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70A -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70A
KR20140001370A KR1020120068686A KR20120068686A KR20140001370A KR 20140001370 A KR20140001370 A KR 20140001370A KR 1020120068686 A KR1020120068686 A KR 1020120068686A KR 20120068686 A KR20120068686 A KR 20120068686A KR 20140001370 A KR20140001370 A KR 2014000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se film
layer
shock absorbing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963B1 (ko
Inventor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오영하
김춘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오영하, 김춘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Priority to KR102012006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963B1/ko
Priority to PCT/KR2013/005577 priority patent/WO2014003403A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부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부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하부에 형성된 이형지; 상기 제2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된 방오층; 및 상기 방오층 상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FILM FOR MOBILE EQUIPMENT WITH SHOCKING ABSOR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는 통상 터치 스크린 방식이 적용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강화유리의 경우, 광투과도, 경도 및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강화유리의 경우, 예를 들어 휴대폰을 떨어드렸을 때 강화유리가 파손되는 것과 같이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강화유리 파손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653호(2009.06.29. 공개)에 개시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흡수 기능이 있어,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강화유리와 같은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부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부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및 상기 제1기재필름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층의 재질은 투명 실리콘 고무,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투명 겔(gel)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5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재필름 및 제2기재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기재필름 상부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 상부에는 방오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3장 이상의 기재 필름들; 상기 기재 필름들 사이마다 형성된 2이상의 충격흡수층들; 및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하부 기재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이때, 상기 충격흡수층들 각각의 두께는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의하면, 충격흡수층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부착된 모바일 기기의 경우, 충격 흡수층이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강화유리와 같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경우, 충격흡수층 하부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층 상부에도 기재필름이 형성됨으로써 충격흡수층이 박리되거나 혹은 필름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경우, 충격흡수층과 기재 필름이 반복되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라멜라 구조의 경우, 여러 충격흡수층들이 충격을 순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충격흡수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기재필름(110a), 충격흡수층(120), 제2기재필름(110b) 및 점착층(130)을 포함한다.
제1기재필름(110a)과 제2기재필름(110b)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기재필름(110a)와 제2기재필름(110b)은 강도, 내후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충격흡수층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120)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모바일 기기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층(120)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충격흡수능이 우수한 투명 실리콘 고무,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투명 겔(gel)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투명 실리콘 고무 또는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층의 경우, 액상의 투명 실리콘 고무 또는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1기재필름(110a) 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겔의 경우, 실리콘 겔과 같은 공지의 투명한 겔,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화된 겔을 제1기재필름 상에 적층한 후 제2기재필름(110b)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기재필름(110a)와 제2기재필름(110b) 사이에 충격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충격흡수층(120) 하부에만 제1기재필름(110a)이 형성되어 있고, 충격흡수층(120) 상부에 제2기재필름(110b)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시 충격흡수층(120)의 일부분, 특히 충격흡수층(120)의 상부 부분이 필름의 측면쪽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충격흡수층(120) 상부에 제2기재필름(110b)까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기재필름(110a)이 충격흡수층(120)을 아래쪽에서 붙잡고, 제2기재필름(110b)이 충격흡수층(120)을 위쪽에서 붙잡고 있는 형태가 되어, 충격흡수층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충격흡수층(120)의 일부분의 측면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층(120)의 두께는 5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흡수능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충격흡수층의 두께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충격흡수 효과 향상없이 필름의 두께만 증대시킬 수 있다.
점착층(130)은 제1기재필름(110a) 하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기재필름(110a), 충격흡수층(120), 제2기재필름(110b), 점착층(130), 하드코팅층(140), 방오층(150), 보호필름(160) 및 이형지(1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필름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필름과 마찬가지로 제1기재필름(110a), 제2기재필름(110b), 충격흡수층(120), 점착층(130)을 포함하며, 아울러 하드코팅층(140), 방오층(150), 보호필름(160) 및 이형지(170)를 더 포함한다.
하드코팅층(140)은 필름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며, 방오층(150)은 필름이 오염되거나, 지문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하드코팅층(140)과 방오층(150) 각각은 공지된 하드코팅 조성물, 방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필름(160)은 필름의 보관, 이송시 필름의 상부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이후에는 제거될 수 있다.
이형지(170)는 필름의 보관, 이송시에 점착층(130)이 다른 것에 부착되거나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기재필름(310a), 제1충격흡수층(320a), 제2기재필름(310b), 제2충격흡수층(320b), 제3기재필름(310c) 및 점착층(330)을 포함한다.
기재필름들(310a, 310b, 310c) 각각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흡수층들(320a, 320b)은 투명 실리콘 고무,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투명 겔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착층(330)은 제1기재필름(310a), 즉 최하부 기재필름 하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에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기재필름(310c), 즉 최상부 기재필름 상에는 하드코팅층, 방오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경우, 단층의 충격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경우, 다층의 충격흡수층(320a, 3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충격흡수층(320a, 320b)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기재필름(310a, 310b, 310c)이 형성되어 있는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갖는다.
이와 같이,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를 갖는 경우, 외부 충격을 충격흡수층들(320a, 320b)이 순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층들(320a, 320b) 각각의 두께는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들(320a, 320b) 각각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충격흡수능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충격흡수층들(320a, 320b)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충격흡수능 향상없이 필름의 두께만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제1기재필름, 충격흡수층, 제2기재필름이 순차로 적층된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기재필름 및 제2기재필름으로 40㎛ 두께의 PET 필름(SH86, SKC 제조)을 사용하였으며, 충격흡수층은 액상 투명 실리콘(KE-441, 신에츠 제조)을 이용하여 100㎛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충격흡수층으로 액상 TPU(CU87AS, 창민 제조)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기재필름, 제1충격흡수층, 제2기재필름, 제2충격흡수층, 제3기재필름이 순차로 적층된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기재필름, 제2기재필름 및 제3기재필름으로 40㎛ 두께의 PET 필름(SH86, SKC 제조)을 사용하였으며, 제1충격흡수층 및 제2충격흡수층 각각은 액상 투명 실리콘(KE-441, 신에츠 제조)을 이용하여 40㎛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제1충격흡수층 및 제2충격흡수층으로 액상 TPU(CU87AS, 창민 제조)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충격흡수층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40㎛ 두께의 PET 필름(SH86, SKC 제조)을 합지하였다.
2. 특성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따른 필름 하면에 아크릴 점착층을 형성한 후, 두께 1.3mm의 강화유리(삼성테크로글라스 제조)에 부착한 후, 투명성 평가 및 충격흡수 평가를 수행하였다.
(1) 투명성 평가 방법
피사체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투명성 평가 결과,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따른 필름이 부착된 강화유리 모두가 양호한 투명성을 나타내었다.
(2) 충격흡수 평가 방법
1.04kg의 강구를 사용하여 1.5m 및 2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강화유리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각 시편에 대하여 30회씩 평가하여, 파손 회수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충격흡수층이 형성된 실시예 1~4에 따른 필름이 부착된 강화유리 시편의 경우, 파손 회수가 현저히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로 형성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 따른 필름이 부착된 강화유리 시편의 경우, 전체 충격흡수층 두께가 더 얇음에도 불구하고 충격흡수능력이 더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a : 제1기재필름 110b : 제2기재필름
120 : 충격흡수층 130 : 점착층
140 : 하드코팅층 150 : 방오층
160 : 보호필름 170 : 이형지
310a : 제1기재필름 310b : 제2기재필름
310c : 제3기재필름 320a : 제1충격흡수층
320b : 제2충격흡수층 330 : 점착층

