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957B1 -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957B1
KR101616957B1 KR1020140106967A KR20140106967A KR101616957B1 KR 101616957 B1 KR101616957 B1 KR 101616957B1 KR 1020140106967 A KR1020140106967 A KR 1020140106967A KR 20140106967 A KR20140106967 A KR 20140106967A KR 101616957 B1 KR101616957 B1 KR 10161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arer
photo
terminal
al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936A (ko
Inventor
강현구
강길도
Original Assignee
강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구 filed Critical 강현구
Priority to KR1020140106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9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사진 공유 서버에서,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수신모듈(210)이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406);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인증확인모듈(220)이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S408; S412);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송신모듈(230)이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되어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4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Method of Sharing Photo by means of NFC Tag,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 공유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가 설치된 인화 용지를 NFC 리더로 읽어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휴대폰,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웨어러블 통신 장치 등의 휴대용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의 사진 공유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PC 또는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개별 사진 단위로 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신저 서비스 등을 통해 전송하거나, 온라인 사진 공유 서비스에 개별 사진을 업로드한 후에, 해당 사진이 업로드된 링크 정보 자체를 온라인 상에서 공유하는 방법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진 공유 서비스는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공유자) 일일이 개별 사진을 전달받고자 하는 자(피공유자)에게 온라인 상으로 전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유자가 업로드된 사진에 대한 링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공유자가 업로드한 사진들이 저장된 링크 정보를 제3자가 알기만 하여도 링크 정보를 통하여 공유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진 공유 시스템은 사진이 저장된 링크 정보만을 공유자들에게 온라인상으로 전달함으로써, 링크 정보를 통하여 사진을 열람하기 전에는 어떠한 사진에 대한 것인지 대표 사진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오프라인 상에서는 그 어떠한 사진 열람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1486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에는 무선 환경에서 사진을 공유할 경우 무선 홈페이지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P2P 방식을 이용하여 사진을 상호 공유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사진 공유방법의 경우 전술한 종래 사진 공유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개별 사진을 공유자가 피공유자별로 별도로 사진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공유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사진을 공유할 때, 오로지 디지털 정보의 교환만을 수행하여 사진을 공유함으로써, 사진을 공유하는 사람과 사진을 공유받는 사람간의 인간적인 교감이 부족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나 이상의 사진이 저장된 사진 저장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NEAR FILED COMMUNICATION) 태그가 부착된 용지를 피공유자의 NFC 리더로서 읽어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사진의 저장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를 사전에 인가된 피공유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NFC 리더에서만 읽혀지도록 하여, 사전에 인가된 피공유자만 사진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NFC 태그가 부착된 인화용지에 메시지 또는 사진을 인쇄하여 피공유자에게 전달하고 피공유자를 인쇄된 용지의 인쇄 내용을 본 후 NFC 태그를 판독하여 소정의 사진들을 볼 수 있게 됨으로써 피공유자에게 공유된 사진에 대한 사전 메시지 전달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진 공유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진의 저장 링크 정보만을 온라인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의 저장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가 부착된 용지를 피공유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공유함으로써, 사진을 공유하는 것 자체가 선물을 전달하는 것과 같은 감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사진 공유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사진 공유 서버에서,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수신모듈이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송신모듈이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되어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인증된 공유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보수신모듈이 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정보송신모듈이 인증된 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앨범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가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정보들 중 하나에 일치하면 피공유자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앨범파일은 사진 이미지 정보 및 사진 촬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정보수신모듈이 상기 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공유될 사진의 선택 정보로 구성된 앨범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앨범설정모듈이 상기 앨범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공유앨범의 접속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접속 링크 정보가 독출된 NFC 태그가 접근 허용된 NFC 태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수신된 상기 NFC 고유 정보가 접근 허용된 NFC 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정보송신모듈이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정보수신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피공유자의 계정의 앨범에 공유자의 공유앨범을 연계할 것을 요청받는 단계 및 앨범설정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계정의 앨범에 공유자의 공유앨범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에서,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정보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되, 소정의 개수의 사진 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소정의 광고정보를 삽입하여 송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공유 서버와 결합되어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 공유 서버의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에 해당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로부터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의 정보 및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 공유 서버가 상기 피공유자가 공유앨범의 공유자가 열람을 허용한 자임을 인증한 후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공유 서버와 통신하여 전술한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사진 공유 서버는,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수신모듈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인증확인모듈 및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되어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정보송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의 NFC 태그 및 이러한 NFC 태그가 부착된 인화용지를 포함한다.
