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38U -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38U
KR20140000038U KR2020120005506U KR20120005506U KR20140000038U KR 20140000038 U KR20140000038 U KR 20140000038U KR 2020120005506 U KR2020120005506 U KR 2020120005506U KR 20120005506 U KR20120005506 U KR 20120005506U KR 20140000038 U KR20140000038 U KR 201400000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terminal crimping
plate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704Y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20005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0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2/00Metal deforming
    • Y10S72/712Electrical terminal cri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단자압착수단을 미리 구비하여 단자압착수단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선택된 단자를 전선에 압착할 수 있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의 특징은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자압착수단(10); 단자압착수단(10)들이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는 회전판(20); 관통홀(21)에 삽입되어서 회전판(20)의 공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판(30); 지지판(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단자압착수단(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50); 및 회전판(2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수단(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TERMINAL PRESS APPARATUS OF ROTATION TYPE}
본 고안은 단자를 전선에 압착할 수 있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압착기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전선의 끝머리에 압착단자를 부착하는 것으로, 압착단자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것에 사용되는 엔드타입과 압착단자의 연결부가 측면으로 위치하는 사이드타입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단자압착기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전선 끝머리의 피복을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고 일정한 형상 및 치수의 압착단자의 와이어배럴을 전선끝머리의 피복이 벗겨진 도체부(심선부)에 압착하고, 압착단자의 절연배럴을 전선끝머리의 절연수지 피복부에 압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압착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압착기(1)는 베이스판(2)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이드(3), 가이드(3)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재(4), 승강부재(4)의 하부에 형성되어 압착단자를 펀칭하는 펀치(5), 가이드(3)의 하부에 설치되어 펀치(5)에 의해 펀칭되는 압착단자와 전선이 위치되는 엔빌(6), 승강부재(4)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7) 및 헤드(7)를 이용하여 승강부재(4)를 승강시키는 프레스부재(8)로 구성된다.
전술한 단자압착기(1)는 한 종류의 압착단자만 펀칭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압착단자를 펀칭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판(2)에서 단자압착기(1)를 분리시키고 다른 단자압착기(1)를 교체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압착수단을 미리 구비하여 단자압착수단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단자를 전선에 압착할 수 있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는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자압착수단(10); 단자압착수단(10)들이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는 회전판(20); 관통홀(21)에 삽입되어서 회전판(20)의 공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판(30); 지지판(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단자압착수단(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50); 및 회전판(2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수단(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 회전판(20)에 단자압착수단(1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22);를 더 포함하며, 체결부재(22)는 단자압착수단(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결홀(24)이 형성되는 하부판(25); 체결홀(24)에 관통되도록 회전판(2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무두볼트(27); 및 무두볼트(27)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9);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 지지판(30)을 축으로 공회전되는 회전판(2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2);를 더 포함하며, 가이드부(32)는 지지판(30)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외측턱(34); 및 외측턱(34)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관통홀(21)의 내측테두리에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측턱(3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압수단(50)은 가압축(52)을 신축시키는 가압실린더(51); 가압축(52)의 단부 외측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단자압착수단(10)을 파지하는 복수의 핑거(53); 핑거(53)의 측방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샤프트(55); 샤프트(55)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핑거(53)와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52)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링(57); 및 승강링(57)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축(58)을 신축시키도록 승강링(57)과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52)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5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구동수단(70)은 회전판(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태의 래크기어(71); 래크기어(71)에 교합되는 피니언(73); 및 지지판(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니언(73)을 회전시키는 모터(75);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 구동수단(7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0)이 수평상태로 회전되도록 회전판(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0);를 더 포함하며, 지지부재(80)는 지지판(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기립되는 복수의 다리(81); 다리(81)의 측방에 설치되는 롤러브라켓(83); 및 롤러브라켓(8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판(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85);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 구동수단(7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9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90)는 구동수단(70)에 입력되는 외부전원이 정전압으로 변환되도록 공급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91); 및 전원공급제어부(91)의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구동수단(70)에 인가되도록 하여 회전판(20)을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되는 회전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판제어부(93);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압착수단을 미리 구비하여 단자압착수단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전선에 압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장압착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요부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를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는 단자압착수단(10), 회전판(20), 지지판(30), 가압수단(50) 및 구동수단(7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압착수단(10)은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단자압착수단(10)은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기 위한 일반적인 단자압착기일 수 있다. 여기서, 단자압착수단(10)은 하부에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펀치(미도시)가 형성되고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부재(11), 승강부재(1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2) 및 승강부재(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20)은 단자압착수단(10)들이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판(20)은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림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20)에 단자압착수단(1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2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부재(22)는 하부판(25), 무두볼트(27) 및 너트(29)를 포함한다.
