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579A -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579A
KR20140000579A KR1020120068167A KR20120068167A KR20140000579A KR 20140000579 A KR20140000579 A KR 20140000579A KR 1020120068167 A KR1020120068167 A KR 1020120068167A KR 20120068167 A KR20120068167 A KR 20120068167A KR 20140000579 A KR20140000579 A KR 2014000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information
functions
condi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579A/ko
Priority to US13/729,447 priority patent/US9354854B2/en
Priority to EP13151791.4A priority patent/EP2680139A1/en
Publication of KR201400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관리 서버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MANAGEMENT SERVE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INSTALLING 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OSGI)-BASED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이를 활용하여 일반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홈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홈 기술은 지금까지의 초고속 인터넷 공유, 파일 공유, 그리고 주변장치 공유를 위해 추진되던 단순한 홈 네트워킹의 개념을 뛰어 넘어 잘 갖추어진 외부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더욱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홈 기술의 대표적인 서비스 플랫폼으로는 자바 가상 머신(JAVA Vitual Machine) 기반하에 작동하게 만들어진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서비스 플랫폼이 있다. OSGi는 프레임워크(framework) 상에서 HTTP, 서비스 관리, 로그 서비스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들은 자신의 서비스를 번들 형태로 OSGi 프레임워크에 배포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OSGi는 UPnP, Jini, HAVi 등 기존의 홈 네트워크 기술들을 지원하므로, TV 셋톱박스, 케이블 모뎀, 알람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OSGi에서 사용되는 번들(bundle)은 서로의 기능을 내보내거나(Export) 불러와(Import)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번들 간의 확장이 가능하며 서로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재사용성과 기능들의 재조합을 이루어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기능의 확장과 연동을 통하여 번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재사용하여 서로 간의 연동이 가능한 방법만을 제공하였을 뿐, 사용자 입장에서 이미 존재하는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업 설정, 연결, 저장, 수정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계층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선택받기 위한 제1 조건, 상기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조건,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이미지 또는 기설치된 번들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관리 서버는, 상기 신규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상기 입력받은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과금 및 보안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은,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계층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선택받기 위한 제1 조건, 상기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조건,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이미지 또는 기설치된 번들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서비스 설치 방법은, 상기 신규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서비스 설치 방법은,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상기 입력받은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SGi 프레임워크는,화상형성장치의 OSGi 프레임워크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는 관리 서버의 OSGi 프레임워크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은,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의 주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주요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신규 번들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새로운 규칙에 의하여 생성된 신규 번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번들의 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시스템(1000)은 외부 서버(10) 및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한다.
외부 서버(10)는 관리 서버(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번들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 서버 이외에 PC, PDA(personal Digital Asstance),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POS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번들이란, 서비스 제공자들이 자신의 신규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번들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서비스란, OSGi 기반의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OSGi 기반의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인 경우, FAX, 복사, 프린팅과 같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이 서비스에 해당하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되지는 않지만, 번들이 설치됨으로써 지원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어, FAX 문서를 특정 메일로 전송하는 기능 또한 서비스에 해당된다. 그리고 OSGi 기반의 장치가 서버인 경우,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보안 관리, 잡 카운팅 등과 같은 일반적인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이 서비스에 해당한다. 그리고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자체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간의 조합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10)로부터 번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또는 관리자)로부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및 UI 정보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 및 UI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번들을 생성하여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10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되고,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 과금 및 보안 설정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서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과금, 보안을 관리하는 것만을 기재하였으나, 구현시에 관리 서버(100)는 통상적인 솔루션 서버가 제공하는 상술한 관리 기능 외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외부 서버(10)로부터 번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100)와 화상형성장치(200)가 외부 서버(10)에 같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즉, 화상형성장치(200)가 외부 서버(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200)는 관리 서버(100)를 통하여 외부 서버(1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10)와 관리 서버(100)가 다른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1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생성부(140), 설치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관리 서버(100)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외부 서버(1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r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예를 들어, 해당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 장치 정보 등)을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신규 번들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신규 번들 또는 후술할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가상 번들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서비스 실행 명령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명령(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명령, 잡 어카운팅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명령, 보안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등)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송한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른 서비스 실행 결과를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관리 서버(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고,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이미지일 수 있으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UI 정보(즉, 어떠한 번들의 UI를 이용할 것인지,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 UI상의 표시 위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계층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신규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건은 관리 서버(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이고, 제2 조건은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조건이고, 기능은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서비스 실행 명령 또는 사용자가 생성한 신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번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생성부(140)가 생성한 가상 번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이벤트 정보, 필터링 정보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관리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로, 이벤트의 발생 조건, 이벤트 발생을 수행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조건 정보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에 대한 정보로, 필터링의 조건, 필터링을 판단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정보는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명칭,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관리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정보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설정된 보안 설정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의 인쇄 이력에 기초한 과금 정보(또는 사용자별 과금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과금 기능, 