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801A -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 Google Patents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801A
KR20110029801A KR1020090087628A KR20090087628A KR20110029801A KR 20110029801 A KR20110029801 A KR 20110029801A KR 1020090087628 A KR1020090087628 A KR 1020090087628A KR 20090087628 A KR20090087628 A KR 20090087628A KR 20110029801 A KR20110029801 A KR 2011002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er
main body
welding machin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장
Original Assignee
정규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장 filed Critical 정규장
Priority to KR102009008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801A/ko
Publication of KR2011002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8Portable wel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096Portable laser equipment, e.g. hand-held lase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에 관한것으로서,
전기용접과 알곤용접 겸용 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 별도의 선으로 연결되어 용접방식과 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200)가 마련되되,
상기 조절부(200)는 용접 작업을 하는 장소 까지 연장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작업장소에서 작업을 진행하면서 용접방식과 조건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용접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져서 용접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도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까지 가지 않고도 용접방식이나 조건을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어 용접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원거리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용접, 전기용접, 알곤용접, 아크.

Description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용접기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편리하고 신속한 용접이 가능하게 하는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용접이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융접법과 압접법이 있다.
융접법은 접합부에 금속재료를 가열.용융시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원자 결합을 재배열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아크용접, 가스용접, 테르밋용접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압접법은 접합부에 외부의 강한 물리적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가스압접이나 단접(鍛接)처럼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가열하는 방법을 특히 가열압접 또는 고온압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압접을 사용하는 재료에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성(延性)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온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용접이 가능하여 냉간압접(冷間壓接)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용접을 행하기 위해서 용접기가 사용되고 있다. 용접기는 용도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용접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용접기는 인버터제어방식의 용접기와 시리콘 또는 SCR정류방식의 용접기로 구분되고, 상기와 같은 용접기에서도 전기(아크) 용접기, 알곤(티그) 용접기, 미그 및 탄산가스 용접기, 프라즈마 절단기등으로 세분된다.
한편, 통상의 용접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와 전압, 전류조정기 등이 내장되어 있는 용접기 본체(100)와, 상기의 본체로 부터 전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선단부에 용접봉이 물려지도록 한 토치(110)로 구성된다. 작업자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의 작동으로 인해 모든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류 및 전압을 조절 한 후 용접봉이 물려있는 토치(110)를 잡고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용접을 진행하는 중에 용접 대상물이나 용접 조건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나 전기용접과 알곤용접기 겸용 용접기에서는 필요에 따라 용접방식을 변경하는 예가 빈번하며, 더불어 작업을 진행하는 중 용접방식 뿐만 아니라 세세한 용접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접방식이나 조건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면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용접방식 전환장치와 전류 및 전압조정기등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건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작업자가 본체와 근접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조건을 설정하기가 수월하였으나, 작업자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용접 조건을 변경하기 위해서 용접 작업을 중단하고 본체가 있는 지점에까지 와서 조절한 후 다시 작업지점까지 가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용접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에서 멀리 떨어져 용접할 때에도 용접방식과 조건을 작업자가 손쉽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용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방식과 조건을 조절하여 줄 수 있는 컨트롤러를 별도도 형성하여 작업자가 작업지점 인근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서 멀리 떨어져 용접 작업을 할 때에도 용접방식과 조건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용접기를 제안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져서 용접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도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까지 가지 않고도 용접방식이나 조건을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어 용접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의 속도와 효율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용접과 알곤용접 겸용 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 본체에 별도의 선으로 연결되어 용접방식과 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마련되되, 상기 조절부는 용접 작업을 하는 장소 까지 연장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작업장소에서 작업을 진행하면서 용접방식과 조건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용접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전기용접과 알곤용접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접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접기 본체(100)와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 별도의 선으로 연결되어 용접방식과 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용접기 본체(100)는 전기용접과 알곤용접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용접기로서, 전원스위치와 용접방식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전압, 전류조정기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용접을 하기 위한 별도의 토치(110)가 전선으로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 연결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토치(110)를 잡고 용접을 할 지점에 대고 용접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용접 조건을 미리 조절해 둔 상태에서 용접을 진행하게 된다.
조절부(200)는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 일정 길이를 가진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의 길이는 용접 작업을 하는 장소 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상기 조절부(200)는 용접기 본체(100)와는 별도로 용접기 조건 등을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접기 본체(100)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작업을 진행하면서 상기 조절부(200)를 같이 휴대하고 다닐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부(200)는 손에 잡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박스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서 손으로 당겨 그 위치를 쉽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조절부(200)와 토치(110)는 서로 다른 선에 의해 용접기 본체(10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시 조절부(200)를 용접하는 지점으로 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하여 용접시 발생하는 열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조절부(200)에는 전기용접과 알곤용접기를 전환하는 용접방식 조정기(210)와,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압/전류조정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을 인가한 후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용접방식과 전압을 조절하는 예가 빈번하므로 이를 신속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용접방식 조정기(210)와 전압/전류조정기(220)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접 조건을 조절하여 줄 수 있는 장치를 더 형성하여 줄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접방식 조정기(210)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용접방식이 통상 2~3종류를 바꾸어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기가 제안된바 있으므로 2~3가지 용접방식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택한 구성이다.
그리고 전압/전류조정기(220)는 회전식 버튼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버튼을 돌려 전압을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방식은 전압은 필요에 따라 여러 단계로 조절하여야 하는바, 다양한 전압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택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용접방식 조정기(210)와 전압/전류조정기(220)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방식이 2~3개를 초과하여 여러가지 일 경우 전압/전류조정기(220)와 마찬가지로 회전식 버튼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거리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용접을 하는 작업자는 작업장 인근까지 용접기 본체(100)를 이동시켜 안전한 위치에 두고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용접기는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이므로 누전이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소를 물색하는 것이 좋다.
이후, 본격적인 용접 작업은 용접기 본체(100)에 전원을 인가한 다음 작업할 지점까지 토치(110)를 끌고가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 지점에는 조절부(200)를 같이 가지고 가게 된다. 조절부(200)는 선으로 용접기 본체(1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토치(110)와 함께 당겨서 작업 지점까지 이동을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접을 준비한 상태에서 용접을 진행하는 도중 용접조건을 변경하여 줄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 인근에 놓아둔 조절부(200)의 용접방식 조정 기(210)와 전압/전류조정기(220)등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서 용접 조건을 변경하여 준 다음 용접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작업지점마다 조절부(200)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마다 조절부(200)를 조절하여 주게 되면 용접기 본체(100) 까지 가지 않고도 용접조건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용접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접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접기 본체,
200 : 조절부,
210 : 용접방식 조정기,
220 : 전압/전류조정기.

