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043A -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043A
KR20130143043A KR20137010714A KR20137010714A KR20130143043A KR 20130143043 A KR20130143043 A KR 20130143043A KR 20137010714 A KR20137010714 A KR 20137010714A KR 20137010714 A KR20137010714 A KR 20137010714A KR 20130143043 A KR20130143043 A KR 2013014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s
transmission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b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780B1 (ko
Inventor
다이스케 니시카와
카즈아키 타케다
테츠시 아베
요시히사 키시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14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logical channe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주기 SRS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의 송신타이밍이나 SRS 파라미터를 적절히 통지하고,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여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SRS 설정부와,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통지부를 마련한다.

Description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제3 세대의 시스템은, 대략 5MHz의 고정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 방식의 시스템(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1.4MHz∼20MHz의 가변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서, LTE의 후계의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드(LTE―A)). LTE―A에 있어서는, LTE 사양의 최대 시스템대역인 20MHz를, 하향회선에서 100MHz 정도, 상향회선에서 40―60MHz 정도까지 확장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그런데,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장치(BS: Base Station)가, 이동단말장치(UE: User Equipment)로부터 송신되는 채널품질 측정용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특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이 경우, 무선기지국장치는, 채널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장치가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지시한다. Release 8 LTE에 있어서, SRS는, 상향링크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고, 주기적으로 이동단말장치로부터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비특허문헌 2:3GPP, TS36.213(V8.7.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8)", May. 2009
그러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PUSCH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SRS가 주기적으로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PUSCH 신호의 유무와는 무관계하게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가 고정적으로 사용되고,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도 12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 있어서, 채널품질 측정용의 SRS는, 상향링크(UL: Uplink)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n∼#n+9)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고, 주기적으로 이동단말장치로부터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도 12에 있어서는, SRS 송신주기를 5m sec로서 서브프레임#n+1, #n+6의 최종 심볼에 SRS가 다중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PUSCH 신호는, PDCCH에 포함되는 상향링크(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은 후, 4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 시간 간격) 후에 상향링크에서 송신된다. 또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관해,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은, 오류 정정 부호화(채널 부호화)된 1 데이터·패킷의 송신시간단위이고, 1 TTI에 동등하다. 이 때문에,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4 서브프레임 후에 PUSCH가 송신된다. 도 12에 있어서는, 하향링크(DL: Downlink)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m∼#m+9) 중, 서브프레임#m∼#m+2 및 #m+4에서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통지되고, 이들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상향링크(UL)의 서브프레임#n+4∼#n+6 및 #n+8에서 PUSCH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는, 각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PUSCH 신호의 유무와는 무관계하게 송신됨으로써, 만약에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가 없고, PUSCH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향링크(UL)에서 주기적으로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되게 된다.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관점에서 보면,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채널품질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SRS는, PUSCH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PUSCH 신호의 유무와는 무관계하게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가 고정적으로 사용됨으로써,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LTE―A에 있어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UL 멀티 안테나 전송이 검토되고 있기 때문에, 복수 안테나만큼의 SRS 리소스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무선리소스의 사용이 요구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LTE―A에 있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SRS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는 비주기 SRS(Aperiodic SRS)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비주기 SRS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SRS의 트리거의 유무(송신타이밍)를 제어하는 정보나, SRS를 송신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송신조건을 제어하는 SRS 파라미터(Comb, 주파수위치,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 번호, 대역폭 등) 등의 SRS 송신제어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적절하게 통지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비주기 SRS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의 송신타이밍이나 SRS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통지하고,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기지국장치의 일 형태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여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SRS 설정부와,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SRS 송신제어 정보를 유연하게 설정하여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장치의 일 형태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된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비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와, 특정한 상기 SRS의 송신내용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SRS 송신 설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일 형태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SRS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여,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가,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소정의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주기 SRS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의 송신타이밍이나 SRS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통지하고,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주기 SRS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1 비트 정보만을 포함시키는 경우의 맵핑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1 비트 정보만을 포함시키는 경우의 비주기 SRS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SRS 송신제어에 있어서, SRS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조인트 코딩한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SRS 송신제어에 있어서, SRS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조인트 코딩한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SRS 송신제어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래의 SRS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SRS 송신제어에 있어서, 다른 DCI 포맷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SRS 송신제어에 있어서, 동일한 DCI 포맷에 적용하는 비트 수가 다른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비주기 SRS와 주기 SRS를 조합한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실시형태 1)
비주기 SRS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서브프레임#m, #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즉, SRS의 송신 온의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서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이에 따라, 예를 들면, 4 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n+4, #n+8에서 송신하는 PUSCH 신호와 함께 SRS를 무선기지국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RS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 신호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됨으로써, 서브프레임#n+4, #n+8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즉, SRS는, 서브프레임#n+4, #n+8에 할당된 PUSCH 후에 연속하여 다중된다.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PUSCH에 연속하여 다중되는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PUSCH 신호의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 신호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SRS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리소스를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비주기 SRS의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SRS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는 정보(SRS 트리거의 유무)나 SRS를 송신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송신조건을 제어하는 SRS 파라미터(comb, 주파수위치,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 대역폭 등) 등의 SRS 송신제어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적절히 통지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의 송신지시의 정보에 포함시켜, 즉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SRS의 트리거의 유무를 제어하는 경우, SRS의 송신조건을 규정하는 SRS 파라미터 등의 다른 정보의 통지를 어떻게 제어하여 수행하는지 등의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으며, 앞으로의 검토과제가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의 송신제어 정보의 적절한 통지방법을 검토하고, 본원 발명에 이르렀다.