망내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솔루션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부(130)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관리 서버(100)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 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나 HDD일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외장형 HDD 또는 메모리 카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S, xD, SD등)나 USB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생성부(140)는 가상 번들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선택받은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신규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의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1 조건, 제2 조건, 기능을 선택받은 경우, 생성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선택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에 대응되는 스트링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링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정보, 기능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설치부(150)는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설치부(150)는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가상 번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신규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생성 명령을 수신하면,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부(160)는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의 번들이 생성되도록 생성부(140)를 제어하고, 생성된 가상 번들이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되도록 설치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을 위한 정보' 및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이 생성되도록 생성부(140)를 제어하고, 생성된 가상 번들이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되도록 설치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설정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의 수행 결과를 가상 번들에 포함된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생성된 경우에 제어부(160)는 선택받은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받은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상태인지를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기능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관리 정보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관리 정보에 따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가 기설정된 보안 정책에 위반되는 옵션 및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이를 수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과금 설정에 기초한 인쇄 작업이 각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도록 각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의 조합만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을 재사용함으로써 품질이 보증되고, UI만 생성하고 기능 단위의 재사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생성부(140), 설치부(150) 및 제어부(16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생성부(140)의 기능, 설치부(150)의 기능 및 제어부(160)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저장부(230), 생성부(240), 설치부(250), 화상 형성부(260) 및 제어부(27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외부 서버(10) 또는 관리 서버(100))와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r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명령(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명령, 잡 어카운팅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명령, 보안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등)을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송한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른 서비스 실행 결과 및 각종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관리하기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예를 들어, 해당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 장치 정보 등)를 관리 서버(100)의 요청 또는 기설정된 시점에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신규 번들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서버(10) 또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신규 번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고,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이미지일 수 있으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UI 정보(즉, 어떠한 번들의 UI를 이용할 것인지,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 UI상의 표시 위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계층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신규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건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이고, 제2 조건은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조건이고, 기능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 서비스 실행 명령 또는 사용자가 생성한 신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번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후술할 생성부(140)가 생성한 가상 번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이벤트 정보, 필터링 정보 및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로, 이벤트의 발생 조건, 이벤트 발생을 수행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조건 정보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에 대한 정보로, 필터링의 조건, 필터링을 판단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정보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명칭,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번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 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나 HDD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된 외장형 HDD 또는 메모리 카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S, xD, SD등)나 USB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생성부(240)는 가상 번들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선택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에 대응되는 스트링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링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정보, 기능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생성부(240)는 가상 번들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선택받은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신규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의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1 조건, 제2 조건, 기능을 선택받은 경우, 생성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선택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에 대응되는 스트링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링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정보, 기능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설치부(250)는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설치부(250)는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가상 번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신규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260)는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명령이 인쇄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 경우, 화상 형성부(26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200)가 기능 구성으로써 화상 형성부(260)만을 포함하는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팩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팩스 구성 및 문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캔 구성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생성 명령을 수신하면,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부(270)는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UI 정보 및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의 번들이 생성되도록 생성부(240)를 제어하고, 생성된 가상 번들이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되도록 설치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과의 연결을 위한 정보' 및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이 생성되도록 생성부(240)를 제어하고, 생성된 가상 번들이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되도록 설치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설정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의 수행 결과를 가상 번들에 포함된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생성된 경우에 제어부(270)는 선택받은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받은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상태인지를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기능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의 조합만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을 재사용함으로써 품질이 보증되고, UI만 생성하고 기능 단위의 재사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성부(240), 설치부(250) 및 제어부(27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생성부(240)의 기능, 설치부(250)의 기능 및 제어부(270)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의 주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조합을 위하여 시스템은 크게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시스템에 이미 구현되어 있는 주요 기능을 분류하고 이들의 조합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주요 기능별 카테고리가 및 상속이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존재하는 바를 재구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지원을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가이드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는 바로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주요 구성 요소는 제1 조건(또는 이벤트), 제2 조건(또는 컨디션), 기능(또는 액션)을 포함한다.
