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87U -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87U
KR20140000487U KR2020130001821U KR20130001821U KR20140000487U KR 20140000487 U KR20140000487 U KR 20140000487U KR 2020130001821 U KR2020130001821 U KR 2020130001821U KR 20130001821 U KR20130001821 U KR 20130001821U KR 20140000487 U KR20140000487 U KR 20140000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plate
support
container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선
Original Assignee
홍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선 filed Critical 홍정선
Publication of KR20140000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화물을 저장 운반하되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측판을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 조립하여 상하 절첩 가능한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판(2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매립홈(22)에 고정구(60)를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의 지지봉(65)을 상기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하여 컨테이너 본체(100)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되, 상기 고정구(60)는 "ㄱ" 자형 단면 구조의 몸체(61)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61) 상부의 회전축(62)에 의해 매립홈(22) 내부에 축 설치하여 상기 몸체(61)를 원터치로 상하 축 회전하는 것에 의해 몸체의 지지봉(65)이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하므로 작업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UNFOLDING PREVENTION DEVICE FOR FOLDABLE CONTAINER}
본 고안은 각종 화물을 저장 운반하되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측판을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 조립하여 상하 절첩 가능한 절첩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본체를 상하 절첩 상태에서 스프링 경첩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물을 수출, 수입하는 경우에 컨테이너에 저장 상태로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컨테이너는 사각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컨테이너는 내부에 화물을 저장 운반하지 않는 경우에도 빈 컨테이너를 사각 박스 형태로 보관, 운반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물류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컨테이너를 절첩식으로 보관, 운반할 수 있는 절첩식 컨테이너가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638570호에서와 같이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하 분할 형성한 상하 몸체를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 설치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좌우 측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후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전후 열림판에 의해 상하로 절첩 가능한 컨테이너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는 전개 또는 절첩 상태에서 클램핑 수단(캐치 클램프)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핑 수단은 클램프와 클램프의 걸고리가 축 회전하면서 걸림 작동하는 걸쇠를 대향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첩식 컨테이너는 각종 화물을 저장하지 않고 보관, 운반할 경우에 상하로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후 열림판을 내측으로 대향 절첩하고, 좌우 측판의 상하 몸체를 내측으로 대향 절첩하여 상하 적층되게 절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측판은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 경첩의 탄발력에 의해 원 상태로 다시 펼쳐지려고 하기 때문에 펼쳐짐 방지장치에 의해 절첩 상태를 유지한 후 클램핑 수단에 의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펼쳐짐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의 매립홈(2)에 매립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3)를 매립홈에서 탄발 스프링(4)의 탄발력 보다 큰 힘으로 탄발 인출한 후 힌지축(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다시 고정 프레이트의 고정핀(3a)을 상판의 고정홈(6)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 플레이트(3)를 매립홈에서 탄발 인출- 회전- 다시 탄발 삽입하는 과정에 의해 지지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컨테이너 본체는 스프링 경첩에 의해 절첩 상태에서 다시 펼쳐질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한 고정 플레이트의 지지 작업은 더욱 불편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3)는 장 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3)를 매립 보관하는 매립홈(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컨테이너 본체의 하판 두께가 얇은 경우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하판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밖에 없어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 사이즈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하판의 매립홈에 고정구를 축 결합 상태로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를 상하로 원터치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구의 지지봉이 상판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므로 작업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에 자석체를 매립하여 컨테이너 본체에 자력에 의해 접착 고정하도록 하므로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확실히 지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를 상하 절첩 구성하여 매립홈의 사이즈를 절반 사이즈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하 분할 형성한 상하 몸체를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 