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331A -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331A
KR20140000331A KR1020137026619A KR20137026619A KR20140000331A KR 20140000331 A KR20140000331 A KR 20140000331A KR 1020137026619 A KR1020137026619 A KR 1020137026619A KR 20137026619 A KR20137026619 A KR 20137026619A KR 20140000331 A KR20140000331 A KR 2014000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deo recording
communication device
way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386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세놋
제롬 피컬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0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방법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에 연결할 수 있으며 그의 위치가 판정 가능한 통신 기기(EC)를 갖는 사용자와 관련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i) 상기 통신 기기(EC)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와, ii)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그 판정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관찰 영역의 일부의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i)가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iii) 그러한 카메라(Ci)가 판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상기 통신 기기(EC)가 그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상기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통신 기기(EC)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METHOD FOR OBTAINING VIDEO CONTENT FROM CAMERAS WHICH RELATES TO A USER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비디오 레코딩 중 일부를 획득하고 잠재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소정의 비디오 카메라는 관찰 영역 내에서 모바일 통신 기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의 일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비디오 레코딩을 만든다.
여기서, "모바일 통신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기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잠재적으로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비디오 콘텐츠 또는 신호를 그 기기의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모든 머신을 지칭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모바일 통신 기기는 모바일 텔레폰, 잠재적으로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그래픽스 태블릿, 통신 모니터, 또는 통신 게이밍 콘솔일 수 있다.
사용자에게 그의 환경 내에 카메라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많은 해법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 서류 WO2010/027772에는 불이 밝을 때 녹화가 금지되는 영역을 여러 번 촬영하고 나서 카메라 광학장치의 특별한 반사에 근거하여 금지된 카메라를 찾아냄으로써 그 영역 내에 있는 카메라를 검출하는 해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서류 GB 2372364 및 US 7,398,104에는 일부의 무선 카메라가 이들의 비디오 레코딩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무선 주파수 방사를 검출하는 해법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공지의 해법들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결점을 보이고 있다. 이 해법들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값비싼 보조 조명 및 검출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이 해법들은 무선 카메라에만 적용되며 그래서 유선 카메라의 존재를 검출할 수 없으며, 이것은 이 해법들의 장점을 실질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더욱이, 공지의 해법은 어느 것도 (모바일) 통신 기기의 사용자가 실제 검출된 카메라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지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데, 이것은 이 해법의 장점을 더욱 제한한다. 이 해법은 비록 사용자가 자신의 환경 내에서 카메라의 존재를 의식할지라도 사용자는 카메라가 자신을 촬영했는지 그래서 자신의 방문 기록이 지엽적으로 저장되는지를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가 그렇게 하도록 허가 받았다면) 검출된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해 자기의 모바일 통신 기기를 가지고 여러 번 조작하여야 하며, 그런 다음 나중에 자기가 그 비디오 레코딩에 있는지 그리고 그 레코딩이 자기와 관련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자기의 모바일 통신 기기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이러한 여러 번의 조작은 사용자를 구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위해 자기의 모바일 통신 기기를 사용할 때 거의 수행하기 불가능하기 조차하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후자의 단점은 그 사용자와 관련한 다운로드받은 비디오 레코딩 발췌 부분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통신 기기 내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기를 특히 복잡하게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생성은 개인 웹사이트(또는 블로그)를 가진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유용하다고 판명될 수 있는데, 이것은 잠재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삭제 또는 얼굴부분을 흐리게 하는 것과 같은 조작을 통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처럼 사용자들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블로그 내에) 이들의 모아놓은 문자 우편물을 비디오 콘텐츠로 돋보이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상황, 특히 모바일 통신 기기의 사용자의 부근에 있는 카메라를 검출하는 것에 대해 개선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으며 그의 위치가 판정 가능한 통신 기기를 가진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는데 관련된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i) 상기 통신 기기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와,
ii)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판정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관찰 영역의 일부의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iii) 만일 그러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판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 판정하는 단계와,
iv) 만일 그러하다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기기가 그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이 카메라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통신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 단계(i) 동안, 단계(i)에서 판정된 상기 위치는 (i) 상기 통신 기기의 부근에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메라가 있는지 판정하기 위해, 카메라 식별자와 매칭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된 공지의 카메라 위치들(예를 들면, (특히 합법적 요건에 의거하여) 이들 카메라의 소유자에 의해 선언된 위치들)과 비교될 수 있고, 만일 그러한 카메라가 존재하면, 그 카메라가 상기 판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지 판정할 수 있고, 만일 그러하다면, 상기 단계(iii)는 상기 판정된 카메라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 동안, 상기 통신 기기의 궤적이 판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ii) 동안, 상기 통신 기기의 판정된 위치를 고려하여 그 궤적이 상기 관찰 영역을 가로지를 것인지 판정될 수 있으며,