이 때, 인화 용지에는 공유되는 앨범의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이 인화되어 있으며, 상기 NFC 태그는 사진이 인화되는 범위 이외의 구역에서 인화 용지의 전면, 배면 또는 그 내부에 부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되는 사진 공유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된 사진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사진 공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된 사진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사진 공유 절차를 나타내는 부분 흐름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사진 공유 방법에 사용되는 NFC 태그가 부착된 인화 용지에 대한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진'의 용어는 정지된 영상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동영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일정으로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기술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NFC 통신 기술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NFC 이동 통신 단말기는 NFC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예컨대 랩탑 컴퓨터, 이동전화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을 공유하는 시스템은, 사진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의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사진을 업로드한 후에, 공유자 단말기(100)가 사진 공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진으로 구성된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공유자의 단말기(100)는 NFC 쓰기(writing)/읽기(rea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기초로, 공유자의 단말기(100)는 소정의 NFC 고유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NFC 태그(300)에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로부터 입수한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쓰기(writing)한다. 따라서, NFC 태그에는 공유자가 공유하기로 의도한 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가 담겨지게 된다.
NFC 태그는 그 자체로도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지만, 전달되는 사진에 대한 사전 정보를 피공유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NFC 태그가 부착된 인화용지(310)에는 전달되는 공유 앨범에서의 대표 사진(320), 또는 정보 전달에 적합한 그림 또는 글이 인쇄될 수 있다.
한편,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적어도 NFC 태그와 교신하여 NFC 태그에 담겨진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상기 NFC 태그(300)가 부착된 인화용지를 전달받은 피공유자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를 통하여 NFC 태그를 태깅하여 NFC 태그에 담겨진 링크 정보를 읽게 되고, 읽혀진 링크 정보를 통하여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피공유자의 단말기의 접속 정보, 예를 들어 공유자의를 친구 리스트를 검색하여 피공유자가 공유자에 의해 공유가 허용된 자인지를 확인하게 되고, 피공유자가 공유자에 공유 허용 리스트에 존재한다면 사진 공유 서버(200)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 공유 앨범의 컨텐츠를 전송하게 되고, 피공유자는 공유자가 피공유자에게 공유하고자 의도하였던 앨범의 사진들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유되는 사진을 업로드 하는 공유자와 공유 앨범 사진의 링크 정보를 NFC 태그에 쓰기(writing) 하는 공유자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사진 공유 서버에 저장된 사진을 원래 업로드한 공유자로부터 적법하게 접근 권한 및 배포 권한을 확보한 또다른 공유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의 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NFC 태그(300)에 쓰기(writing) 할 수 있다. 또한, 공유자의 단말기(100)는 적어도 NFC 태그(300)에 정보 쓰기가 가능하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적어도 NFC 태그(300)에 담겨진 정보의 읽기(reading)가 가능하다.
