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57U - 목걸이용 장식구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57U
KR20140000957U KR2020130006384U KR20130006384U KR20140000957U KR 20140000957 U KR20140000957 U KR 20140000957U KR 2020130006384 U KR2020130006384 U KR 2020130006384U KR 20130006384 U KR20130006384 U KR 20130006384U KR 20140000957 U KR20140000957 U KR 201400009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ornament
pair
holding portions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시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플래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플래닝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플래닝
Publication of KR2014000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단순한 구성이며 간단한 작업에 의해 목걸이에 탈부착할 수 있고, 또한 목걸이에 대한 장착 위치나 장착법의 종류가 많아 목걸이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 목걸이의 길이 조정에도 이용 가능한 목걸이용 장식구를 제공한다.
의장(意匠)이 실시된 장식구 본체(1)에, 목걸이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해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지부(4a, 4b) 중 적어도 한쪽 유지부(4b)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지부(4b)에 연이어서 마련된 조작부(7)와 스프링 부재(8)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닫힘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7)를 상기 스프링 부재(8)가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유지부(4a, 4b) 사이를 열림 상태로 하는 클립 부재(3)를 마련한다.

Description

목걸이용 장식구{NECKLACE ORNAMENT}
본 고안은 목걸이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진주, 산호, 비취, 호박 등의 구슬에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구멍에 실을 꿰어 다수의 구슬을 끈형상으로 잇고, 고정구를 이용해서 환형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가 있다. 이 목걸이는 가격면에서도 고가인 것이 많기 때문에 결혼식, 장례식, 각종 파티 등 비교적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포멀한 장신구로서 착용하는 것이며, 일상적으로는 착용하기 어렵다는 이미지가 강한 장식품이다.
이러한 포멀한 이미지가 강한 목걸이를 보다 가볍게 평소 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착용하기 위해, 목걸이에 펜던트 헤드를 장착하거나 목걸이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해서 목걸이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를 바꾸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목걸이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잠금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잠금구는 뚜껑이 자유롭게 개폐되는 작은 용기로서, 그 양단부에, 상기 뚜껑을 연 상태에서 상기 작은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패임이,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작은 구멍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은 용기 내에 목걸이나 펜던트 등의 단부를 적당한 길이로 수용하고 뚜껑을 덮어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작은 구멍으로부터 목걸이나 체인 등을 연장시킴으로써 목걸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기 작은 용기를 펜던트 헤드처럼 매달아 알약 케이스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상기 구슬을 끈형상으로 이은 일단부에 배치된 잠금구 내에 임의 위치의 1개의 구슬을 유지함으로써, 목걸이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는 잠금구의 구조(도 1 내지 도 3 참조)나, 상기 일단부에 배치된 잠금구에 의해 인접해서 위치하는 2개의 구슬 사이의 연접부(連接部)를 쥠으로써, 목걸이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는 잠금구의 구조(도 4 및 도 5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목걸이의 길이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잠금구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도 종전부터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7-1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76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9117호
그런데 목걸이의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상기 목걸이에 붙이는 장식구는 목걸이를 목에서 풀지 않고 장식구를 탈부착할 수 있고, 나아가 그 탈부착 조작이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단순한 구성이며 간단한 작업에 의해 목걸이에 탈부착할 수 있고, 또한 목걸이에 대한 장착 위치나 장착법의 종류가 많아 목걸이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목걸이의 길이 조정에도 이용 가능한 목걸이용 장식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 양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구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실을 꿰어 다수의 구슬을 끈형상으로 이어서, 환형상으로 연결된 목걸이에 붙이는 목걸이용 장식구로서, 의장이 실시된 장식구 본체에, 목걸이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해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지부 중 적어도 한쪽 유지부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지부에 연이어서 마련된 조작부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닫힘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를 상기 스프링 부재가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를 열림 상태로 하는 클립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양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는 상기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구슬체를 수납하거나 혹은 사이에 끼우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 양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상기 한 쌍의 유지부는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실을 느슨하게 끼워서 품는 환형상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4 양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상기 목걸이는 상기 실의 일단부에 마련한 제1 잠금구와 타단부에 마련한 제2 잠금구를 걸어맞춰 환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상기 목걸이의 제1 잠금구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1 장식구측 잠금구가 마련되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상기 목걸이의 제2 잠금구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제5 양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상기 클립 부재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걸이용 장식구는 구성이 단순하고 클립 부재의 간단한 작업으로 목걸이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장착 위치나 장착법도 어레인지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이 목걸이용 장식구를 이용해서 목걸이의 길이를 짧거나 길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목걸이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목걸이용 장식구의 정면도이고, (B)는 이 목걸이용 장식구가 장착되는 목걸이이다.