- 상기 전송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기기 내에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가 생성되는 단계(iv)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비디오 콘텐츠는 잠재적으로 선정된 조건 하에서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에 제공되는 단계(v)가 제공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또는 상기 통신 기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 내지 (v)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통신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명령어의 세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 상기 명령어 데이터는 (적어도) 판정 주기와, 잠재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작업 이후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체계적인 저장과, 잠재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작업 이후 사전 정의된 상황에 근거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저장과, 잠재적으로 사전 정의된 상황에 근거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의 자동 생성 및 제공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i) 동안, 카메라의 관찰 영역은 그 카메라 및/또는 그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될 수 있으며,
▶ 상기 정보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의 개구 각도와, 상기 카메라가 고정된 높이와, 수평면에 대해 상기 카메라의 틸트(tilt)와, 수직면에 대해 상기 카메라의 선회(swivel)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환경의 구성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ii) 동안, 상기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은 상기 통신에 의해 제공된 명령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ii) 동안,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은 상기 통신 기기에 의해 전송된 명령어에 기반하여 상기 판정된 카메라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v) 동안,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은 상기 통신 기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 각각의 처리 작업은 상기 비디오 레코딩의 이미지 내에서 검출된 사람들의 얼굴을 (적어도) 흐릿하게 하는 것과,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이 사전 정의된 임계 치보다 더 오래 지속될 때 상기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시퀀스를 수작업 및/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과,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제3자와 함께 비디오 레코딩의 부분을 공유하는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을 중앙 집중형 스토리지 수단에 전송하는 카메라의 존재 시에, 상기 단계(iii) 동안, 판정된 상기 카메라의 상기 비디오 레코딩의 검색이 상기 중앙 집중형 스토리지 수단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을 저장하는 카메라의 존재 시에, 상기 단계(iii) 동안 그 카메라 내에서 상기 비디오 레코딩을 검색할 수 있으며,
- 상기 통신 기기(EC)의 사용자는 자기와 관련하는 비디오 레코딩이 있을 때 통보받을 수 있으며,
- 상기 단계(ii) 동안, 사전 정의된 룰(들)의 세트가 만족될 때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전송을 허가할 수 있으며,
▶ 각각의 룰은 비디오 레코딩의 사용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제정된 로컬 룰(local rule)과, 인식 가능한 제3자가 없을 때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authorization)와, 또는 인식 가능한 제3자에 의해 권한(permission)이 제공되면, 통신 기기의 사용자가 자기와 관련되는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권한을 갖고 있을 때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와, 상기 통신 기기에 의해, 카메라 및/또는 그 카메라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검색할 때 이전에 제공된 식별자의 제공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으며 그의 위치가 판정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위해, 카메라들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며, 이 장치는 또한,
-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통신 기기가 위치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는 관찰 영역의 부분의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있는지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또는 설계된) 검색 수단과,
- 그러한 카메라가 판정되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기기가 그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그 판정된 카메라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통신 기기에 전송하라고 요청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또한 잠재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로의 요청에 의거 전송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기반하여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잠재적으로 선정된 조건 하에서 콘텐츠가 이용가능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선택된 (개인 또는 그룹의) 웹사이트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기기에게 지시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첫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고, 둘째 판정이능한 (지리적) 위치를 보유하며, 셋째 전술한 형태의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 - 단일의 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를 갖춘 사용자 통신 기기와, 비디오 레코딩이 액세스가능한 두 대의 카메라와,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 서버와, 개인 웹 사이트(또는 블로그) 서버가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아주 개략적이면서 기능적으로 도시함 - 을 검토해 볼 때 자명해 질 것이다.
도면은 필요하다면 본 발명을 완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정의해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모바일 통신 기기(EC)의 사용자들이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되고 사용자들과 관련한 비디오 레코딩(또는 콘텐츠)을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기기(EC)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기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RC), 잠재적으로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줄 수 있는 그리고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고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MCN)을 갖추고 있다면, 어떤 형태의 모바일 통신 기기(EC)와도 관련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통신 기기는, 예를 들면, 모바일 텔레폰, 잠재적으로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통신 단말(또는 PDA), 디지털 그래픽스 태블릿, 통신 모니터, 또는 통신 게이밍 콘솔일 수 있다.
그 다음, 총망라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기기(EC)가 모바일(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통신 기기(EC)는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단일의 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D)를 갖춘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 기기(EC)와, 두 대의 카메라(Ci)(i=1 또는 2)와, 카메라(Ci)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SI)와, 예를 들면, 전술한 모바일 통신 기기(EC) 또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예를 들면, 페이스북이나 이와 유사한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을 포함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이 소유하는 개인 웹 사이트(또는 블로그)를 저장하는 블로그 서버(SB)가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RC)를 도시한다.
단일 도면에 도시된 예는 단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RC)가 묘사되어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여러 장비 및 서버가 서로 상호 연결된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 및 특히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SI)가 스토리지 수단(MS1) 내에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특히 소정 카메라(Ci)의 공지된 (지리적) 위치 및 해당 카메라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Ci)의 위치는 특히, 예를 들면, 합법적 요건에 의거 이들 카메라의 소유자에 의해 선언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협력하여 찾아내는 사용자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스토리지 수단(MS1)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및 특히 메모리, 컴퓨터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도 제시될 수 있다.