우선, 본 발명자는, SRS의 송신제어 정보의 통지방법으로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1 비트 정보)만을 포함시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고, 구체적인 송신조건을 규정하는 SRS 파라미터(이하 단순히 'SRS 파라미터'가 기재한다) 등의 다른 정보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했다.
본 발명자가 검토를 수행한 결과,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1 비트 정보만을 포함시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경우(도 2 참조), 무선리소스를 충분히 유효 활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는 것을 도출했다.
도 2의 경우, 각 이동단말장치가 송신하는 비주기 SRS의 리소스는 미리 상위 레이어에 있어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이동단말장치 사이에서 리소스의 충돌을 피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SRS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도 리소스를 확보하게 된다(도 3a 참조). 그 결과, SRS의 송신에 있어서 무선리소스의 유효 활용이 불가능해진다.
한편으로, SRS의 송신에 있어서 무선리소스를 유효 활용하기 위해, 상위 레이어에서 결정되는 할당 리소스를 복수의 이동단말장치가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동단말장치 사이에서 SRS의 송신타이밍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SRS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송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이나, SRS의 송신이 크게 지연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도 3b 참조).
또, SRS의 송신제어 정보의 통지방법으로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나 SRS 파라미터 등의 모든 SRS 송신제어 정보를 포함시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현저히 증대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예를 들면, UL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DL 스케줄링 그랜트)에 2 비트 이상의 비트 필드를 마련하고,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더해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조합하여 비트 정보로서 규정(조인트 코딩)하여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고, 나머지의 SRS 파라미터 정보는 상위 레이어에서 통지하는 것을 도출했다. 이로 인해, SRS의 트리거의 유무 및 SRS 파라미터 등의 SRS 송신제어 정보를 유연하게 설정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적절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함으로써, 각 이동단말장치가 송신하는 비주기 SRS의 리소스의 일부를 하위 레이어에 있어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리소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자는,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조합하여 비트 정보로서 규정하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나 비트 수를,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예를 들면, 이동단말장치의 안테나 수, 셀 내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무선기지국장치와의 거리), 셀 내의 이동단말장치의 수 등)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을 도출했다. 이로 인해,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따라, SRS 송신제어 정보를 유연하게 설정하고,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 송신제어 정보를 적절하게 통지할 수 있다.
이하에,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무선기지국장치가 SRS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고,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경우의 비주기 SRS의 송신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LTE―A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은 LTE―A에 적용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주기 SRS의 송신제어는,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가 조합되어 규정된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여, 이동단말장치의 비주기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 또한,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는, comb, 주파수위치,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 대역폭 등의 SRS의 송신에 필요해지는 조건(SRS 파라미터 자체의 일부), 미리 설정된 디폴트 SRS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값에 관한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디폴트 SRS 파라미터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할지(선택 정보) 등의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장치는,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가 조합되어 비트 정보로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하고, 해당 SRS 트리거 포맷 중에서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제어에 적용하는 소정의 비트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소정의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설정한 SRS 트리거 포맷은,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미리 RRC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통지한다.
또, 이동단말장치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트리거 포맷을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수신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된 소정의 비트 정보도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단말장치는, 수신한 SRS 트리거 포맷 및 소정의 비트 정보 등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SRS의 트리거의 유무, SRS의 송신조건 등)을 특정하고, SRS의 송신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SRS의 송신제어 정보 중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된 정보(SRS 트리거 포맷에 규정되지 않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등)는,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별도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통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장치는, SRS 트리거 포맷의 설정법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복수의 SRS의 트리거 포맷('맵핑 테이블'이라고 한다) 중에서 특정한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맵핑 테이블은, SRS 파리미터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고, 무선기지국장치는, 이동단말장치에 적용하는 특정한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여,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혹은, 무선기지국장치는, SRS 트리거 포맷의 설정법으로서,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함과 함께,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 차분을 SRS 트리거의 유무와 조합하여 규정하고,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수법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맵핑 테이블은,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기재되고, 차분의 구체적인 내용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혹은, 무선기지국장치는, SRS 트리거 포맷의 설정법으로서, 복수의 디폴트의SRS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함과 동시에, 어느 디폴트 SRS 파라미터를 이용할지(디폴트 SRS 파라미터의 선택정보)를 SRS 트리거의 유무와 조합하여 규정하고,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수법으로 해도 좋다. 