제1 조건(410)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여러 기능 중에 주요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별한 이벤트의 주요 기능을 선언하고 이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하위의 제2 조건을 점검하여 기능을 이루도록 한다. 즉, 여러 이벤트 중에 주요 상위에 존재하는 카테고리 영역이다.
제2 조건(420)은 제1 조건의 하위에 속하는 세부 조건으로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이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을 점검하고 이 조건이 포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기능에 통보를 지시하도록 한다. 제2 조건은 여러 가지 조건이 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렬적인 복수의 세부 조건이 부가될 수 있으며(즉, OR 조건으로 복수의 세부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직렬적인 복수의 세부 조건이 부가될 수 있으며(즉, AND 조건으로 복수의 세부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직/병렬적인 복수의 세부 조건이 부가될 수도 있다.
기능(430)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기능으로 제1 조건의 발생 후 제2 조건에 속하는 조건이면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분류의 동작이다. 기능은 여러 가지 기능이 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충족시 복수의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 카테고리 영역 내에서 주어진 단계를 마법사 기능처럼 쉽게 이해가 되고 단계별로 원하는 기능과 조건을 선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8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러한 각 구성 요서는 OGSi 오픈플랫폼의 주요 기능에 따라서 3'rd party 번들이나, In house 번들의 내부 기능별로 추가, 삭제가 XML 기준으로 가능하며, 분산된 기능별 조건과 최종 흐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조건(410), 제2 조건(420), 기능(430)들의 관계를 최종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을 기준으로 1:n, n:m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최상위 초기 제1 조건(410)과 제2 조건(420)은 1:n 관계로 이는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 관계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1 조건(410)에 복수의 제2 조건(42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조건(420) 역시 복수의 기능을 연결하여 전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 서비스는 제2 조건(420)이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에게 좀 더 많은 조건과 세분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각 번들의 기능을 OSGi 프레임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각 기능을 사용자 입장에서 조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3'rd party 번들 및 주요 기능을 포함하는 번들을 시작한다(S 705).
그리고 Meta-INF 폴더 내에 선언되어 있는 'remoteui.xml' 파일을 파싱하여 제1 조건, 제2 조건, 기능 카테고리에 등록한다(S 710).
그리고 사용자는 등록된 복수의 제1 조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 715).
그리고 선택된 제1 조건에 종속된 복수의 세부 조건이 각 번들에 속한 팝 업을 통해 표시되고 선택될 수 있다(S 720, S 725).
그리고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수행되어야 하는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S 735, S 740).
그리고 주요 작업의 수행시 필요한 세부 값을 구성 완료하고(S 750), 최종적으로 구성된 규칙에 대한 이름과 설명을 선언하고 저장할 수 있다(S 760).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건 및 기능은 이미 타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신규 번들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OSGi 기술에서 서버 플랫폼이 가지는 주요 아키텍처의 서버 중심에서의 확장성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자바 가상 머신(JAVA Vitual Machine)(161), OSGi 플랫폼(162)으로 구성된다.