하부판(25)은 단자압착수단(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결홀(24)이 형성된다. 무두볼트(27)는 체결홀(24)에 관통되도록 회전판(20)의 상부에 돌출형성된다. 너트(29)는 무두볼트(27)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자압착수단(10)이 고정된 하부판(25)의 체결홀(24)을 무두볼트(27)에 끼운 후에, 너트(29)를 무두볼트(27)에 나사결합 시키는 경우 단자압착수단(10)을 회전판(20)에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너트(29)를 강하게 조이는 경우 단자압착수단(10)을 회전판(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0)은 관통홀(21)에 삽입되어서 회전판(20)의 공회전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30)은 함체형태의 프레임(미도시)나 후술되는 다리(81)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지지판(30)을 축으로 공회전되는 회전판(2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부(32)는 외측턱(34) 및 내측턱(36)을 포함한다.
외측턱(34)은 지지판(30)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내측턱(36)은 외측턱(34)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관통홀(21)의 내측테두리에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판(20)의 관통홀(21)이 지지판(30)에 끼워지도록 하는 경우, 관통홀(21)의 내측턱(36)이 지지판(30)의 외측턱(3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턱(36)에 외측턱(34)이 걸리게 되므로 회전판(20)은 지지판(3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지지판(30)을 축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내측턱(36)과 외측턱(34)의 사이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거나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50)은 지지판(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단자압착수단(10)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실린더(51), 핑거(53), 샤프트(55), 승강링(57) 및 승강실린더(59)를 포함한다.
가압실린더(51)는 가압축(52)을 신축시킨다. 이러한, 가압실린더(51)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가압축(52)이 상하로 신축되도록 브라켓(50a)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축(52)이 가압실린더(51)에 의해 신장되는 경우 가압축(52)의 끝단이 단자압착수단 헤드(13)의 상부면에 접촉되어서 지지될 수 있다.
핑거(53)는 복수로 구성되어 가압축(52)의 단부 외측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단자압착수단(10)을 파지한다. 이러한, 핑거(53)는 전술한 단자압착수단(10)의 헤드(13)를 걸어서 파지하도록 'L'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핑거(53)들은 가압축(52)의 단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수평샤프트(53a)의 양단에 복수의 핀(53b)에 의해 가압축(5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핑거(53)는 마주된 상태로 핀(53b)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가압축(52)을 중심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져서 단자압착수단(10)의 헤드(13)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샤프트(55)는 핑거(53)의 측방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샤프트(55)들은 핑거(53)들의 서로 마주되는 측방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술되는 승강링(57)의 양측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승강링(57)은 샤프트(55)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핑거(53)와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52)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승강링(57)의 내주면에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59)는 승강링(57)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축(58)을 신축시키도록 승강링(57)과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5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압실린더(51)가 가압축(52)을 신장시키는 경우 가압축(52)의 단부는 단자압착수단 헤드(13)의 상단에 접촉된다. 이어서, 승강실린더(59)가 승강축(58)을 수축시키는 경우 승강링(57)이 상승되므로, 샤프트(55)들이 상승하면서 핑거(53)들을 오므리게 된다. 즉, 핑거(53)들이 헤드(13)의 하부를 걸어서 파지하고 가압축(52)이 헤드(13)의 상부를 가압하므로, 헤드(13)는 가압축(52)과 핑거(53)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이때, 가압실린더(51)가 가압축(52)을 반복적으로 신축시키는 경우 단자압착수단(10)이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70)은 회전판(2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래크기어(71), 피니언(73) 및 모터(75)를 포함한다.
래크기어(71)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회전판(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래크기어(71)는 관통홀(21)이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회전판(20)의 하부에 설치된다.
