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49U -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49U
KR20140001049U KR2020120007077U KR20120007077U KR20140001049U KR 20140001049 U KR20140001049 U KR 20140001049U KR 2020120007077 U KR2020120007077 U KR 2020120007077U KR 20120007077 U KR20120007077 U KR 20120007077U KR 20140001049 U KR20140001049 U KR 20140001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andrail
main frame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378Y1 (ko
Inventor
박병헌
Original Assignee
신명창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창호(주) filed Critical 신명창호(주)
Priority to KR202012000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7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확장형 창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될 수 있는 핸드레일이 개시된다. 본 핸드레일은,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에서 상기 슬라이딩창 프레임이 상기 고정창 프레임 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개구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핸드레일로서,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을 지지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난간구조물이 수납 및 거치되는 난간구조물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MULTI-FUNCTIONAL HAND RAIL AVAILABLE FOR EXTENDED WINDOW FRAME SYSTEM}
본 고안은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 및 그에 사용가능한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등의 건물에는 건물 자체의 외관 뿐만 아니라 전망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베란다 또는 발코니가 설치된다. 이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바깥쪽에는 안전 등을 고려하여 강철이나 스테인레스로 된 난간이 설치되며, 난간의 안쪽(즉, 건물 벽체)에는 외부로부터의 소음, 먼지 등을 차단하고 실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유리창 창틀 구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리창 창틀 구조는 수밀, 기밀 보온, 방음 등의 효과와 더불어 거실, 방, 주방 등을 보다 넓게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외측에 설치되는 난간, 특히 아파트 발코니의 난간은 보통 스테인레스 스틸에 도장 처리한 금속 재질로 제작된 창살 형태의 구조로 설치된다. 이 때문에, 유리창 창틀로부터 확보되는 시야를 가리게 되어 거실에서의 외부 조망시 전망 또는 개방감 확보에 저해 요인이 됨은 물론, 실제로 보기 싫고 고급스럽지 못해 건물의 가치 또는 외관의 미를 저해한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들어 거실을 베란다 또는 발코니까지 확장하고 벽체 전면에 창틀 구조를 설치하는 확장형 창틀 시스템을 채용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 및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구조물을 설치하면서도 거실에서의 외부 조망시 전망 및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장치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건물의 가치 및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형 창틀 시스템 및 이에 사용가능한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에서 상기 슬라이딩창 프레임이 상기 고정창 프레임 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개구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핸드레일로서,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을 지지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난간구조물이 수납 및 거치되는 난간구조물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실내측 방충망레일이 수납 및 지지되는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난간구조물 수납부 및 상기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 사이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보강재가 삽입 가능한 중공의 보강재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상기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구성을 가진 핸드레일의 양단이 상기 고정창 프레임의 일측 및 그에 대향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창틀 시스템은, 안전 및 추락 방지를 위해 난관구조물을 설치하면서도 거실에서의 외부 조망시 전망 및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고,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장치를 설치하기 용이하며, 나아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건물의 가치 및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안전 난간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 추가적으로 필요한 난간구조물 또는 방충망 장치를 편리하게 부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구조적 변경 없이도 기존에 설치된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미 설치된 창틀시스템에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그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는 난간구조물(예컨대,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가 설치된 난간 프레임)을 간단히 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 롤방충망 장치를 부설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은 건물의 개방감 및 전망성을 위해 최대한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새로 시공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에 대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에서의 조망시 전망 및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확장형 창틀 시스템의 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각각 도 1의 B-B 단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D를 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이 창틀 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창틀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핸드레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창틀시스템의 전면을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확장형 창틀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0)은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의 B-B 단면도를, 도 3에는 C-C 단면도를, 도 4에는 A-A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확장형 창틀시스템은 이중창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 내측에는 내부 고정창 프레임(21)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중앙부 외측에는 외부 고정창 프레임(31)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 내부 및 외부 고정창 프레임(21, 31)에는 각각 내부 고정창(22) 및 외부 고정창(32)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내부 및 외부 고정창 프레임(21, 31)의 양측에는 메인 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 위에서 슬라이딩되는 내부 슬라이딩창 프레임(23) 및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이 각각 설치된다. 