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055B1 -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 Google Patents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055B1
KR101564055B1 KR1020130108682A KR20130108682A KR101564055B1 KR 101564055 B1 KR101564055 B1 KR 101564055B1 KR 1020130108682 A KR1020130108682 A KR 1020130108682A KR 20130108682 A KR20130108682 A KR 20130108682A KR 101564055 B1 KR101564055 B1 KR 10156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otective film
base
removal gui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455A (ko
Inventor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티랩스
Priority to KR102013010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0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정렬이 용이하면서도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 상기 제1보호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상기 제2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타면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FILM FOR MOBILE DEVICE WITH EASY ALIGNMENT}
본 발명은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부착시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는 통상 터치 스크린 방식이 적용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강화유리의 경우, 광투과도, 경도 및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강화유리의 경우, 예를 들어 휴대폰을 떨어드렸을 때 강화유리가 파손되는 것과 같이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강화유리 파손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653호(2009.06.29. 공개)에 개시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부착 시 정렬이 용이하면서도 충격 흡수 기능이 있어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 상기 제1보호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상기 제2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타면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3장 이상의 기재필름들; 상기 기재 필름들 사이마다 형성된 2이상의 충격흡수층들;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하부 기재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하부 및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상부 기재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필름들;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타면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 상기 제1보호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타면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최상부 보호필름 상에 서로 이격 부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이 포함됨으로써, 필름을 모바일 기기에 부착할 경우 정렬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충격 흡수 기능이 있어,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강화유리와 같은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선 I-I'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선 I-I'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아래로부터 제1보호필름(120a), 점착층(130), 제1기재필름(140a), 충격흡수층(150), 제2기재필름(140b) 및 제2보호필름(120b)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120a) 하부에 부착된 제거 가이드필름(110) 및 제2보호필름(120b)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필름(160)을 포함한다.
제1기재필름(140a) 및 제2기재필름(140b)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유리함유 고분자 필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재필름(140a) 및 제2기재필름(140b)은 이들 중 1종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기재필름(140a) 및 제2기재필름(140b)은 강도, 내후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충격흡수층(150)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및 유리함유 고분자 필름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150)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모바일 기기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층(150)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충격흡수능이 우수한 투명 실리콘계 소재, 투명 아크릴계 소재, 투명 고무계 소재 및 투명 겔(gel)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투명 실리콘계 소재, 투명 아크릴계 소재, 투명 고무계 소재의 충격흡수층의 경우, 액상의 투명 실리콘계 소재, 투명 아크릴계 소재, 투명 고무계 소재를 제1기재필름(140a) 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겔의 경우, 실리콘 겔과 같은 공지의 투명한 겔,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화된 겔을 제1기재필름(140a) 상에 적층한 후 제2기재필름(140b)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기재필름(140a)과 제2기재필름(140b) 사이에 충격흡수층(15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충격흡수층(150) 하부에만 제1기재필름(140a)이 형성되어 있고, 충격흡수층(150) 상부에 제2기재필름(140b)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시 충격흡수층(150)의 일부분, 특히 충격흡수층(150)의 상부 부분이 필름의 측면쪽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충격흡수층(150) 상부에 제2기재필름(140b)까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기재필름(140a)이 충격흡수층(150)을 아래쪽에서 붙잡고, 제2기재필름(140b)이 충격흡수층(150)을 위쪽에서 붙잡고 있는 형태가 되어, 충격흡수층(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충격흡수층(150)의 일부분의 측면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층(150)의 두께는 5~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15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흡수능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충격흡수층(150)의 두께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충격흡수 효과 향상 없이 필름의 두께만 증대시킬 수 있다.
점착층(130)은 제1기재필름(140a) 하부(또는 제1보호필름(120a)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점착층(130)은 2차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착층(130)의 두께는 1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130)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력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점착층(130)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공지된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 우레탄계 및 불소계 중에서 1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0a) 및 제2보호필름(120b)은 필름의 보관, 이송 시 필름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될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20a) 및 제2보호필름(120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120a) 하부, 즉 제1보호필름(120a)의 타면 상에 부착된 제거 가이드 필름(110)을 포함한다.
제거 가이드 필름(110)은 필름을 모바일 기기에 부착할 경우 제1보호필름(120a)의 원활한 제거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며,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이후에는 제거된다.
