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56U -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56U
KR20140001356U KR2020130006210U KR20130006210U KR20140001356U KR 20140001356 U KR20140001356 U KR 20140001356U KR 2020130006210 U KR2020130006210 U KR 2020130006210U KR 20130006210 U KR20130006210 U KR 20130006210U KR 20140001356 U KR20140001356 U KR 201400013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ulture medium
mushroom cultur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172Y1 (ko
Inventor
고찬오
이창정
Original Assignee
고찬오
이창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찬오, 이창정 filed Critical 고찬오
Priority to KR202013000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7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버섯배지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는, 상부에 버섯배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water supplying apparatus of the mushroom spawn seed}
본 고안은 버섯배지에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의 재배는 버섯의 종균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종균을 톱밥, 볏짚, 칼슘, 쌀겨 등이 혼합되어 발효된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 증식시킨 다음 증식된 배지를 나무나 짚단에 위치시켜 배지에 접종된 종균을 버섯으로 키우게 된다.
이때, 종균을 배지에 배양 후, 버섯의 발아촉진을 위한 적당량의 수분이 공급되어야 한다.
종래의 수분공급 작업을 살펴보면, 여러명의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에 배지를 정열시켠 둔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침봉을 하나 하나의 배지에 침투시켜 적당량의 물을 공급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배지에 물이 공급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지에 물을 공급할 경우 작업속도가 매우느리고 인력소모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며, 제조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비교적 딱딱한 배지에 침봉을 침투시키는 작업은 매우 힘들고 까다로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욱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배지에 물을 공급함에 따라 배지에 물이 과다공급되거나 부족하게 공급되어 종균의 성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06015호(2009.06.26)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버섯배지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버섯배지에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는, 상부에 버섯배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섯배지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격벽부의 사이에 수용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공급부와 마주보도록 격벽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이탈방지부,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부에는 슬라이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면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버섯배지와 맞닿는 고정부, 상기 격벽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가 버섯배지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의 고정홀에 체결되며 일부분이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버섯배지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수평을 이루며 단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상기 제1이탈방지부를 향해 전진 될 수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며 상기 버섯배지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분기로 배출하는 분기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배출부, 상기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와 함께 버섯배지를 향해 전진되며, 전진 시 상기 제1이탈방지부의 관통홀과 버섯배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버섯배지의 내부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공급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와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와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며 상기 물 공급부의 물을 상기 분기관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와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면서 상기 배출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입부의 내부에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물이 버섯배지들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와 공급부가 설치되는 설치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및 전달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를 다단으로 적층하기 위한 적층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는, 다수개의 버섯배지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버섯배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수반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버섯배지에 적정량의 물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에 적용된 배출부와 주입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에 적용된 배출부와 주입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1)는, 상부에 버섯배지(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0)와 상기 안착부(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10)에 안착된 버섯배지(11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0)는 다시 안착판(11)과 격벽부(12)와 제1이탈방지부(13)와 제2이탈방지부(14)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안착판(11)은 상면에 버섯배지(110)가 안착되는 것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이 절개된 형태이다.
상기 격벽부(12)는 상기 안착판(11)의 상면에 다수개의 버섯배지(110)가 구획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판(11)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수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섯배지(110)는 다수개가 상기 각각의 격벽부(12) 사이에 촘촘하게 붙어 있는 형태로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110)는 다수개가 눕혀진 형태로 격벽부(12)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버섯배지(110)는 세워진 형태로 격벽부(12)의 사이에 수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격벽부(12)에는 상기 격벽부(12)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슬라이딩홈(1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21)에는 후술되는 버섯배지(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는 격벽부(1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40)와 연결되어 버섯배지(110)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13)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1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이탈방지부(13)는 상기 안착판(1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이며, 공급부(20)와 마주보도록 격벽부(12)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12)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므로서 후술되는 설치대(70)를 통해 버섯배지(11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 버섯배지(110)가 안착판(11)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에는 상기 격벽부(12)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1)에는 후술되는 주입부(23)가 통과하여 격벽부(12)의 수용된 버섯배지(110)들에 물을 주입하게 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14)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1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이탈방지부(14)는 상기 안착판(11)의 타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이며, 제1이탈방지부(13)와 마주보도록 격벽부(1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12)의 타측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므로서 후술되는 설치대(70)를 통해 버섯배지(11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 버섯배지(110)가 안착판(11)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이탈방지부(14)는 후술되는 주입부(23)가 버섯배지(110)들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버섯배지(110)들이 뒤로 밀려 안착판(11)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이탈방지부(14)에는 상기 격벽부(12)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14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41)에는 후술되는 스토퍼(50)가 체결된다.