설치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좌우 측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후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전후 열림판에 의해 상하로 절첩 가능한 컨테이너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를 전개 또는 절첩 상태에서 클램핑 수단에 의해 고정하되, 상기 하판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매립홈에 고정구를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의 지지봉을 상기 상판의 지지공에 삽입하여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지지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ㄱ" 자형 단면 구조의 몸체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 상부의 회전축에 의해 매립홈 내부에 축 설치하여 상기 몸체를 원터치로 상하 축 회전하는 것에 의해 몸체의 지지봉이 상판의 지지공에 삽입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고정구의 몸체는 일측면에 컨테이너 본체에 접촉되는 부위로 자석체를 매립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에 접착 고정되어 설치 상태를 지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고정구의 몸체는 상,하 몸체로 분할하고 힌지축에 의해 서로 축 결합하여 매립홈에서 상하로 절첩하여 매립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판의 매립홈에 고정구를 축 결합 상태로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를 상하로 원터치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구의 지지봉이 상판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므로 작업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에 자석체를 매립하여 컨테이너 본체에 자력에 의해 접착 고정하도록 하므로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확실히 지지하도록 하는 효과와, 상기 고정구를 상하 절첩 구성하여 매립홈의 사이즈를 절반 사이즈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기술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컨테이너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 작동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과 하판(20),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하 분할 형성한 상하 몸체(31)(32)를 스프링 경첩(55)으로 연결 설치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좌우 측판(30)(30)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후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전후 열림판(40)(40)에 의해 상하로 절첩 가능한 컨테이너 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를 전개 또는 절첩 상태에서 클램핑 수단(50)에 의해 고정하되, 상기 하판(2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매립홈(22)에 고정구(60)를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의 지지봉(65)을 상기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하여 컨테이너 본체(100)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구(60)는 "ㄱ" 자형 단면 구조의 몸체(61)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61) 상부의 회전축(62)에 의해 매립홈(22) 내부에 축 설치하여 상기 몸체(61)를 원터치로 상하 축 회전하는 것에 의해 몸체의 지지봉(65)이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의 몸체(61)는 일측면에 컨테이너 본체(100)에 접촉되는 부위로 자석체(70)를 매립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에 접착 고정되어 설치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몸체(6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몸체(61a)(61b)로 분할하고 힌지축(63)에 의해 서로 축 결합하여 매립홈(22)에서 상하로 절첩하여 매립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의 몸체(61)를 상하 절첩하게 구성하여 상기 고정구의 몸체가 매립되는 매립홈(22)의 사이즈를 절반 사이즈로 축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 몸체(61a)(61b)는 상하 절첩 상태에서 지지봉(65)이 맞닿는 위치에 구멍(66)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지지봉(65)이 구멍(66)에 삽입되어 상호 밀착되게 절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컨테이너 본체(100)는 내부에 화물을 저장 운반하지 않는 경우에 상하 절첩 상태로 보관,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의 상판(10)과 하판(20),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측판(30)(30)과 전후 열림판(40)(40)을 고정하는 클램핑 수단(50)의 결속 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 전후 열림판(40)(40)을 내측으로 절첩하고, 좌우 측판(30)(30)의 상,하 몸체(31)(32)를 스프링 경첩(55)에 의해 탄발 회전시켜 내측으로 잡아 당기므로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 대향되게 상하 절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의 상판(10)과 하판(20), 좌우 측판(30)(30) 및 전후 열림판(40)(40)을 상하로 절첩한 후, 상기 하판(20)의 매립홈(22)에 매립 설치된 고정구(60)를 회전축(62)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원터치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 몸체(61)의 지지봉(65)을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하여 절첩 상태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 몸체(61)에는 자석체(70)가 매립 설치되어 상기 자석체의 자력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100)에 접착되어 고정구 몸체(61)의 지지봉(65)이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가 절첩 상태에서 스프링 경첩(55)의 탄발력에 의한 펼쳐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를 다시 전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 몸체(61)를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원위치 회전시켜 지지 상태를 해제하므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를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고정구 몸체(61)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하 몸체(61a)(61b)로 