이하에, 도 4∼도 5를 참조하여 맵핑 테이블의 구체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SRS 트리거 포맷(맵핑 테이블)을 2 비트의 비트 정보로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도 4c에서는,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서, 각각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3개의 맵핑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PDCCH에서 통지하는 SRS 파라미터로서 'Comb'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b는, PDCCH에서 통지하는 SRS 파라미터로서 '주파수위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c는, PDCCH에서 통지하는 SRS 파라미터로서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CS)'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d, e는, PDCCH에서 통지하는 내용으로서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의 차분'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f는, PDCCH에서 통지하는 내용으로서 '복수의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의 선택'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각 맵핑 테이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하는 Comb가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Comb0에서 송신하는(SRS를 트리거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Comb1에서 송신하는(SRS를 트리거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는, 혹은 장래의 확장용으로서 예약해 두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Comb는, SRS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 위치를 규정하는 파라미터이고, 2 종류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와, SRS 파라미터(여기서는, Comb)에 관한 정보를 따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합하여 비트 정보로서 규정(조인트 코딩)하고 있다. 이와 같이,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조인트 코딩함으로써, PDCCH의 비트 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무선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하는 주파수위치가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주파수위치 0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주파수위치 1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SRS를 주파수위치 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파수위치는, SRS를 송신하는 주파수의 위치를 규정하는 파라미터이며, 주파수위치의 수는 시스템 대역폭과 유저마다의 SRS 대역폭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또, 도 4b에 있어서도, 도 4a와 마찬가지로 SRS의 송신 유무에 관한 정보와, SRS 파라미터(여기서는, 주파수위치)에 관한 정보를 조인트 코딩하고 있으며, PDCCH의 비트 수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할 때에 적용하는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가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CS0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CS1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SRS를 CS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이용하여 직교 다중을 수행할 때에, 사이클릭 시프트량을 규정하는 파라미터이며, 8가지의 상태를 갖는다. 맵핑 테이블에 있어서의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의 규정은, 예를 들면 도 4c의 예와 같이 연속하는 나열(CS0, CS1, CS1)로 해도 좋으며, 이산적인 맵핑(예를 들면, CS0, CS3, CS6)으로 해도 좋다.
또, 도 4c에 있어서도, 도 4a, b와 동일하게, SRS의 송신 유무에 관한 정보와, SRS 파라미터(여기서는,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에 관한 정보를 조인트 코딩하고 있으며, PDCCH의 비트 수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도 4d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별도 통지되는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와, 디폴트 파라미터로부터의 사이클릭 시프트 차분을 통지하는 사이클릭 시프트량이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 사이클릭 시프트량을 x값 시프트하여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 사이클릭 시프트량을 y값 시프트하여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이클릭 시프트량의 x값, y값은 미리 결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RRC 시그널링으로 유연하게 변경되도록 해도 좋다.
도 4e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별도 통지되는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와, 디폴트 파라미터로부터의 Comb의 차이, 혹은, 사이클릭 시프트 차분을 통지하는 사이클릭 시프트량이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와는 다른 Comb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SRS를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로부터 사이클릭 시프트량을 x값 시프트하여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이클릭 시프트량의 x값은 미리 결정되어도 좋으며, RRC 시그널링으로 유연하게 변경되도록 해도 좋다.
도 4f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별도 통지되는 복수의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은, SRS를 디폴트 a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은, SRS를 디폴트 b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은, SRS를 디폴트 c의 SRS 파라미터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SRS 트리거 포맷에 규정하는 SRS 파라미터나 비트 수의 선택방법으로서,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이동단말장치의 안테나 수, 셀 내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무선기지국장치와의 거리), 셀 내의 이동단말장치의 수 등)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가, 상기 도 4a∼도 4c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부터 임의의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각 맵핑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SRS 파라미터와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의해 SRS 파라미터의 설정범위가 영향을 받기 어려운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맵핑 테이블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동단말장치가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다중에 이용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 이외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맵핑 테이블(도 4a, b)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테나의 다중에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 SRS 트리거 포맷에 대해서도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를 이용하면, 안테나 다중과 유저 다중의 쌍방에 이용되는 것에 기인하여, SRS 송신제어 정보의 자유도가 적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광대역에서 SRS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장치(예를 들면, 셀 근방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는, 주파수에 관련하는 SRS 파라미터(주파수위치, 대역 등) 이외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맵핑 테이블(도 4a, c)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대역에서 SRS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는, 주파수위치에 의한 유저 간 다중의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셀 내의 이동단말장치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맵핑 테이블에 SRS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비트 수가 많은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SRS 트리거 포맷(맵핑 테이블)을 3 비트의 비트 정보로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서, 각각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를 2개(Comb, 주파수위치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 중 적어도 2개)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Comb 및 주파수위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Comb 및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5c는, 주파수위치 및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각 맵핑 테이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하는 Comb 및 주파수위치가 조합되어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01'은, SRS를 Comb0 및 주파수위치 0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0'은, SRS를 Comb0 및 주파수위치 1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11'은, SRS를 Comb0 및 주파수위치 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0'은, SRS를 Comb1 및 주파수위치 0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1'은, SRS를 Comb1 및 주파수위치 1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0'은, SRS를 Comb1 및 주파수위치 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1'은,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는, 혹은 장래의 확장용으로 예약해두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와, SRS 파라미터(여기서는, Comb, 주파수위치)에 관한 정보를 따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합하여 비트 정보로서 규정(조인트 코딩)하고 있다. 