조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슬래그 포트, 2 : 용융 슬래그,
3 : 턴디시, 4 : 상부 노즐,
5 : 하부 노즐, 6 : 아토마이징된 슬래그,
7 : 쿨링 펜스, 8 : 버킷 엘리베이터,
9 : 시브 스크린
본 발명은 연마재용 슬래그 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스트 크리닝(blast cleaning)에 사용되는 연마재로 제철소 제강공정에서 강을 제조하고 남은 폐기물인 제강 슬래그(전로 슬래그 또는 전기로 슬 래그)를 아토마이징 처리한 슬래그 볼을 이용하는 것과 상기 연마재용 슬래그 볼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트 크리닝은 모래나 강구와 같은 경질 연마재를 피가공면에 고속으로 분사하여 충돌되는 입자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피가공면을 연마하거나 페인트 또는 녹층을 벗겨냄으로서 청정화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블라스트 크리닝은 분사방식에 따라 1) 고압공기를 사용하는 파워 블라스트, 2) 물과 연마재를 액상으로 사용하는 습식 블라스트(다른 말로는 액체 호닝이라고도 함), 3) 급속회전 차륜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 블라스트, 4) 분사와 동시에 연마재 및 분진을 진공으로 회수하는 진공 블라스트 등이 있다.
현재 블라스트 크리닝에 사용되는 연마재를 그 재질별로 고찰해 보면, 쇼트 블라스트에 사용되는 금속 연마재와 샌드 블라스트에 사용되는 비금속 연마재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연마재 중 쇼트 연마재는 스틸 쇼트(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420127), 스틸 볼(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83-0001153), 형상이 조절된 스틸쇼트(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1-0020307), 희토류 금속(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3-0048032), 세륨계 금속(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4-0002949), 알파 알루미늄 금속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97-0707253), 스틸 그릿, 스틸 컷 와이어, SUS 쇼트, SUS 컷 와이어 및 알루미늄 컷 와이어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금속 연마재는 내구성이나 연마효율면에서 비금속류에 비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품단가가 비금속 연마재에 비해 10-70배 정도로 상당히 고가이며 또한 재료에 맞는 블라스트 기계를 특별히 제작하여야 한다는 단점도 있어서 그 용도는 넓지 않으며 대부분 특수 표면가공이 필요한 연마제품에 사용한다.
이에 비해 비금속 연마재로서는 가네트(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4-0050607), 실리콘 카바이드(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99-0007593), 다용성 모래(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0-0060632), 플라스틱 재질(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80-0001577), 샌딩사, 동(Cu) 슬래그, 금강사, 글래스 비드(Glass Bead), 세라믹 비드(Ceramic Bead), 탄화규소 및 실리콘 카바이드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비금속 연마재 중 천연 광물로 부터 채취되는 샌딩사 등의 광물류 연마재는 자원의 고갈 및 환경 훼손 등의 문제를 유발시키므로 그 사용의 제약이 있으며, 다른 연마재도 마찬가지로 고가의 원료비 또는 높은 제조비용으로 인하여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자원 채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 슬래그(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3-0080207)를 연마재로 활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본 기술은 폐기물 재자원화 측면에서는 상당히 고무적인 기술이지만 고가의 제품단가, 약한 경도, 블라스팅 후의 피사체의 낮은 조도, 동슬래그의 부식성, 블라스팅 후 다량의 분진발생, 재사용 불가능성 등으로 인하여 연마재 용도로서는 그리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블라스트 크리닝용 연마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1) 충분한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2) 블라스팅 후 피사체의 조도가 높고, 3) 피사체를 부식시키지 않을 정도로 안정하며, 4) 블라스팅시 연마재가 갈라지는 등의 이유로 분진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며, 5) 가능한 한 여러번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며, 6) 환경 훼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폐기물 등으로 제조되는 연마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분한 경도와 조도를 가지고 있어 금속 연마재와 유사한 연마효율을 나타내며, 피사체를 부식시키지 아니하고,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사용가능한 비금속 연마재, 그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마재를 버려지는 제강 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함으 로써 환경보호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연마제,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블라스팅 장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균일한 입도의 연마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볼 발명의 연마재는, 전로 또는 전기로 슬래그를 아토마이징 처리하여 제조된 연마재로서, 입경이 0.1 내지 2.0mm, 모스 경도 6.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연마재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균등계수가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균등계수(U)=P60/P10