블로그 서버(SB)는, 이 경우에는 모바일 통신 기기(EC)를 포함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이 소유한 개인 웹사이트(또는 블로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수단(MS2)을 포함한다. 이 블로그 서버(SB)는, 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발행인에게 소유된다.
스토리지 수단(MS2)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및 특히 메모리, 컴퓨터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Ci)는 카메라의 기술적 특성 및 카메라의 환경의 구성에 따라서 관찰 영역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를 녹화하도록 동작한다.
여러 특성은 특히 개구 각도(aperture angle), 초점 길이, 카메라가 고정되는 지면 위 높이, 수평면에 대해 틸트(tilt), 및 수직면에 대해 선회(swivel)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정보 데이터"는 카메라(Ci)의 기술적 특성 또는 카메라(Ci)의 환경의 구성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각각의 카메라(Ci)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특히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MCN')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Ci)는 카메라의 정보 데이터를 정의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수단(MS3)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리지 수단(MS3)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및 특히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파일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정보 서버(SI)의 스토리지 수단(MS1) 내에는 열거된 각각의 카메라(Ci)와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카메라(Ci)의 위치 및 식별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쿼리를 가지고 카메라(Ci)의 위치, 식별자 및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각각의 카메라(Ci)는 각각의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을 정의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날짜와 시간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스토리지 수단(MS4)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리지 수단(MS4)는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및 특히 메모리, 컴퓨터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각각의 카메라(Ci)는 통신 기기(EC) 또는 서버가 잠재적으로 카메라의 스토리지 수단(MS4) 내에 저장된 비디오 레코딩을 액세스하게 해주는 액세스 인터페이스(IA), 우선적으로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각각의 카메라(Ci)는 통신 기기(EC) 또는 서버가 잠재적으로 카메라의 스토리지 수단(MS3)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해주는 및/또는 스토리지 수단(MS4)으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및/또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청 시에 스토리지 수단(MS4)에 저장된 비디오 레코딩에 대해 적어도 한번의 처리를 수행하는 일을 맡은 로컬 프로세싱 모듈(MT1)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액세스 컨트롤러(CA)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기술된 예에서, 각각의 카메라(Ci)는 지엽적으로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을 저장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비디오 레코딩은 카메라의 액세스 인터페이스(IA) 및 카메라의 액세스 컨트롤러(CA)를 통해 카메라(Ci)로부터 획득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 변형 예에서, 카메라(Ci)는 카메라가 서버가 되고, 이 서버가 비디오 레코딩을 이들의 카메라 식별자와 매칭하여 중앙 집중 방식으로 저장하는 일을 맡아 비디오 레코딩을 전송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메라(Ci)는 실제로 더 이상 액세스 인터페이스(IA) 및 액세스 컨트롤러(CA)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만일 중앙 집중형 비디오 스토리지가 있다면, 카메라(Ci)의 액세스 인터페이스(IA)는 비디오 서버가 사용자의 통신 기기(EC)에게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통신 기기(EC)를 비디오 서버에 리디렉트(redirect)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사실상,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스토리지가 로컬이든 또는 리모트이든지 투명한 액세스(transparent access)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준분포(semi-distributed) 또는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도 또한, 예를 들면, 카메라(Ci)의 소유자에 따라서 상이한 네트워크 운용자와 연관된 상이한 서버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만일 그러하다면 액세스 인터페이스(IA)는 투명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도면에서 전부 망라하지 않고 도시된 형태의 통신 설비 내에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을 제안한다.
그러한 방법은 적어도 세 가지 주요 단계(i) 내지 (iii)를 포함한다.
