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822A -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822A
KR20130142822A KR1020120066373A KR20120066373A KR20130142822A KR 20130142822 A KR20130142822 A KR 20130142822A KR 1020120066373 A KR1020120066373 A KR 1020120066373A KR 20120066373 A KR20120066373 A KR 20120066373A KR 20130142822 A KR20130142822 A KR 2013014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mobile device
sharing
photos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633B1 (ko
Inventor
권도형
김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2006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63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단계;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PHOTO ALBUM SHARING SERVICE BASED O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 MP3(MPEG Player 3) 플레이어 기능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등을 포함하는 복합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영상을 촬영을 하고, 촬영한 영상을 다양하게 편집하는 등 그 이용 영역을 점점 넓히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영상을 친구나 가족 등에게 보여 주길 원하는 경향이 있다. 즉, 모바일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특별한 날에만 영상 데이터 등의 영상을 찍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기록 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상에서는 개인의 홈페이지, 예를 들어 블로그나 미니 홈피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공유와 참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홈페이지 서비스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공유는 촬영한 영상 등을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 저장하여야 하며, 공유할 대량의 영상 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료 혹은 무료 서비스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용이하게 디지털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과금을 통해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유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일정 유효 기간 동안 활성화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제공하는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인 경우,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앨범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진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을 하나의 폴더로 묶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형을 기초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은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은 무료로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공유하는 방식이고, 상기 제2 유형은 과금에 의해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앨범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진들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은 상기 앨범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정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을 하나의 폴더로 묶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유형을 기초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유료 혹은 무료 서비스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적어도 하나의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공유 요청에 대한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유료 혹은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고, 유효 기간 동안 링크 주소를 활성화 함으로써 무료로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함으로써 유료로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 요청의 유형에 따라 유료 또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되는 앨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료 서비스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료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료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은 제1 모바일 기기(110), 제1 서버(120), 제2 서버(130) 및 제2 모바일 기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바일 기기(110) 및 제2 모바일 기기(14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 탭, 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등과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앨범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기기(110)는 앨범 공유를 요청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홍길녀)의 모바일 기기이고, 제2 모바일 기기(140)는 제1 모바일 기기(110)의 요청에 따라 제1 모바일 기기(110)가 공유를 요청한 앨범을 함께 공유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이가영)의 모바일 기기이다.
이때, 제1 모바일 기기(110) 및 제2 모바일 기기(140)는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바일 기기(110) 및 제2 모바일 기기(140)는 제1 서버(120)가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유료 혹은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녀가 강원도에 놀러가서 촬영한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이가영과 공유하고 싶은 경우, 홍길녀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110)를 통해 제1 서버(120)에게 유료 혹은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홍길녀는 강원도에 놀러가서 촬영한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이가영과 공유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홍길녀가 요청한 공유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의 경우, 홍길녀는 해당 앨범에 대해 부과된 과금을 납부함에 따라 제1 서버(120)에 저장된 해당 앨범에 대한 자신(홍길녀) 및 이가영의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접근 권한을 획득한 홍길녀 및 이가영의 모바일 기기는 이후, 제1 서버(120)에 접속하여 공유한 앨범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앨범을 공유하는 이가영의 모바일 기기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모바일 기기일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유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는 앨범을 공유할 상대방을 지정하여, 지정한 상대방이 기간 제한 없이 앨범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홍길녀가 요청한 공유 서비스가 무료 서비스인 경우, 홍길녀 혹은 이가영은 제1 서버(120)로부터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홍길녀 혹은 이가영은 해당 앨범의 링크 주소에 접속함으로써 홍길녀가 강원도에 놀러가서 촬영한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120)는 강원도에 놀러가서 촬영한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유효 기간 동안에만 활성화 시킨다. 