(여기서, P60은 시료의 60%를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를 의미하고, P10은 시료 의 10%를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연마재는, 입경이 0.4 내지 2.0mm 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연마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용융슬래그를 수용하며 수용된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포트, 상기 슬래그 포트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일시 저장하면서 배출하는 턴디시, 및 상기 턴디시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가스의 운동에너지로 분사 및 수송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가스 노즐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해 전방으로 수송되는 슬래그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물 또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쿨링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수송된 슬래그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연마재에 필요한 입도로 분급하는 입도 선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장치의 상기 가스 분사 노즐은 상하 2단 노즐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연마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출된 슬래그를 고속 가스류에 의해 미세 액적으로 분쇄 시키는 단계; 상기 분쇄된 미세 액적을 고상의 슬래그 볼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 볼을 입도 0.1~2.0mm 인 연마재로 선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마재는 전로 슬래그 또는 전기로 슬래그를 아토마이징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제조되는 강에 따라 조금씩 틀리지만 상기 전로 슬래그 및 전기로 슬래그는 대체로 하기 표 1의 조성을 따른다.
삭제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진 슬래그 볼은 내부에 2CaO·Fe2O3, 3CaO·Fe2O3, MgO·Al2O3 및 3CaO·SiO2와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복합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상은 대체로 안정하며 경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복합상 중 MgO·Al2O3는 스피넬이라 불리우는 매우 안정한 상을 가져서 슬래그 볼의 경도향상에 큰 기여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슬래그 볼은 모스 경도 6.5~8.0 및 비커스 경도 500~700으로 매우 높은 경도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슬래그 볼을 피사체에 블라스팅할 경우에는 높은 경도로 인하여 피사체 표면을 연마하거나 피사체 표면에 존재하는 녹이나 페인트 층과 같은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래그 볼을 피사체에 블라스팅할 경우 슬래그 볼의 크기가 불균일할 경우에는 슬래그 볼의 크기에 따라 피사체의 블라스팅 자국의 크기가 불균일해져서 결과적으로 피사체의 조도가 매우 불량해진다. 또한, 슬래그 볼의 입도가 불균일할 경우에는 블라스팅 장치 사용에도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입도가 균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마제로 사용하기 위한 슬래그 볼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균등계수(U)가 1.3 이하일 필요가 있는데 이는 균등계수가 낮을수록 균일한 연마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균등계수(U)=P60/P10
여기서, P60은 시료의 60%를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를 의미하고, P10은 시료의 10%를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를 의미한다. 만일 모든 시료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상 기 균등계수는 1이 된다.
또한, 적절한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피사체에 충돌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슬래그 볼의 밀도는 3.2 내지 4.0g/cm3 사이가 바람직하며, 직경도 0.1 내지 2.0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규칙적인 연마면을 제조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직경 분포는 0.4 내지 2.0 mm 이다.
상기한 조건으로 제조된 슬래그 볼은 1)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2) 분진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깨어지지 않으므로 분진 발생이 거의 없으며, 3) 따라서 여러번 사용할 수 있으며, 4) 균일한 입도를 가지고 있어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5) 폐기물 등으로 제조되어 환경보호에 유리하다.
상기 슬래그 연마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로 또는 전기로에서 배재된 용융 슬래그는 슬래그를 담기 위한 용기인 슬래그 포트(1)에 수용된다. 슬래그 포트(1)에 수용된 용융 슬래그(2)는 이후 턴디시(3)로 출탕되는데, 상기 턴디시는 용융슬래그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용융 슬래그가 턴디시(3) 출탕측에서 넓게 펼쳐진 상태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슬래그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슬래그가 충분히 턴디시(3)내에서 체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턴디시(3)의 배출구의 배출각도는 수평방향 아래쪽으로 1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턴디시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된 슬래그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의 분사 구역으로 낙하하여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와 충돌하게 된다. 상기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은 상하 2개의 노즐(4,5)로 이루어진 2단 노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노즐(4)은 분사되는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의 운동에너지로 낙하되는 용융 슬래그를 미세한 액적으로 분쇄함과 동시에 야적지로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하부 노즐(5)은 상기 상부 노즐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에 의해 야적지로 수송되지 않고 낙하하는 슬래그를 최종 크기로 분쇄함과 동시에 야적지로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2단 노즐의 가스 분사 각도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평으로부터 위로 0 내지 45°각도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슬래그 볼의 크기 제어와 원활한 수송을 위하여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2단 노즐은 각각 0 내지 45°의 각도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100~1050mmAq 범위의 송풍압으로 분사되는 것이 슬래그 볼 입도제어와 원활한 수송을 위하여 효과적이다.
