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885A - 시스템 서포트 - Google Patents

시스템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885A
KR20130142885A KR1020130004582A KR20130004582A KR20130142885A KR 20130142885 A KR20130142885 A KR 20130142885A KR 1020130004582 A KR1020130004582 A KR 1020130004582A KR 20130004582 A KR20130004582 A KR 20130004582A KR 20130142885 A KR20130142885 A KR 2013014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rod
vertical
system suppor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170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4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으로 다단 연결되면서 거푸집 상판을 지지한 채 제1횡봉 및 제2횡봉을 연결하게 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하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축봉에서 정.역회동하며 제1.2연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직봉의 높낮이 길이를 조절유도하게 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 제1.2연결부, 수직봉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들을 지지하는 나사산을 형성한 지지축봉과; 상기 지지축봉 저부와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며 받치는 지지판과; 상기 수직봉에 횡으로 연결되어 제1횡봉을 연결매개하는 횡봉연결구와; 상기 횡봉연결구의 나사봉과 연결되어 제1횡봉의 횡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서 길이가 조절되며 연결되어 수직봉의 간격 및 안정적 지지를 보조하는 제1횡봉 및, 상기 수직봉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걸림핀의 삽입으로 수직봉과 직접 횡으로 연결되는 제2횡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봉에서 회동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방향에서 지지축봉을 삽입한 상태의 수직봉 사이에는, 합치되어 결착된 채 수직봉을 받치며, 높이조절구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구비하되, 제1연결부는 수직봉 단부에 용접되어 일체되며, 상기 제1연결부 하부에서 제1연결부와 합치되는 제2연결부는 독립되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서로 정역 회동에 의해 합치되며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정역 회동시, 록킹돌기를 수용한 채 회동진행되는 록킹돌기를 안내하는 록킹홈이 제1연결부 저면부와 제2연결부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을 따라 안내되며 회동진행하다 서로 걸림을 이루게 되는 록킹돌기가 록킹홈 사이사이에서 제1연결부 저면부와 제2연결부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 끼리의 걸림에 의하여 합치된 연결편이 제1.2연결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걸림핀을 삽입하여 제2횡봉을 연결하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직봉은, 외주면의 전,후,좌,우측에 예각으로 절곡되어 수직봉 길이에 걸쳐 돌출 형성된 돌조부 및,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횡봉연결구는, 수직봉의 돌조부를 가압하며 걸림홈에서 단턱부 걸림을 이루게 하는 서로 힌지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체결 또는 분리시 집게부를 커버 및 노출하며 집게부의 집게 각을 조절하는 집게각조절부와; 상기 집게각조절부의 후미로 연장되어 연결봉과 체결을 이루게 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서 정.역 회동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집게각조절부로 하여금 집게부의 집게 각을 조절유도하는 클램핑 조절구와; 상기 클램핑 조절구에서 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클램핑 조절구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봉에는, 연결봉 길이에 걸쳐 길이조절공이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제1횡봉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수직봉의 폭 간격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며,
제2횡봉은, 단부에 걸림핀을 체결하기 위한 결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착부는 원호형상으로서 걸림핀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방향인 원호형상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기된 절곡돌기부가 상.하단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제1.2연결부, 제2횡봉 및, 상기 제2횡봉과 제1.2연결부의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걸림핀은, 제2횡봉의 결착부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걸림핀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걸림핀이 제2횡봉 결착부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걸림핀 상부에는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하부는 끼움고정된 걸림핀이 체결공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제1횡봉 및 제2횡봉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는 설치 상태 및 조건에 따라 택일 또는 조합하여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설치 및 철거의 신속성과 함께 일회성이 아닌 반 영구적으로 이용가능함을 효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Description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er}
본 발명은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거푸집 포함)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봉과 횡봉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수직봉의 경우 다단 연결을 신속히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설치 및 철거를 신속하게 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제공하는 거푸집이 사용된다. 상기 거푸집은 단일 지지대(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단일 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보편적으로 건물의 각층 천정은 균일한 높이를 이루고 있어 몰탈 타설을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성품의 서포트를 이용하여 왔다.