피니언(73)은 래크기어(71)에 교합된다.
모터(75)는 지지판(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니언(73)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모터(75)는 스탭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터(75)는 지지판(30)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판(20)의 하중을 증가시키지 않게 되므로, 회전판(20)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모터(75)는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되도록 입력전원을 입력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동작되는 스위치(76)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래크기어(71)가 피니언(73)에 교합된 상태로 지지판(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75)가 회전판(2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75)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73)이 회전되는 경우 래크기어(71)가 교합된 상태이므로, 래크기어(71)가 설치된 회전판(20)이 지지판(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측턱(36)이 외측턱(34)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판(20)이 회전되므로 회전판(20)의 하중이 지지판(30)에만 전달되고, 피니언(73)과 래크기어(71)에 회전판(20)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피니언(73)과 래크기어(71)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단자압착수단(10)이 가압수단(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스위치(76)를 이용하여 모터(75)를 작동시켜서 회전판(20)을 회전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단자압착수단(10)이 가압수단(50)의 하부를 지나치거나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단자압착수단(10)이 가압수단(50)의 하부의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모터(75)를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터(75)를 작동시켜서 회전판(20)이 회전되게 하여서, 복수의 단자압착수단(10)들 중 자신이 선택한 단자압착수단(10)이 가압수단(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수단(7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0)이 수평상태로 회전되도록 회전판(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재(80)는 다리(81), 롤러브라켓(83) 및 롤러(85)를 포함한다.
다리(81)는 복수로 구성되어 지지판(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기립된다. 이러한, 다리(81)는 지지판(30)을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시킨다.
롤러브라켓(83)은 다리(81)의 측방에 설치된다.
롤러(85)는 롤러브라켓(8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판(2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롤러(85)는 회전되는 회전판(20)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회전판(20)이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압실린더(51)에 의해 단자압착수단(10)이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동안 롤러(85)는 회전판(20)을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압착단자의 압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수단(7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9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PC나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0)는 전원공급제어부(91) 및 회전판제어부(93)를 포함한다.
전원공급제어부(91)는 구동수단(70)에 입력되는 외부전원이 정전압으로 변환되도록 공급 제어한다.
회전판제어부(93)는 전원공급제어부(91)의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구동수단(70)에 인가되도록 하여 회전판(20)을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되는 회전판(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회전판제어부(93)는 기준시간이 미리 설정되고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타이머(95)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제어부(93)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과 카운팅된 시간을 비교 및 판단하여 전원공급제어부(91)의 전원을 기준시간동안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판(20)에 단자압착수단(10)이 서로 대칭되게 2개나 4개 또는 8개가 설치되는 경우 회전판(20)이 180도나 90도 또는 45도로 회전되도록, 각각의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시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때, 최초에 단자압착수단(10)이 가압수단(50)의 하부에서 정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판제어부(93)를 작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90)는 회전판(20)을 소정각도만큼 자동으로 1회 회전시켜서 단자압착수단(10)들이 선택적으로 가압수단(50)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단자압착수단(10)을 회전판(20)에 미리 설치하여서 단자압착수단(10)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전선에 압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단자압착수단 11 : 승강부재
12 : 가이드 13 : 헤드
20 : 회전판 21 : 관통홀
22 : 체결부재 24 : 체결홀
25 : 하부판 27 : 무두볼트
29 : 너트
30 : 지지판 32 : 가이드부
34 : 외측턱 36 : 내측턱
50 : 가압수단 51 : 가압실린더
52 : 가압축 53 : 핑거
55 : 샤프트 57 : 승강링
58 : 승강축 59 : 승강실린더
70 : 구동수단 71 : 래크기어
73 : 피니언 75 : 모터
80 : 지지부재 81 : 다리
83 : 롤러브라켓 85 : 롤러
90 : 제어부 91 : 전원공급제어부
93 : 회전판제어부 95 : 타이머

Claims (7)

  1. 압착단자를 전선에 압착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자압착수단;
    상기 단자압착수단들이 이격된 상태로 상부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판;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서 회전판의 공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단자압착수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단자압착수단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자압착수단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부판;