제1의 주요 단계(i)는 통신 기기(EC)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정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모든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판정은 잠재적으로 통신 기기(EC)를 포함하는 측위 장치(EP)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측위 장치(EP)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일 변형 예에서, 이러한 판정은 네트워크(RC) 내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에 의해 또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RC)의 마이크로셀 또는 펨토셀 내에서 연결을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판정을 위해 사용된 기술은 나중에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는 나중의 계산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의 주요 단계(i)는 사용자가 가능하다면 자기의 존재가 입증된 자기가 위치한 장소의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고자 할 때 통신 기기(EC)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 간격으로 (즉,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간격으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주요 단계(ii)는 제1의 주요 단계(i) 동안 판정된 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는 관찰 영역의 일부 영역내에서 수행된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고 네트워크(RC)를 통해 액세스가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i)가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의 주요 단계(ii)를 수행하고 자동으로 (이 경우에는 측위 장치(EP)에 의해) 통신되지 않을 때 제1의 주요 단계(i) 동안 통신 기기(EC)의 위치를 요청하는 일을 맡은 것은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D)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판정은 요청을 네트워크(RC)를 통해 그리고 모바일 통신 기기(EC)의 통신 모듈(MCN)을 거쳐서, 이 경우에는, 정보 서버(SI)에게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장치(D)는 카메라(Ci)가 판정하게 만드는 일을 맡은 검색 수단(MR)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검색 수단(MR)은 통신 기기(EC)의 주변에 배치되었을 수 있는 카메라(Ci)가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카메라 식별자와 매칭하여 정보 서버(SI)의 스토리지 수단(MS1)에 저장된 카메라(Ci)의 공지된 위치에서, 제1의 주요 단계(i) 동안 판정된 통신 기기(EC)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그 다음, 만일 그러한 카메(Ci)가 존재하면, 검색 수단(MR)은 카메라(Ci)가 통신 기기(EC)의 판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지 판정하도록 동작한다. 마지막으로, 만일 그러하다면, 검색 수단(MR)은 판정된 카메라(Ci)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나중에 설명될 제3의 주요 단계(iii)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카메라(Ci)의 판정을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해 제2의 단계(i) 동안 통신 기기(EC)의 궤적을 판정하는 것도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통신 기기(EC)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데이터, 및 통신 기기(EC)의 일반적인 방위 및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 및 방향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파라미터 데이터(속도, 방위, 방향)은, 예를 들면, 가속도계(AC) 및 나침반(BO)과 같이 통신 기기(EC)가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또는 지리 위치(geolocation)를 위해 사용된 측위 장치(예를 들면, GPS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추적 장치(EP) 및/또는 가속도계 (또는 아날로그) AC 및/또는 나침반 (또는 아날로그)(BO)은 잠재적으로 장치(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검색 수단(MR)이 통신 기기(EC)의 위치, 속도, 방위 및 방향을 받을 때, 검색 수단은 통신 기기의 궤적을 계산하며, 그 궤적이 카메라(Ci)의 관찰 영역을 가로지르게 될지 (또는 가로지르고 있는지) (제2의 주요 단계(ii) 동안) 판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카메라(Ci)의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사용할 권리를 사전에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Ci)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통신 기기(EC)의 방문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통신 기기(EC)의 사용자에게 그 카메라(Ci)의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획득할 가능성을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검색 수단(MR)은 제2의 주요 단계(ii) 동안 카메라(Ci) 및/또는 그의 환경에 관련되는 정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카메라(Ci)의 관찰 영역을 판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정보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해당하는 카메라(Ci)의 위치 및 식별자와 동시에 정보 서버(Si)의 스토지지 수단(MS1)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단 검색 수단(MR)이 카메라(Ci)의 위치 및 정보 데이터를 받으면, 검색 수단은 그 카메라(Ci)의 관찰 영역을 계산 또는 적어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관찰 구역의 판정된 정확도는 당연히 카메라(Ci)의 정보 데이터의 개수 및 정확성에 달려 있다.
또한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를 전송하는 것은 사전정의된 룰(들)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여부에 따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일 그러하다면, 제2의 주요 단계(ii) 동안,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만의 전송은 사전 정의된 룰(들)이 모두 충족되었어야만 허용된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비디오 레코딩의 획득과 관련성을 나타내는 어떤 형태의 룰이라도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룰은, 예를 들면, 법에 따라 제정되고 비디오 레코딩의 사용에 관련하는 로컬 룰(local rule)일 수 있거나, 또는 만일 제3자 어느 누구도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및 그런 경우에 한해 또는 각각의 제3자가 등장하는 (잠재적으로 부분적으로 흐릿한) 비디오 시퀀스를 사용할 정의된 허가(authorization)를 가질 때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의 리스트에 저장된 식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신 기기(EC)의 사용자가 자기가 관련되는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를 가지고 있을 때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권한(permission)일 수 있으며, 또는 룰은 카메라(Ci) 및/또는 그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검색할 때 통신 기기(EC)에 의해 이전에 제공된 식별자의 제공일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룰의 경우, 식별자는, 예를 들면, 통신 기기(EC)가 통신 기기(EC)의 위치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Ci)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판정하려는 요청을 전송할 때 정보 서버(SI)에 의해 특별하게 통신 기기(EC)에 할당된 토큰(token)일 수 있으며, 이 토큰은 그 요청에 응답하는 메시지에 담겨 그 기기(EC)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제3의 주요 단계(iii)는, 카메라(Ci)가 (이 경우에는 검색 수단(MR)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 카메라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RC)를 경유하여 통신 기기(EC)가 카메라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그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신 기기(EC)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전부 망라하지 않은 예에 있어서, 장치(D)는 판정된 카메라(Ci)의 적어도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과, 현재 날짜와 시간에서 시작하는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획득하려는 요청을 생성하는 업무, 및 그의 통신 기기(EC)에게 그 요청을 식별된 카메라(Ci)에 전송하라고 요구하는 역할을 맡은 프로세싱 수단(MT)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 변형 예에서, 이 요청은 저장 서버(SI), 특히 그 카메라(Ci)의 비디오 레코딩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요청은 네트워크(RC)를 통해 모바일 통신 기기(EC)의 통신 모듈(MCN)를 거쳐 송신된다.