내부 및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23, 33)에는 각각 내부 슬라이딩창(24) 및 외부 슬라이딩창(34)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및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22, 33)이 각각 1개씩 설치[즉, 창틀시스템의 일측에 1개의 내부 슬라이딩창 프레임(23)과 1개의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이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와 달리 좌우 양측에 2개의 내부 슬라이딩창 프레임과 2개의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창 구조, 즉 외부 고정창 프레임(31) 및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33), 그리고 내부 고정창 프레임(21) 및 내부 슬라이딩창 프레임(23)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고정창 프레임과 그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의 단일창 구조로 확장형 창틀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이 메인 프레임(10)에 형성된 소정의 레일 위에서 슬라이딩되면 외부 고정창 프레임(31)의 일측은 외부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이 배치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 개방된다. 이 개방된 영역으로 추락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난간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이 메인 프레임(10)의 최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레일(100)의 아래로는, 예컨대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로 난간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유리패널(52)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핸드레일(100)의 위로는 방충망 장치(예컨대, 롤방충망 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롤방충망 장치(60)는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롤 형태로 권취된 방충망(61)이 수평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롤방충망 장치(60)는 메인 프레임(10)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리드프레임(62)에 의해 방충망(61)이 수평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충망(61)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는 방충망레일은 각각 상단 방충망레일(64) 및 하단 방충망레일(63)을 포함하며, 상단 방충망레일(64)은 메인 프레임(10)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고, 하단 방충망레일(63)은 후술할 핸드레일(100)에 마련된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상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난간구조물을 메인 프레임(10)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난간구조물 프레임(51)이 메인 프레임(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공간(E)를 두고 설치된 경우, 이격공간(E)로 개방된 영역으로부터의 벌레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하부에도 방충방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내측에도 수평으로 개폐되는 롤방충망 장치(70)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경우 롤방충망 장치(70)는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또한 리드프레임(72)에 의한 방충망(71)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는 상부 방충망레일(73)이 후술할 핸드레일(100)에 마련된 방충망레일 거치부(140)에 수납 및 고정되고, 하부 방충망레일(74)은 메인 프레임(10)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도 4에 도시한 영역 D를 확대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실외측 방충망 장치(60)의 하부 방충망레일(63), 난간구조물로 이용되는 유리패널(52), 및 실내측 방충망 장치(70)의 상부 방충망레일(73)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에 고정 및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난간구조물로서 강화유리 또는 접합 유리를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와 달리 창살 구조의 난간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창살 구조의 난간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난간 프레임(51)의 설치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라도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의 슬라이딩에 따른 개방 영역으로의 추락 방지 또는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 구조물 및 수평으로 개폐되는 실내측/실외측 방충망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건물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실내에서의 조망시 전망 및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소 두께로서 견고한 고정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핸드레일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듯이, 핸드레일(100)은,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10),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21, 31), 및 메인 프레임(1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23, 33)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 시스템에서, 슬라이딩창 프레임(33)이 고정창 프레임 (31) 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개구되는 영역에 설치되며,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부(100a)와, 몸체부(100a)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63)을 지지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10)와, 몸체부(100a)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난간구조물(52)이 수납 및 거치되는 난간구조물 수납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몸체부(100a)의 상면은 사람이 핸드레일(100)에 기대거나 만지는 경우 상처를 입지 않도록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레일(100)에는, 몸체부(100a)로부터 실내측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실내측 방충망레일(73)이 수납 및 지지되는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핸드레일(100)에는,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10), 난간구조물로서 설치된 유리패널(52)이 수납 고정되는 난간구조물 수납부(130), 및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4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실외측 방충망레일(63)에 의한 연직 하향의 압력, 난간구조물에 의한 연직 상향의 압력이 균형있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배치순서에 따라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중첩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핸드레일(100)의 전체 두께가 최소화되어 실내 및 실외에서 바라보는 전망성, 개방감 및 건물의 외관미가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핸드레일(100)에 형성된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10)의 일단에는 그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걸림턱부(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확장형 창틀시스템은 건물의 최외벽에 설치되는바, 그 시공환경을 고려할 때 난간구조물로서 특히 유리패널(52)의 설치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만약, 유리패널(52)의 설치시 부주의로 인해 떨어뜨리는 경우 추락한 유리패널(52)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 유리패널(52)의 설치는 통상, 유리패널(52)의 상단을 먼저 난간구조물 수납부(130)에 충분히 삽입한 다음에, 유리패널(52)의 하단을 난간구조물 프레임(51)에 끼우고, 유리패널(52)의 자중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때, 걸림턱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유리패널(52)의 상단을 걸림턱부(120)에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부주의로 인한 유리패널(52)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방지에도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경량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PVC 