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811A -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811A
KR20130142811A KR1020120066347A KR20120066347A KR20130142811A KR 20130142811 A KR20130142811 A KR 20130142811A KR 1020120066347 A KR1020120066347 A KR 1020120066347A KR 20120066347 A KR20120066347 A KR 20120066347A KR 20130142811 A KR20130142811 A KR 2013014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dna
layer
differe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612B1 (ko
Inventor
최영빈
박천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612B1/ko
Priority to PCT/KR2013/004649 priority patent/WO2013191387A1/ko
Publication of KR2013014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05Testing spectral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코드마크 및 코드마크 제조방법,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코드마크 인식 방법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CODE MARK AND MANUFACTURING METHOD, COGNITION SYSTEM, COGN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드마크 및 코드마크 제조방법,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코드마크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에 진입하면서, 사무 자동화 기기의 발달과 함께 스캐너, 컬러 프린터, 복사기의 기능이 대폭 향상되어 고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화폐, 유가증권, 바코드, ID 카드, 신용카드, 전자 여권 등의 보안요소를 위조하여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위조된 바코드를 대형 마트에서 사용하여 상품가의 차액을 편취하는 사례, ID 카드를 위변조하여 불법으로 타인의 신용카드를 발급받는 사례 등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위변조 기술의 발달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요소의 위조 여부를 간단하고도 신뢰성 높게 판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형광잉크를 이용한 보안요소 인식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2008-0055671호에는 자외선 형광잉크를 이용한 보안요소 인식을 통하여 유가증권, 신용카드 등의 위변조 여부를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높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보안요소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되게 회절광학소자를 구비해야 하는데, 광학소자계열의 가격은 일반 인식장치의 가격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며, 회절로 분리된 상을 다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오류는 보안요소 인식 정확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회절로 분리된 상은 보안요소 원본 자체의 영상이 아니기 때문에 인식 오류율은 더욱 높아지게 되어 인식 방법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른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을 가진 다수개의 물질을 중복 또는 중첩되도록 인쇄 또는 도포하고, 여기 파장 필터 및 방출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복제, 위조, 식별이 불가능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코드마크 및 코드마크 제조방법,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코드마크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NA 태깅된 마크 물질을 도포하고, 파장값을 알고 있는 다중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코드마크를 분석 및 해독할 수 있는 코드마크 및 코드마크 제조방법,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코드마크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 차적으로 인식 장치로 코드마크를 스캔하고, 판독이 불가능한 것들만 2 차적으로 DNA 칩으로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코드마크 및 코드마크 제조방법,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코드마크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코드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제 1 마크 물질로 제 1 형상을 가지는 제 1 마크층을 도포 또는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마크 물질과 다른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을 나타내는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상기 제 1 형상과는 다른 제 2 형상의 제 2 마크층으로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코드마크; 및 상기 코드마크의 서로 다른 여기 파장 또는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 1 마크층 및 제 2 마크층을 인식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코드마크와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상기 코드마크에, 상기 서로 다른 여기 파장을 가지는 광들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여기 파장으로 인해 방출되는 상기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순차적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기 코드마크와 상기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상기 인식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인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화학적 반응에 기반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의 매칭 여부에 따라 대량의 코드마크를 실시간으로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량으로 스캔한 후, 인식 및 판독이 되지 않는 소량의 코드마크는 2 차적으로 DNA 칩으로 정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미 알고 있는 파장 대역의 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판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광 물질 및 필터의 조합을 통하여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한 코드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화학 반응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그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휴대 편의성도 높인 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마크의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기 파장 필터 및 방출 파장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드마크에 DNA가 포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코드마크에 마크층이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코드마크의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의 코드마크에 DNA가 포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제조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에서 코드마크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에서 DNA가 포함된 코드마크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인식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드마크(100)는 제 1 마크층(110) 및 제 2 마크층(130)을 포함한다.