제3의 주요 단계(iii) 동안, 요청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적어도 한번의 처리는 통신 기기(EC)에 의해 제공된 명령어에 기반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또는 각각의) 처리 작업은, 그 카메라(Ci)가 그 목적을 위해 동작하는 프로세싱 모듈(MT1)을 포함할 때 마다 그리고 카메라가 그의 비디오 레코딩을 저장할 때, 판정된 카메라(Ci) 내에서 잠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처리 작업으로부터 장치(D)를 자유롭게 해주는 것처럼 유익하다. 더욱이, 각각의 요청된 프로세싱 작업의 정의는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려는 요청에 담겨 전송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모든 형태의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싱이 요청될 수 있다. 그래서, 비디오 프로세싱은,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딩의 이미지 내에서 검출된 사람(또는 제3자)의 얼굴을 흐릿하게 하는 것, 비디오가 사전 정의된 임계치보다 더 오래 지속될 때 (예를 들면, 요약과 같이)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시퀀스를 수작업 및/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것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3자와 함께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리하게 두개의 다른 단계(iv) 및 (v)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해서, 제4 단계(iv)는 전송을 통해 획득된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에 기반하여 통신 기기(EC) 내에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제5 단계(v)는 잠재적으로 선택된 조건 하에서 이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제4의 주요 단계(iv) 동안 생성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이 경우에서는 블로그 서버(SB)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디오 콘텐츠"라는 용어는 비디오 이미지의 시퀀스를 정의하면서 블로그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디오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만든 포맷으로 된 디지털 데이터의 세트를 지칭한다. 결과적으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는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의해, 잠재적으로는 포스트 프로세싱에 의해, 또는 다운로드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을 처리함으로써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이용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조건은, 만일 있다면,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다. 예를 들면, 조건은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하고 시행 중인 자기의 블로그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책의 일부, 또는 비디오가 제3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공개될 때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의해 정의된 액세스 정책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제4 단계(iv)는 장치(D)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가 포함하는 생성 수단(MG)에 의해 수행되며, 이 수단은 통신 기기(EC)로의 요청에 의거 전송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근거하여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작업은 제4 단계(iv) 동안 통신 기기(EC)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일 그러하다면, 생성 수단(MG)은 이러한 처리를 맡은 수단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어떤 형태의 비디오 이미지 처리도 생성 수단(M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만일 있다면, 프로세싱 수단(MT1)에 의해 카메라(Ci) 내에서 수행된 처리를 잠재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이미지 내에서 검출된 사람들(또는 제3자들)의 얼굴을 흐릿하게 하는 것과, 그 비디오가 사전 정의된 임계치보다 더 오래 지속될 때 (예를 들면, 요약과 같이)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적어도 한 시퀀스를 수작업 및/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과,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것, 또는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제3자와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우선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D)는 생성된 비디오 콘텐츠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다운로드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특히 부가적인 처리, 또는 간단히 말하면, 사용자가 그렇게 하기를 바랄 때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처럼, 사용자는, 예를 들면, 많은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가지고 장편의 비디오 시퀀스를 제작하여 이를 자기 또는 블로그에서 잠재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스토리지 수단(MS5)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특히 메모리, 컴퓨터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제5 단계(v)는 장치(D), 보다 상세히 말해서 장치에 포함된 제어 수단(MC)에 의해 수행되며, 이 수단은 통신 기기(EC)에 지시하여 생성 수단(MG)에 의해 생성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개인 웹사이트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단계(i) 내지 (v) 중 적어도 한 단계는 통신 기기(EC)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한 세트의 명령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잠재적으로 상황관련 방식으로 기능 또는 동작을 자동화 가능하게 만든 어떤 형태의 명령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어는 (방법을 착수하는) 판정 기간과, 또는 잠재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이후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체계적인 저장과, 잠재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이후 사전정의된 상황에 기반하여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저장과, 잠재적으로는 사전 정의된 상황에 기반하여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의 자동적 생성 및 제공을 정의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황관련 예로, 통신 기기(EC)가 이전에 있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장소에 있을 때마다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저장을 요청하는 명령어가 있을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다. 잠재적으로는 통신 기기(EC)가 이전에 있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장소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 각각의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길이를 약 10초로 짧게 요청하는 명령어가 있을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으며, 만일 그러하다면, 지속기간은 30초로 설정된다. 