상기 상하 2단 노즐에 덧붙여서 상기 2단 노즐의 양측면에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더 포함될 수 있다(도시 생략). 상기 물 분사 노즐은 2단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물을 혼합하여 공급하여 아토마이징된 슬래그 액적을 급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 또는 가스/물 혼합체의 분사류에 의해 야적지로 수송되는 슬래그 액적(6)은 수송 도중에 물 또는 수증기가 분무되는 쿨링펜스(7) 지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펜스(7)에 의해 슬래그 액적은 보다 급냉되어 연마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슬래그 볼로 응고된다.
상기와 같이 수송도중에 응고된 슬래그 볼은 야적지에 낙하된다. 낙하된 슬래그 볼은 버킷 엘리베이터(8)나 콘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시브 스크린으로 이동되고, 시브 스크린(9)에서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입도를 가진 슬래그 연마재로 최종 선별된다.
(실시예)
전로 정련후 전로에서 배출되는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에 수용한 후 상기 슬 래그 포트를 대차를 이용하여 처리 위치로 수송하였다.
수송된 슬래그 포트를 다시 천정 크레인에 의하여 턴디시 직상부로 이동한 후 적당한 각도로 기울여져 턴디시로 용융슬래그를 배출하도록 하였다. 슬래그 배출속도는 분당 1000-1500 kg 정도가 되도록 하였으며 배출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래그 잔량에 따라 포트 경동 각도가 점점 급격하게 되도록 포트를 경동시켰다.
턴디시의 배출구의 각도는 수평방향으로보아 아래쪽으로 30°로 고정하였으며, 2단 노즐의 가스 분사각도는 수평방향에서 위쪽으로 24°(상부노즐) 및 30°(하부노즐)로 고정하였다.
이때, 물분사노즐은 가동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가스만 분사되도록 하였다. 상기 물분사 노즐 선단 위치를 기준으로 10-15 m 부근에 쿨링 펜스를 설치하여 가스에 의해 비산되어 수송되는 슬래그 액적이 급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적지에서 냉각된 슬래그 볼은 페이로더와 버킷(bucket)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시브 스크린으로 이송하였으며, 상기 시브 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도 0.4 내지 2.0 mm 범위에 해당되는 슬래그 볼을 선별하여 연마재로 하였다.
상기 연마재의 균등계수를 검토한 결과 1.22 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균등계수의 바람직한 범위에 해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연마재에 대하여 X-선 회절(XRD)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기 연마재에는 프리 라임(free lime)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상기 연마재를 오랫동안 보관하더라도 수화에 의한 분화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연마재가 수질 또는 토양 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중금속 용출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규제물질 Pb Cu As Hg Cd Cr CN
허용기준치
(ppm)
3.0이하 3.0이하 1.5이하 0.005이하 0.3이하 1.5이하 1.0이하
시험결과
(ppm)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재는 중금속을 전혀 용출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3에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와 종래의 연마재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본 발명 연마재 동 슬래그 규사
(모래)
가네트
(석류석)
Glass
Bead
스틸볼
진비중 3.54 3.65 2.62 4.20 2.60 7.20
모스경도 7.5 6.5 5.5 7.5 5.0 8.5
록웰경도(HRC) 43 37 30 40 28 50
조도(품질상태) 매우양호 양호 보통 양호 보통 매우양호
제품단가(톤당) 3 6 4.5 35 20 100
재사용 가능성 2-3회 불가 불가 3-4회 불가 10-12회
설비변경용이 용이 용이 용이 용이 보통 어려움
폐기물 종류 일반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제품단가(톤당) : 가장 비싼 스틸볼의 가격을 '100'으로 기준함
상기 표 3에 나타내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볼은 진비중이 약 7.2g/cm3 정도인 스틸볼에 비해서는 비중이 낮지만 샌드 블라스트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모래의 진비중이 2.62라는 점을 감안하면 연마재로서 훌륭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도도 스틸볼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으며 블라스팅 후의 조도는 스틸볼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유해한 중금속을 전혀 용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일반 폐기물로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틸볼이나 쇼트볼은 모래를 사용하는 샌드 블라스트에 의하여 블라스트 클리닝 작업을 실시할 수 없으며, 굳이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스틸 볼 등을 블라스팅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의 설비변경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슬래그 연마재는 상기와 같은 블라스트 장치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특히, 상기 슬래그 연마재의 우수한 특성은 같은 샌드 블라스트 재료이면서 고가인 가네트와 비교하였을 때 확연히 드러나는데, 슬래그 볼은 가네트에 비하여 비록 비중은 약간 낮으나 경도 등이 높아 가공된 피사체의 표면조도를 매우 양호하게 한다.