분할하여 힌지축(63)에 의해 서로 축 결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하판의 매립홈(22) 내부에서 상하로 절첩하여 매립하고 사용시 전개 상태로 상하 회전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의 지지공(12)에 고정구의 지지봉(65)을 삽입 설치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구 몸체(61)를 하판의 매립홈(22)에서 절첩하여 매립하기 때문에 매립홈의 사이즈를 절반 사이즈로 줄이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상기 하판의 두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게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판의 매립홈에 고정구를 축 결합 상태로 매립 설치하여 상하로 원터치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구의 지지봉을 상판의 지지공에 삽입하여 컨테이너 본체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므로 작업 편리성이 우수하고, 그 밖에 상기 고정구에 자석체를 매립하여 컨테이너 본체에 자력에 의해 접착 고정하도록 하므로 컨테이너 본체의 지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고정구를 상하 절첩 구성하여 매립홈의 사이즈를 절반 사이즈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10: 상판 20: 하판
30: 측판 100: 컨테이너 본체
50: 클램핑 수단 55: 스프링 경첩
60: 고정구 61: 몸체
65: 지지봉 12: 지지공
22: 매립홈 70: 자석체
61a,61b: 상,하 몸체
62: 회전축 63: 힌지축

Claims (3)

  1. 상판(10)과 하판(20),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좌우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하 분할 형성한 상하 몸체(31)(32)를 스프링 경첩(55)으로 연결 설치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좌우 측판(30)(30)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후 양측방에 수직 설치되고 상부나 하부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내측으로 대향 절첩되는 전후 열림판(40)(40)에 의해 상하로 절첩 가능한 컨테이너 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를 전개 또는 절첩 상태에서 클램핑 수단(50)에 의해 고정하되, 상기 하판(2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매립홈(22)에 고정구(60)를 매립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의 지지봉(65)을 상기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하여 컨테이너 본체(100)의 절첩 상태를 지지하는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는 "ㄱ" 자형 단면 구조의 몸체(61)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61) 상부의 회전축(62)에 의해 매립홈(22) 내부에 축 설치하여 상기 몸체(61)를 원터치로 상하 축 회전하는 것에 의해 몸체의 지지봉(65)이 상판의 지지공(12)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몸체(61)는 일측면에 컨테이너 본체(100)에 접촉되는 부위로 자석체(70)를 매립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에 접착 고정되어 설치 상태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몸체(61)는 상,하 몸체(61a)(61b)로 분할하고 힌지축(63)에 의해 서로 축 결합하여 매립홈(22)에서 상하로 절첩하여 매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KR2020130001821U 2012-07-12 2013-03-12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KR2014000048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6114 2012-07-12
KR1020120076114 2012-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87U true KR20140000487U (ko) 2014-01-22

Family

ID=5244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21U KR20140000487U (ko) 2012-07-12 2013-03-12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4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4709A1 (ko) * 2014-05-12 2015-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이동형 저장창고
WO2017106476A1 (en) * 2015-12-18 2017-06-22 Merit Medical Systems, Inc. Collapsible medical contain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4709A1 (ko) * 2014-05-12 2015-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이동형 저장창고
WO2017106476A1 (en) * 2015-12-18 2017-06-22 Merit Medical Systems, Inc. Collapsible medical containers
US10556716B2 (en) 2015-12-18 2020-02-11 Miguel David Ramos Collapsible medical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981B2 (ja) 折畳式コンテナー
US7222471B2 (en) Pallet packing method and pallet packing tool used in the method
KR20170065359A (ko) 컨테이너 묶음장치
US8453862B2 (en) Foldable storage box
JP6609329B2 (ja) 容器
KR100890168B1 (ko) 박스형 접이식 안전펜스
KR20140000487U (ko) 절첩식 컨테이너용 펼쳐짐 방지장치
KR20120006461U (ko) 절첩식 철재 컨테이너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101047180B1 (ko) 접어서 보관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20170063062A1 (en) Floor box assembly with retainer
KR101556944B1 (ko) 파렛트 분리 및 접이식 컨테이너
KR101231470B1 (ko) 절첩식 컨테이너
CN108050763A (zh) 冰箱抽屉分隔件、冰箱抽屉及具有其的冰箱
US20140175089A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and procedure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aid container
KR100989483B1 (ko)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KR102337116B1 (ko) 친환경 단면접착 조립식 박스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JP6363364B2 (ja) 薄葉紙収納容器
US20080048537A1 (en) Retractable Electrical Casing Structure
KR100992058B1 (ko) 교자상
KR101875289B1 (ko) 수납장치
JP5992797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6356077B2 (ja) 折畳み容器
KR101989590B1 (ko)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