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48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48B1
KR100862748B1 KR20070046640A KR20070046640A KR100862748B1 KR 100862748 B1 KR100862748 B1 KR 100862748B1 KR 20070046640 A KR20070046640 A KR 20070046640A KR 20070046640 A KR20070046640 A KR 20070046640A KR 100862748 B1 KR100862748 B1 KR 10086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album
terminal
image data
album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은희
김성우
은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04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을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유 앨범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SHARING ALBUM SERVICE WHICH US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의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제공의 예 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 400: 이동통신망
310: 데이터 송수신부 320: 인증부
330: 메시지 생성부 340: 공유 앨범 관리부
341: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 342: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
343: 공유 앨범 생성부 350: 과금 처리부
360: 제어부 370: 데이터베이스
371: 인증 정보 저장부 372: 영상 데이터 저장부
373: 리플 메시지 저장부 400: 예시도 1
410: 예시도 2 420: 예시도 3
본 발명은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상에 공유 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의 문자메시지 전송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문자 채팅은 없어서는 안 되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단말기의 개발이 계속 됨에 따라 현재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 MP3(MPEG layer 3) 플레이어 기능, 및 라디오 기능 등을 포함하는 복합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단말기에 포함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영상 데이터를 촬영을 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배경화면을 만드는 등 그 이용영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영상을 친구나 가족 등에게 보여 주길 원하는 경향이 있다. 즉,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특별한 날에만 영상 데이터 등의 영상을 찍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기록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상에서는 개인의 홈페이지, 예를 들어 블로그나 미니홈피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공유와 참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폰메일 서비스도 실시되고 있다.
폰메일 서비스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한 영상을 메시지 형태로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이 메시지 형태로 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홈페이지 서비스를 통한 영상 데이터의 공유는 촬영한 영상 등을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 저장하여야 하며, 별도의 접속을 통하여 영상을 보거나 다운로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폰메일 서비스는 별도의 작업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반면 여러 장의 영상 데이터를 여러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대방에게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폰메일 작성 및 발송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폰메일을 작성하는 시간낭비 및 비용낭비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통한 공유 앨범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을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을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 앨범에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 정보가 관리되는 공유 앨범 관리부; 상기 공유 앨범에 접근 권한이 부여될 단말기에 상기 공유 앨범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을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구성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400)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구성은 단말기(100), 공유 앨범 제공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100) 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다수의 단말기(100)간의 앨범을 공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이동통신망(400)를 통하여 통신한다.
이동통신망(400)는 무선 중계국, 교환국 및 외부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중계국은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포함하며, 단말기(100)와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영상 정보를 중계한다.
교환국은 무선 중계국과 외부망을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교환국은 예를 들면, 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GMSC(Gateway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또는 WCDMA 시스템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일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앨범을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영상 데이터를 단말기(100)를 통하여 간단하게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앨범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여러 사람과 공유 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기(10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이동통신망(400)을 통하여 접속한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 및 공유 앨범의 생성을 할 수 있다.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자 하는 단말기(10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하여 푸쉬(push) 메시지를 작성하여 공유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하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 없이 한번에 공유 앨범의 생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푸쉬(push) 메시지를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로써, 공유 앨범 생성자는 여러 명에게 한번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여러 제2 단말기(200)도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공유 앨범 생성은 전체 공개, 푸쉬(push) 메시지를 받은 단말기(100) 사용자 공개 및 비공개로 공개 수준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공유 앨범 생성은 등록 자료의 수, 등록 시간 및 제2 단말기(200) 수를 설정하여 공유 앨범 생성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생성된 앨범의 영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추가 및 삭제 등의 기능을 앨범의 제2 단말기(200)에게 제공한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 생성자의 지정에 따른 제2 단말기(200)에게 공유 앨범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이 포함된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400)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푸쉬(push)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콜 백 URL SMS,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형태로 공유 앨범의 공유 단말기인 제2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 받은 제2 단말기(200)는 콜백 서비스로 공유 앨범에 접속하여 앨범을 열람하고, 리플 메시지를 쓸 수 있으며, 설정된 권한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추가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공유 앨범 관리부(340), 인증부(320), 과금 처리부(350), 메시지 생성부(330), 제어부(360)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고, 공유 앨범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공유 앨범의 생성을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 및 리플 메시지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공유 앨범 관리부(340)는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341),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342) 및 공유 앨범 생성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341)는 공유 앨범을 생성하며, 공유 앨범 생성시 조건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 단말기(100)가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자 할 때, 공유 앨범의 공개 수준을 지정할 수 있다. 