또한, 통신 기기(EC)가 이전에 있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장소 또는 사전 정의된 위치에 있을 때 방법이 저절로 착수되게 요청하는 명령어가 있을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을 다운로드하기 전 또는 다운로드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을 지엽적으로 저장하기 전에 사용자의 허가가 항상 취득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있을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D)는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각각의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수단(MS6)을 포함한다. 명령어의 세트가 장치(D)의 다수의 수단들(또는 모듈들)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스토리지 수단(MS6)은 그의 각각의 수단(또는 모듈들)에게 액세스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수단(M56)은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형태, 특히 메모리, 컴퓨터 파일 또는 (특히 룰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도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통신 기기(EC)의 사용자는 자기와 관련된 비디오 레코딩이 있을 때마다 통보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예를 들면, 방법이 잠재적으로 어떤 조건 하에서 지속하기를 요청하는 또는 방법이 중단되기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제공하는 것을 통보하도록 기능하는 것이거나, 또는 간략히 말해서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하고 시행 중인 명령어 세트에 따라서 사용자가 곧 자기의 블로그에 잠재적으로 추가가능한 새로운 비디오 콘텐츠 또는 선택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액세스할 것이라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통보는, 예를 들면, 컨트롤 수단(MC)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MC)은 사전 정의되고 시행 중인 세트의 각 명령어의 적용을 제어하는 역할을 맡은 룰 엔진을 잠재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사용자와 장치(D) 사이에서 (양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교환은 우선적으로 통신 기기(EC)의 일부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IN)를 통해 수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IN)는 장치(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D)는 우선적으로 전자 회로와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모듈의 조합의 형태로 수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장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즉,
- 본 발명은 카메라가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고 카메라의 비디오 레코딩이 액세스 가능하다면,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이든) 어떤 형태의 카메라의 존재라도 자동으로 통보받게 해줄 수 있고,
-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가 획득되고 저장되는 것을 자동으로 통보받게 할 수 있고,
- 본 발명은 어떠한 부가적인 외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 본 발명은 비디오 콘텐츠를 가진 블로그,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동화된 방식으로 (비디오가 아닌) 하이브리드 콘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돋보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만 제시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 사용자 통신 기기, 및 전술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러기 보다는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테두리 안에서 상상하는 모든 변형을 망라한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네트워크(RC)에 연결할 수 있고 자신의 위치가 판정될 수 있는 통신 기기(EC)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와 관련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상기 통신 기기(EC)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와,
    ii)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판정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관찰 영역의 일부의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i)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iii) 그러한 카메라(Ci)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Ci)가 상기 판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iv) 상기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통신 기기(EC)가 그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상기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상기 통신 기기(EC)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 동안, 상기 단계(i) 동안 판정된 상기 위치는 상기 통신 기기(EC)의 부근에서 카메라(Ci)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지 판정하기 위해 카메라 식별자들과 매칭하여 저장 수단(MS)에 저장된 카메라들(Ci)의 공지된 위치들과 비교되며, 만일 그러한 카메라(Ci)가 존재하면, 그 카메라(Ci)가 상기 판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관찰 영역을 제공하는지 판정하고, 만일 그러하다면, 상기 단계(iii)는 상기 판정된 카메라(Ci)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 동안, 상기 통신 기기(EC)의 궤적(trajectory)이 또한 판정되며,
    상기 단계(ii) 동안 상기 판정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궤적이 상기 관찰 영역을 가로지르게 될 것인지 판정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기기(EC) 내에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비디오 콘텐츠가 잠재적으로 선정된 조건 하에서 이용가능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웹사이트에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는 상기 통신 기기(EC)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 내지 (v)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통신 기기(EC)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명령어의 세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 주기와, 잠재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이후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체계적인 저장과, 잠재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정의된 처리 이후의 사전 정의된 상황에 근거한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저장과, 잠재적으로 사전 정의된 상황에 근거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의 자동적 생성 및 제공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 동안, 카메라(Ci)의 관찰 영역은 상기 카메라(Ci) 및/또는 그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메라(Ci)의 개구 각도와, 상기 카메라(Ci)가 고정된 높이와, 수평면에 대한 상기 카메라(Ci)의 틸드(tilt)와, 수직면에 대한 상기 카메라(Ci)의 선회(swivel)와, 상기 카메라(Ci)가 설치된 환경의 구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i) 동안, 상기 통신 기기(EC)에 의해 제공된 명령어에 기반하여 상기 비디오 레코딩 부분의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이 수행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i) 동안, 상기 통신 기기(EC)에 의해 전송된 명령어에 기반하여 상기 판정된 카메라(Ci) 내에서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이 수행되는
    방법.