제거 가이드 필름(110)은 사용자가 제1보호필름(120a)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제1보호필름(120a)의 타면 상에 부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제1보호필름(120a)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거 가이드 필름(110)의 표면에는 "뒤", "점착면" 등의 단어나 기타 문구 등의 일정한 부착 또는 제거 지시 용어가 인쇄되어 사용자의 점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2보호필름(120b) 상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을 포함한다.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은 필름을 모바일 기기에 부착할 경우, 필름의 점착층(130)이 모바일 기기의 원하는 위치에 제대로 정렬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보호필름(120b)의 원활한 제거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며,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이후에는 제거된다.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은 일부분이 제2보호필름(120b) 상에 점착되는 점착부와, 나머지 부분이 제2보호필름(120b) 외부로 돌출되는 비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부와 비점착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통해서나 선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점착부 중 제2보호필름(120b)과 마주하는 면에는 점착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점착층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 우레탄계 및 불소계 중에서 1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은 적어도 2개가 제2보호필름(120b) 상의 일측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적어도 2개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보호필름(120b) 상의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적어도 나머지 하나는 제2보호필름(120b)의 일측 가장자리와 이웃하거나 마주보는 타측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이 모서리부에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필름을 모바일 기기에 부착할 때 필름의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이 일측 및 타측 모서리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이 대각선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을 모두 포함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1, 도 3 및 도 4에서는 적어도 2~3개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을 이용하여 정렬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배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정렬 방법은 전술한 도 1, 도 3 및 도 4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수직한 방향이나, 혹은 대각선 방향, 마주보는 방향, 수직한 방향 및 나란한 방향 중 적어도 2개의 조합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개수나 부착위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의 표면에는 "앞", "윗면" 등의 단어나 기타 문구 등의 일정한 부착 또는 제거 지시 용어가 인쇄되어 사용자의 점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2기재필름(140b)과 제2보호필름(120b) 사이에 차례로 경도 3H~5H 정도의 하드코팅층(170) 및 지문방지층(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크래치 복원층, 향기층, 광촉매 살균층, 자외선 차단층 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드코팅층(170)은 필름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한다. 지문방지층(180)은 필름이 오염되거나, 지문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문방지층(180)은 오염을 쉽게 제거하는 이지 클리닝(Easy Cleaning) 기능, 항균 기능, 향기 기능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층(170)과 지문방지층(180) 각각은 공지된 하드코팅 조성물, 방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문방지층(180)이 향기 기능을 가질 경우, 방오 조성물에 방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물질은 정해진 향기를 발산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사용시 사용자의 기분 전환을 시켜주거나 또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부교감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방향성 물질은 송유, 정향 추출액, 쑥 농축액, 에틸 바닐린, 아이소유제닐 아세테이트, 헬리오트로핀 다이에틸 아세탈, 헬리오날, 캐시메란, 피페로닐 아세톤, 메틸 베타-나프틸 케톤, 메틸 다이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라이랄 등이 제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향성 물질은 지문방지층(180)을 형성하기 위한 방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성 물질의 첨가량이 2중량부 미만일 경우, 향기 발산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방향성 물질의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하는 등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거 가이드 필름(510), 제1보호필름(520a), 점착층(530), 제1기재필름(540a), 제1충격흡수층(550a), 제2기재필름(540b), 제2충격흡수층(550b), 제3기재필름(540c), 제2보호필름(520b), 및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기재필름들(540a, 540b, 540c) 각각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유리함유 고분자 필름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충격흡수층들(550a, 55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실리콘계 소재, 투명 아크릴계 소재, 투명 고무계 소재 및 투명 겔(gel)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용 필름의 경우, 다층의 충격흡수층(550a, 55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충격흡수층(550a, 550b)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기재필름(540a, 540b, 540c)이 형성되어 있는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갖는다.
이와 같이,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를 갖는 경우, 외부 충격을 충격흡수층들(550a, 550b)이 순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층들(550a, 550b) 각각의 두께는 2~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층들(550a, 550b) 각각의 두께가 2㎛ 미만일 경우, 충격흡수능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충격흡수층들(550a, 550b)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충격흡수능 향상 없이 필름의 두께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530)은 제1기재필름(540a), 즉 최하부 기재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에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점착층(530)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 우레탄계 및 불소계 중에서 1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530)은 2차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점착층(530)의 두께는 1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530)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력이 불충분할 수 있고,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필름들(520a, 520b) 각각은 필름의 보관, 이송 시 필름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될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호필름들(520a, 520b) 각각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거 가이드 필름(510)은 제1보호필름(520a)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부분은 제1보호필름(520a) 하부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보호필름(520a)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거 가이드 필름(510)은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이후에는 제거된다.
