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842U -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842U
KR20140000842U KR2020120006756U KR20120006756U KR20140000842U KR 20140000842 U KR20140000842 U KR 20140000842U KR 2020120006756 U KR2020120006756 U KR 2020120006756U KR 20120006756 U KR20120006756 U KR 20120006756U KR 20140000842 U KR20140000842 U KR 201400008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adjusting member
position adjust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842U/ko
Publication of KR20140000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탱크의 액체화물을 배출/공급하기 위한 펌프에 연결된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로서,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가용접된 위치조절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REASSEMBLABLE SUPPORT FOR SUPPORTING A PIPE IN A FLOATING MARINE STRUCTURE}
본 고안은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는 액화화물, 예를 들면 오일 또는 가스를 저장하는 곳으로 내부에는 액화화물의 출렁거림을 방지와 동시에 강성을 높이기 위해 배플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식에 강한 주석이나 아연 도금으로 처리되며 부식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 되여진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는 그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고압 펌프의 길이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압 펌프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펌프타워가 설치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액화화물 운송용 선박은 선미 부근에 운용장비들이 많이 설치되지 않으며, 이를 이용하여 저장탱크를 기준으로 선미에 펌프타워를 탑재한다. 이러한 펌프타워는 각 저장탱크 당 1곳 이상에 배치된다.
상술된 저장 탱크의 액화화물을 공급/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를 지지하는 종래의 서포트는 파이프의 형상에 맞춰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완설되어 선체에 조립된다. 이에 따라 선체의 변형이 발생되면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의 재조정이 필요한데, 정해진 형상으로 완설된 서포트로 인해 선체에 조립된 서포트로의 재조정이 불가능하다. 즉, 선행에서 선체에 조립된 서포트를 후행에서 조정이 불가능하여, 다시 선체의 변형에 따른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를 준비하고 준비된 서포트로 선체에 재조립해야 한다.
한편,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후행 작업시에는 선체의 변형으로 인한 펌프의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체 변형에 맞춰 파이프를 후행에서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구조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탱크의 액체화물을 배출/공급하기 위한 펌프에 연결된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로서,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가용접된 위치조절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서 분리된 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재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에는 가이드 링이 있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위치조절용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지대상에 결합시키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 상에 상기 가이드 링이 위치되도록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절단면은 상기 지지대와 재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연결 부재가 교차되는 위치에서 상기 선체쪽으로 경사진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서 지지대 상에 가용접된 위치조절용부재를 분리시킨 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재용접됨에 따라, 생산/수정/설치 비용의 절약으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이 위치조절용부재의 결합부에 배치되도록 연장부의 일부를 절단하여 지지대 상에 연장부의 절단면을 재용접함에 따라 가이드 링과 결합부 사이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공간을 확보하여 가이드 링과 위치조절용부재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가 적용된 펌프 타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의 위치조절용부재와 지지대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가 적용된 펌프 타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의 위치조절용부재와 지지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펌프 타워는 펌프(1)와, 펌프(1)에 연결된 파이프(2)와, 파이프(2)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4) 등을 포함한다. 펌프 타워는 저장 탱크 당 1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 타워는 액화화물의 양하역을 위한 배출파이프와, 상부가 절곡된 형태로 입설되는 충전 파이프, 그리고 하부의 펌프를 운전하는 유압 파이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파이프(2) 내부에는 배출 파이프와 유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액화화물은 오일일 수 있다.
파이프(2)에는 해당 파이프(2)를 사이에 두는 가이드 링(3)이 있다. 가이드 링(3)은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서포트(4)의 위치조절용부재(42)와 결합된다.
펌프(1)는 저장 탱크(미도시)의 액화화물을 공급/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펌프(1)는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화화물을 파이프(2)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킬 수 도 있고, 파이프(2)를 거쳐 액화화물을 저장 탱크내에 공급시킬 수 있다.
펌프(1)에 연결된 파이프(2)를 지지하는 서포트(4, 이하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라 한다)는 선행에서 완설한 후 후행에서 가접된 부분을 분리하여 파이프(2)의 위치에 맞춰 조정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4)는 지지대(411)와, 지지대(411) 상에 가용접된 위치조절용부재(42) 등을 포함한다.
서포트(41)는 서로 떨어진 채로 배치된 수평의 지지대(411)와, 지지대(4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13)와, 지지대(411)와 연결부재(413)가 만나는 위치에서 선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재(412)로 구성된 지지체(41)를 포함한다. 지지체(41)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선체의 벽면, 자세하게는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 사이에 설치된 벽면에 지지체(41)가 부착된다. 지지체(41)의 지지대(411) 및 경사부재(412)의 한쪽 단부(44)가 선체의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 사이에는 해당 저장탱크에저장된 액화액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운동인 슬로싱(sloshing) 현상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격벽이 설치되고, 격벽에 지지체(41)가 부착될 수 있다.
위치조절용부재(42)는 지지대(411) 상에 가용접된다.
또한 위치조절용부재(42)는 위치조정이 필요한 경우 지지대(411) 상에서 분리한 후 파이프(2), 즉 가이드 링(3)의 위치에 맞춰 조정된 위치에서 지지대(411)상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조절용부재(42)는 가이드 링(3)과 결합되는 결합부(421)와, 결합부(421)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대(411)에 가용접된 연장부(422)와, 연장부(422)를 보강하는 보강부(423)를 포함한다. 보강부(423)도 지지대(411)에 가용접된 상태일 수 있다.
결합부(4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며, 결합공에 예를 들면 볼트 등이 삽입되어 가이드 링(3)과 결합부(421)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연장부(422)는 파이프(2)의 위치에 맞춰 조정이 필요한 경우 분리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용접된 지지대(411)에서 분리된다. 지지대(411) 상에서 분리된 연장부(422)는 좌우,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지지대(411) 내에서 파이프(2), 즉 가이드 링(3)과의 결합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미세하게 연장부(422)의 이동이 가능하다.
지지대(411) 상의 이동된 위치에서 연장부(422) 및 보강부(423)는 지지대(411)와 재용접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2)의 위치에 맞춰 지지대(411) 내에서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조정된 위치에서 가이드 링(3)과 위치조절부재(42)를 결합시킬 수 있어 파이프(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411)내에서 위치조절용부재(42)와의 재용접위치를 조정하는 것 외에도, 상하부방향으로의 조정도 가능하다.
즉, 위치조절용부재(42)는 연장부(422)를 절단하거나 보조의 연장부를 추가하여 상하부방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연장부(422)는 결합부(421) 상에 가이드 링(3)이 위치되도록 절단되고, 절단된 연장부(422)의 절단면과 지지대(411)와 재용접된다. 이때 연장부(422) 뿐만 아니라 보강부(423)도 연장부(422)와 일정한 절단면을 갖도록 절단된다.
연장부(422)의 단부와 보조의 연장부를 부착하고, 부착된 보조의 연장부가 지지대(411) 상에 재용접된다. 이때 보강부(423)도 보조의 연장부 높이를 갖는 추가의 보강부를 부착되어 보조의 연장부를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2)의 위치에 맞춰 좌우,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정된 위치에서 파이프(2)와 위치조절용부재(42)를 결합시켜, 파이프(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생산/수정/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 : 펌프 2 : 파이프
3 : 가이드 링 4 : 서포트
41 : 지지체 411 : 지지대
412 : 경사부재 413 : 연결부재
42 : 위치조절용부재 421 : 결합부
422 : 연장부 423 : 보강부
44 : 단부