특히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완료시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용 발판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서포터가 가설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서포터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3432호(특허문헌 1)가 안출된 바가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콘크리트 하중의 크기에 따라 사용 수량이 결정되는데 대개 단일 지지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수량이 사용될 수밖에 없고 안정적 지지를 이루기에 한계가 있다.
설령,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를 체결부로 연결한 지지대를 확보하더라도, 고하중에 의한 지지대의 연결부 휨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체결부 파단으로 인하여 거푸집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88392호(특허문헌 2)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파이프를 조합 고정하여 하중에 대한 큰 버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서포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서포트는 다수의 파이프가 다수의 고정편을 통해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것인데, 파이프들끼리 서로 용접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파이프들간의 조합 고정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이 더디어져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어렵고 무엇보다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안정적 지지에도 한계를 나타낸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93432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288392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봉과 횡봉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수직봉을 다단으로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적 지지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이 이뤄진 후 철거시에도 철거 작업이 용이하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지면에 저부가 지지되면서 상부가 거푸집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봉과; 상기 다수의 수직봉들을 연결하여 서포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횡봉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봉은,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연결부가 형성되어 종방향을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2연결부의 결합에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설치 및 철거의 신속성과 함께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이용 가능함을 효과로 한다.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 이용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에서 횡봉의 분리도.
도 3은 도 2에서의 수직봉 분리도.
도 4는 도 2에서의 제1횡봉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도 2에서의 제2횡봉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제1,2연결부 간의 결착 부위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횡봉연결구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횡봉연결구에 횡봉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제2횡봉과 걸림핀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수직봉과 횡봉의 다른 연결수단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횡봉 연결구의 다른 예시도.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의 횡봉 연결구에 적용된 집게틀의 다른 예시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횡봉의 조립체를 보이니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 또는 다단 설치되는 수직봉(10)이 구비되어 거푸집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봉(10)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봉(10)의 폭 간격을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봉(10)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횡봉이 구비되는데, 상기 횡봉은 제1횡봉(41) 또는 제2횡봉(5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택일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봉(10)을 다단으로 연결함에 있어 수직봉(10) 하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부(11)와, 단독으로 구비된 제2연결부(12)가 회동 체결되며 수직봉(10)의 다단 연결을 이루게 된다.
상기 다단으로 배열된 수직봉(10), 제1,2연결부(11)(12) 등에 삽입된 채 지지하는 지지축봉(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봉(21) 하단부에 일체 또는 결합식으로 이루어진 지지판(23)이 구비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상판을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직봉(10)들이 구비됨에 있어, 수직봉(10)의 폭 간격 유지 및 수직봉(10)을 도와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횡봉의 용이한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수직봉(10)은, 외주면에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조부(10a)와, 상기 돌조부(10a)의 양측 절곡부위에 형성된 걸림홈(10b)을 이룬 구조며, 한편 중앙에는 통공(10c)을 이룬다.
즉 상기 수직봉(10)의 외관에 형성된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은, 횡봉의 용이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먼저, 수직봉(10)들의 편리한 다단 연결을 위하여 수직봉(10) 하단부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와,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단독으로 구비된 제2연결부(12)의 회전 결착에 의하여 수직봉(10)의 다단 연결을 이루게 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봉(10)을 다단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2받침대(11)(12)가 마련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봉(10) 높낮이를 조절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높이조절구(20)가 마련되고, 상기 높이조절구(20)가 회동하며 수직봉(10)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10)을 지지하는 축 역할을 수행하는 나사산(22)을 형성한 지지축봉(21)이 마련되며, 지지축봉(21) 저부와 결합을 이뤄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연결부(11)(12)를 좀 더 상세히 기술하자면, 도 2와, 도 6을 참고로 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봉(10)의 하단에는 제1연결부(11)가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수직봉(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는 제1연결부(11)와 합치되어 결착되는 제2연결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제1.2연결부(11)(12)는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제1연결부(11) 저면부와 제2연결부(12) 상면부가 서로 동일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다.