재질 이외에도 스틸 또는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혹은 필요에 따라 도 7과 같은 구조의 핸드레일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핸드레일은, 몸체부(101a)에 각각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11), 걸림턱부(121), 난간구조물 수납부(13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핸드레일(100)는, 도 8에서 보듯이, 그 양단이 외부 고정창 프레임(31)의 일측 및 그에 대향하는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고정창 프레임(31) 및 메인 프레임(10)의 내측에 소정의 고정브라켓(70)을 매설한 후 체결볼트(71)로 체결하고, 외부로 돌출된 각각의 고정브라켓(70)의 일단을 핸드레일(100)에 형성된 고정부(100b) 혹은 보강재 삽입부(150)에 삽입하여 체결볼트(46)로 고정함으로써, 핸드레일(1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레일(100)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 고정창 프레임(31)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 상의 레일을 따라, 핸드레일(40)이 외부 고정창 프레임(31)과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몸체부(100a)에는 난간구조물 수납부(130) 위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100b)가 더 형성되거나, 혹은 난간구조물 수납부(130) 및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140) 사이에 보강재 삽입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0b) 및 보강재 삽입부(150)는 핸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의 밀폐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보강재 삽입부(150)에는 핸드레일(100)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특히 핸드레일이 PVC로 형성된 경우) 소정의 보강재(160; 예컨대 금속부재)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핸드레일(100)에 마련된 난간구조물 수납부(130)에는 예컨대, 유리패널(52) 또는 소정의 프레임 구조물이 수납 및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난간 구조물(예컨대, 강화유리창 또는 접합유리창, 혹은 창살 구조물)이 외부 고정창 프레임(31)과 일렬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건물 외측으로 난간구조물이 돌출되지 않아서 건물의 외관의 미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드레일(100)의 난간구조물 수납부(130)에는 완충부재(170)이 내설될 수 있으며, 이 완충부재(170)는 난간구조물(예컨대 유리패널)의 치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보상함으로써 난간구조물이 핸드레일(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핸드레일(100)을 이용하면, 특히 구조적 변경 없이도 기존에 설치된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즉, 이미 설치된 창틀 구조물에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드레일(100)을 설치하고, 그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는 난간구조물(예컨대,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가 설치된 난간 프레임)을 간단히 부설할 수 있으며, 위쪽으로는 롤방충망 장치(60)가 수평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방충망레일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 시공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에도,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에서의 조망시 전망 및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에서 상기 슬라이딩창 프레임이 상기 고정창 프레임 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개구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핸드레일로서,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을 지지하는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난간구조물이 수납 및 거치되는 난간구조물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그 내부에 실내측 방충망레일이 수납 및 지지되는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난간구조물 수납부 및 상기 실내측 방충망레일 거치부 사이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보강재가 삽입 가능한 중공의 보강재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방충망레일 거치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5. 건물의 바깥쪽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창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창 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핸드레일의 양단이 상기 고정창 프레임의 일측 및 그에 대향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창틀시스템.
KR2020120007077U 2012-08-08 2012-08-08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200473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7U KR200473378Y1 (ko) 2012-08-08 2012-08-08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7U KR200473378Y1 (ko) 2012-08-08 2012-08-08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49U true KR20140001049U (ko) 2014-02-18
KR200473378Y1 KR200473378Y1 (ko) 2014-07-02

Family

ID=5199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77U KR200473378Y1 (ko) 2012-08-08 2012-08-08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01A1 (ko) * 2018-01-26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071B1 (ko) * 2018-04-24 2021-04-19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이중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9511Y1 (en) * 1993-07-08 1997-12-27 Chang Hwan Engineering Co Ltd Window frame of veranda
KR19990037512U (ko) * 1998-03-07 1999-10-05 조명호 발코니창의 난간틀 조립장치
KR101098507B1 (ko) * 2009-08-12 2011-12-26 효창건설 주식회사 확장형 발코니용 창문 및 난간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01A1 (ko) * 2018-01-26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190090911A (ko) * 2018-01-26 2019-08-05 (주)엘지하우시스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378Y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EP2362057A2 (en) Drainage system for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CA2772079C (en) Balcony fence with integrated wind shield
KR200473378Y1 (ko)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694244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655893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0471959Y1 (ko) 확장형 창틀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난간대 겸용 손스침 부재
KR200423291Y1 (ko)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20160062513A (ko) 투명 난간 중간 매입형 이중창호구조
KR101866373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JP5475249B2 (ja) 窓シャッター枠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CN105927132B (zh) 防盗逃生窗
KR20130082259A (ko) 접이식 난간을 이용하는 안전 창호
JP6954518B1 (ja) 後付サッシ
KR101502471B1 (ko) 내충격성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한 칸막이 시스템
KR20110037613A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20180029574A (ko) 평레일 창호
KR200490700Y1 (ko)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