이상 설명한 안착부(10)는 설치대(70)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대(70)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로봉(71)과 세로봉(72)을 사다리 형상으로 결합하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치대(70)는 단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대(70)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안착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70)의 타측 상면에는 후술되는 공급부(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대(70)는 적층부(90)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된다.
상기 적층부(90)는 상기 가로봉(71) 또는 세로봉(72)과 동일하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설치대(7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측은 상부에 위치되는 또 다른 설치대(70)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설치대(70)는 다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설치대(70)의 사이에는 안착부(10)와 공급부(20)가 설치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설치대(70)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음에 따라 안착부(10)와 공급부(20) 또한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양의 버섯배지(1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설치대(70)들 중 최하부에 위치되는 설치대(70)의 저면에는 바퀴(120)가 결합되어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설치대(70)와 상기 각각의 설치대(70)에 설치된 안착부(10)와 공급부(20) 및 상기 안착부(10)에 안착된 버섯배지(11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치대(70)의 가장 앞쪽에 설치되는 바퀴(120)는 일반적인 의자의 바퀴(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대(70)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설치대(70)는 직진 이동뿐만 아니라 방향전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70)들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설치대(70)의 단부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포함되어 상기 설치대(7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20)는 안착판(11)에 안착된 버섯배지(110)들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실린더(21)와 배출부(22)와 주입부(23)와 물 공급부(24)와 전달부(25)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실린더(21)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와 수평을 이루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대(70)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1)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11)은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와 마주보는 형태가 된다.
상기 실린더(21)는 유압 실린더(21) 또는 공압 실린더(21)가 적용될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11)이 제1이탈방지부(13)를 향해 전진되거나 원위치로 후진된다.
이상 설명한 실린더(21)는 스위치(10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스위치(100)는 설치대(7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2)는 실린더(21)의 피스톤(211)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버섯배지(110)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211)과 함께 전진되거나 원위치로 후진된다.
상기 배출부(22)에는 버섯배지(11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분기로 배출하는 분기관(2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의 내부에는 상기 분기관(221)과 각각 연결되며 버섯배지(11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각각의 분기관(221)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22a)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배출부(22)에는 상기 배출부(22)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가로봉(71)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6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60)는 전체가 동일한 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직사각형 형상의 단순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80)에는 상기 지지부(60)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60)는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80)의 홀에 걸쳐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지지부(60)는 상기와 같이 지지대(80)의 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22)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진됨에 따라 상기 배출부(22) 및 상기 배출부(22)에 결합된 주입부(2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입부(23)는 상기 분기관(22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의 관통홀(131) 및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버섯배지(110)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부(22)와 함께 버섯배지(110)를 향해 전진된다.