제1연결부(11) 저면부와 제2연결부(12) 상면부에는,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룬 채 일정구간씩 록킹홈(13)들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홈(13)들 사이로는 록킹돌기(14)들을 형성하고,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결편(15)들을 전,후,좌,우에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15)들의 각각에는 체결공(15a)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지지축봉(21)이 삽입되는 통공(16)을 형성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연결부(11)의 저면부위가 제2연결부(12)의 상면부위에 포개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이 있을 경우, 록킹홈(13)은 록킹돌기(14)의 회전 진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록킹돌기(14)는 록킹홈(13)을 따라 회전 진행되는 다른 록킹돌기(14)의 더 이상 회전 진행을 막으며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록킹돌기(14)와 다른 록킹돌기(14)가 서로 맞닿으며 더 이상의 회전 진행 없이 멈춰질 때 상기 연결편(15)들은 서로 합치된 형태를 갖게 되어 각 연결편(15)들에 형성된 체결공(15a)들 역시 합치되어 일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합치되어 일치된 상기 체결공(15a)들에는 걸림고정수단의 삽입체결로 제1,2연결부(11)(12)의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제2횡봉(50)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2) 하단에는 높이조절구(20)가 마련되는데 상기 높이조절구(20)는 지지축봉(22)에 삽입되어 정.역회동하며 이동가능하도록 중앙에 나사산을 형성한 통공(20a)이 마련되며, 높이조절구(20)의 용이한 회동을 위하여 높이조절구(20)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대칭된 손잡이(20b)가 마련된다.
상기 높이조절구(20), 제1.2연결부(11)(12), 수직봉(10)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10)들을 지지하는 나사산(22)을 형성한 지지축봉(21)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축봉(21) 하단부에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3)이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 제1.2연결부(11)(12), 조절구(20), 지지축봉(21) 등의 서포트 전체를 지면에서 지지한다.
상기 수직봉(10) 외관에 형성된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서의 횡봉 연결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1횡봉(41)과 제2횡봉(50)이 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아님 제1,2횡봉(41)(50) 중 어느 하나의 횡봉을 택일하여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횡봉(41)을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봉연결구(30), 연결봉(40), 제1횡봉(41) 순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횡봉연결구(30)는, 단턱부(31a)를 형성한 집게부(31)와, 상기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조절하는 집게각도조절부(32)와, 나사봉(33)과, 상기 나사봉(33)에 삽입된 와셔(34)와, 상기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봉(40)에는 제1횡봉(41)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길이조절공(40a)이 연결봉(40)의 길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횡봉(41)에는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과 일치되어 체결볼트(42)의 삽입을 이룰 수 있는 체결공(41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횡봉연결구(30)가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되기 위하여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의 손잡이(35a)를 잡고 회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와셔(34), 집게각도조절부(32) 순으로 클램핑 조절구(35)의 후방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게 되면, 집게부(31)의 각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벌려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수용한 다음, 다시 클램핑 조절구(35)를 나사봉(33) 앞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클램핑 조절구(35)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4)가 집게각도조절부(32)에 결착되며, 집게각도조절부(32)를 가압하게 되고, 집게각도조절부(32)는 집게부(31) 방향으로 이동하며 집게부(31)를 커버함에 따라 집게부(31)의 집게 각이 작아지면서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강하게 가압하며 걸림홈(10b)에 집게부(31)의 단턱부(31a)가 걸려 횡봉연결구(30)의 체결이 이뤄진다.
곧, 수직봉(10)에 횡으로 체결된 횡봉연결구(30)의 나사봉(33) 타측에 연결봉(40)을 회동하여 연결토록 하고, 상기 연결봉(40)에 제1횡봉(41)을 커버하며 길이를 조절한 다음, 제1횡봉(41)의 체결공(41a)과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으로 체결볼트(42)를 삽입한 후 체결너트(43)로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10)에서의 제1횡봉(41) 연결 고정을 완료한다.