도 2의 (A)는 도 1(A)의 목걸이용 장식구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고, (B)는 마찬가지로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목걸이용 장식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를 목걸이에 펜던트 헤드로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5의 (A)는 한 쌍의 유지부에 목걸이의 실을 유지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클립 부재를 가지는 목걸이용 장식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B)는 한 쌍의 유지부에 구슬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클립 부재를 가지는 목걸이용 장식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를 이용해서 목걸이 길이를 길게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목걸이용 장식구를 이용해서 목걸이 길이를 짧게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목걸이용 장식구(1)는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슬(21)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실(22)을 꿰어 다수의 구슬(21, 21, …)을 끈형상으로 이어서, 환형상으로 연결된 목걸이(20)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이며, 도 1(B) 및 도 2(A), 2(B),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꽃잎, 봉오리, 리본 등을 디자인한 긴 판형상의 금속 부품에 조개, 보석 등을 배치한 의장이 실시된 장식구 본체(2)와, 이 장식구 본체(2)의 이면에 고정된 클립 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3)는 목걸이(20)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해 장식구 본체(2)의 표리방향(두께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지부(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 유지부(4a)는 장식구 본체(2)의 이면에 외표면이 고착되어 있고, 다른 쪽 유지부(4b)는 장식구 본체(2)의 이면에 형성된 베어링(5)에 배치된 회전운동 핀(6)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른 쪽 유지부(4b)에는 상기 유지부(4b)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7)가 연이어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운동 핀(6)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이 항상 조작부(7)를 장식구 본체(2)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해서 개재되어 있다.
즉, 클립 부재(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한 쌍의 유지부(4a, 4b) 사이를 항상 닫힘 상태로 하도록 힘을 가하고, 다른 쪽 유지부(4b)에 연접된 조작부(7)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이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클립함으로써(쥠으로써), 다른 쪽 유지부(4b)를 회전운동 핀(6)을 회전운동축으로 해서 회전운동시켜, 한 쌍의 유지부(4a, 4b) 사이를 이간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걸이용 장식구(1)는 구슬(21)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실(22)을 꿰어 다수의 구슬(21, 21, …)을 끈형상으로 이어서 환형상으로 연결된 목걸이(20)에 대하여, 클립 부재(3)를 개폐시킴으로써 펜던트 헤드로서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클립 부재(3)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클립 부재(3)의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실(22)을 느슨하게 끼워서 품는 관통부(9)가 형성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관통부(3)의 관통방향에 대한 표리면은 목걸이(20)의 구슬(21)의 형상을 따르도록 오목형 구면(球面)형상으로 형성하면, 목걸이에 장착할 때에 구슬에 닿는 것을 회피하면서 실(22)만 관통부(9) 안에 품을 수 있다. 또한 닫힘 상태에서 접촉하는 한 쌍의 유지부(4a, 4b)의 선단부측에는 각각에 핀(10)과 이 핀(10)을 끼우는 핀 구멍(11)을 형성하여, 클립 부재(3)의 닫힘 상태에서의 걸어맞춤을 강고히 해도 된다.
이러한 관통부(9)가 형성된 클립 부재(3)를 구비한 목걸이용 장식구(1)는 다른 쪽 유지부(4b)에 연접된 조작부(7)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이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클립하고, 다른 쪽 유지부(4b)를 회전운동 핀(6)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운동시켜, 한 쌍의 유지부(4a, 4b) 사이를 이간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여 관통부(9) 안에 목걸이(20)(구슬(21) 혹은 실(2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클립 조작을 해제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닫힘 상태로 힘을 가함으로써, 관통부(9) 안에 목걸이(구슬(21) 혹은 실(22))를 관통시킨 상태로 목걸이(2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관통부(9)의 직경이 크면 목걸이(20)를 구슬(21)째로 삽입 통과시키면 된다. 또한 관통부(9)의 직경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부(9)의 관통방향에 대한 전후면에 목걸이 구슬의 형상을 따르는 오목형 구면형상을 형성하고,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인접한 위치의 구슬(21) 사이에 위치시켜서 실(22)만 관통부(9)에 관통시킨 상태로 목걸이(2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클립 부재(3)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지부(4a, 4b)의 대향면을 오목형 구면형상의 내부둘레면으로서 형성하고, 클립 부재(3)의 닫힘 상태에서 목걸이(20)의 적어도 1개의 구슬(21)을 수납하거나 혹은 사이에 끼우는 공간부(12)를 형성해도 된다.