OSGi 오픈플랫폼(162)은 자바 가상 기계(161) 기반하에 작동하며, OSGi 서비스 플랫폼(163) 및 복수의 번들(164)로 구성된다.
OSGi 서비스 플랫폼(163)은 HTTP, 서비스 관리, 로그 서비스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OSGi 서비스 플랫폼에 설치된 번들(164)을 통하여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OSGi 오픈플랫폼(또는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단의 런타임(runtime)에 있는 번들 간(165-1, 165-2, 165-3)의 연결은 XML 문서를 바탕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기본 SDK를 바탕으로 번들을 만들어 확장할 수 있으며, 번들의 오픈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번들 상호 간의 참조를 통하여 번들의 기능을 확장하여 개발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참조하는 정보는 XML에 서술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은 번들 상호 간의 참조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번들의 주요 기능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번들, 즉, 가상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들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번들처럼 보이지만, 개발자 입장에서는 UI만을 구성하여 기존의 기능을 조합하는 것만으로 가상 번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번들이나 타 번들에서 새로운 서비스에 필요한 세부 기능이 있는 경우, 새로운 번들은 굳이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UI를 재구성하는 것만으로 번들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번들의 필요하면 이미 존재하는 번들 A(165-1), 번들 B(165-2), 번들 C(165-3)의 주요 기능을 import하여 가상 번들(165-4)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번들(165-4)은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미 존재하는 주요 기능들의 조합을 통하여 새로운 번들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이미 검증된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통한 신뢰성 향상과도 연결되며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통한 시간의 단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가상 번들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상 번들은 단순 UI만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UI 화면을 기존의 기능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능처럼 보이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가상 번들은 하나의 UI에 여러 기능을 조건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페이지도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순 결과를 보여주는 UI만 존재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두 개의 UI를 가지고 있으며, 제1 UI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요청하고 있다. 이는 다른 번들에서의 결과를 리턴받아 2개의 번들인 번들 A(165-1)와 번들 B(165-2)를 조합하여 하나의 UI화면에서 조합하고 있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조건을 선택한 후 목적 수행을 위한 단계를 진행하면 이 또한 다른 번들인 번들 C(165-3)에서 수행하고 그 결과만 보여주는 UI를 가지고 있는 번들 D(165-4)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이 모든 기능이 가상 번들(165-4)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 가상 번들은 비즈니스 로직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의 확장으로 인하여 새로운 기능을 빠른 시간 내에 생성하고 여러 유연한 서비스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규칙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번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상 번들은 제1 조건, 두 개의 제2 조건 및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 조건은 A 번들(165-1)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고, 제2 조건은 A 번들(165-1)의 서비스 엔진 및 C 번들(165-3)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고, 기능은 B 번들(165-2)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특정 그룹에 할당되고(제1 조건), 해당 화상형성장치가 기설정된 밴더와 펌웨어 버전에 일치하면(제2 조건),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트위터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기능).
도 12 내지 도 1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0)는 제1 영역(1210), 제2 영역(1220), 제3 영역(1230)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10)은 관리 서버(100, 또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 중 Rule(1211)을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된다.
제2 영역(1220)은 제1 조건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1220)은 관리 서버(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화상형성장치가 감지되는 이벤트,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경고가 감지되는 이벤트,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관리 그룹에 신규 화상형성장치가 추가되는 이벤트,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관리 그룹에 화상형성장치가 제거되는 이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이 적용되는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인 경우, 상술한 예와 다른 이벤트가 제1 조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영역(1220) 내의 복수의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를 선택받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1230)은 기생성된 신규 서비스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하나의 신규 서비스가 생성되어 있다(1231).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00)은 구분 영역(1410, 1420, 1430), 제2 조건 또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1440), 스트링 명령어를 표시하는 영역(1450)을 포함한다.