블라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투사연마재별로 크기에 따른 연마처리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모래, 슬래그 연마재, 스틸볼을 각각 크기별로 0.1-0.4mm, 0.4-1.0mm, 1.0-2.0mm인 입도분포로 분급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출원인이 제작한 샌드 에어블라스트 시험장치(Model ASP-20)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부식이 진행된 동일한 강판을 대상으로 해서 분사거리 30cm에서 분사속도 70-80m/sec로 한번에 1000g 씩을 분사하여 나타난 측정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각 연마재에 의하여 연삭된 정도를 나타내는 표면조도는 세가지 종류 모두 작은 입자보다 큰 입자가 더 좋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기 표면조도를 연마재 종류별로 살펴보면 스틸볼, 슬래그 연마재, 모래 순으로 나타나서 기존에 사용되는 모래보다 슬래그 연마재가 보다 효과적이며 스틸볼에 근접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마처리 면적은 역시 세가지 모두 작은 입자가 큰 입자보다 훨씬 많은 면적을 처리함을 알 수 있었는데 연마재별로는 그 효과도 차이가 있어써 동일한 크기의 모래보다 슬래그 연마재 더 많은 면적을 연마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연마작업동안 발생하는 분진은 공해물질로 작업자의 건강에도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분진발생량은 블라스팅 작업장소로부터 5m 지점에 분진계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마면에서 충돌을 통해 쪼개어져 많은 분진을 일으키는 모래의 경우 상당한 분진이 발생하였으나 경도가 보다 강한 슬래그 연마재의 경우는 동일한 크기의 모래에 비해 1/3밖에 발생치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투사연마재는 크기가 클수록 표면조도는 높게 나오나 처리면적은 작으며 발생하는 분진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마효율은 모래에 비해 슬래그 연마재가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입도분포(mm) 표면조도(㎛) 연마처리면적
(m2/hr)
생성 분진량
(mg/m3)
모래-1 0.1-0.4 35 9.0 250
모래-2 0.4-1.0 50 5.0 350
모래-3 1.0-2.0 70 2.0 460
슬래그 연마재-1 0.1-0.4 60 13 85
슬래그 연마재-2 0.4-1.0 80 8.0 110
슬래그 연마재-3 1.0-2.0 145 3.5 145
스틸볼-1 0.1-0.4 75 19 13
스틸볼-2 0.4-1.0 90 11 15
스틸볼-3 1.0-2.0 220 5.0 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융 제강슬래그를 특수가공한 연마재와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 슬래그 사용법에서 요구되는 파쇄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경도가 높으며, 균일한 입도를 가지고 있어 피연마재의 표면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성이 있어 회수가 수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분진발생량이 현저하게 작다는 다양한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산업폐기물인 제강슬래그를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여 연마재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철공정의 슬래그 처리비용 전액절감, 환경오염의 최소화, 매립지부지난 해소 등의 잇점도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용융슬래그를 수용하며 수용된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포트,
    상기 슬래그 포트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일시 저장하면서 배출하는 턴디시, 및
    상기 턴디시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가스의 운동에너지로 분사 및 수송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마이징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의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해 전방으로 수송되는 슬래그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물 또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쿨링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마이징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의 제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된 슬래그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연마재에 필요한 입도로 분급하는 입도 선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마이징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의 제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은 상하 2단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마이징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의 제조장치.
  9.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출된 슬래그를 가스류에 의해 액적으로 분쇄 시키는 단계;
    상기 분쇄된 액적을 고상의 슬래그 볼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 볼을 입도 0.1~2.0mm 인 연마재로 선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마이징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의 제조방법.
KR1020050038101A 2004-11-23 2005-05-06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Ceased KR101194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6074 2004-11-23
KR1020040096074 2004-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97A KR20060057497A (ko) 2006-05-26
KR101194277B1 true KR101194277B1 (ko) 2012-10-29