모든 단말기가 공유 앨범의 열람이 가능한 전체공개로 설정할 수 있고, 비공개로 설정하여 자신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푸쉬(push) 메시지를 받은 단말기(100)만 열람 등이 가능한 공개 수준으로 설정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341)는 공유 앨범 생성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생성의 조건은 등록 영상 데이터의 수 또는 등록 가능한 시간이 지정되어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에만 영상 데이터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생성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공유 앨범 생성 및 이용에 관한 과금이 차별적으로 이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생성 조건의 설정으로 공유 앨범의 관리가 수월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유 앨범 생성부(343)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여러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한다. 앨범 생성부(343)는 공유 앨범 생성시,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341)을 통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른 설정의 공유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342)는 영상 데이터의 등록 및 삭제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370)에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342)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플 메시지를 관리한다. 공유 앨범의 공유 단말기인 제2 단말기(200)로부터 리플 메시지가 입력된 경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리플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한다. 리플 메시지는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표시 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342)는 새로운 리플 메시지가 쓰여진 경우에 공유 앨범을 생성한 제1 단말기(100)에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야 함을 메시지 생성부(330)에 알린다.
인증부(320)는 공유 앨범의 열람 등의 접근 권한, 영상 데이터의 추가, 삭제 및 편집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부(320)는 데이터베이스(370)의 인증 정보 저장부(371)로부터 공유 앨범의 접속 권한 등의 정보를 불러온다. 인증부(320)는 불러온 정보와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부(320)는 판단 정보를 공유 앨범 관리부(340)에 전송하여 공유 앨범의 열람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공유 앨범의 공유 단말기인 제2 단말기(200)에 의해 리플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공유 앨범 생성 제1 단말기(100)에 리플 메시지의 생성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생성한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공유 앨범 생성 단말기인 제1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330)는 공유 앨범을 공유하고자 하는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가 생성하는 푸쉬(push) 메시지는 특정 URL을 포함하여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 받은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공유 앨범을 열람할 수 있는 메시지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과금 처리부(350)는 공유 앨범을 생성 또는 열람 등을 하고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하고 정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과금 처리부(350)는 상술한 앨범 생성 조건에 따라 과금을 차등적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면, 과금 처리부(350)는 10장의 영상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공유 앨범 보다 20장의 영상 데이터를 등록하는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경 우 더 많은 요금을 부담시킨다. 이러한 앨범 생성 조건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적절한 과금이 이뤄질 수 있으며, 일률적 과금으로 인한 서비스 사용의 부담을 경감하여 서비스 이용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70)는 단말기(100)의 공유 앨범의 접근 권한 가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 데이터 및 리플 메시지의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37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연동 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등록하고, 공유 앨범 조건을 설정하고, 리플 메시지를 생성하는 등의 공유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앨범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37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70)의 구성은 인증 정보 저장부(371), 영상 데이터 저장부(372) 및 리플 메시지 저장부(373)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 저장부(371)는 공유 앨범의 접근 권한의 존재 여부 등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영상 데이터 저장부(372)는 사용자가 등록한 공유 앨범에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 정보를 저장한다.
리플 메시지 저장부(373)는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사용자들이 등록하는 리플 메시지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400)을 이용한 공유 앨범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자 하는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400)을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한다(S400).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핫넘버를 이용하여 한번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핫넘버는 단말기(100)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하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부여된 번호로, 예를 들면, 단말기에서 "**321"을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른 경우, 바로 공유 앨범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다. 핫넘버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를 받기 위한 여러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100)에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41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요청 신호의 송신 없이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를 진행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자 하는 단말기(10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 없이 우선적으로 공유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의 이름, 공유 앨범 생성 조건 및 제2 단말기(200) 번호 등을 설정하고 공유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 말기(10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여 공유 앨범 생성 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말기(200)들은 제1 단말기(100)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며 공유 앨범을 채워가는 것을 공동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는 여러 명이 나누어 소장하고 있는 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공유 앨범으로 모아 저장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공유를 쉽고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는 공유 앨범의 생성은 푸쉬(push) 메시지로써 제2 단말기(200)들에게 알릴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접속한 단말기(100)에서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를 하지 않는 경우, 이미 업로드된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이미 업로드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는 기존의 앨범에서 공유 앨범에 전송할 영상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S440).