이와 같이, SRS의 트리거의 유무에 관한 정보와, 복수의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조인트 코딩함으로써, PDCCH의 비트 수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하는 Comb 및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가 조합되어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01', '010', '011'은, SRS를 Comb0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각각 CS0∼CS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0', '101', '110'은, SRS를 Comb1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각각 CS0∼CS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1'은,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는, 혹은 장래의 확장용으로 예약해 두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c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와, SRS를 송신하는 주파수위치 및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가 조합되어 규정된 비트 정보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정보 '000'은,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001', '010', '011'은, SRS를 주파수위치 0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각각 CS0∼CS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00', '101', '110'은, SRS를 주파수위치 1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각각 CS0∼CS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 정보 '111'은,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는, 혹은 장래의 확장용으로 예약해두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서, 상기 도 5a∼도 5c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기지국장치는 이동단말장치마다 임의의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고, SRS 트리거 포맷으로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또, 무선기지국장치가, 상기 도 5a∼도 5c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부터 임의의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태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서, 각각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를 2개(Comb, 주파수위치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 번호 중 적어도 2개)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도 4a∼도 4c의 구성과 같이 1 종류의 SRS 파라미터로 규정해도 좋으며, 3 종류 이상의 SRS 파라미터로 규정해도 좋다. 혹은, 도 4d∼도 4f의 구성과 같이, 디폴트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맵핑 테이블은, 무선기지국장치의 기억부에 기억시켜 해당 기억부로부터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기억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4, 도 5에 도시한 맵핑 테이블은 일 예이며, 맵핑 테이블에 설정하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나 그 조합도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설정하는 비트 수도 2 이상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SRS 트리거 포맷의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로의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DCCH에는, 송신 모드나 송신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다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DCI format0은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의 스케줄링 정보의 통지(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RS 트리거 포맷 중의 소정의 비트 정보를, 복수의 DCI 포맷 중에서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어느 하나의 DCI 포맷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단말장치로 통지한다. 또, SRS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DCI 포맷에 규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DCI 포맷과 제2 DCI 포맷에 적어도 SRS에 관한 정보를 규정한다. 또한, SRS에 관한 정보를 규정하는 DCI 포맷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DCI 포맷에 SRS에 관한 정보를 규정하는 경우에는, 각 DCI 포맷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 간에서 할당의 비트 수나 지시하는 SRS 송신내용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DCI format0에서는, SRS에 관해 1 비트의 할당이 검토되고 있다. 또, UL 멀티 안테나 전송용 UL 스케줄링 그랜트로서 DCI format4가 규정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DCI format4에서는, SRS에 관해 2 비트 이상(2 비트 또는 3 비트)의 할당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로서 DCI format0에서는 1가지 규정할 수 있으며, DCI format4에서는 3가지(2 비트인 경우) 또는 7가지(3 비트인 경우) 규정할 수 있게 된다. 즉, DCI format0과 DCI format4에 있어서 규정할 수 있는 내용이 다르다.
예를 들면, DCI format0에 대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 '0'과,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별도 통지되는 디폴트 X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 '1'을 갖는 SRS 트리거 포맷을 이용한다. 또, DCI format4에 대해서는,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 비트 정보 '00'과, 복수의 디폴트 a, b, c의 SRS 파라미터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 '01', '10', '11'을 갖는 SRS 트리거 포맷을 이용한다. 또한, 복수의 디폴트 a, b, c의 SRS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별도 통지된다.
이와 같이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된 각 DCI 포맷에 대해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할 때, DCI 포맷마다 다른 송신내용을 규정하면(X가 a, b, c의 어느 것과도 다른), 1 유저 중에서 DCI 포맷마다 할당하는 SRS 리소스를 다른 구성으로 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 DCI 포맷마다 독립적으로 SRS 리소스 할당을 구성하는 필요가 있기 때문에 SRS의 리소스 설계가 복잡한 것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DCI 포맷을 복수 규정하는 경우에는, 각 DCI 포맷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의 SRS 송신내용을 공통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RRC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삭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있어서는, X가 a, b, c의 어느 하나와 동일해지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다른 DCI 포맷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의 송신내용을 공통적으로 설정함으로써, RRC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복수의 DCI 포맷 간에 할당 비트 수가 다른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트 수가 작은 SRS 트리거 포맷에 규정된 송신내용이 비트 수가 큰 SRS 트리거 포맷에 규정된 송신내용에 포함되도록 규정하면 좋다.