또한, 수직봉(10)에서의 제2횡봉(5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2횡봉(50)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를 수직봉(10) 하단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의 연결편(15) 및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제1연결부(11)와 합치된 제2연결부(12)의 연결편(15)에 밀착하여 삽입하는데 이때 결착부(51)의 상하단에 구비된 원호형상의 절곡돌기부(52) 사이 공간부에 제1.2연결부(11)(12)의 연결편(15)이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곧, 걸림핀(54)을 결착부(51)의 삽입부(53)와 연결편(15)의 체결공(15a)으로 삽입하여 끼움고정됨으로써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과 함께 제1.2연결부(11)(12)들 간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이 완료된다.
상기 제2횡봉(50)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는, 도 2, 5,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에 원호형상을 이룬 채 삽입부(53)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부(52)와, 상기 걸림핀(5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53)와, 상기 삽입부(53)는 걸림핀(54)의 끼움고정을 위하여 형성된 테이퍼부(53a)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핀(54)은,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단턱(54a)과, 상기 삽입부(53)의 테이퍼부(53a)에서 끼움고정되게 형성된 테이퍼부(54b)와, 끼움고정된 이후 상기 삽입부(53) 및 체결공(15a)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단이 걸릴 수 있게 후크부(54c)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는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각도 조절구(32)가 집게부(31)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집게부(31)가 수직봉(10)에 연결되는 구조 내에서 집게각도 조절구는 집게부의 안쪽에서 벌려 집게부가 수직봉(10)에 결속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즉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부(31)는 집게틀(31-1), 집게틀(3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31-2)로 구성되며, 집게각도 조절구(32)는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서 전후진하여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모아져 수직봉(10)을 클램핑하거나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벌어져 수직봉(10)을 언클램핑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게틀(31-1)은 한 쌍의 집게(31-2)의 고정을 위한 틀이며 나사봉(33) 등에 다양한 방법(끼움,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 가능하다.
집게(31-2)는 양측 단부 사이 예를 들어 중앙부가 집게틀(31-1)에 연결되는데, 집게각도 조절구(32)의 전진에 의해 선단부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클램핑하도록 모아지게 연결되며 즉 힌지핀(31-3) 등을 통해 시소 형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한 쌍의 집게(31-2) 모두가 힌지핀(31-3)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의 집게(31-2)는 고정이면서 나머지 하나의 집게(31-2)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힌지핀(31-3)이 연결되는 부분이 정홀(진원)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홀일 수도 있다. 물론, 한 쌍의 집게(31-2) 모두 장홀을 통해 집게틀(3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장홀과 정홀의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장홀의 경우 집게(31-2)의 이동이 가능하여 집게(31-2)를 수직봉(10)에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장홀(31-4)이 집게(31-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홀은 집게틀(3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집게각도 조절구(32)는 나사봉(33)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램핑 조절구(35)의 조임에 의해 전진하면서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수직봉(10)을 클램핑하도록 한다. 집게각도 조절구(32)는 와셔(34)의 앞쪽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단품일 수도 있다.
집게각도 조절구(32)의 전진에 의해 집게(31-2)의 후방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즉 집게(31-2)의 선단부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향해 모아지도록 집게(31-2)의 후방과 집게각도 조절구(32)의 대향부에는 각각 경사부가 형성된다.
한편, 집게부(31)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감싸 클램핑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도 12와 도 13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쌍의 집게(31-2)는 수직봉(10)의 둘레부를 감싸 클램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돌조부(10a)를 갖는 수직봉(1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원형관, 각관 등 모든 수직봉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집게(31-2)가 수직봉(10)을 감싸 클램핑하는 방식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집게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모든 집게부에 적용 가능하다.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쌍의 집게(31-2)가 좀 더 신속하게 벌어지고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31-5)가 적용된다. 탄성부재(31-5)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집게틀(31-1)[또는 나사봉(33)]과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집게(31-2)의 선단부(클램핑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그리고, 도 15a와 도 15b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틀(31-1)은 나사봉(33)에 힌지(31-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게틀(31-6)이 회동함으로써 집게(31-2)의 회동폭이 더 커지는 효과를 도출하므로 집게31-2)의 결합과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나사봉(33)이 하나인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나사봉(33)은 연결너트를 통해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횡봉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트러스형 횡보강재(100)가 적용된 것이다. 트러스형 횡보강재(100)는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2단 이상의 제1,2횡대(110,120)(도면에는 2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 제1,2횡대(110,120)들을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수직 연결대(130), 하나 이상의 경사형의 보강대(140)로 이루어진다.