상기 주입부(23)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부(23)의 내부에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23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유로(23a)와 연결되는 배출홀(23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주입부(23)는 전진 시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의 관통홀(131)을 거쳐 버섯배지(110)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입부(23)는 부분적으로 각 버섯배지(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22)의 유로(22a)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물은 각각의 분기관(221)을 거쳐 주입부(23)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23)에 유입된 물은 주입부(23)의 유로(23a)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홀(231)들을 통해 배출되어, 다수개의 버섯배지(110)들의 내부에 물을 균등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부(23)의 단부는 상기 버섯배지(11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 공급부(24)는 상기 설치대(7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판(73)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물 공급부(24)는 일반 주택의 옥상에 설치되는 물 탱크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공급부(24)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물 공급부(24)가 생략될 경우, 수도전이나 급수전으로부터 버섯배지(11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달부(25)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공급부(24)에서 분사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전달부(25)는 일측이 호스(241)를 매개로 하여 상기 물 공급부(24)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출부(22)의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배출부(22)가 버섯배지(110)를 향해 전진될 경우 함께 전진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241)는 물 공급부(24)가 생략될 경우 수도전이나 급수전 등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25)의 내부는 상기 호스(241)의 내부 및 배출부(22)의 유로(22a)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25)의 내부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25)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251)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레버(251)를 정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밸브가 전달부(25)의 통로를 개방시키게 되어 물 공급부(24) 내부의 물이 상기 호스(241)와 전달부(25)의 통로와 배출부(22)의 유로(22a)와 분기관(221)을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주입부(23)의 배출홀(231)을 통해 배출되어 버섯배지(110)의 내부에 주입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레버(251)를 역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밸브가 전달부(25)의 통로를 밀폐하게 되어 상기 배출부(22) 측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밸브는 버섯배지(110)의 내부에 적정량의 물이 주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볼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전달부(25)는 상기 지지대(8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80)에는 상기 전달부(25)가 통과홀 수 있는 또 다른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80)는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80)의 홀에 걸쳐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지지대(80)는 상기와 같이 지지대(80)의 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22)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진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8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버섯배지(110)들의 길이가 상기 안착판(11)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상기 버섯배지(110)와 제2이탈방지부(14)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어 상기 주입부(23)가 버섯배지(110)들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섯배지(110)들은 뒤로 밀리게 된다.
상기 고정부(30)와 탄성지지부(40) 및 스토퍼(50)는 이와 같은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의 일부분은 슬라이딩홈(121)에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격벽부(12)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30)의 상,하 두께는 상기 슬라이딩홈(12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슬라이딩홈(121)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슬라이딩홈(121)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일면이 상기 버섯배지(110)와 맞닿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고정부(30)는 안착판(11)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21)에 수용될 경우 그 양측이 상기 격벽부(12)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두 개의 격벽부(12)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지지부(40)는 공지의 스프링이 적용된다. 상기 탄성지지부(40)는 하측이 상기 격벽부(12)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두 개의 격벽부(12)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은 격벽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30)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탄성지지부(40)의 상,하측에는 고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0)의 양측과 격벽부(12)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리부가 걸릴 수 있는 구조의 걸림편(미도시)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탄성지지부(40)를 상기 각 걸림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0)는 다시 레버(51)와 몸체부(5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레버(51)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14)의 바깥쪽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부(52)는 일단이 상기 레버(51)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141)의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52)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홀(141)의 나선과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몸체부(52)는 상기 고정홀(14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2)가 상기 고정홀(141)에 체결되면 상기 몸체부(52)의 일부분은 상기 격벽부(12) 사이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52)는 고정홀(141)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그 단부가 고정부(3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버섯배지(110)들의 길이가 안착판(11)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상기 고정부(30)를 당겨 안착판(11)에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제1이탈방지부(13)와 고정부(30)의 사이에 버섯배지(110)들을 안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를 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부(40)는 팽창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를 놓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부(40)가 수축되어 상기 고정부(30)가 슬라이딩홈(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버섯배지(110)의 일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지지부(40)가 상기 고정부(30)를 1차적으로 고정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레버(51)를 돌려 상기 몸체부(52)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30)의 일면과 맞닿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몸체부(52)가 고정홀(141)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고정부(30)를 2차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입부(23)가 버섯배지(110)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30)가 버섯배지(110)에 의해 밀리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 및 그 작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안착판(11)의 상면에 버섯배지(110)들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버섯배지(110)들의 길이가 안착판(11)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전술한 고정부(30)와 탄성지지부(40)와 스토퍼(50)를 이용하여 상기 버섯배지(1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섯배지(110)들의 길이가 안착판(11)의 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40)와 고정부(30)를 분리하고 상기 고정부(30)를 슬라이딩홈(121)에서 제거한 다음 상기 버섯배지(110)들이 격벽부(12)의 사이와, 제1,2이탈방지부(13,14)의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스위치(100)를 통해 상기 실린더(21)를 작동시켜 피스톤(211)이 전진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211)이 전진되면 상기 전달부(25)와 배출부(22)와 주입부(23)도 함께 전진되며 상기 주입부(23)는 상기 제1이탈방지막의 관통홀(131)을 거쳐 버섯배지(110)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입부(23)는 부분적으로 각 버섯배지(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후에, 상기 레버(251)를 정방향으로 돌려 밸브가 전달부(25)의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물 공급부(24)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상기 호스(241)와 전달부(25)의 통로와 배출부(22)의 유로(22a)와 분기관(221)을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주입부(23)의 배출홀(231)을 통해 배출되어 버섯배지(110)들의 내부에 주입된다.