따라서, 유효 기간 이후에 해당 앨범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1 서버(120)에게 다시 공유 요청을 하여 새로운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제공받아야 한다.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의 경우, 공유하고자 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가 유효 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므로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는 모바일 기기라도 유효 기간 동안에는 해당 앨범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무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의 경우, 제1 서버(120)는 앨범의 링크 주소뿐만 아니라, 링크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함께 생성함으로써 앨범 내의 사진이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서버(1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수신 등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직접 저장하거나, 제2 서버(1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진들을 획득하여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진들은 그 출처(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혹은 페이스 북의 SNS 서버 등)에 관계 없이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이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앨범 내의 사진들 혹은 앨범의 공유를 위한 웹 페이지(링크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사진들을 시간 순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제1 서버(120)는 사진을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또는 SNS 서버와 같은 제2 서버(130)에서 가져와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별도의 시간 필드에 시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시간 필드에 들어갈 시간 정보는 사진의 메타 정보에 해당 사진에 대한 생성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있는 경우, 생성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여 시간 필드에 들어갈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진의 메타 정보에 해당 사진에 대한 생성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없으면 클라우드 서버 또는 SNS 서버에 등록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 필드에 들어갈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20)는 제1 모바일 기기(110)에게 유료의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거나, 제1 모바일 기기(110)가 앨범의 공유를 요청한 연락처(즉, 제2 모바일 기기(140))와 앨범을 공유한 사실을 기록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제2 서버(130)는 예를 들어, 웹 하드(Web Hard)나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과 같이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는 일반 사진 서버이거나, 트위터, 페이스 북, 혹은 카카오 톡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서버(130)는 제1 서버(120)의 요청에 따라 사진 뿐만 아니라 저장된 동영상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수신 등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210).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220). 이때,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앨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앨범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230).
이때,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5와 같은 화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는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240). 공유 요청의 유형은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유형은 앨범 공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의 유형이고, 제2 유형은 앨범 공유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의 유형일 수 있다.
서버는 240에서 판단한 공유 요청의 유형을 기초로 공유 요청에 대한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하고(250), 결정된 공유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260).
250 내지 260의 과정을 통해 각 공유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310).
310의 판단 결과,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1 유형(320)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제1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330). 이후, 서버는 유효 기간 동안에 링크 주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340).
반면에, 310의 판단 결과,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2 유형(350)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제2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360). 이때, 서버는 과금 여부를 기초로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과금은 앨범에 대한 공유를 요청한 사용자마다에 대하여 부과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유지하고(370),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앨범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380).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서 405 내지 430의 과정은 도 2의 210 내지 260의 과정을 동일하므로 해당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435).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40). 여기서,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프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5일 더 보기'와 같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440에서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었다면, 서버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들 중 이미 제공된 사진들을 제외한,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예를 들어, 5일)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445).
이때, 앨범에 포함된 사진들 중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 사진들이 6월 4일부터 6월 1일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사진들이었다면,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은 앨범에 포함된 나머지 사진들 중 촬영된 날짜가 5일 간의 범위에 해당하는 사진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앨범에 포함된 나머지 사진들이 예를 들어, 5월 31일, 5월 29일, 5월 28일, 5월 20일, 5월 19일, 5월 15일에 촬영된 사진들이라고 하면,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인 5일의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인 5월 31일, 5월 29일, 5월 28일, 5월 20일, 5월 19일에 촬영된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각 날짜에 촬영된 사진의 매수는 상관이 없다.
하지만, 440에서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서버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서버는 445에서 추출된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을 하나의 폴더로 묶고(450), 추출된 사진들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455).