제1횡대(110)는 횡대 본체(111), 횡대 본체(111)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길이조정되는 나사봉(112,113), 나사봉(112,113)에 각각 적용되는 수직봉 클램프(114,115)로 구성된다. 수직봉 클램프(114,115)는 전술한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2횡대(120)는 제1횡대(110)와 동일한 구성이며, 이때, 제1,2횡대(110)의 나사봉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길이조정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연결간(116)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길이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있어 설치 실시를 하며 이 작용 상태를 하기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축봉(21)과 일체된 지지판(23)을 배열하여 지면에 고정한 다음, 수직 상방향으로 위치한 지지축봉(21)에 높이조절구(20)와 제2연결부(12)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제2연결부(12) 상에 제1연결부(11)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제1연결부(11)와 일체형을 이룬 수직봉(10)을 지지축봉(21)에 삽입한다.
이때 높이조절구(20)는 지지축봉(21)에 물려 있어 제2연결부(12)와 상기 제2연결부(12) 상에 포개진 제1연결부(11) 및 수직봉(10)을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곧 제1연결부(11)와 제2연결부(1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인 정.역회전을 이루게 하거나 아님 제1.2연결부(11)(12)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만을 회전하도록 하여 제1.2연결부(11)(12)가 서로 결착되어 연결편(15)들의 합치와 함께 각 연결편(15)에 형성된 체결공(15a)의 일치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제1연결부(11)와 제2연결부(1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일 경우,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는 제2연결부(12)의 록킹홈(13)을 따라 안내되며 회전진행되고,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 또한 제1연결부(11)의 록킹홈(13)을 따라 안내되며 회전진행되다, 곧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는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채 록킹돌기(14) 끼리 서로 맞닿은 형태를 갖게 되고,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 또한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채 록킹돌기(14) 끼리 서로 맞닿은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제1.2연결부(11)(12)의 회전 결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직봉(10) 상단에 제2연결부(12)가 마련되고, 다른 수직봉(10) 하단에는 제1연결부(11)가 마련됨으로써, 수직봉(10)들의 다단 연결이 가능해지며, 상기 제1.2연결부(11)(12)의 회전 결착 방식으로 수직봉(10)들의 다단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이로써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수직봉(10)이 거푸집 상단에 근접하였을 경우, 조절구(20)의 손잡이(20b)를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조절구(20)를 회동하면, 조절구(20)가 지지축봉(21)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며, 조절구(20) 상단에 안착된 제2연결부(12) 및 제1연결부(11)를 상방향으로 이동유도함으로써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들 또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수직봉(10)의 지지대가 거푸집 상판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거푸집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수직봉(10)에서의 횡봉을 연결함에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구조 상황에 따라 제1횡봉(41) 및 제2횡봉(50)을 조합하여 연결하거나 상기 제1.2횡봉(41)(50) 중 어느 하나의 횡봉을 택일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제1횡봉(41)을 수직봉(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먼저 횡봉연결구(30)가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되는데,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의 손잡이(35a)를 잡고 회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와셔(34), 집게각도조절부(32) 순으로 클램핑 조절구(35)의 후방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게 되면, 집게부(31)의 각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벌려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수용한 다음, 다시 클램핑 조절구(35)를 나사봉(33) 앞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클램핑 조절구(35)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4)가 집게각도조절부(32)에 결착되며, 집게각도조절부(32)를 가압하게 되고, 집게각도조절부(32)는 집게부(31) 방향으로 이동하며 집게부(31)를 커버함에 따라 집게부(31)의 집게 각이 작아지면서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강하게 가압하며 걸림홈(10b)에 집게부(31)의 단턱부(31a)가 걸려 횡봉연결구(30)의 체결이 이뤄진다.