제 1 마크층(110)은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제 2 마크층(13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코드마크(100)의 형상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의 코드마크(100)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 1 마크층(110)의 마크 물질의 여기 파장과 제 2 마크층(130)의 마크 물질의 여기 파장은 다른 파장을 가질 수 있다.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제 1 마크층(110)의 마크 물질의 방출 파장과 제 2 마크층(130)의 방출 파장은 다른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마크 물질은 형광 색소(Fluorochrome) 또는 퀀텀 닷(Quantum dot)일 수 있고,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중심 파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마크층(110)의 여기 파장과 제 1 마크층(110)의 방출 파장은 서로 다르며, 제 2 마크층의 여기 파장과 제 2 마크층(130)의 방출 파장 역시 서로 다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형광 색소는, 어떤 파장의 빛으로 들뜨게 하면, 그보다 장파장의 형광을 발생하는 유기 화합물로, 미량으로 추적할 수 있으나, 섞이는 물질에 대한 친화성이 색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잉크와 섞을 때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 1 마크층(110)은 제 1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제 2 마크층(130)은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형상은 A 이고, 제 2 형상은 B 일 수 있으며, XYZ축 공간을 가정하면 XY 평면에 A 라는 제 1 형상이 인쇄 또는 도포될 수 있는 것이며, A 라는 제 1 형상이 인쇄 또는 도포된 면에 겹치도록 B 라는 제 2 형상이 인쇄 또는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제 1 형상이 인쇄 또는 도포된 면과 제 2 형상이 인쇄 또는 도포된 면이 겹치도록 적층될 수도 있으며, 이는 Z 축 방향으로 제 1 형상과 제 2 형상이 적층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든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형상과 제 2 형상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제 1 형상과 제 2 형상이 겹쳐져 제 1 형상과 제 2 형상이 의미하는 데이터를 육안 등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그 보안성을 높이기 위함일 수 있다. 또는, 제 1 형상과 제 2 형상의 순서, 조합, 배치 등으로 코드마크(100)가 부착되는 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형상이 A 이고, 제 2 형상이 B 인 경우, (A, B), (B, A) 등으로 순서를 변경하여 2 개의 물품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A), (B, B)의 조합 등을 이용하여 더욱 많은 경우의 수를 발생시킴으로써, 더 많은 물품 등을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A와 B의 배치를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경우의 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물품 등을 구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코드마크(100)는 바코드, QR 코드, 컬러집(Colorzip) 코드 등과는 달리, 육안으로 그 형상을 확인 및 의미를 식별할 수 없고, 인쇄 등으로 위조, 복제 등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은 도형, 문자, 패턴, 기호, 부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가의 제품에 MADE IN ITALY라는 원산지 표시 외에 코드마크(100)를 더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코드 체계 등에 따라 도형, 문자, 패턴, 기호, 부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받을 수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코드마크(100)의 코드 체계에 구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일정 색상 및 일정 형상으로 제 1 마크층(110) 또는 제 2 마크층(130)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커버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형상이 1 이고, 제 2 형상이 B 이며, 1을 중심으로 B 가 그 위에 인쇄 또는 도포된 경우, 육안으로도 그 형상을 구분할 수가 있으므로, 가시광선 상에서는 구분할 수 없도록 일정 색상의 커버 물질이나 일정 형상의 커버 물질을 도포 또는 인쇄할 수 있다.
커버 물질은 검정 색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검정색 잉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마크층(110)에는 1을 인쇄하고, 제 2 마크층(130)에는 9를 인쇄하고, 그 위에 검정 잉크를 도포 또는 인쇄하는 경우, 외관상으로는 검정색만 보일 뿐 그 내부에 각기 다른 방출 파장을 가지는 1 이라는 숫자와 9 라는 숫자는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물질은 검정 색상 이외에도 마크 물질과 다른 다양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마크 물질이 빨간색 계열이고, 제 2 마크 물질이 파란색 계열인 경우, 커버 물질은 보라색 계열일 수 있다.