Claims (10)

  1.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부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부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및
    상기 제1기재필름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의 재질은
    투명 실리콘 고무,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투명 겔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5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필름 및 제2기재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필름 상부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 상부에는 방오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6. 3장 이상의 기재 필름들;
    상기 기재 필름들 사이마다 형성된 2이상의 충격흡수층들; 및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하부 기재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들의 재질은
    투명 실리콘 고무,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투명 겔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 구조에 포함되는 충격흡수층들은 각각의 두께는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필름 및 제2기재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에서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상부 기재필름의 상부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 상부에는 방오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1020120068686A 2012-06-26 2012-06-26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10144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86A KR101448963B1 (ko) 2012-06-26 2012-06-26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PCT/KR2013/005577 WO2014003403A1 (ko) 2012-06-26 2013-06-25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86A KR101448963B1 (ko) 2012-06-26 2012-06-26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70A true KR20140001370A (ko) 2014-01-07
KR101448963B1 KR101448963B1 (ko) 2014-10-13

Family

ID=4978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86A KR101448963B1 (ko) 2012-06-26 2012-06-26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8963B1 (ko)
WO (1) WO20140034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00B1 (ko) *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5489B (zh) * 2016-04-06 2017-02-15 广东东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级增亮片保护膜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9979B2 (ja) 2002-02-25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平面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耐衝撃フィルム及び平面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205738A (ja) * 2004-01-22 2005-08-04 Jsr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衝撃吸収多層体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035778A (ja) 2004-07-29 2006-02-09 Fukuvi Chem Ind Co Ltd 耐衝撃性樹脂積層板
KR101078353B1 (ko) * 2007-12-24 2011-10-31 유티스 주식회사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00B1 (ko) *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403A1 (ko) 2014-01-03
KR101448963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323B2 (ja) 表示装置用ウィンドウパネル、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10583639B2 (en) Multilayer stack of polymer films
JP5882496B2 (ja) ガラス基板の代用として使用可能な高強度透明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13785A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201801384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US20170158919A1 (en) Sheet to be pasted on road surface, floor, or wall surface and set for forming sheet to be pasted on road surface, floor, or wall surface
US20140170404A1 (en) Laminate film
CN104608445A (zh) 一种具有弯曲保型及抗冲击功能的多层弹性复合薄膜及制备方法
JP2018060081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カバー
JP2018091993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カバー
KR101448963B1 (ko)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20150077134A (ko)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1013699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TWI748682B (zh) 撓性影像顯示裝置及用於其之光學積層體
KR102185698B1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US20180100088A1 (en)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64055B1 (ko)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JP5700342B2 (ja) 液晶画面用保護シート材
KR20150072901A (ko) 커버 윈도우
KR200474976Y1 (ko) 향기 발산 효과가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JP202012943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積層体
US20140295158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TWM582044U (zh) Multi-layer tear-off protective film
CN220703569U (zh) 一种可以抗冲击的电子屏幕保护膜
JP2014231157A (ja) 衝撃吸収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