Family

ID=367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101A Ceased KR101194277B1 (ko) 2004-11-23 2005-05-06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194277B1 (ko)
CN (1) CN101065505A (ko)
TW (1) TWI390025B (ko)
WO (1) WO2006085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00B1 (ko) * 2006-06-14 2011-02-15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성된 물품
US20090193849A1 (en) * 2006-06-14 2009-08-06 Ecomaister Co., Ltd. Method for stabilizing slag and novel materials produced thereby
CN101298551B (zh) * 2008-06-13 2011-11-16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钢渣除锈磨料的制备方法
KR101355460B1 (ko) * 2011-12-27 2014-01-29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실리콘망간 슬래그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9453B1 (ko) * 2012-06-28 2014-03-31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경사각도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KR101379452B1 (ko) * 2012-06-28 2014-04-04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제강공정의 2차 정련 환원 슬래그 처리장치
WO2014061950A1 (ko) * 2012-10-19 2014-04-24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폐열을 이용한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시스템
KR20140065562A (ko) * 2012-11-16 2014-05-30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탄소강과 망간 합금철 및 스테인레스강의 환원 탈린공정에서 생성되는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CN103707204B (zh) * 2013-12-10 2016-04-13 安徽工业大学 一种利用炼钢转炉渣对工件表面进行喷砂处理的方法
CN104141027B (zh) * 2014-07-25 2016-08-17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综合利用炼钢转炉风淬渣的方法
CN105363549B (zh) * 2014-11-19 2018-02-27 晋江市冠兴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回收效果好的环保型煤渣回收处理系统
CN105670563B (zh) * 2016-01-07 2018-06-12 上海亚都塑料有限公司 一种高抗磨耐腐蚀复合研磨材料的制备方法
ES2615157B2 (es) * 2017-03-16 2017-10-04 Endesa Generacion, S.A.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producto abrasivo
CN113046025A (zh) * 2021-03-31 2021-06-29 成渝钒钛科技有限公司 一种高钛高炉渣非金属磨料及制备方法
US12091605B2 (en) * 2021-04-14 2024-09-17 Harsco Technologies LLC Demetallized slag for abrasives and/or roofing granules and related methods
CN115044349A (zh) * 2022-04-18 2022-09-13 江汉大学 一种喷射清理用非金属磨料及其制备方法
CN115584239B (zh) * 2022-09-29 2024-03-26 浙江申联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工业废渣生产非金属磨料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030A (ja) * 1995-10-18 1997-04-28 Japan Metals & Chem Co Ltd 研掃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80084280A (ko) * 1997-05-22 1998-12-05 오옥수 제강슬레그를 주원료로 한 시멘트
JP2000290048A (ja) * 1999-04-09 2000-10-17 Hoshino Sansho:Kk ショットブラスト用粒体
KR20010046369A (ko) * 1999-11-12 2001-06-15 이구택 생콘크리트의 유동성 증진방법
KR100313624B1 (ko) * 1994-08-26 2002-01-17 마이너지 코어퍼레이션 제지공장등에서발생되는슬러지를전환시키는방법
KR20020033008A (ko) * 2000-05-19 2002-05-04 오옥수 제강 슬래그로부터의 지금회수 및 슬래그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085A (en) * 1980-09-30 1982-06-29 Kennecott Corporation Recovery of precious metals from spent alumina-containing catalysts
US5496392A (en) * 1990-12-21 1996-03-05 Enviroscience Method of recycling industrial waste
US5273566A (en) * 1993-01-26 1993-12-28 International Environmelting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environmentally acceptable abrasive product from hazardous wast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624B1 (ko) * 1994-08-26 2002-01-17 마이너지 코어퍼레이션 제지공장등에서발생되는슬러지를전환시키는방법
JPH09109030A (ja) * 1995-10-18 1997-04-28 Japan Metals & Chem Co Ltd 研掃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80084280A (ko) * 1997-05-22 1998-12-05 오옥수 제강슬레그를 주원료로 한 시멘트
JP2000290048A (ja) * 1999-04-09 2000-10-17 Hoshino Sansho:Kk ショットブラスト用粒体
KR20010046369A (ko) * 1999-11-12 2001-06-15 이구택 생콘크리트의 유동성 증진방법
KR20020033008A (ko) * 2000-05-19 2002-05-04 오옥수 제강 슬래그로부터의 지금회수 및 슬래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1962A (en) 2006-07-01
CN101065505A (zh) 2007-10-31
WO2006085712A1 (en) 2006-08-17
KR20060057497A (ko) 2006-05-26
TWI390025B (zh)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277B1 (ko)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US5637030A (en) Abrasive formulation for waterjet cutting and method employing same
TWI574791B (zh) Blasting material for blas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2791429B (zh) 喷砂物料和喷砂方法
US3716947A (en) Abrasive blast cleaning system
CN201046415Y (zh) 水渣渣铁分离及回收利用装置
CN103707204B (zh) 一种利用炼钢转炉渣对工件表面进行喷砂处理的方法
KR20070105017A (ko) 스틸슬래그를 이용하는 연마재 및 그 제조방법