그러한 공간부(12)가 형성된 클립 부재(3)를 구비한 목걸이용 장식구(1)는 다른 쪽 유지부(4b)에 연접된 조작부(7)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이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클립하고, 다른 쪽 유지부(4b)를 회전운동 핀(6)을 회전운동축으로 해서 회전운동시켜,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이간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여 공간부(12) 안에 목걸이(20)의 원하는 구슬(21)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클립 조작을 해제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닫힘 상태가 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공간부(12) 안에 원하는 구슬(21)을 수납하거나 혹은 사이에 끼워서 목걸이(2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슬(2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실(22)을 꿰어 다수의 구슬을 끈형상으로 잇고, 그 일단부에 마련한 제1 잠금구(23)와 타단부에 마련한 제2 잠금구(24)를 걸어맞춰 환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된 목걸이(20)에 장착되는 것이 전제가 되는 목걸이용 장식구(1)에서는 장식구 본체(2)에 전술한 클립 부재(3) 외에, 장식구 본체(2)의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목걸이(20)의 제1 잠금구(23)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1 장식구측 잠금구(13)가 마련되고, 장식구 본체(2)의 길이방향 타단측에는 목걸이(20)의 제2 잠금구(24)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를 더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장식구측 잠금구(13, 14)가 마련된 목걸이용 장식구(1)는 제1 잠금구(23)와 제1 장식구측 잠금구(13)를 걸어맞추는 동시에, 제2 잠금구(24)와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를 걸어맞춰 목걸이(20)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목걸이(20)를 목걸이용 장식구(1)의 대략 길이분만큼 목걸이(20)의 소정 길이보다 길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구(23)와 제1 장식구측 잠금구(13)를 걸어맞추거나 혹은 제2 잠금구(24)와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를 걸어맞춰 목걸이(20)의 어느 한쪽 단부에 목걸이용 장식구(1)를 연결함과 아울러, 목걸이용 장식구(1)의 한 쌍의 유지부(4a, 4b)에 의해 목걸이(20)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한다. 이로 인해 목걸이(20)를 목걸이(20)의 소정 길이보다 짧게 원하는 길이로 조정할 수 있다.
목걸이(20)의 실 단부에 걸리는 한 쌍의 잠금구(23, 24)로는 다양한 타입의 잠금구가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한정하지 않지만, 일단측의 잠금구로서 O링, 탭 등으로 불리는, 걸림구멍을 가지는 걸림 금구(金具)가 마련되고, 타단측의 잠금구로서 둥근 고리, 게 고리 등으로 불리는, 상기 걸림구멍에 거는 클로우(claw) 부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걸림 금구가 한 쌍으로서 마련되었을 경우, 이 잠금구들을 거는 목걸이용 장식구(1)의 제1 장식구측 잠금구(23)나 제2 장식구측 잠금구(24)로서, 전술한 클립 부재(3)의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목걸이용 장식구(1)는 이러한 목걸이용 장식구의 제1 장식구측 잠금구(13)나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로서 클립 부재(3)의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이용한 구체예이다.
즉, 목걸이(20)에는 걸림구멍을 가지는 걸림 금구로 이루어지는 제1 잠금구(23)와, 클로우 부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걸림 금구로 이루어지는 제2 잠금구(24)가 마련되어 있으며, 목걸이용 장식구(1)의 장식구 본체(2)에는 제1 장식구측 잠금구(23)로서의 클립 부재(3)와, 걸림 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장식구측 잠금구(23)로서 클립 부재(3)를 이용한 목걸이용 장식구(1)는 제2 잠금구(24)를 제2 장식구측 잠금구(14)와 걸어맞춰 목걸이(20)의 일단부에 목걸이용 장식구(1)를 연결하고, 목걸이용 장식구(1)의 한 쌍의 유지부(4a, 4b)를 구비한 제1 장식용 잠금구(13)를 목걸이(20)의 원하는 위치에서 걸도록 한다.
예를 들면 클립 부재(3)의 한 쌍의 유지부(4a, 4b)에 의해 목걸이(20)의 제1 잠금구(23)의 걸림구멍에 걸면, 목걸이(20)의 길이는 목걸이용 장식구(1)의 대략 길이분만큼 상기 목걸이(20)의 소정 길이보다 길게 조정된다. 목걸이용 장식구(1)를 목 뒤에 위치시켜서 착용하면 통상보다도 약간 길게 조정된 목걸이(20')가 된다(도 6 참조). 또한 목걸이용 조정구(1)를 앞쪽 아래에 위치시켜서 착용하면, 목걸이용 장식구(1)의 의장이 환형상의 일부를 구성한 디자인 목걸이(20')가 된다(도 6을 상하 반전시켜서 참조).