  13.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과 조합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v) 동안, 상기 통신 기기(EC) 내에서 적어도 한번의 처리 작업이 수행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작업은, 적어도 비디오 레코딩의 이미지 내에서 검출된 사람들의 얼굴을 흐릿하게 하는 것과,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이 사전 정의된 임계치보다 더 오래 지속될 때 상기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시퀀스를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과,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제3자와 함께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을 공유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신의 비디오 레코딩을 중앙 집중형 스토리지 수단에 전송하는 카메라(Ci)의 존재 시에, 상기 단계(iii) 동안, 상기 판정된 카메라(Ci)의 상기 비디오 레코딩은 상기 중앙 집중형 스토리지 수단 내에서 검색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신의 비디오 레코딩을 저장하는 카메라(Ci)의 존재 시에, 상기 단계(iii) 동안 상기 비디오 레코딩은 상기 카메라(Ci) 내에서 검색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EC)의 사용자는 자신에 관한 비디오 레코딩이 있을 때 통보받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 동안, 비디오 레코딩의 일부분의 전송은 사전 정의된 룰(들)의 세트가 충족될 때 허가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룰은, 비디오 레코딩의 사용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정된 로컬 룰(instituted local rule)과, 인식가능한 제3자가 없거나 또는 인식 가능한 제3자에 의해 권한(permission)이 제공될 경우에,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authorization)와, 통신 기기(EC)의 사용자가 자신에 관한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권한을 갖고 있을 때 비디오 레코딩을 사용할 허가와, 상기 통신 기기(EC)에 의해, 카메라(Ci) 및/또는 그 카메라(Ci)의 환경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검색할 때 이전에 제공된 식별자의 제공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20. 무선 통신 네트워크(RC)에 연결할 수 있으며 자신의 위치가 판정 가능한 통신 기기(EC)를 위해,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D)로서, 상기 장치(D)는,
    i)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통신 기기(EC)가 위치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관찰 영역의 일부의 비디오 레코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i)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검색 수단(MR)과,
    ii) 그러한 카메라(Ci)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기기(EC)가 카메라의 관찰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상기 판정된 카메라(Ci)에 의해 제작된 비디오 레코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통신 네트워크(RC)를 통해 상기 통신 기기(EC)에 전송하라고 요청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싱 수단(MT)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EC)로 요청에 따라 전송된 비디오 레코딩 부분에 기반하여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생성 수단(MG)과,
    생성된 한 토막의 비디오 콘텐츠가 잠재적으로 선정된 조건 하에서 이용가능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통신 기기(EC)에게 지시하여 상기 콘텐츠를 선택된 웹사이트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수단(MC)을 더 포함하는
    장치.
  22. 통신 기기(EC)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RC)에 연결할 수 있고, 그의 위치가 판정 가능하며, 제20항 또는 제21항에 따른 비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D)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137026619A 2011-03-10 2012-03-08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 KR101513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5258.3 2011-03-10
EP11305258.3A EP2498520B1 (fr) 2011-03-10 2011-03-10 Procédé d'obtention de contenus vidéos issus de caméras et relatifs à un usager d'un équipement d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associé
PCT/EP2012/054018 WO2012120083A1 (en) 2011-03-10 2012-03-08 Method for obtaining video content from cameras which relates to a user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331A true KR20140000331A (ko) 2014-01-02
KR101513386B1 KR101513386B1 (ko) 2015-04-20

Family

ID=4580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619A KR101513386B1 (ko) 2011-03-10 2012-03-08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0268B2 (ko)
EP (1) EP2498520B1 (ko)
JP (1) JP5731677B2 (ko)
KR (1) KR101513386B1 (ko)
CN (1) CN103416079B (ko)
WO (1) WO2012120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69B2 (en) 2005-09-16 2013-08-27 Digital Ally, Inc.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US8503972B2 (en) 2008-10-30 2013-08-06 Digital Ally, Inc. Multi-functional remote monitoring system
JP6028457B2 (ja) * 2012-08-24 2016-11-16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9019431B2 (en) 2012-09-28 2015-04-28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0272848B2 (en) 2012-09-28 2019-04-30 Digital Ally, Inc. Mobi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9253452B2 (en) 2013-08-14 2016-02-02 Digital Ally, In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ata recording devices
US10390732B2 (en) 2013-08-14 2019-08-27 Digital Ally, Inc. Breath analyz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preserving, and presenting breath analysis data
US9159371B2 (en) 2013-08-14 2015-10-13 Digital Ally, Inc. Forensic video recording with presence detection
US10075681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Dual lens camera unit
JP6455763B2 (ja) * 2014-05-27 2019-01-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遠隔撮影方法及び遠隔撮影制御装置
US9824481B2 (en) 2014-12-30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aintaining heatmaps using tagged visual data
US10582105B2 (en) * 2014-12-30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Changing camera parameters based on wireless signal information
FR3032322B1 (fr) 2015-02-02 2017-02-17 Zodiac Aerotechnics Reseau de communication pour avion
US9841259B2 (en) 2015-05-26 2017-12-12 Digital Ally, Inc. Wirelessly conducted electronic weapon
US10013883B2 (en) 2015-06-22 2018-07-03 Digital Ally, Inc. Tracking and analysis of drivers within a fleet of vehicles
JP6726052B2 (ja) * 2015-11-20 2020-07-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04474B2 (en) 2016-02-05 2021-01-26 Digital Ally, Inc. Comprehensive video collection and storage
US10521675B2 (en) 2016-09-19 2019-12-31 Digital Ally, Inc. Systems and methods of legibly capturing vehicle markings