따라서, 접속한 단말기(100)에 의해 새로운 영상 데이터 또는 이미 업로드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로 공유 앨범을 생성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나 선택 없이 우선적으로 공유 앨범이 생성될 수도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접속 단말기(100)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 신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45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접속자에게 공유 앨범의 생성 조건의 설정을 요구한다(S460). 공유 앨범 생성 조건은 등록 앨범의 수 또는 등록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공유 앨범을 공유할 제2 단말기(200)를 지정한다(S470). 제2 단말기(200)의 권한은 공유 앨범의 열람만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영상 데이터의 추가 및 삭제 등의 공유 앨범의 관리까지 가능하도록 단계별 설정이 가능하다.
공유 앨범이 생성된 후,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을 공유할 사람의 정보 및 푸쉬(push) 메시지의 내용을 전송 받게 된다(S48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메시지 생성부(330)는 제2 단말기(200)에게 보낼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한다(S480).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생성된 푸쉬(push) 메시지를 지정된 제2 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S490). 제2 단말기(200)는 전송 받은 푸쉬(push) 메시지를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여 공유 앨범의 열람 등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 내에서 공유 앨범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400)을 통한 공유 앨범의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2 단말기(200)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S500). 전송 받은 푸쉬(push) 메시지는 URL주소가 포함 되어있어 이를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S510).
접속한 제2 단말기(200)는 푸쉬(push) 메시지를 통한 접속으로 해당 공유 앨범의 접근 권한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증된다(S520). 인증부(320)가 열람 권한을 인 증한 경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370)를 통해 해당 공유 앨범 정보를 불러들인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해 접속한 제2 단말기(200)에 공유 앨범 정보를 이동통신망(400)을 통하여 전송한다.
제2 단말기(200)는 공유 앨범 서비스에 접속하여 인증 받고 해당 공유 앨범을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며(S530), 제2 단말기(200)는 접근 권한에 따라 공유 앨범에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삭제 등이 가능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 제공시 리플 메시지 작성 기능을 제2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S540). 제2 단말기(200)는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플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S550). 제2 단말기(200)가 리플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342)는 제2 단말기(200)가 쓰는 리플 메시지를 전송 받아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70)의 리플 메시지 저장부(373)에 저장한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공유 앨범 생성자에게 리플 메시지의 작성을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전송한다(S560).
제2 단말기(200)가 영상 데이터의 추가 및 삭제의 권한을 가지고 있고 이를 요청하는 경우(S56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새로운 영상 데이터의 정보를 전송 받는다. 또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다른 앨범에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추가할 영상 데이터 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공유 앨범과 함께 데이터베이스(370)의 영상 데이터 저장부(372)에 저장한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공유 앨범을 생성 단말기인 제1 단말기(100)에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제1 단말기(100)에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57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을 열람만 할 수 있는 사용자가 앨범의 공유를 신청하도록 할 수 있다(S580). 공유 앨범의 공유를 신청한 경우(S59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메시지 생성부(330)는 공유 앨범의 생성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작성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공유 앨범 생성자에게 작성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59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400)을 통한 공유 앨범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공유 앨범의 관리는 공유 앨범을 생성한 단말기(100) 및 지정된 제2 단말기(200)가 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공유 앨범의 관리 권한을 가진 제2 단말기(200)를 지정할 수 있다.
공유 앨범 관리 권한을 가지는 단말기는 이동통신망(400)을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한다(S60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인증부(320)는 접속한 단말기(100)의 권한을 인증하고, 공유 앨범 관리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공유 앨범 정보를 제공한다(S61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100)로 리플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52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리플 메시지가 쓰여진 경우, 리플 메시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70)의 리플 메시지 저장부(373)에 저장하고, 메시지 생성부(330)가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작성된 알림 메시지는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리플 메시지 작성 단말기 외의 제2 단말기(200)들에게 전송된다(S630).
또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100)로 영상 데이터의 업로드 여부를 입력 받는다(S640). 단말기(100)가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경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업로드된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70)의 영상 데이터 저장부(372)에 저장하고, 메시지 생성부(330)가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작성된 알림 메시지는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그 외의 제2 단말기(200)들에게 전송된다(S65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400)을 통한 공유 앨범 제공의 예시도이다.