구분 영역(1410, 1420, 1430)은 제2 조건 또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1440) 상에서 입력받을 항목을 변경하기 위한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조건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제2 조건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1440)은 제2 조건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제2 조건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1440)은 선택받은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에 대응한 복수의 필터링 조건을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의 필터링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조건을 선택받을 수 있다. 표시된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제2 조건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에 대응되는 스트링 명령어가 스트링 명령어를 표시하는 영역(1450)에 표시된다.
스트링 명령어를 표시하는 영역(1450)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트링 명령어를 표시하는 영역(1450)은 선택된 제1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1451), 선택된 제2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1452, 1453) 및 선택된 기능을 표시하는 영역(1454)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스트링 명령어가 표시되는 영역(1450)을 통하여, 생성하고 있는 신규 서비스의 규칙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선택된 제2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1453)은 구체적인 조건이 현재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1453)을 선택하면, 도 15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500)은 선택된 제2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 값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1510, 1520, 153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구체적인 제2 조건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2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 값을 입력한 예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정 값을 입력하게 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 명령어가 표시되는 영역은 제2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1453)이 변경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하고, 구분 영역(1430)을 선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800)은 규칙 이름을 입력받는 영역(1810), 규칙의 설명을 입력받는 영역(1820), 입력받은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에 대한 스트링 명령어를 표시하는 영역(1830)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이 선택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갖는 가상 번들이 생성된다.
도 19는 새로운 규칙에 의하여 생성된 신규 번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조건에 대해서 기설치된 번들(165-6)이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조건에 대해서 기설정된 번들(165-5)이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능에 대해서 기설정된 번들(165-7)이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규 서비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기설치된 번들이 제공하는 기능의 선택만을 수행하였지만, OSGi 오픈플랫폼은 각 조건 및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번들의 정보를 알고 있으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 간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는 OSGi의 설정을 통하여 등록될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규 번들을 생성하고, 신규 번들을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됨으로써도 등록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번들의 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각 번들은 OSGI에서 제공되던 XML 기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활용한 기능의 확장뿐만이 아니라, 표층 계층(Presentation layer)에서 UI 를 한 기본적 XML 표준화 파일을 따로 생성하여 이를 중간에 존재하는 하단 계층인 플랫폼(Platform)이 파싱(parsing)하여 정보를 읽고 각 번들의 UI 를 확장하는 기능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OSGi 시스템은 xxx-flex.xml , xxx-osgi.xml , xxx-servlet.xml , web.xml과 같은 XML 파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적인 xml 이외에 xxx.remoteui.xml 을 추가 함으로써 타 번들 간의 기능을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들은, 필수적인 XML과 다른 번들을 참조하는 remotui.xml 파일(2010)을 포함한다.
도 20의 remotui.xml 파일(2010)의 구체적인 예는 도 21과 같다.
따라서, OSGi 오픈플랫폼은, 선언된 값에서 "RESOURCE.RBTA.ACTIONS_MENU" 를 통하여 Open Platform 에 기능(Action)을 등록한다. 그리고 기능(Action)에 나타내는 값은 "devicemgm.rbta.configuration.template.action.key" 이 key값을 이용하여 선택한 언어별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DeviceConfigurationTemplateAction"은 키(key) 값으로 이후 사용자가 세부 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면을 연결해주는 XML 값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위의 카 값인 'DeviceConfigurationTemplateAction' 을 연결하여 UI 환경에서 사용자가 세부 값을 세팅하기 위하여 링크된 화면을 클릭시 연결되는 팝업 화면의 주소를 선언하여 준다. 위의 경우에는 "/app.devicemgt.central.web/client/AppDeviceMgtCentral_configurationTemplateRbtaAction.swf" 으로 나타내어진다.
도 2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새로운 서비스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다(S2310).