Claims (2)

  1. 전기용접과 알곤용접 겸용 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 별도의 선으로 연결되어 용접방식과 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200)가 마련되되,
    상기 조절부(200)는 용접 작업을 하는 장소 까지 연장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용접기 본체(100)에서 멀리 떨어진 작업장소에서 작업을 진행하면서 용접방식과 조건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는,
    전기용접과 알곤용접기를 전환하는 용접방식 조정기(210)와,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전류조정기(22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KR1020090087628A 2009-09-16 2009-09-16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KR20110029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28A KR20110029801A (ko) 2009-09-16 2009-09-16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28A KR20110029801A (ko) 2009-09-16 2009-09-16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801A true KR20110029801A (ko) 2011-03-23

Family

ID=4393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628A KR20110029801A (ko) 2009-09-16 2009-09-16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1855A (zh) * 2016-06-08 2016-09-07 佘峰 一种能够远程控制的智能电焊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1855A (zh) * 2016-06-08 2016-09-07 佘峰 一种能够远程控制的智能电焊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1076B2 (ja) アーク溶接制御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CA3061946C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heat welding wire
JP5863952B2 (ja) 半自動溶接システム、変換用アダプタキット、及び溶接用トーチ
US97446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ud welding
CN102271856A (zh) 启动和使用组合填充焊丝输送和高强度能量源的方法和系统
CN106794540A (zh) 减少了变形的混合式感应加热/焊接组件
US2021009411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Preheat Voltage Feedback Loss Protection
CN104384674B (zh) 主泵电机转子屏蔽套与转子护环的机动钨极氩弧焊接方法
CA2877760C (en) Methods and systems for feeding filler material to a welding operation
JP2014237154A (ja) アーク溶接装置、アーク溶接システム及びアーク溶接方法
CN105149754B (zh) 等离子切割焊接一体机
KR20110029801A (ko) 원거리에서 컨트롤이 가능한 용접기
CN205147553U (zh) 氩弧焊自动焊接平台
US201101146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he welding wire end
US2022009716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 wire electrode at the end of a weld
EP39449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gouge torch activation
KR101715181B1 (ko) 아크 용접 장치
JPWO2018012586A1 (ja) 溶接システム
CN203292668U (zh) 自动氩弧焊机
KR20130075162A (ko)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CN204954143U (zh) 等离子切割焊接一体机
CA3119590A1 (en) Contact tip, wire preheating assembly, contact tip assembly and consumable electrode-fed welding type system
US2022013446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itigate fusion between a wire electrode and a welding torch
JP3185500U (ja) Tig溶接装置用トーチ
US2022031435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figure a robotic we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