곧, 수직봉(10)에 횡으로 체결된 횡봉연결구(30)의 나사봉(33) 타측에 연결봉(40)을 회동하여 연결토록 하고, 상기 연결봉(40)에 제1횡봉(41)을 커버하며 길이를 조절한 다음, 제1횡봉(41)의 체결공(41a)과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으로 체결볼트(42)를 삽입한 후 체결너트(43)로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10)에서의 제1횡봉(41) 연결 고정을 완료한다.
제2횡봉(50)을 수직봉(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2횡봉(50)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를 수직봉(10) 하단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의 연결편(15) 및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제1연결부(11)와 합치된 제2연결부(12)의 연결편(15)에 밀착하여 삽입하는데 이때 결착부(51)의 상하단에 구비된 원호형상의 절곡돌기부(52) 사이 공간부에 제1.2연결부(11)(12)의 연결편(15)이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곧, 걸림핀(54)을 결착부(51)의 삽입부(53)와 연결편(15)의 체결공(15a)으로 삽입하여 끼움고정됨으로써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과 함께 제1.2연결부(11)(12)들 간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54)의 끼움 고정 및 탈리 방지가 이뤄지는 이유는, 상기 제2횡봉(50)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에서 상하단에 원호형상을 이룬 채 삽입부(53)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부(52)와, 상기 걸림핀(5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53)와, 상기 삽입부(53)는 걸림핀(54)의 끼움고정을 위하여 형성된 테이퍼부(53a)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핀(54)은,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단턱(54a)과, 상기 삽입부(53)의 테이퍼부(53a)에서 끼움고정되게 형성된 테이퍼부(54b)와, 끼움고정된 이후 상기 삽입부(53) 및 체결공(15a)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단이 걸릴 수 있게 후크부(54c)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설치시에 수직봉의 다단 연결은 제1.2연결부의 회전 결착에 의해서 이뤄지고, 수직봉에서의 횡봉 연결시 제1횡봉의 연결은 횡봉연결구의 물림에 의해서 이뤄지며, 제2횡봉의 연결은 걸림핀의 끼움고정에 의해서 이뤄짐으로써, 각 봉들의 연결 조작을 간단화 및 단순화하여 봉들의 연결 작업성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 수직봉 10a : 돌조부
10b: 걸림홈 10c : 통공
11 : 제1연결부 12 : 제2연결부
13 : 록킹홈 14 : 록킹돌기
15 : 연결편 15a: 체결공
16 : 통공
20 : 높이조절구 20a: 통공
20b: 손잡이
21 : 지지축봉 22 : 나사산
23 : 지지판
30 : 횡봉연결구 31 : 집게부
31a: 단턱부 32 : 집게각조절부
33 : 나사봉 34 : 와셔
35 : 클램핑 조절구 35a: 손잡이
40 : 연결봉 40a: 길이조절공
41 : 제1횡봉 41a: 체결공
42 : 체결볼트 43 : 체결너트
50 : 제2횡봉 51 : 결착부
52 : 절곡돌기부 53 : 삽입부
53a: 테이퍼부 54 : 걸림핀
54a: 단턱 54b: 테이프부
54c: 후크부

Claims (12)

  1.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지면에 저부가 지지되면서 상부가 거푸집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봉(10)과;
    상기 다수의 수직봉들을 연결하여 서포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횡봉(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봉은,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연결부(11,12)가 형성되어 종방향을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2연결부(11,12)의 결합에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상기 록킹돌기와 동일 선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다른 수직봉의 록킹돌기가 양방향의 회전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홈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수직봉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는 둘레부에 상기 횡봉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봉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2연결부에 걸림핀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봉 연결구(30)는, 상기 횡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봉(33),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클램핑 조절구(35), 상기 조절구에 의해 전진하는 집게각도 조절부(32), 상기 집게각도 조절부의 전후진에 의해 선단부가 모아지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수직봉을 클램핑하는 집게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1)는 후방이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각도 조절부는 상기 클램핑 조절구에 의해 전진하면서 상기 집게부를 감싸 상기 집게부에 의해 상기 수직봉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1)는 상기 나사봉에 지지되는 집게틀(31-1), 상기 집게틀(3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31-2)로 구성되며, 상기 집게각도 