또한 클립 부재(3)의 한 쌍의 유지부(4a, 4b)에 의해 목걸이(20)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함으로써, 목걸이(20)는 목걸이(20)의 소정 길이보다 짧게 원하는 길이로 조정된다. 목걸이용 장식구(1)를 목 뒤에 위치시켜서 착용하면 통상보다도 짧게 조정된 목걸이(20')가 된다(도 7 참조). 또, 목걸이용 조정구를 앞쪽 아래에 위치시키도록 해서 착용하면 목걸이용 장식구(1)의 의장이 포인트가 되는 디자인 목걸이(20')가 된다(도 7을 상하 반전시켜서 참조).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목걸이용 장식구
2 장식구 본체
3 클립 부재
4 유지부
5 베어링
6 회전운동 핀
7 조작부
8 비틀림 코일 스프링
9 관통부
10 핀
11 핀 구멍
12 공간부
13 제1 장식구측 잠금구
14 제2 장식구측 잠금구
20 목걸이
21 구슬
22 실
23 제1 잠금구
24 제2 잠금구

Claims (5)

  1. 구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실을 꿰어 다수의 구슬을 끈형상으로 이어서, 환(環)형상으로 연결된 목걸이에 붙이는 목걸이용 장식구로서, 의장이 실시된 장식구 본체에, 목걸이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해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지부 중 적어도 한쪽 유지부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지부에 연이어서 마련된 조작부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닫힘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를 상기 스프링 부재가 가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를 열림 상태로 하는 클립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는 상기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구슬체를 수납하거나 혹은 사이에 끼우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지부는 상기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실을 느슨하게 끼워서 품는 환형상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는 상기 실의 일단부에 마련한 제1 잠금구와 타단부에 마련한 제2 잠금구를 걸어맞춰 환형상으로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상기 목걸이의 제1 잠금구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1 장식구측 잠금구가 마련되고, 상기 장식구 본체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상기 목걸이의 제2 잠금구와 걸어맞출 수 있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장식구측 잠금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KR2020130006384U 2012-08-01 2013-07-31 목걸이용 장식구 KR2014000095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2-004693 2012-08-01
JP2012004693U JP3179043U (ja) 2012-08-01 2012-08-01 ネックレス用装飾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7U true KR20140000957U (ko) 2014-02-11

Family

ID=4800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84U KR20140000957U (ko) 2012-08-01 2013-07-31 목걸이용 장식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9043U (ko)
KR (1) KR201400009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2765B2 (en) * 2020-07-13 2022-03-15 C.C.Couture LL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295B1 (ko) * 2020-06-15 2022-07-14 김빛나 고리형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2765B2 (en) * 2020-07-13 2022-03-15 C.C.Couture LL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9043U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06186A1 (en) Jewelry ornament system and method
US9066562B2 (en) Jewelry article
MX2014012917A (es) Articulo de joyeria, metodo para fabricar un cierre para articulo de joyeria. accesorio para un arete, kit de partes formando el accesorio, y arete construido a partir del kit.
US2015001338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jewelry
JP6556803B2 (ja) 取り付けデバイス
KR20140000957U (ko) 목걸이용 장식구
US11071358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linking system and clasps thereof
EP2982261B1 (de) Schmuckanhänger
US20140020214A1 (en) Magnetic Clasp
EP1079708B1 (en) Lock for a necklace, bracelet or such ornament, as well as an end eye for such a lock
JP2007275398A (ja) 紐状装身具用留め具
KR100919609B1 (ko) 체결용 보조텐션을 갖는 귀걸이
EP3053476A1 (en) Jewellery clasp
US20180035767A1 (en) Jewelry piece having a slider and connecting means
JP2017508566A (ja) 宝石の小片,特にイヤリングを固定する装置
JP3215039U (ja) 取り外し式チャーム
JP6375468B1 (ja) 装身具
JP2007301174A (ja) 装身具用留め具
JP3134460U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3131016U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3118201U (ja) 装飾具の連結装置
JP2010022468A (ja) 変形可能な装身具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US20120279026A1 (en) Ornament lock with wide opening ornament clasp
JP3095540U (ja) 回転、係止機能を持ち合わせた装飾用接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