US10911725B2 (en) 2017-03-09 2021-02-02 Digital Ally,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triggering a recording
US10929561B2 (en) * 2017-11-06 2021-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ving personally identifiable data before transmission from a device
WO2019136106A1 (en) * 2018-01-05 2019-07-11 Owl Cameras, Inc. Secured pairing of video capture device and mobile device
CN110677682B (zh) 2018-07-02 2022-05-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直播检测与数据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11024137B2 (en) 2018-08-08 2021-06-01 Digital Ally, Inc. Remote video triggering and tagging
US10891753B2 (en) * 2019-02-28 2021-01-12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person-of-interest of their location within an estimated field-of-view of a camera
CN109873986A (zh) * 2019-03-03 2019-06-11 太原蓝知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信息的摄像头共享方法
CN110234039A (zh) * 2019-04-10 2019-09-13 苏州卓晋通信有限公司 用于在网络物理系统中实现互联网内容远程获取的系统
US10911677B1 (en) * 2019-09-09 2021-02-02 Apple Inc. Multi-camera video stabilization techniques
US11950017B2 (en) 2022-05-17 2024-04-02 Digital Ally, Inc. Redundant mobile video record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914558D1 (de) * 1999-06-14 2008-01-03 Abb Research Ltd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elektion von Informationseinheiten für mobile Client-Rechner
AU6890400A (en) 1999-07-26 2001-02-13 Joseph Charles Bok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metry and monitoring of desired targets
US6931254B1 (en) * 2000-08-21 2005-08-16 Nortel Networks Limited Personalized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GB2372364A (en) 2001-02-20 2002-08-21 Hewlett Packard Co Camera detection system
US6959099B2 (en) 2001-12-06 2005-10-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ace blurring
JP2004274447A (ja) * 2003-03-10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R2859557B1 (fr) * 2003-09-09 2006-01-06 France Telecom Procede et systeme de diffusion d'informations multimedia en fonction de la position geographique d'un utilisateur de telephone mobile
US7683937B1 (en) * 2003-12-31 2010-03-23 Aol Inc. Presentation of a multimedia experience
TWI253832B (en) 2004-05-18 2006-04-21 Benq Corp A wireless video signal detectable mobile phone
JP2006115381A (ja) * 2004-10-18 2006-04-27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システム
JP2006174195A (ja) * 2004-12-17 2006-06-29 Hitachi Ltd 映像サービスシステム
US7720436B2 (en) 2006-01-09 2010-05-18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network objects i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CN1835019A (zh) 2005-03-19 2006-09-20 张国锋 一种基于带参数图像的个性化肖像自动生成方法
KR100678206B1 (ko) 2005-07-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JP4311426B2 (ja) 2006-09-12 2009-08-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体を表示するための表示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表示方法
GB0719524D0 (en) * 2007-10-05 2007-11-14 Softgate Ltd An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control
US20100039511A1 (en) * 2008-08-15 2010-02-18 Wang Li-Hsing Device of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184175B2 (en) 2008-08-26 2012-05-22 Fpsi,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camera
US8442922B2 (en) * 2008-12-24 2013-05-14 Strands, Inc. Sporting event image capture, processing and publication
US20100278379A1 (en) * 2009-05-01 2010-11-04 Lmr Inventions, Llc Location based image acqui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5890A (ja) 2014-07-03
WO2012120083A1 (en) 2012-09-13
EP2498520B1 (fr) 2014-04-30
CN103416079B (zh) 2017-11-21
EP2498520A1 (fr) 2012-09-12
JP5731677B2 (ja) 2015-06-10
KR101513386B1 (ko) 2015-04-20
US20140218544A1 (en) 2014-08-07
US9560268B2 (en) 2017-01-31
CN103416079A (zh)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386B1 (ko) 카메라로부터 통신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한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 및 연관 장치
US10334401B2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US9736636B1 (en) Geofence prioritization
US103954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control via mobile devices
JP5466494B2 (ja) 写真認証のための電子写真デバイ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写真認証システム)
TWI630576B (zh) 與近處裝置共用使用者資訊之技術
US11593082B2 (en) Registered applic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CN105723761A (zh) 基于社交网络联系人来共享
JP2017076380A (ja) ユーザの履歴を利用してユーザを認証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3629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eue control based on client-specific protocols
US201502961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image capture settings based on a geographic location
KR20160047889A (ko) 전자 장치 및 피공유자 추천 서비스 운용 방법
US104050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video sharing service within controlled environments
CN106030555A (zh) 隐私区
US20150172449A1 (en) Limiting sensor use in restricted areas
JP2017054507A (ja) 通信セッション上でイメージを利用して位置情報を提供する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534102A (zh) 设备访问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17120487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2032169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radio
US20170041429A1 (en) Caching nodes
KR20070117758A (ko) 개인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37864B2 (ja) 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29015A (ja) 行動管理システム及び行動管理プログラム
KR102565422B1 (ko)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627118B1 (en) Utilizing inter-device communications and user permissions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at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