US3883997A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grade metallic products from solid slags and high-grade metallic products
KR100536507B1 (ko) 연삭재, 연삭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4238276A (ja) 高炭素フェロクロム風砕スラグの製造方法及び研掃材
EP0663863B1 (en) The use of specular hematite as an impact material
JP3746962B2 (ja) 研磨材及び該研磨材を用いた研磨方法
KR20020080380A (ko) 철,크롬,탄소 합금을 기재로 하는, 부식되지 않고모서리가 있는 쇼트 블라스팅연마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11083869A (ja) ブラスト処理用研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6666B1 (ko) 슬래그 연마재 제조장치 및 열연강대의 스케일 제거방법
KR101015805B1 (ko) 금형 및 정밀부품의 클리닝에 사용되는 연마재의 제조방법
KR20140001635A (ko) 제강 환원슬래그 볼 조재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2270A (ko) 폐내화물을가공 처리한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99890B1 (ko) 커팅 스테인레스 스크랩을 이용한 연마재의 가공장치
US4044459A (en) High-grade metallic products
KR100495745B1 (ko) 연마재 및 그 연마재를 이용한 연마방법
WO1997014760A1 (en) Method for processing iron-containing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CA1119822A (en) Method for beneficiating a waste product and the metallic abrasive material produced
KR100815143B1 (ko) 다이캐스팅 금형 물품 표면 연마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5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918

Appeal identifier: 2012101007347

Request date: 201208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503

Decision date: 20190705

Appeal identifier: 201810000135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35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503

Effective date: 2019070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503

Decision date: 20190705

Appeal identifier: 2018100001357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10429

Appeal identifier: 2019200005973

Request date: 201908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6105; INVALID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10429

Appeal identifier: 2019200006105

Request date: 201908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91224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109

Request date: 20191224

Appeal identifier: 201910500012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9105000123

Request date: 20191224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10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116

Request date: 20200113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0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916

Request date: 20200116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05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6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03

Request date: 20200113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1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0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116

Effective date: 2020091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2009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00116

Decision date: 20200916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05

PC1903 Unpaid annual fe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597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16

Effective date: 2021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610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20

Effective date: 20210429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Request date: 20190820

Decision date: 20210429

Appeal identifier: 201920000610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90816

Decision date: 20210429

Appeal identifier: 201920000597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PJ220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Patent event code: PJ22012S01I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210520

Request date: 2021052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1130000059

Decision date: 202106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5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520

Effective date: 2021060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2106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10520

Decision date: 20210608

Appeal identifier: 202113000005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7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10826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