즉, 서버는 추출된 사진들 중 5월 31일 혹은 5월 29일과 같이 동일한 생성 시점(예를 들어, 동일한 촬영 날짜)을 갖는 사진들을 5월 31일 폴더 혹은 5월 29일 폴더 등과 같이 하나의 폴더로 묶어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공유 방식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된 후에 440 내지 455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 440 내지 455 과정이 410의 과정 이후에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 요청의 유형에 따라 유료 또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로부터 앨범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앨범 공유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유료 서비스 유형(510) 및 무료 서비스 유형(550)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유형(510)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520과 같이 공유한 앨범을 함께 보기 원하는 상대방의 연락처 및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52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전화기 모양의 아이콘(525)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은 530과 같은 화면을 통해 받는 사람의 연락처, 즉, 앨범을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들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받는 사람의 연락처, 즉, 앨범을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들을 선택함으로써 유료 서비스에 의해 앨범을 공유할 상대방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지정된 상대방들은 무료 서비스와 달리 기간의 제한 없이 앨범을 공유할 수 있고, 자신의 앨범뿐만 아니라 공유받은 사용자의 앨범 또한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을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들의 모바일 기기는 앨범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일 것이 요구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들에 대한 정보는 이후 서버로 전달되고, 사용자의 결제 여부에 따라 상대방들 또한 앨범을 공유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무료 서비스 유형(550)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은 공유할 앨범의 링크 주소를 어디로 복사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화면(555)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공유할 앨범의 링크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한 링크 주소를 모바일 기기의 캐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화면(555)와 같이 캐시 영역에 저장된 링크 주소를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공유할 앨범의 링크 주소는 555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페이스 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등으로 복사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공유되는 앨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수신 등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 자체가 아니라 2012 워크샵(610) 및 강원도 여행(630) 등과 같이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앨범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강원도 여행(630) 앨범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635와 같이 강원도 여행 시에 촬영된 순서대로 정렬된 사진들을 볼 수 있다. 즉, 앨범 내에서 6월 1일에 촬영된 사진들과 6월 3일에 촬영된 사진들이 있다면, 사진들은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최근에 촬영된 6월 3일에 촬영된 사진들이 먼저 정렬되고, 차례로 6월 1일에 촬영된 사진들이 나중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강원도 여행(630) 앨범 내에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예를 들어, 6월 1일에 촬영된 사진들)은 하나의 폴더로 묶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료 서비스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520 화면에서 앨범의 공유를 요청한 사용자가 수신자의 연락처 및 메시지를 작성한 후, 보내기 버튼(710)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화면에는 도 7의 오른쪽과 같은 유료 서비스의 결제를 위한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730)을 선택하면, 530에서 선택된 수신자들(예를 들어, 5 명)에게 공유 앨범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앨범의 공유를 요청한 사용자의 화면에는 750과 같은 메시지('디지털 포토북이 5명에게 전달되었습니다.')가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위한 본인 인증이 수행되고, 이후 확인 버튼(730)의 선택에 의해 해당 금액에 대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과금은 해당 앨범에 대한 공유를 요청한 사용자마다에 대하여 부과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당 앨범을 공유하는 전체 사용자의 수에 따라 부과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료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수신 등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810).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815).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820).
서버는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825).
서버는 유효 기간 동안에 링크 주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830). 여기서, 링크 주소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서버는 해당 링크 주소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해당 링크 주소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링크 주소의 웹 페이지에 포함된 앨범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유효 기간이 경과되었다면 서버는 해당 링크 주소를 비활성화하고, 링크 주소의 비활성화에 따라 사용자는 앨범을 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서버는 해당 링크 주소의 웹 페이지를 삭제하거나, 또는 해당 링크 주소에 접속할 경우에 유효 기간이 경과 되었음을 안내하는 문구가 표시되도록 웹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835),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840). 840에서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체크되면, 서버는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845). 하지만, 840에서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서버는 다시 앨범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50).
만약, 850에서 앨범이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845로 가서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850에서 앨범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생성(즉,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855).
실시예에 따라서는 850에서 앨범이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서버가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지 않고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생성(즉,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료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 등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910).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915).
서버는 앨범 내에서 둘 이상의 사진들을 둘 이상의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920).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925).
서버는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930). 이때, 서버는 앨범의 링크 주소뿐만 아니라 링크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함께 생성함으로써 앨범 내의 사진이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성된 웹 페이지에 포함된 사진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945의 더 보기 요청이 수행될 수 있다. 서버는 유효 기간 동안에 링크 주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935).
이후, 서버는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940).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45).
945에서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었다면,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950). 이때, 서버는 930에서 생성된 웹 페이지에 포함된 사진들 중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
반면에, 945에서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서버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서버는 950에서 추출된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을 하나의 폴더로 묶은(955) 후, 추출된 사진들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960).