공유자의 단말기(100) 및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와 NFC 태그(300)는 인터페이싱, 예컨대 스캔 또는 비접촉 태깅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태깅'이라는 용어는 '스캔'와 '비접촉 태깅'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NFC 장치, 예컨대 NFC 리더를 NFC 태그(300)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단말기의 NFC 장치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 예컨대 NFC 태그(300)의 태그 컨텐츠를 관리하는 인터넷 상의 접속 링크 정보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읽을 수 있다. 이를 스캔 또는 태깅이라 한다. 이때 접속 링크 정보인 URL 은 NFC 태그에 대응하는 NFC 태그 컨텐츠를 관리하는 관리자, 예컨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 일 수 있다. 한편, NFC 태그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가 최대 66kb 인 점을 고려한다면 상기 접속 링크 정보는 short UR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의 사진 공유 서버(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란 사진 공유 서버(200)는 사용자들의 단말기(100, 400)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모듈(210)과,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기의 요청이 허용된 적절한 사용자의 요청인지를 확인하는 인증확인모듈(220)을 구비한다. 또한, 사진 공유 서버(200)는 인증확인모듈(220)에 의해 허용된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개별 단말기에 정보를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송신모듈(2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는 다양한 DB 모듈(240)을 구비하되, 사진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241), 각 회원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로서, 각 회원이 자신의 사진 정보를 공유할 것을 허용한 공유 허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공유 허용자 정보 DB(242), NFC 태그의 헤더 정보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NFC 고유 정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사용되는 NFC 태그를 인정된 NFC 태그만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 인증된 NFC 태그에 대한 고유 정보가 저장된 허용 NFC 정보 DB(2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는 사진에 대한 영상 정보 및 메타 정보가 저장된 사진 정보 DB(244), 하나 이상의 사진들이 모여 구성되며, 해당 사진들에 대한 그룹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사진들에 대하여 공유자가 부여한 앨범명칭이 포함하여 저장된 앨범 정보 DB(245), 공유자에 의해 공유가 허용된 사진 정보/앨범 정보가 저장된 공유 정보 DB(246),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공유 서비스에서 사전에 인증되지 않은 NFC 태그가 사용될 경우, 비인증 NFC 태그를 이용하여 피공유자가 공유앨범링크로 접속을 시도할 때, 사진 공유 서버가 우선 피공유자의 단말기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거나, 정상적인 공유앨범링크로 접속시에도 필요시에 소정의 사진 마다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 정보 DB(24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들의 그룹에 대한 정보인 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앨범설정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앨범설정모듈(250)은 공유자가 공유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진을 업로드할 때 사진 정보를 사진 DB(244)에 저장하도록 명령하는 사진 업로드부(251)와, 공유자가 공유를 하고자 하는 사진이나 앨범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링크 정보 생성부(252)와, 피공유자가 링크 정보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개별 사진 또는 앨범을 웹상에서 전송받아 볼 때 피공유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지는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레이아웃 구성부(2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는 정보 추출 모듈(270)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 추출 모듈(270)은 사진 공유 서버(200)에 업로드된 복수의 사진들을 사용자의 선택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각 사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추출되는 정보는 각 사진 파일에 포함된 메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촬영 일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 카메라 기종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추출되는 정보는 사진의 업로드 일시, 파일 크기 정보, 얼굴 인식 정보 등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얼굴 인식 정보는 사진 내에서 얼굴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으로부터 얼굴의 윤곽선, 색상 등의 분석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인물을 식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촬영된 사진 이미지로부터 가족, 친구 등의 얼굴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로부터 가족 사진인지 등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서버는 자동 분류 모듈(260)을 구비한다. 상기 자동 분류 모듈(2600은 상기 정보 추출 모듈(340)을 통해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사진을 분류하여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각 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의해 특정 조건에 맞는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분류 조건으로서 상기 정보 추출 모듈(270)에서 추출한 정보와 같이, 촬영일자 별로 분류하거나, 지역별로 분류하거나, 카메라 기종별로 분류하거나, 파일 크기별로 분류하거나, 색상 정보별로 분류하거나, 얼굴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추출 모듈(270)과 자동 분류 모듈(260)에 의해 사용자는 앨범을 구성하기 위해 사진을 하나씩 일일이 선택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사진들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앨범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각각이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명령으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모듈은 