또한, 도 13은,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DCI 포맷으로서,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되는 DCI format0과 DCI format4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그 외의 DCI 포맷에 SRS에 관한 정보를 규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DL 스케줄링 그랜트가 되는 DCI 포맷(예를 들면, DCI format1A 등)에 SRS에 관한 정보를 규정해도 좋다. 이 경우도, 복수의 DL 스케줄링 그랜트의 DCI 포맷에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할 때에, 각 DCI 포맷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의 SRS 송신내용을 공통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소정의 DCI 포맷에 있어서, 비트 수가 다른 복수의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하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적용하는 SRS 트리거 포맷을 적절히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DCI format4에 있어서, 설정하는 비트 수(2 비트 또는 3 비트)를 고려하여 SRS 트리거 포맷에 규정하는 SRS 송신내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 수(예를 들면, 2 비트)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에서는, SRS 디폴트의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내용으로 한다(도 14a 참조). 이로 인해, 네트워크측이 지시할 수 있는 리소스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많은 비트 수(예를 들면, 3 비트)에 대응하는 SRS 트리거 포맷에서는, SRS 디폴트의 파라미터로부터 일부의 파라미터를 시프트하는 내용으로 한다(도 14b 참조). 이로 인해, RRC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비트 수에 대응하여 SRS 트리거 포맷의 송신내용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선택하는 비트 수에 관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적절히 통지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수가 적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 수(예를 들면, 2 비트)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적용하여 2 비트 정보를 PDSCH에서 통지한다. 또, 유저수가 소정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트(예를 들면, 3 비트)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적용하여 3 비트 정보를 PDSCH에서 통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 수에 따라 SRS 트리거 포맷의 SRS 송신내용을 설정하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통지하는 비트 수를 선택함으로써, SRS 송신제어 정보를 유연하게 설정하고, 무선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비주시 SRS의 송신제어의 구체적인 수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무선기지국장치가,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가 조합되어 비트 정보로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하고,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step 11).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상기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복수의 맵핑 테이블 중에서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소정의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고, SRS 트리거 포맷으로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로의 통지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4d∼도 4f와 같이,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필요로 하는 수법인 경우는, 함께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통지한다.
또한, 무선기지국장치가, 복수의 맵핑 테이블로부터 임의의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기지국장치는, 설정한 SRS 트리거 포맷(맵핑 테이블) 중에서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적용하는 소정의 비트 정보를 선택하고,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step 12). 이동단말장치로의 통지는, UL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D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시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단말장치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트리거 포맷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되는 소정의 비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한다(step 13). 또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지 않는 다른 SRS의 송신제어 정보는,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별도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통지된다.
다음으로, 이동단말장치는,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step 14).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이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정보인 경우에는, SRS의 송신은 수행하지 않는다(step 15). 한편,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이 SRS를 트리거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장치에 통지된 SRS 파라미터가 규정하는 송신조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수행한다(setp 16).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이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된 다른 SRS 송신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SRS를 송신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기적으로 이동단말장치에 보내지는 주기 SRS(Periodic SRS)와 비주기 SRS(Aperiodic SRS)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경우의 SRS의 송신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주기 SRS와 비주기 SRS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경우, 주기 SRS는 소정의 송신간격으로 송신되나, 비주기 SRS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 SRS는, 송신주기를 5m sec로서 각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한편으로, 비주기 SRS는, 예를 들면, 비주기 SRS의 송신지시에 포함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은 4 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하는 PUSCH 신호와 함께 송신된다.
이 경우,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되는 타이밍에 의해서는,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겹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SRS의 송신이 크게 지연되어 버리는 등의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주기 SRS와 비주기 SRS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겹쳤을 때에, 송신타이밍이 겹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SRS의 송신을 우선하여 수행하고, 다른 한쪽의 SRS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로 인해, 주기 SRS와 비주기 SRS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경우라도,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겹치게 됨에 따른 SRS 송신 지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서는, PUSCH 신호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비주기 SRS를 우선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경우,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겹쳤을 때에는 주기 SRS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고 비주기 SRS의 송신을 우선하여 수행한다. 또한, 통신환경에 따라 주기 SRS를 우선해도 좋으며, 우선하는 SRS는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서브프레임에 분산하여 설정함으로써,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의 충돌 자체를 회피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어느 서브프레임은 주기 SRS만을 설정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 비주기 SRS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송신주기가 5msec의 주기 SRS는, 5×n 서브프레임(n은 1이상의 정수)에만 설정하고, 비주기 SRS를 5×n 이외의 서브프레임의 어느 하나에 설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주기 SRS의 송신제어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장치가,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의 SRS를 무선기지국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주기 SRS를 송신한다.
(실시형태 3)
이하에, 상술한 참조신호의 송신제어를 적용하는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LTE―A 방식의 시스템(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서, 이동단말장치(100) 및 무선기지국장치(200)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100) 및 무선기지국장치(200)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0)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또는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또, 이 무선통신시스템(1)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라 불려도 좋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0)은, 무선기지국장치(200)와, 이 무선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단말장치(100(1001, 1002, 1003, … 100n, n은 n>0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장치(30)와 접속되고, 이 상위국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셀(5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또는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Clustered DFT―spread OFDM)이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진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는, 비연속적인 클러스터화된 서브캐리어의 그룹(클러스터)을 1대의 이동단말(UE)에 할당하고, 각 클러스터에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을 적용함으로써, 상향링크의 다원 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단말장치(100)에서 공유되는 PDSCH와,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송신 데이터는, 이 유저 데이터에 포함된다. 또한, 송별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나 DL 스케줄링 그랜트는, L1/L2 제어채널(PDCCH)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0)에 통지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단말장치(100)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와,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가 이용된다. 이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이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무선기지국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무선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호 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 안테나(202)는 복수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4)에 있어서, AGC 하에서 수신전력이 일정 전력으로 보정되도록 증폭된다.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수신부(2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 소정의 처리(오류 정정, 복합 등)가 이루어진 후,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미도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송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이동단말을 관리하고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위 장치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등이 이루어지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호 처리부(210)는, 상위 장치의 무선 제어국과의 사이에서 호 처리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기지국장치(200)의 상태 관리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에 있어서의 처리는, 호 처리부(210)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무선기지국장치(200)와 이동단말장치(100n)와의 사이의 통신상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무선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와, SRS 설정부(2085)와, 하향링크 제어채널 설정 통지부(2086)를 갖고 있다.