조절구(32)는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서 전후진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모아져 수직봉(10)을 클램핑하거나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벌어져 수직봉(10)을 언클램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틀에 장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1-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틀은 상기 나사봉에 힌지(31-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봉과 상기 나사봉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횡봉에 길이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나사봉이 나사 체결되는 연결봉(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봉은 2개 이상이 1개 이상의 수직 연결대(13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트러스형 횡보강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KR1020130004582A 2012-06-19 2013-01-15 시스템 서포트 KR101505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5808 2012-06-19
KR1020120065808 2012-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85A true KR20130142885A (ko) 2013-12-30
KR101505170B1 KR101505170B1 (ko) 2015-03-24

Family

ID=499863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82A KR101505170B1 (ko) 2012-06-19 2013-01-15 시스템 서포트
KR20130069271A KR101487964B1 (ko) 2012-06-19 2013-06-17 시스템 서포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271A KR101487964B1 (ko) 2012-06-19 2013-06-17 시스템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05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742B1 (ko) * 2014-07-24 2015-07-03 김범준 가이드웨지를 구비한 지주용 클램프
KR20180082104A (ko) * 2017-01-10 2018-07-18 백문자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002A (zh) * 2018-12-05 2019-03-12 中民筑友建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支撑杆和支撑架
KR102559982B1 (ko) * 2022-05-25 2023-07-2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가변조립형 잭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164A (ja) * 1995-05-16 1996-11-26 Hory Corp 支柱用クランプ及びそのクランプを備える補強材
KR200368369Y1 (ko) * 2004-09-03 2004-11-18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200397583Y1 (ko) 2005-07-18 2005-10-05 기호가설산업(주) 건축용 원형 지주
KR100842111B1 (ko) 2007-08-24 2008-06-30 에스앤피시스템(주) 시스템 서포트
EP2353777B1 (de) * 2010-02-08 2011-12-21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Selbstzentrierende Lünette
KR101020061B1 (ko)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20120056535A (ko) * 2010-11-25 2012-06-04 한명진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742B1 (ko) * 2014-07-24 2015-07-03 김범준 가이드웨지를 구비한 지주용 클램프
KR20180082104A (ko) * 2017-01-10 2018-07-18 백문자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64B1 (ko) 2015-02-03
KR20130142929A (ko) 2013-12-30
KR101505170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885A (ko) 시스템 서포트
KR200439136Y1 (ko) 거푸집용 체결 버팀대
CN208106893U (zh) 一种用于电线杆的立体式抱箍
KR20190007882A (ko) 시스템 서포트용 대각고정대
US6322277B1 (en) Clamp for interconnecting components of shoring apparatus
JP6120119B1 (ja) 壁つなぎ具
KR101505169B1 (ko) 수직대와 횡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연결구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43586Y1 (ko) 전선 거치대
CN215803212U (zh) 一种房建框架柱模板加固装置
KR20120087497A (ko) 확장형 발코니용 브라켓
JP2016160586A (ja) 足場用筋交連結構造
KR101332417B1 (ko) 다단 연결용 서포트
KR200380015Y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CN206646824U (zh) 一种混凝土浇筑用建筑模板加固组件
JP5027833B2 (ja) 工事用足場における建て枠連結角度の調節装置
KR100843981B1 (ko) 통신케이블의 조가선고정용 클램프
KR101942706B1 (ko)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CN215700967U (zh) 双管卡钳
JPH0529723Y2 (ko)
JPH0347076Y2 (ko)
KR101715918B1 (ko) 베일집게
CN218786981U (zh) 一种脚手架安装固定结构
JPH076362Y2 (ja) 型枠用保持金具
KR101896956B1 (ko)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