소정의 명령과 상기 소정의 명령이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모귤이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링크도 리스트(linked 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된 사진 공유 서비스를 사용한 사진 공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인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사진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공유 서비스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하고 회원 가입을 한 공유자의 단말기(100)가 사진 공유 서버(200)에 서버 접속을 하고(S102), 사진 공유 서버(200)는 로그인 절차를 통하여 공유자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한 공유자가 기존의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인지 확인을 하고(S106), 공유자는 단말기에 로컬 저장되어 있는 사진 중에서 사진 공유 서버(200)로 전송하여 공유할 사진을 선택한 후(S104), 공유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진이 사진 공유 서버(200)로 업로드된다(S108). 사진 공유 서버(200)에 업로드된 사진은 사진 업로드부(251)에 의해 사진 정보 DB(244)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공유자가 공유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진들로써 앨범을 구성하는 정보를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공유자가 사전에 설정한 자동 분류 요청에 따라 자동 분류 모듈(260)은 분류된 사진들이 앨범을 구성하여 분류되도록 하여, 앨범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저장하게 된다. 사진 전송 서버(200)에 저장된 사진 및 공유자의 요청에 의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 분류된 사진들로 구성된 앨범은 공유자가 사진 저장 서브(200)에 로그인 과정을 거쳐서 언제든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거나 사진 및/또는 앨범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공유자는 사진 공유 서버에 저장된 사진/앨범을 타인에게 공유하고자 할 경우, 사진 저장 서버(200)에 공유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다시 서버 접속하면(S202), 사진 저장 서버(200)의 인증확인모듈(220)이 회원 정보 DB(241)을 조회하여 회원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S204).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 수신 모듈(210)은 피공유자에게 공유한 공유 앨범 링크 정보를 공유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206). 사진 공유 서버(200)는 이에 응답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앨범의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S204), 생성된 공유 앨범 링크 정보를 공유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10). 그러면, 상기 공유자는 공유자 단말기(100)의 NFC 장치의 쓰기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고유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S200) NFC 태그(300)에 사진 저장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공유 앨범 링크 정보를 쓰기(writing) 하게 된다.
이후 공유자는 공유 앨범 링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태그(300)를 해당 공유 앨범의 대표 사진(320)이 인화되어 있거나 소정의 문구(330)가 쓰여져 있는 인화 용지(310: 도 5)에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NFC 태그(300)에 공유 앨범 링크 정보가 쓰기 된 이후에 NFC 태그(300)를 인화 용지에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NFC 태그가 인화 용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NFC 태그(300)에 공유 앨범 링크 정보가 쓰기(writing) 될 수도 있다.
이후, 공유자는 공유 앨범 링크 정보가 담겨져 있는 NFC 태그(300)가 부착된 인화 용지(310: 도 5 참조)를 소정의 피공유자에게 오프라인상에서 전달하게 된다(S300). 상기 공유 앨범 링크 정보가 담겨져 있는 NFC 태그(300)가 부착된 인화 용지(310)를 공유자로부터 전달받은 피공유자는 인화 용지에 인화되어 있는 사진이나 문구를 보고서 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의 내용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앨범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공유자는 전달받은 인화용지(310)의 NFC 태그(300)에 NFC 읽기(rea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를 태깅하면(S402), 상기 NFC 태그(3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앨범 링크 정보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읽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NFC 태그(300)에 원래 담겨져 있는 NFC 고유 정보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읽혀지게 된다.
이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NFC 태그(300)에서 입수된 공유 앨범 링크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접속을 하게 된다. 이에 응답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수신모듈(210)은 사진정보 DB(244)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406).
이후,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인증확인모듈(220)은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되는 피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리스트, 예를 들어 공유자의 친구 리스트와 비교하여 피공유자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인지 확인하고 인증하는 단계(S408; S412)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은 NFC 태그의 공유 정보를 접근 허용된 NFC 태그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 NFC 태그를 사용한 공유 앨범 링크 접속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410).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이 인증정보를 부여하게 되면(S412)는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송신모듈(230)은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되어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게 된다(S414). 이 과정에서, 정보송신모듈(230)은 필요하다면 광고컨텐츠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S416). 그러면,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S418).