새로운 서비스 생성 명령을 입력받으면, 새로운 규칙을 입력받는다(S2320). 구체적으로,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1 조건, 제2 조건 및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선택받은 새로운 규칙에 따른 가상 번들을 생성하고(S2320), 생성된 가상 번들을 OSGi 오픈플랫폼에 설치할 수 있다(S234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설치 방법은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의 조합만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기설치된 번들의 기능을 재사용함으로써 품질이 보증되고, UI만 생성하고 기능 단위의 재사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3과 같은 서비스 설치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또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설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설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는 반송파의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실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먼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서비스가 등록되어 해당 서비스가 개시되면(S 2410), 선택받은 제1 조건 및 제2 조건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부합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 2420).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부합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면, 신규 서비스의 기능에 대응한 기설정된 번들의 엔진을 이용하여 기능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S 243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른 기설치된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3과 같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도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상 형성 시스템 100: 관리 서버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생성부
150: 설치부 160: 제어부
200: 화상형성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저장부
240: 생성부 250: 설치부
260: 화상 형성부 270: 제어부

Claims (20)

  1.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계층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선택받기 위한 제1 조건,
    상기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조건,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이미지 또는 기설치된 번들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상기 입력받은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과금 및 보안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0.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에 있어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OGS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기능 중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복수의 번들 각각의 기능을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서비스 설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계층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선택받기 위한 제1 조건,
    상기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조건,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는,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이미지 또는 기설치된 번들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번들의 서비스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상기 입력받은 UI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OSGi 프레임워크는,
    화상형성장치의 OSGi 프레임워크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는 관리 서버의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방법.
  20.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은,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 정보 및 상기 신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OSGi 프레임워크에 기설치된 번들의 정보 및 상기 UI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번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번들을 성기 OSGi 프레임워크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0068167A 2012-06-25 2012-06-25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000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167A KR20140000579A (ko) 2012-06-25 2012-06-25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3/729,447 US9354854B2 (en) 2012-06-25 2012-12-28 Management serve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installing OSGI-based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13151791.4A EP2680139A1 (en) 2012-06-25 2013-01-18 Management serve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installing OSGI-based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167A KR20140000579A (ko) 2012-06-25 2012-06-25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79A true KR20140000579A (ko) 2014-01-03

Family

ID=476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167A KR20140000579A (ko) 2012-06-25 2012-06-25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4854B2 (ko)
EP (1) EP2680139A1 (ko)
KR (1) KR20140000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42B1 (ko) 2019-11-27 2020-10-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측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6835B2 (ja) * 2016-11-16 2020-10-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複合装置、表示切換方法および表示切換プログラム
US10956139B2 (en) * 2018-11-26 2021-03-23 Sap Se Integration process to integration adapter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7683A1 (en) * 2004-03-22 2005-10-1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 the air software rep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42B1 (ko) 2019-11-27 2020-10-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측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46963A1 (en) 2013-12-26
US9354854B2 (en) 2016-05-31
EP2680139A1 (en)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465B2 (en) Distributed workflow-enabled system
US843256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on switching and displaying at occurrence of error conditions
KR101419833B1 (ko) 화상형성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OSGi 기반 서비스설치 방법
JP5475064B2 (ja) サーバ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964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og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3097746A (ja) クライアントサイドWebサービスインターフェ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ソフトウェア開発キット並びにこの開発キットを用いたソフトウェア開発方法
JP2013168130A (ja)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82369B2 (en) Methods, systems and processor-readable media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evice movement in a managed service environment
JP5728896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134695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プログラム
JP2007087398A (ja) 表示データの作成方法、画像処理装置の表示を標準化する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1106479A (zh) 提供装置配置信息的主机终端及方法和接收该信息的装置
KR20140000579A (ko)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설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5488014B2 (ja) 情報処理装置、ディアクティベーション処理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200639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58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installing OSGi-based service, method of providing OSGi-based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9030047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00578A (ko) 관리 서버, 화상형성장치, OSGi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161832A (zh) 操作屏幕提供系统、设备和方法以及中继设备
JP5369782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0526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11005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915010B2 (ja) 多機能装置、多機能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5853993B2 (ja) 画像処理装置の管理装置、管理情報提示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6838580B2 (ja) サーバー、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