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355U - 용접기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355U
KR20140000355U KR2020120005915U KR20120005915U KR20140000355U KR 20140000355 U KR20140000355 U KR 20140000355U KR 2020120005915 U KR2020120005915 U KR 2020120005915U KR 20120005915 U KR20120005915 U KR 20120005915U KR 20140000355 U KR20140000355 U KR 201400003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elder
main body
weld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355U/ko
Publication of KR20140000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3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05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guided by ha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기의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홀더가 내장되는 용접기함; 상기 용접기함 하측에 마련되는 바퀴; 및 상기 용접기함의 정면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용접기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작업자가 이동식 용접기의 이동작업을 하던 것을 1인의 작업자가 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인의 작업자가 이동식 용접기를 이동시키고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작업을 포함한 선박 건조작업 전체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기 이동장치{Welding machine moving device}
본 고안은 용접기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용접기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작업에는 다양한 강판, 강관, 블록화된 구조물 등을 결합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작업에는 볼트, 리벳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작업의 편의, 밀폐의 용이성, 결합부위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여 용접을 흔히 이용한다.
용접의 종류는 가스용접, 전기 아크 용접, 비활성 가스 용접, CO2 가스 용접 등으로 다양하다.
가스용접은 산소와 아세틸렌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면 3000℃이상의 열이 발생하고, 이 열로서 금속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용접으로 필요에 따라 용접봉과 용제를 사용한다.
전기 아크 용접은 전기회로에 2개의 금속 또는 탄소 단자를 서로 접촉시키고 이것을 당겨 간격이 생기게 하면 고열의 아크가 발생하는데, 이 열을 이용한 용접을 말한다. 즉, 모재와 금속전극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용접 열로서 전극과 모재를 용융시켜 용접한다. 이때, 아크는 단자의 일부가 되고 전기 통로가 되어 전류는 계속 흐르게 되므로 연속적인 용접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기 아크 용접의 최고 온도는 탄소 아크에서 4000℃, 금속 아크에서는 3000℃에 달한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 아크 용접은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피복된 와이어를 소모재로 사용한다.
선박 건조작업시 선체 내부 또는 외부의 다양한 작업위치에서 용접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이동 가능한 용접기 흔히 사용된다.
일반적인 이동식 용접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의 본체(10), 케이블(20), 홀더(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케이블(20)로부터 용접작업에 필요한 전력을 입력받고, 그 전력의 전압, 전류 등을 조정하여 상기 홀더(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그 전면에 전압, 전류 조절을 위한 각종의 스위치, 계기판 등이 마련된다.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본체(10)로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용접작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그 일측에 용접용 토치(torch) 등이 마련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용접기는 상기 본체(10) 자체의 하중이 상당히 크고, 상기 케이블(20)과 홀더(30)의 길이도 상당히 길어 그 하중도 상당하고 이를 이동시키는 일은 힘든 작업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용접기의 위치이동을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상기 본체(10), 케이블(20) 및 홀더(30)를 잡고 이동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다수의 작업자에 의한 상기 이동식 용접기의 이동작업은 1인의 작업자가 이동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과다한 인력이 투입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용접작업 전체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인의 작업자가 이동식 용접기를 이동시켜며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용접기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접기의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홀더가 내장되는 용접기함; 상기 용접기함 하측에 마련되는 바퀴; 및 상기 용접기함의 정면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용접기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접기함은, 그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가 안착하는 본체함과, 상기 본체함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이 안착하는 케이블함과, 상기 본체함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가 안착하는 홀더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함과 홀더함에는 그 상측에 각각 덮개가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작업자가 이동식 용접기의 이동작업을 하던 것을 1인의 작업자가 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인의 작업자가 이동식 용접기를 이동시키고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작업을 포함한 선박 건조작업 전체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식 용접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함(100), 바퀴(200) 및 핸들(300)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기함(100)은 본체함(110), 케이블함(120) 및 홀더함(130)을 포함하고, 용접기의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홀더가 내장된다.
상기 본체함(110)은 상기 용접기함(100)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10)를 내장하여 고정할 수 있는 커버 케이스(cover case)로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10, 도 1 참조), 홀더(30, 도 1 참조) 기타 연결선 등은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0)로부터 탈착이 가능해야 하므로, 이들의 탈착부가 마련되는 상기 본체(10)의 정면과 측면을 고정하는 상기 본체함(110)의 정면과 측면은 상기 케이블 등의 탈착이 가능할 정도의 형상으로 개구 되어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보수 등의 특별한 작업이 없는 한 상기 본체함(110)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본체함(110)의 상측에는 경첩이 없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는 덮개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블함(120)은 상기 본체함(1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함(120)에서 상기 케이블을 꺼내어 전원으로부터 상기 본체(10)까지 연결해야 하고, 상기 용접기를 이동시키거나 보관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을 정리하여 상기 케이블함(120)에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함(120)은 그 상측에 작업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경첩이 달린 케이블함 덮개(121)가 마련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함(130)은 상기 본체함(11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상기 홀더함(130)에서 상기 홀더를 꺼내어 상기 본체(10)로부터 용접작업 위치까지 가져가야 하고, 상기 용접기를 이동시키거나 보관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홀더를 정리하여 상기 홀더함(130)에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함(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홀더함(130)은 그 상측에 작업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경첩이 달린 홀더함 덮개(131)가 마련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퀴(200)는 상기 용접기함(100)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용접기함(100)을 지지하며, 작업장 바닥과 롤링 접촉을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퀴(200)의 개수는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의 하중, 이동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의 양 측면 하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의 하중이 크거나, 충격방지가 필요한 경우 등 필요한 때에는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의 양 측면 하측에 두 쌍으로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300)은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의 정면에 마련되고, 상기 작업자가 이를 파지하여 상기 용접기가 적재된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300)은 상기 케이블함(120) 측에 마련될 수도, 상기 홀더함(130)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300)은 작업자가 이를 파지하고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함을 고려하면, 양측이 상기 케이블함(120) 또는 홀더함(130)에 결합하고 중앙부가 굴곡되는 말굽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에 상기 용접기가 적재된 모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작업자는 상기 용접기가 적재된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를 용접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켜 용접작업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함 덮개(121)와 홀더함 덮개(131)를 개방하고, 상기 케이블(20)을 상기 케이블함(120)에서 꺼내어 전원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30)를 상기 홀더(30)함에서 꺼내어 용접장소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용접기의 전원을 켜고 용접작업을 진행한다.
이처럼, 상기 용접기 이동장치를 이용하면 1인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기를 이동시키고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접기함
110: 본체함
120: 케이블함
130: 홀더함
200: 바퀴
300: 핸들