이렇게, 상기 버섯배지(110)들의 내부에 적정량의 물을 균등하게 주입한 이후에는 상기 레버(251)를 역방향으로 돌려 밸브가 전달부(25)의 통로를 밀폐시키도록 하므로서 배출부(22) 측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스위치(100)를 통해 실린더(21)의 피스톤(211)이 후진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211)이 후진되면 상기 전달부(25)와 배출부(22)와 주입부(23)도 함께 후진된다.
이후, 상기 물 주입이 완료된 버섯배지(110)들을 안착판(11)에서 제거한 다음 새로운 버섯배지(110)를 상기 안착판(11)에 안착시킨다.
이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새로운 버섯배지(11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안착부 11 : 안착판
12 : 격벽부 121 : 슬라이딩홈
13 : 제1이탈방지부 131 : 관통홀
14 : 제2이탈방지부 141 : 고정홀
20 : 공급부 21 : 실린더
211 : 피스톤 22 : 배출부
22a, 23a : 유로 221 : 분기관
23 : 주입부 231 : 배출홀
24 : 물 공급부 241 : 호스
25 : 전달부 251,51 : 레버
30 : 고정부 40 : 탄성지지부
50 : 스토퍼 52 : 몸체부
60 : 지지부 70 : 설치대
71 : 가로봉 72 : 세로봉
73 : 지지판 80 : 지지대
90 : 적층부 100 : 스위치
120 : 바퀴

Claims (12)

  1. 상부에 버섯배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공급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안착부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섯배지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격벽부의 사이에 수용되는
    버섯배지 수분공급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공급부와 마주보도록 격벽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이탈방지부,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격벽부에는 슬라이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면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버섯배지와맞닿는 고정부,
    상기 격벽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가 버섯배지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이탈방지부의 고정홀에 체결되며 일부분이 상기 격벽부 사이의 빈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버섯배지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수평을 이루며 단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상기 제1이탈방지부를 향해 전진 될 수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며 상기 버섯배지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분기로 배출하는 분기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배출부,
    상기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와 함께 버섯배지를 향해 전진되며, 전진 시 상기 제1이탈방지부의 관통홀과 버섯배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버섯배지의 내부에 주입하는 주입부
    를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와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와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며 상기 물 공급부의 물을 상기 분기관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와 함께 안착판을 향해 전진되면서 상기 배출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주입부의 내부에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물이 버섯배지들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안착부와 공급부가 설치되는 설치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설치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및 전달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설치대를 다단으로 적층하기 위한 적층부
    를 더 포함하는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2020130006210U 2013-07-25 2013-07-25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200473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10U KR200473172Y1 (ko) 2013-07-25 2013-07-25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10U KR200473172Y1 (ko) 2013-07-25 2013-07-25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56U true KR20140001356U (ko) 2014-03-07
KR200473172Y1 KR200473172Y1 (ko) 2014-06-17

Family