Claims (6)

  1. 저장 탱크의 액체화물을 배출/공급하기 위한 펌프에 연결된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로서,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가용접된 위치조절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에 맞춰서 분리된 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재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가이드 링이 있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위치조절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용부재는
    상기 가이드 링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지대상에 결합시키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 상에 상기 가이드 링이 위치되도록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절단면은 상기 지지대와 재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연결 부재가 교차되는 위치에서 상기 선체쪽으로 경사진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행 조절 가능한 서포트.
KR2020120006756U 2012-07-27 2012-07-27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KR201400008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56U KR20140000842U (ko) 2012-07-27 2012-07-27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56U KR20140000842U (ko) 2012-07-27 2012-07-27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42U true KR20140000842U (ko) 2014-02-06

Family

ID=5244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56U KR20140000842U (ko) 2012-07-27 2012-07-27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84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61A (ko) * 2017-10-13 2019-04-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체인컴프레서 시공방법
CN113682421A (zh) * 2021-09-17 2021-11-2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型lng燃料舱的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61A (ko) * 2017-10-13 2019-04-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체인컴프레서 시공방법
CN113682421A (zh) * 2021-09-17 2021-11-2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型lng燃料舱的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N113682421B (zh) * 2021-09-17 2024-04-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型lng燃料舱的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038B1 (ko) 펌프 타워
JPWO2013024835A1 (ja) Lng船
KR101313186B1 (ko) 펌프 타워
CN105752279B (zh) 一种用于舟桥的拼装式操舟机挂架
AU2015341033B2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KR102248621B1 (ko)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000842U (ko)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후행 조정 가능한 서포트
KR101221547B1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CN105318180A (zh) 一种lng加液系统
KR101635061B1 (ko) 액화천연가스 하역 시스템
WO2018221265A1 (ja) 洋上浮体構造物
CN203967227U (zh) 一种天线基座
JP2012215281A (ja) 既設管の更生方法、浮体固定治具、管体運搬用キット、及び管体構造
CN102101520B (zh) 双体船式液化天然气浮筒
KR20120033578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랙 구조물 변형 방지장치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20130000742A (ko) 박막형 액화천연가스선의 너클형 강력갑판
KR20100133272A (ko) 개선된 위치유지장치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CN208299369U (zh) 一种焊接于强结构的铝合金重型船用电缆托架
KR200482045Y1 (ko) 해양구조물의 밸브 배관 진동저감장치
CN104934687A (zh) 一种天线基座
KR20150053016A (ko) 선박
KR20190000689U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105919A (ko) 족장장치
KR200485919Y1 (ko) 선박의 데크 관통용 파이프 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