예시도 1(400)은 공유 앨범을 선택하고, 앨범 관리상의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된 화면이다. 공유 앨범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어 해당 공유 앨범을 선택하여 앨범 보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말기(200)와 공유 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메뉴, 앨범의 열람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메뉴 등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친구와 앨범 공유하기"를 선택하면,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메시지 생성 부(330)에서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해당 친구에게 작성된 코멘트와 함께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시도 2(410)는 접속한 단말기가 앨범 보기를 요구하는 경우의 단말기(100) 화면이다.
공유 앨범의 영상 데이터가 상단에 표시되고,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플 메시지가 바로 아래 표시된다. 또한, 해당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앨범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친구에게 앨범을 푸쉬(push) 메시지로 보낼 수 있다.
예시도 3(430)은 앨범 생성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유 앨범 생성시 앨범의 공개 수준, 앨범의 장수 및 제2 단말기(200) 지정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예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현한 예시일 뿐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공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유 앨범 생성 조건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생성 조건별로 차등적 과금을 하여 일률적 과금으로 인한 서비스 사용의 부담을 경감하여 서비스 이용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망을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제작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공유 앨범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핫넘버(hot number)를 이용하여 접속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공유앨범으로 지정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의 관리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관리 조건은 공유앨범 이름, 공개여부, 영상 데이터 등록 제한 시간, 영상데이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공개여부는 상기 지정된 제2 단말기 외의 다른 단말기에게도 상기 공개앨범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는 SMS 메시지, 콜백 유알엘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리플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공유앨범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를 푸쉬(push)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10.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 앨범에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 정보가 관리되는 공유 앨범 관리부;
    상기 공유 앨범에 접근 권한이 부여될 단말기에 상기 공유 앨범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공유 앨범에 접근 권한을 부여 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공유 앨범의 생성을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할 상기 리플 메시지 입력 알림 메시지가 더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앨범 관리부는
    공유 앨범 생성 조건을 관리하는 공유 앨범 조건 관리부-상기 공유 앨범 생성 조건은 공유 앨범 이름, 공개 여부, 영상 데이터 등록 제한 시간 및 영상 데이 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공유 앨범으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리플 메시지를 관리하는 공유 앨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생성 조건 중 상기 영상 데이터의 수 또는 영상 데이터 등록 제한 시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
  15. 삭제
  16. 이동 통신 망을 통하여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공유 앨범 생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앨범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공유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부여될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를 알리는 푸쉬(push)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된 리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70046640A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6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6640A KR100862748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6640A KR100862748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748B1 true KR100862748B1 (ko) 2008-10-10

Family

ID=4015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6640A KR100862748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80B1 (ko) * 2008-12-05 2014-04-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616957B1 (ko) * 2014-08-18 2016-05-02 강현구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631A (ko) * 2004-10-06 2006-04-11 주식회사 사이넷 공유앨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631A (ko) * 2004-10-06 2006-04-11 주식회사 사이넷 공유앨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80B1 (ko) * 2008-12-05 2014-04-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8755794B2 (en) 2008-12-05 2014-06-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KR101616957B1 (ko) * 2014-08-18 2016-05-02 강현구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431B2 (en) Real time collaborative on-line multimedia albums
KR100741395B1 (ko) 서버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US9240962B2 (en) Group messag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le sharing through bidirectional interlock with a cloud server
JP5175288B2 (ja) ピアツーピアデジタルコンテンツ流通のデジタル著作権管理機能
AU2018229515B2 (en) Access management using electronic images
JP6331684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37632A (ko) 멤버 추가 확대를 위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62976A1 (en) Proximity and connection based photo sharing
US9083693B2 (en)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in instant messaging
US20180027078A1 (en) Image Session Identifier Techniques
CN105830391B (zh) 基于存在的内容共享
EP2408174A1 (en) Messaging activity feed
JP200913577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23526685A (ja) ドキュメント共有の処理方法、装置、機器、媒体及びシステム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8627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963135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利用される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
JP2022502748A (ja) 電子名刺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3229644A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およ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491308B2 (ja) 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KR20060030631A (ko) 공유앨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30142821A (ko)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486633B1 (ko)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앨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WO2018029339A1 (en) Conditional records data storage method and retrieval system
JP5718392B2 (ja) 情報機器および情報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