이후, 피공유자가 앨범 정보를 확인한 후에 공유된 앨범 정보를 피공유자 자신의 계정의 앨범에 연계하고자 하는 요청을 공유 서버(200)에 전송하게 되면, 즉 정보수신모듈(210)이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피공유자의 계정의 앨범에 대하여 연계하는 것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게 되면(S420),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는 공유자의 공유 앨범의 정보를 피공유자의 앨범 정보에 연계하게 되고, 이후 피공유자는 공유자의 공유 앨범을 피공유자 자신의 앨범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앨범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 단말기인지 확인하여 인증하는 단계(S408, S412)는,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리스트와 비교하는 단계(S408) 및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가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정보들 중 하나에 일치하면 피공유자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S412)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만약, 피공유자의 정보가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리스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정보 송신모듈은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접근권한이 없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수신된 상기 NFC 고유 정보가 접근 허용된 NFC 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정보송신모듈(230)은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 송신하고(S416), 피공유자 단말기(400)에 광고 컨텐츠가 모두 전송되어 피공유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광고 컨텐츠가 모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정보 송신모듈(230)은 공유 앨범의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S414). 또한, 앞서 설명한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414)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정보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되, 소정의 개수의 사진 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소정의 광고정보를 삽입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방법이 구현된 사진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사진 공유 절차를 나타내는 부분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NFC 태그가 피공유자에게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단계(S300) 이후의 단계 중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공유하고자 하는 앨범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공유자는 전달받은 인화용지(310)의 NFC 태그(300)에 NFC 읽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를 태깅하면(S402), 상기 NFC 태그(3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앨범 링크 정보는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읽혀지게 된다(S404). 이 과정에서, NFC 태그(300)에 원래 저장되어 있던 NFC 고유 정보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읽혀지게 된다.
이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NFC 태그(300)에서 입수된 공유 앨범 링크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접속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수신모듈(210)은 사진정보 DB(244)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406).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은 NFC 태그의 공유 정보를 접근 허용된 NFC 태그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 NFC 태그를 사용한 공유 앨범 링크 접속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410'). 만약 인증된 NFC 태그를 이용한 접속 시도가 아니라면, 즉 수신된 상기 NFC 고유 정보가 접근 허용된 NFC 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 송신 모듈(230)은, 상기 정보송신모듈(230)은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 송신하게 되고(S416), 해당 광고 컨텐츠의 송신이 완료되고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서 해당 광고 컨텐츠의 열람이 종료된 것이 확인된 후에 인증된 NFC 태그를 사용한 경우의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인증확인모듈(220)이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본 발명의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 송신모듈(230)은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어플 스토어(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마켓)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고(S413), 어플 스토어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피공유자의 단말기로 다운로드되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의 이후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인증확인모듈(220)은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되는 피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리스트, 예를 들어 공유자의 친구 리스트와 비교하여 피공유자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인지 확인하고 인증하는 단계(S408')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 허용된 피공유자가 아니라도 판단되면, 정보송신모듈은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는 접근 권한이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415).
또한,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이 피공유자가 공유 허용된 리스트 중의 1인 인 것으로 확인하며, 이어서 상기 인증확인모듈(220)은 상기 피공유자가 피공유자 자신의 계정의 앨범에 공유자의 공유 앨범을 연계시킬 수 있는지 확인한 후(S409), 연계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정보송신모듈(230)은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공유 허용된 앨범컨텐츠만을 전송하게 된다(S414). 만약 연계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진 저장 서버(200)는 피공유자의 앨범에 공유자의 앨범을 연계시킨 후(S422')에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앨범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S414) 이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에 전송된 앨범 컨텐츠는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표시된다(S418).