레이어 1 처리부(2081)는, 주로 물리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레이어 1 처리부(2081)에서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채널 복호화, 이산 푸리에 변환(DFT), 주파수 디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데이터 복조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 주파수 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한 MA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HARQ), 상향/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PUSCH/PDSCH의 전송 포맷의 선택, PUSCH/PDSCH의 리소스 블록의 선택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RLC 처리부(2083)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패킷/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패킷에 대해, 패킷의 분할, 패킷의 결합, RL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 등을 수행한다.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는,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가 조합되어 비트 정보로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한다. 설정된 SRS 트리거 포맷은,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에 통지된다. 또,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는,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기초하여 SRS 트리거 포맷에 설정하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한다.
또,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는, 서로 다른 종류의 SRS 파라미터가 규정된 복수의 SRS 트리거 포맷(맵핑 테이블) 중에서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기초하여, 특정한 SRS 트리거 포맷을 선택함으로써, SRS 트리거 포맷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4, 도 5에 도시한 맵핑 테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맵핑 테이블은,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 내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장치 내의 기억부에 기억시켜 해당 기억부로부터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기억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SRS 설정부(2085)는,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2084)에 있어서 설정된 SRS 트리거 포맷 중에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소정의 비트 정보를 선택한다. 즉, SRS 설정부(2085)는, 이동단말장치에 적용하는 SRS 송신내용(SRS의 트리거의 유무나, SRS를 송신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송신조건의 일부)에 대해 설정한다.
하향링크 제어채널 설정 통지부(2086)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SRS 설정부(2085)에서 선택된 소정의 비트 정보의 통지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 설정 통지부(2086)는, 소정의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복수의 DCI 포맷 중에서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어느 하나의 DCI 포맷(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시켜 이동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이동단말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장치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100n)는, 송수신 안테나(102)와, 송수신 안테나(102)에 대응한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호 처리부(110)와, 애플리케이션부(1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112)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송신전력 설정 등이 이루어지고, 안테나마다 송수신부(1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안테나마다 무선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그 후,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2)로부터 안테나마다 송신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2)에서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4)에 있어서, AGC(Auto Gain Control) 하에서 수신전력이 일정 전력으로 보정되도록 증폭된다.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수신부(1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소정의 처리(오류 정정, 복합 등)가 이루어진 후, 호 처리부(110) 및 애플리케이션부(112)에 전송된다. 호 처리부(110)는, 무선기지국장치와의 통신의 관리 등을 수행하고, 애플리케이션부(112)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 10에 도시하는 이동단말장치의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기능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는, 레이어 1 처리부(1081)와, MAC 처리부(1082)와, RLC 처리부(1083)와, SRS 트리거 포맷 수신부(1084)와,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1085)와, SRS 송신 설정부(1086)를 갖고 있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주로 물리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에서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채널 복호화, 이산 푸리에 변환(DFT), 주파수 디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데이터 복조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 주파수 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MAC 처리부(1082)는, 하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한 MA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HARQ),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의 해석(PDSCH의 전송 포맷의 특정, PDSCH의 리소스 블록의 특정) 등을 수행한다. 또, MAC 처리부(1082)는,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한 MAC 재송 제어, 상향 스케줄링 정보의 해석(PUSCH의 전송 포맷의 특정, PUSCH의 리소스 블록의 특정 등의 처리) 등을 수행한다.
RLC 처리부(1083)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패킷, 및 애플리케이션부(112)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패킷에 대해, 패킷의 분할, 패킷의 결합, RL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 등을 수행한다.
SRS 트리거 포맷 설정부(1084)는, 무선기지국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SRS의 트리거의 유무와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가 조합되어 비트 정보로서 규정된 SRS 트리거 포맷을 수신한다. 또, SRS 트리거 포맷은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1085)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된 SRS의 송신내용(SRS의 트리거의 유무나 SRS의 송신조건 등)이 규정된 소정의 비트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SRS 트리거 포맷 수신부(1084)에서 수신한 SRS 트리거 포맷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한다.