Claims (3)

  1. 용접기의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홀더가 내장되는 용접기함;
    상기 용접기함 하측에 마련되는 바퀴; 및
    상기 용접기함의 정면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용접기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함은,
    그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가 안착하는 본체함과, 상기 본체함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이 안착하는 케이블함과, 상기 본체함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가 안착하는 홀더함을 포함하는 용접기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함과 홀더함에는 그 상측에 각각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이동장치.
KR2020120005915U 2012-07-06 2012-07-06 용접기 이동장치 KR201400003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15U KR20140000355U (ko) 2012-07-06 2012-07-06 용접기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15U KR20140000355U (ko) 2012-07-06 2012-07-06 용접기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355U true KR20140000355U (ko) 2014-01-16

Family

ID=5244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915U KR20140000355U (ko) 2012-07-06 2012-07-06 용접기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35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1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welding process
US9044818B2 (en) Method of welding two sides of a joint simultaneously
JPWO2011055765A1 (ja) 非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CN106583977A (zh) 模块化电磁脉冲焊接平台
JP4980297B2 (ja) 溶接機用電源装置
KR20140000355U (ko) 용접기 이동장치
JP5780398B2 (ja) スポット溶接機
KR102656275B1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KR20130075162A (ko)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CN209380055U (zh) 一种双丝窄间隙焊枪
KR100983495B1 (ko) 전극케이블이 연결된 보조집게가 구비된 용접기용 용접봉 홀더
JP4603055B2 (ja) 電源装置
CN109352146A (zh) 一种双丝窄间隙焊枪
KR101437827B1 (ko) 다용도 용접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용접방법
JP4347652B2 (ja) アーク溶接装置
KR20140003761U (ko) 용접기 전원관리 구조
KR20110136445A (ko) 가우징 용접 작업용 가우징 토치
KR101437277B1 (ko) 오비탈 tig 용접 장치 및 방법
JP5516966B2 (ja) スポット溶接機
KR101802942B1 (ko) 공용 와이어피더를 구비한 휴대형 용접장치
US20070012670A1 (en) Welding device and welding torch
KR20160092578A (ko) 하이브리드 용접장치
WO2006116239A3 (en) Positive current cutoff safety switch for welding torch
KR20170003545U (ko) 용접 토치 케이블
JPS63101079A (ja) チタン材の不活性ガス中ア−ク手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