이 과정에서, 정보송신모듈(230)은 필요하다면 광고 컨텐츠도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S416). 그러면, 피공유자의 단말기(400)는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414)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정보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되, 소정의 개수의 사진 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소정의 광고정보를 삽입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공유 서버와 결합되어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은, 피공유자의 단말기(400)가 사진 공유 서버의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300)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404);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에 해당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406); 및,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로부터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414)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공유자의 단말기(400)가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사진 공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406)는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의 정보 및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400)가 상기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414)는 상기 사진 공유 서버(200)가 상기 피공유자가 공유앨범의 공유자가 열람을 허용한 자임을 인증한 후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공유 서버와 통신하여 전술한 사진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NFC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사진 공유 방법에 사용되는 NFC 태그가 부착된 인화 용지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 때, 인화 용지(310)에는 공유되는 앨범의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이 인화되는데, 상기 NFC 태그는 사진이 인화되는 범위 이외의 구역에서 인화 용지의 전면, 배면 또는 그 내부에 부착된다.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며, 전술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명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되어진 실시예로부터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도 본원 발명의 사상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100: 공유자 단말기 200: 사진 공유 서버
300: NFC 태그 400: 피공유자 단말기

Claims (15)

  1.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진 공유 서버에서,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수신모듈이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공유자의 단말기의 쓰기(writing)에 의해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접속 링크 정보가 독출된 NFC 태그가 접근 허용된 NFC 태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정보송신모듈이 인증된 피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되어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독출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링크 정보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을 공유할 수 있는 인증된 공유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보수신모듈(210)이 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는 단계 및
    상기 정보송신모듈이 인증된 공유자의 단말기에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앨범을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피공유자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확인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가 상기 공유자의 공유 허용자 정보들 중 하나에 일치하면 피공유자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앨범의 컨텐츠는 사진 이미지 정보 및 사진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모듈이 상기 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공유될 사진의 선택 정보로 구성된 앨범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의 앨범설정모듈이 상기 앨범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공유앨범의 접속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NFC 태그의 고유 정보가 접근 허용된 NFC 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정보송신모듈이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피공유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로부터 피공유자의 계정의 앨범에 공유자의 공유앨범을 연계할 것을 요청 받는 단계 및
    앨범설정모듈이 상기 피공유자의 계정의 앨범에 공유자의 공유앨범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정보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되, 소정의 개수의 사진 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소정의 광고정보를 삽입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사진 공유 서버와 결합되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사진 공유 서버의 사진정보 DB에 저장된 사진들 중 특정 그룹의 사진인 소정의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공유자의 단말기의 쓰기(writing)에 의해 저장된 NFC 태그로부터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접속 링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접속 링크 정보가 독출된 NFC 태그가 접근 허용된 NFC 태그인지를 확인하도록 NFC 태그의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에 해당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진 공유 서버로부터 공유 허용된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앨범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의 정보 및 상기 피공유자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공유자의 단말기가 상기 공유앨범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 공유 서버가 상기 피공유자가 공유앨범의 공유자가 열람을 허용한 자임을 인증한 후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15. 사진 공유 서버와 통신하여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40106967A 2014-08-18 2014-08-18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161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67A KR101616957B1 (ko) 2014-08-18 2014-08-18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67A KR101616957B1 (ko) 2014-08-18 2014-08-18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36A KR20160021936A (ko) 2016-02-29
KR101616957B1 true KR101616957B1 (ko) 2016-05-02

Family

ID=5544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967A KR101616957B1 (ko) 2014-08-18 2014-08-18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83A1 (ko) * 2022-10-06 2024-04-11 김해민 콘텐츠 열람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715B1 (ko) * 2023-01-19 2023-09-25 백승환 사진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8B1 (ko) * 2007-05-14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8B1 (ko) * 2007-05-14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83A1 (ko) * 2022-10-06 2024-04-11 김해민 콘텐츠 열람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36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85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ssets in a network-based media sharing system using tagging
EP207351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computer executable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ing personal information
US20060227378A1 (en) Data storage device, data storage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1807944A (zh) 移动终端及其数据共享方法
CN102594896A (zh) 电子相片共享方法及系统
CN103365922A (zh) 一种用于关联图像和个人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3016908A1 (zh) 结合地理位置信息和验证信息的电子名片传递方法及系统
CN103167258B (zh) 用于选择图像捕获装置上捕获的图像的方法、系统和设备
US20200302897A1 (en) Business card management system and card case
US10567498B2 (en)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TWI477114B (zh) 以擴增實境為基礎並結合雲端計算之創新檔案傳輸方法
KR10161695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WO2013016916A1 (zh) 一种结合蓝牙无线技术的电子名片传递方法及系统
KR101175174B1 (ko) 실물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81892A (ko)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24968A1 (en) Image data distribution server
WO2021007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data between networked devices
JP2006195636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KR101231156B1 (ko) Qr 코드를 이용하는 사진 폴더 관리 시스템 및 사진 폴더 관리 방법
JP5565063B2 (ja) 情報取得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およ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US20120275643A1 (en) Purchasing Photographic Products from a Software Application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CN109977246B (zh) 一种基于用户行程归类照片的方法及系统
JP4708379B2 (ja) 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
KR102522138B1 (ko)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24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dditional content in a printed document at a time of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