또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은 제2보호필름(520b)의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필름이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이후에는 제거된다.
필름이 모바일 기기의 원하는 위치에 제대로 정렬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대각선 방향, 마주보는 방향, 수직한 방향, 나란한 방향 및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제2보호필름(520b)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의 보다 구체적인 배치는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160)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은 제2보호필름(520b)과 점착되는 점착부와 제2보호필름(520b) 외부로 돌출되는 비점착부를 서로 다른 색상이나 선을 통해 구획하여 필름의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거 가이드 필름(510)이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560)의 표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점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착 또는 제거 지시 용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기재필름(540c), 즉 최상부 기재필름과 제2보호필름(520b) 사이에서, 제3기재필름(540c) 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례로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충격흡수성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충격흡수성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1장의 기재필름까지 포함하는 형태의 모바일 기기용 필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용 필름은 제1보호필름과, 제1보호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과, 점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과,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전술한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510 : 제거 가이드 필름 120a, 520a : 제1보호필름
120b, 520b : 제2보호필름 130, 530 : 점착층
140a, 540a : 제1기재필름 140b, 540b : 제2기재필름
150 : 충격흡수층 160, 560 :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
170 : 하드코팅층 180 : 지문방지층
540c : 제3기재필름 550a : 제1충격흡수층
550b : 제2충격흡수층

Claims (13)

  1. 제1보호필름;
    상기 제1보호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상에 형성된 제2기재필름;
    상기 제2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타면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 중 2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기재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 사이에서, 상기 제2기재필름 상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는 지문방지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선에 의해 점착부와 비점착부로 구획되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점착되고, 상기 비점착부는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은
    노출면 상에 인쇄되어 있는 부착 또는 제거 지시 용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의 재질은
    투명 실리콘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5~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필름 또는 제2기재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유리함유 고분자 필름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9. 삭제
  10. 3장 이상의 기재필름들;
    상기 기재 필름들 사이마다 형성된 2이상의 충격흡수층들;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하부 기재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하부에 형성된 제1보호필름;
    상기 기재필름들 중 최상부 기재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제2보호필름;
    일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의 하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제거 가이드 필름; 및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 부착되되, 일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보호필름 외부로 돌출되는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필름과 충격흡수층이 라멜라 구조(Lamella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렬 및 제거 가이드 필름 중 2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최상부 기재필름과 상기 제2보호필름 사이에서, 상기 최상부 기재필름 상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는 지문방지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08682A 2013-09-10 2013-09-10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10156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82A KR101564055B1 (ko) 2013-09-10 2013-09-10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82A KR101564055B1 (ko) 2013-09-10 2013-09-10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55A KR20150029455A (ko) 2015-03-18
KR101564055B1 true KR101564055B1 (ko) 2015-10-29

Family

ID=5302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682A KR101564055B1 (ko) 2013-09-10 2013-09-10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165B1 (ko) 2012-05-22 2012-08-29 주식회사 슈피겐에스지피 강화유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필름
US20130199950A1 (en) * 2012-02-08 2013-08-08 Nlu Products, L.L.C.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9950A1 (en) * 2012-02-08 2013-08-08 Nlu Products, L.L.C.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178165B1 (ko) 2012-05-22 2012-08-29 주식회사 슈피겐에스지피 강화유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55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3639B2 (en) Multilayer stack of polymer films
JP6293323B2 (ja) 表示装置用ウィンドウパネル、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1484452B1 (ko)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5299B1 (ko) 터치패널용 보호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33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US20130129958A1 (en) Screen protective film and applications of same
KR101323600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US20170266917A1 (en) Rigid display shield
KR20140013785A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20140064220A (ko)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KR2015014491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17150778A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복합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70404A1 (en) Laminate film
KR20120051325A (ko) 휴대폰 보호필름
US20110063244A1 (en) Optical film and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KR20190059009A (ko) 유연성 기능층을 갖는 디스플레이면 보호필름
KR101564055B1 (ko) 정렬이 용이한 모바일 기기용 필름
KR20180000822A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CN114694504A (zh) 显示装置
KR1013699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JP2020011471A (ja) ガラスフィルム
KR20150077134A (ko)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CN204488154U (zh) 一种具有弧面包覆保型抗冲击保护膜
KR2017008826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커버 글라스 윈도우 구조
KR101448963B1 (ko)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