SRS 송신 설정부(1086)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1085)에 있어서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이 SRS를 미송신으로 하는(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정보인 경우에는, SRS의 송신은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특정한 SRS의 송신내용이 SRS를 트리거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이동단말장치에 통지된 SRS 파라미터가 규정하는 송신조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1085)에 있어서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SRS 송신 설정부(1086)에서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1085)에서 수신한 소정의 비트 정보를 SRS 송신 설정부(1086)에 공급하고, SRS 송신 설정부(1086)에서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함과 동시에,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 SRS와 비주기 SRS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경우, SRS 송신 설정부(1086)는,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 SRS를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주기 SRS를 송신한다. 또한, SRS 송신 설정부(1086)는,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겹치는 경우에, 어느 일방의 SRS의 송신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또는, SRS 송신 설정부(1086)는, 주기 SRS와 비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서브프레임에 설정한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만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4일 출원의 특원 2010―225227, 2010년 11월 8일 출원의 특원 2010―249764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6)

  1.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여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SRS 설정부;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RS 설정부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설정하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비트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DCI 포맷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단말장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제1 DCI 포맷과 제2 DCI 포맷이 설정되고, 상기 제1 DCI 포맷과 상기 제2 DCI 포맷에 각각 대응하는 테이블에 있어서의 SRS 송신내용이 공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DCI 포맷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RS에 관한 정보가 규정되는 DCI 포맷에 있어서, 비트 수가 다른 2개의 테이블이 적어도 설정되고, 비트 수가 작은 테이블에는, 상기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로서 사전에 통지하는 디폴트 SRS 파라미터의 선택정보가 설정되고, 비트 수가 큰 테이블에는, 상기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의 일부로서 사전에 통지하는 디폴트 SRS 파라미터로부터의 차분이 설정되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비트 수가 작은 테이블과 상기 비트 수가 큰 테이블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8.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된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비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
    특정한 상기 SRS의 송신내용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SRS 송신 설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RS 송신 설정부는,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의 상기 SRS를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주기 SRS를 송신하고,
    비주기의 상기 SRS와 상기 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겹치는 경우에는, 비주기의 상기 SRS의 송신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RS 송신 설정부는,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의 상기 SRS를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주기 SRS를 송신하고,
    비주기의 상기 SRS와 상기 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서브프레임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1.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SRS 송신제어 정보를 통지하여,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가, 상기 SRS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소정의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통신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설정하는 SRS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는, 상기 비트 정보를,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단말장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의 상기 SRS를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주기 SRS를 송신하고,
    비주기의 상기 SRS와 상기 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겹치는 경우에는, 비주기의 상기 SRS의 송신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통지되는 SRS 송신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주기의 상기 SRS를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송신함과 동시에, 소정의 주기로 상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주기 SRS를 송신하고,
    비주기의 상기 SRS와 상기 주기 SRS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서브프레임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6.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 정보, 및 디폴트의 SR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갖는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비트 정보를 선택하는 SRS 설정부, 및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비트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무선기지국장치;
    상기 비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내용을 특정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 및 특정한 상기 SRS의 송신내용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을 제어하는 SRS 송신 설정부를 갖는 이동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KR1020137010714A 2010-10-04 2011-10-03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101541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5227 2010-10-04
JP2010225227 2010-10-04
JP2010249764A JP4938123B1 (ja) 2010-10-04 2010-11-08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JP-P-2010-249764 2010-11-08
PCT/JP2011/072745 WO2012046682A1 (ja) 2010-10-04 2011-10-03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81A Division KR101863724B1 (ko) 2010-10-04 2011-10-03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43A true KR20130143043A (ko) 2013-12-30
KR101541780B1 KR101541780B1 (ko) 2015-08-05

Family

ID=459276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81A KR101863724B1 (ko) 2010-10-04 2011-10-03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1020137010714A KR101541780B1 (ko) 2010-10-04 2011-10-03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81A KR101863724B1 (ko) 2010-10-04 2011-10-03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9629149B2 (ko)
EP (2) EP2890038B1 (ko)
JP (1) JP4938123B1 (ko)
KR (2) KR101863724B1 (ko)
CN (2) CN103238364B (ko)
AU (1) AU2011313367B2 (ko)
BR (1) BR112013008159A2 (ko)
DK (1) DK2627145T3 (ko)
ES (2) ES2685399T3 (ko)
MX (1) MX2013003760A (ko)
RU (2) RU2554121C2 (ko)
SG (2) SG2014012702A (ko)
TW (2) TWI449366B (ko)
WO (1) WO2012046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24A (ko) * 2016-09-01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운링크 및 업링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2723B2 (ja) * 2010-02-15 2013-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5389271B2 (ja) * 2010-10-12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JP5768059B2 (ja) * 2010-11-16 2015-08-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装置及びsrs送信制御方法
JP2013034111A (ja) 2011-08-02 2013-02-14 Sharp Corp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13236289A (ja) * 2012-05-10 2013-11-21 Sharp Corp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258757B1 (en) * 2012-08-29 2016-02-09 Sprint Spectrum L.P. Dynamic control of transmission of reverse-link control signals
EP2903374A4 (en) * 2012-09-27 2016-06-08 Sharp Kk END DEVIC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TEGRATED CIRCUIT
US20150257060A1 (en) * 2012-11-02 2015-09-10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apparatus
KR102004544B1 (ko) * 2013-02-06 2019-07-26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5070336A (ja) *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装置、チャネル推定方法及び信号中継方法
US9414319B2 (en) * 2013-10-02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and proximity detection in LTE
JP2015139178A (ja) * 2014-01-24 2015-07-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中継局、及び、無線基地局
CN107431591B (zh) 2015-01-28 2020-09-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无授权频带中的lte的上行链路操作的方法和装置
US10397904B2 (en) 2016-02-20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425922B2 (en) * 2016-02-20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9076522B (zh) 2016-04-01 2023-05-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资源许可方法及相应的无线设备、网络节点和介质
MX2019000596A (es) 2016-07-15 2019-04-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de comunicacion basado en red inalambrica, dispositivo de terminal y dispositivo de red.