    상기 체결홀에 관통되도록 회전판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무두볼트; 및
    상기 무두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을 축으로 공회전되는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판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외측턱; 및
    상기 외측턱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관통홀의 내측테두리에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측턱;을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축을 신축시키는 가압실린더;
    상기 가압축의 단부 외측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단자압착수단을 파지하는 복수의 핑거;
    상기 핑거의 측방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핑거와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링; 및
    상기 승강링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축을 신축시키도록 승강링과 이격되는 상태로 가압축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태의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에 교합되는 피니언;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이 수평상태로 회전되도록 회전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기립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다리의 측방에 설치되는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정전압으로 변환되도록 공급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의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구동수단에 인가되도록 하여 회전판을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되는 회전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판제어부;를 포함하는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KR2020120005506U 2012-06-27 2012-06-27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KR200470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06U KR200470704Y1 (ko) 2012-06-27 2012-06-27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06U KR200470704Y1 (ko) 2012-06-27 2012-06-27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38U true KR20140000038U (ko) 2014-01-06
KR200470704Y1 KR200470704Y1 (ko) 2014-01-07

Family

ID=5140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506U KR200470704Y1 (ko) 2012-06-27 2012-06-27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96B1 (ko) * 2014-10-01 2015-12-28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접속용 터미널 단자의 케이블 연결장치
KR20160002288U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동교체식 구조검사장치
US20210075177A1 (en) * 2018-04-24 2021-03-11 Schleuniger Ag Tool changer, machine tool, and method for changing a tool
KR102365821B1 (ko) * 2021-09-03 2022-02-23 (주)서광이노베이션 콘센트 검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70B1 (ko) 2015-12-24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지그 교체 유닛
KR101940127B1 (ko) * 2018-04-18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방수씰 이송장치
KR101940128B1 (ko) * 2018-04-18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방수씰 이송장치
KR101940129B1 (ko) * 2018-04-18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방수씰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550B2 (ja) * 1996-04-25 2005-06-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マルチ端子圧着機
JPH11251029A (ja) * 1998-02-27 1999-09-17 Yazaki Corp 端子圧着機及び端子圧着方法
KR200227716Y1 (ko) 2000-10-25 2001-06-15 이강민 단자 압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96B1 (ko) * 2014-10-01 2015-12-28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접속용 터미널 단자의 케이블 연결장치
KR20160002288U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동교체식 구조검사장치
US20210075177A1 (en) * 2018-04-24 2021-03-11 Schleuniger Ag Tool changer, machine tool, and method for changing a tool
KR102365821B1 (ko) * 2021-09-03 2022-02-23 (주)서광이노베이션 콘센트 검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704Y1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704Y1 (ko) 로터리타입 단자압착장치
CN205282856U (zh) 一种冷压端子压接机
CN201904532U (zh) 一种插座铆压装置
KR20090113972A (ko) 리니어 피어싱 프레스
CN207205156U (zh) 多功能自动压铆装置
CN202894097U (zh) 汽车自动换挡拉索头铆压机
CN107946867B (zh) 一种线缆自动制作机
CN202112382U (zh) 一种抽绳调节扣穿绳器
KR101276397B1 (ko) 단자 압착장치
CN105490129A (zh) 接线端子压线装置
CN202072353U (zh) 金属丝线拉紧装置
CN106079208A (zh) 电缆绝缘材料快速制取哑铃装置
KR101355690B1 (ko) 프레스의 안전장치
CN106992420B (zh) 一种高效螺旋接线帽专用设备
CN201227873Y (zh) 一种液压机的防偏载装置
CN203813187U (zh) 一种气动接线端子压接装置
CN107732628B (zh) 单头端子压着机
KR101035255B1 (ko) 밴딩장치
CN205438331U (zh) 一种转向拉杆装置
CN216831289U (zh) 一种插线板生产用冲孔装置
CN220964016U (zh) 一种电子设备的线束加工制造
CN211938640U (zh) 推拉送料式启动杯冲孔装置
CN211807943U (zh) 一种座套辅助扪制装置
CN221047160U (zh) 一种片状件自动冲压及拉伸成型装置
CN216436373U (zh) 绝缘端子压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