ID=5149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10U KR200473172Y1 (ko) 2013-07-25 2013-07-25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7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36B1 (ko) * 2015-02-10 2015-04-22 고찬오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20160095905A (ko) 2015-02-04 2016-08-12 황재석 버섯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KR20190004015A (ko) 2017-07-03 2019-01-11 김민정 버섯 재배용 액상 유황 조성물 및 이의 공급을 위한 버섯 배지
KR20190064740A (ko) 2017-12-01 2019-06-11 김태운 버섯 재배용 식물 공장
KR20190103115A (ko) 2019-08-26 2019-09-04 김태운 버섯 재배용 식물 공장
KR102021243B1 (ko) 2018-11-08 2019-09-11 정성동 지하 설치 구조의 버섯 재배 장치
KR102107320B1 (ko) 2018-12-06 2020-05-06 정성동 이동식 버섯 재배 장치 및 그의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8-08-17 김범술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KR101858529B1 (ko) * 2017-10-27 2018-05-17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배지 수분 공급 장치
KR20230161216A (ko) 2022-05-18 2023-11-27 고찬오 버섯배지 자동 수분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649A (ja) * 1996-06-06 1997-12-16 Mori Sangyo Kk きのこの栽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46079A (ja) 2003-07-30 2005-02-24 Nagano Kida Kogyo Kk えのき茸栽培用培地への水又は液体供給装置
KR101367987B1 (ko) * 2011-05-16 2014-02-27 이상호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905A (ko) 2015-02-04 2016-08-12 황재석 버섯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KR101514236B1 (ko) * 2015-02-10 2015-04-22 고찬오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20190004015A (ko) 2017-07-03 2019-01-11 김민정 버섯 재배용 액상 유황 조성물 및 이의 공급을 위한 버섯 배지
KR20190064740A (ko) 2017-12-01 2019-06-11 김태운 버섯 재배용 식물 공장
KR102021243B1 (ko) 2018-11-08 2019-09-11 정성동 지하 설치 구조의 버섯 재배 장치
KR102107320B1 (ko) 2018-12-06 2020-05-06 정성동 이동식 버섯 재배 장치 및 그의 관리 시스템
KR20190103115A (ko) 2019-08-26 2019-09-04 김태운 버섯 재배용 식물 공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72Y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172Y1 (ko)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101514236B1 (ko)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US7877927B2 (en) Modular aeroponic/hydroponic container mountable to a surface
CN105407707A (zh) 植物栽培装置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US9363957B2 (en) Hydroponic vegetable culture device
TW200943454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O2008088919A3 (en) Base for turf system
RU2008146558A (ru) Аппарат для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кремния
WO2018047625A1 (ja) 育苗装置、育苗装置に用いられる支持装置及びセルプラグ
WO2009085376A3 (en) Separate injection of reactive species in selective formation of films
RU2010110597A (ru) Кормораздатчик с износостойкой кормушкой для кормления птиц
JP2010259395A (ja) 植物栽培用容器および植物栽培システム
CN112715219A (zh) 一种用于园林建设的苗木灌溉填土一体化设备
KR20090056752A (ko) 안정된 급·배수구조가 마련된 적층식 화분
KR20180020531A (ko) 배지 수분 공급 장치
KR20230161216A (ko) 버섯배지 자동 수분 공급장치
CN210444836U (zh) 一种提升沉水植物种植装置
PL1719407T3 (pl) Koryto paszowe
WO2017041756A1 (zh) 用于无土栽培植物的管槽组件和相应的植物培养方法
MY189131A (en) A row seeder for seeding granular seeds as paddy or the like
CA2530695C (en) Modular aeroponic/hydroponic container mountable to a surface
CN111011040B (zh) 一种可变式园林绿化结构
CN221254593U (zh) 植物细胞次生代谢产物富集的液体培养装置
CN211657166U (zh) 一种便于自动化养殖饲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