US20190260535A1 (en) * 2016-11-02 2019-08-22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11265880B2 (en) * 2016-11-03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ts for cell and beam mobility
KR20190100268A (ko) * 2016-12-20 2019-08-2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574413A (zh) * 2017-04-27 2019-12-13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WO2018203406A1 (ja) * 2017-05-02 2018-11-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049510B (zh) * 2018-01-16 2021-01-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交叉链路干扰测量通知方法、网络侧设备及移动通信终端
EP3731583B1 (en) 2018-01-19 2021-10-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0474734B (zh) * 2018-05-11 2022-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5251A4 (en) * 2005-07-15 2010-01-20 Mitsubishi Electric Res Lab ANTENNA SELECTION FOR MULTIPLE INPUT-OUTPUT SYSTEM
US7620423B2 (en) * 2005-12-07 2009-11-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beamformed channel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network
CN1996782B (zh) * 2005-12-26 2010-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域自适应链路的天线选择指示方法
RU2430471C2 (ru) * 2006-01-18 2011-09-27 Нтт Досомо, Инк.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связ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анных
WO2008120925A1 (en) 2007-03-29 2008-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17489B (zh) 2007-03-29 2013-11-0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探测参考信号的方法
US8055301B2 (en) * 2007-08-06 2011-11-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s incorporating implicit antenna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JP2010034624A (ja) * 2008-07-25 2010-02-12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無線装置
AR073833A1 (es) 2008-10-20 2010-12-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odos para el control ascendente de transmision de informacion para agregar ona portadora
AR075865A1 (es) * 2009-03-17 2011-05-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 de potencia de transmision de senal de referencia de sonido (srs)
JP2010225227A (ja) 2009-03-23 2010-10-07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10249764A (ja) 2009-04-20 2010-11-04 Ntn Corp バルクハウゼンノイズ検査装置
KR101641971B1 (ko) * 2009-05-15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34400A2 (ko) * 2009-09-21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379536B2 (en) * 2009-10-08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efficient decoding
US20110142095A1 (en) * 2009-12-10 2011-06-16 Yu-Hsuan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rom multiple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36859A1 (en) * 2010-01-11 2014-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to Increase Sounding Capacity for LTE-Advanced Systems
US8848520B2 (en) * 2010-02-1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373500B1 (en) 2010-02-22 2020-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dynamically triggering the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1827444B (zh) * 2010-03-31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参考信号的信令配置系统及方法
CN101808409B (zh) * 2010-04-01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a系统中测量参考信号的配置方法和系统
US20110274063A1 (en) 2010-05-10 2011-11-10 Ming-Che Li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ynamic aperiodic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10126034A (ko) 2010-05-14 201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30201946A1 (en) * 2010-06-21 2013-08-08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SG187672A1 (en) * 2010-08-13 2013-03-28 Research In Motion Ltd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and signaling for aperiodic channel sounding
JP2013535941A (ja) * 2010-08-16 2013-09-12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基準信号の送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24A (ko) * 2016-09-01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운링크 및 업링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3630B (zh) 2019-01-01
KR20140098149A (ko) 2014-08-07
RU2014146261A3 (ko) 2018-02-28
KR101541780B1 (ko) 2015-08-05
EP2627145A1 (en) 2013-08-14
SG189186A1 (en) 2013-05-31
ES2685905T3 (es) 2018-10-15
TW201220755A (en) 2012-05-16
US9681443B2 (en) 2017-06-13
EP2627145B1 (en) 2018-08-22
JP4938123B1 (ja) 2012-05-23
CN103238364A (zh) 2013-08-07
US20170127389A1 (en) 2017-05-04
US20130208690A1 (en) 2013-08-15
RU2014146261A (ru) 2016-06-10
ES2685399T3 (es) 2018-10-08
AU2011313367B2 (en) 2015-11-26
RU2013119170A (ru) 2014-11-20
TWI526016B (zh) 2016-03-11
JP2012100232A (ja) 2012-05-24
CN103238364B (zh) 2016-06-22
KR101863724B1 (ko) 2018-06-01
AU2011313367A1 (en) 2013-05-23
US9832766B2 (en) 2017-11-28
US20150156772A1 (en) 2015-06-04
RU2554121C2 (ru) 2015-06-27
CN104363630A (zh) 2015-02-18
SG2014012702A (en) 2014-06-27
EP2890038A1 (en) 2015-07-01
MX2013003760A (es) 2013-05-20
RU2654500C2 (ru) 2018-05-21
US9629149B2 (en) 2017-04-18
EP2627145A4 (en) 2015-05-06
TW201436502A (zh) 2014-09-16
BR112013008159A2 (pt) 2016-07-12
TWI449366B (zh) 2014-08-11
WO2012046682A1 (ja) 2012-04-12
DK2627145T3 (en) 2018-10-01
EP2890038B1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724B1 (ko)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JP5132723B2 (ja)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6224358B2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6163503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412961B2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5269236B2 (ja)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174200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4207560A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4265044B2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562932B2 (ja) 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