일 실시예에서는 945 내지 960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앨범에 대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 수신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945 내지 960 과정이 915 혹은 920의 과정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이하, '서버')는 네트워크 모듈(1010), 프로세서(1030) 및 데이터베이스(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010)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생성부(1033) 및 활성화부(10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033)는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의 링크 주소는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활성화부(1036)는 유효 기간 동안에 링크 주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1030)는 네트워크 모듈(1010)로부터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1033)는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인 경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생성(즉, 앨범의 링크 주소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033)는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생성부(1033)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05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서버')는 네트워크 모듈(1110), 프로세서(1130) 및 데이터베이스(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110)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0)는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30)는 판단부(1133) 및 결정부(113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133)는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결정부(1136)는 유형을 기초로 공유 요청에 대한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0)는 판단부(1133)에서 판단한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제1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고, 유효 기간 동안에 링크 주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은 무료 서비스의 유형일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1130)는 판단부(1133)에서 판단한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1130)는 판단부(1133)에서 판단되는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제2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형은 유료 서비스의 유형일 수 있다. 이때,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과금 여부를 기초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30)는 판단부(1133)에서 판단되는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유지하고,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앨범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5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1 모바일 기기
120: 제1 서버
130: 제2 서버
140: 제2 모바일 기기

Claims (20)

  1. 복수의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인 경우,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앨범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진들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사진들 중 동일한 생성 시점을 갖는 사진들을 하나의 폴더로 묶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형을 기초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제2 유형의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새로운 공유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새로운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앨범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는
    과금 여부를 기초로 상기 앨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를 요청한 사용자마다에 대하여 과금을 부과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일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나머지 사진들에 대한 더 보기 요청이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에 속하는 사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진들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은
    상기 앨범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 각각에 대응하는 생성 시점에 따라 정렬된 것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상기 앨범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유효 기간 동안에 상기 링크 주소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20. 획득된 복수의 사진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모바일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둘 이상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앨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 요청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유형을 기초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상기 앨범의 공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120066373A 2012-06-20 2012-06-20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48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373A KR101486633B1 (ko) 2012-06-20 2012-06-20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373A KR101486633B1 (ko) 2012-06-20 2012-06-20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22A true KR20130142822A (ko) 2013-12-30
KR101486633B1 KR101486633B1 (ko) 2015-01-27

Family

ID=4998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6373A KR101486633B1 (ko) 2012-06-20 2012-06-20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999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프로그램과 클라우드 서버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121A (ko) * 2004-10-18 2006-04-21 주식회사 네오위즈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80006729A (ko) * 2006-07-13 2008-01-17 텐바이텐(주) 전자앨범을 사용한 커뮤니티 구성 및 앨범 보관/배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3438A (ko) * 2008-03-28 2009-10-01 (주) 엘지텔레콤 모바일 접속 주소의 생성을 통한 인터넷 웹페이지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4564B1 (ko) * 2009-07-01 2011-06-28 주식회사 소리바다 웹 주소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사용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999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프로그램과 클라우드 서버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633B1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20200021734A1 (en) System for publishing digital images
KR20140108565A (ko) 크라우드 결정된 파일 업로딩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KR20130052550A (ko) 부가 설명된 정보의 생성 및 전파
JP2015505384A (ja) 画像アノテー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40111678A (ko) 크라우드 결정된 파일 사이즈 업로딩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JP2014029716A (ja) 広告資金提供データー・アクセス・サービス
TW201903604A (zh) 應用導航方法及裝置
WO20141768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1693738B1 (ko) 모바일 sns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민원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779955B2 (ja) サーバ装置、誘引システム及び誘引方法
JP2013047930A (ja) 動画公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75174B1 (ko) 실물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851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data between networked devices
JP2013134504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85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repaid internet connection and a charging mechanism for same
KR20130142821A (ko)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US98322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content
JP7204272B1 (ja) デジタルトークン提供システム、デジタルトークン提供プログラム及びデジタルトークン提供方法
US9268789B1 (e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location
KR20140097668A (ko) 온라인 기반의 모바일 포토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86633B1 (ko)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5965504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08627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