또한, 커버 물질은 마크 물질과 동일한 색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마크층(110)에 빨간색의 방출 파장을 가지는 @를 인쇄하고, 제 2 마크층(130)에는 파란색의 방출 파장을 가지는 $를 인쇄하고, 빨간색 또는 파란색 커버 물질로 해당 면을 모두 덮어버리는 경우, 외관상으로는 전혀 그 의미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위조나 복제를 하더라도 아무런 의미없는 검정색 또는 상부에 드러나는 마크 물질과 동일한 잉크의 색상만 복제될 뿐이고, 그 내부에 어떠한 마크 물질이 적층되어 있는지는 알 수 없으므로, 그 내부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위조 및 복제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마크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더라도, 마크 물질의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의 갭이 극히 적으므로, 정확한 파장 대역을 알고 있지 않으면, 해당 마크 물질이 도포된 형상의 의미를 해석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500nm의 빛을 흡수해야만 510nm의 방출 파장을 발산하는 마크 물질이 있다고 가정하면, 마크 물질을 발광시키기 위해 500nm의 빛을 찾아야 하고, 찾았다고 하더라도, 500nm 대역으로부터 10nm만 벗어나면 발광 대역과 조사 대역이 동일해지므로, 그 마크 물질의 발광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하나의 마크 물질만이 도포되는 것이 아니고, 비슷한 대역의 마크 물질을 적층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마크 물질의 발광 대역이 유사한 경우 발광 상태도 겹쳐보이게 되므로 위조 및 복제가 불가능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마크의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마크층(110)의 제 1 여기 파장(111)과 제 1 방출 파장(113)은 매우 근접하게 그 피크 대역이 이웃하고 있지만, 완전히 겹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마크층(130)의 제 2 여기 파장(131)과 제 2 방출 파장(133)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 1 마크층(110)은 특정 여기 파장의 빛(약 560nm)을 조사받게 되면, 더 낮은 에너지, 즉 더 높은 파장의 빛(약 570nm)을 발산할 수 있는 마크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마크층(130)은 특정 여기 파장의 빛(약 650nm)을 조사받게 되면, 더 낮은 에너지, 즉 더 높은 파장의 빛(약 670nm)을 발산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마크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의 피크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마크 물질은 형광 물질로 한정되지 않고, 퀀텀 닷(Quantum Dot)을 이용할 수 있다. 퀀텀 닷은 마크 물질과 유사하게 특정 파장에서 빛을 흡수하여 다른 파장대로 빛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마크 물질은 형광 물질인 3-Hydroxypyrene5,8,10-Tri Sulfonic acid부터 YO PRO 1까지 다양한 형광 색소일 수 있으며, 퀀텀 닷일 수도 있다. 또한, 형광 물질 퀀텀 닷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이 존재하는 모든 물질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기 파장 필터 및 방출 파장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물질 A와 물질 B의 여기 파장은 (a)의 여기 파장과 같고, 방출 파장은 (a)의 방출 파장 부분과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물질 A와 물질 B는 방출 파장 대역이 거의 유사하므로, 물질 A와 물질 B에 맞는 여기 파장을 조사하더라도 그 형상은 겹쳐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b)와 같이 일정 대역의 빛, 예를 들어 파란색과 같은 빛만을 이용하여 여기를 시키면, 물질 A 만이 반응하므로, 물질 A만이 빛을 방출하게 되고, 이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c)와 같이 일정 대역의 빛, 예를 들어 빨간색과 같은 빛만을 이용하여 여기를 시키면, 물질 B 만이 반응하므로, 물질 B만이 빛을 방출하게 되며, 이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여기 파장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여기 파장 필터(Excitation Filter)라 하며, 코드마크의 디코딩 방법 중 하나이다.
코드마크의 다른 디코딩 방법은 방출 파장을 필터링하는 필터인 방출 파장 필터(Emission Filter)라고 하며,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질 A와 물질 B의 여기 파장은 (a)의 여기 파장과 같고, 방출 파장은 (a)의 방출 파장 부분과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물질 A와 물질 B는 방출 파장 대역이 거의 유사하므로, 물질 A와 물질 B에 맞는 여기 파장을 조사하더라도 그 형상은 겹쳐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b)와 같이 일정 대역의 빛, 예를 들어 빨간색과 같은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켜주는 방출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을 시키면, 물질 A만이 방출 파장 필터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c)와 같이 일정 대역의 빛, 예를 들어, 파란색과 같은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켜주는 방출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을 시키면, 물질 B만이 방출 파장 필터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코드마크의 디코딩 방법은 정리하면, 여기 파장을 선별할 것인지, 방출 파장을 선별적으로 방출할 것인지, 또는 두 가지의 디코딩 방법을 모두 혼합하여 보다 간섭이 없도록 할 것인지 등으로 구분되는데, 코드마크의 디코딩은 어느 것을 사용하든, 상술한 것들의 조합이든 간에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코드마크에 DNA가 포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마크 물질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1 DNA(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마크 물질은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2 DNA(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마크 물질 내의 제 1 DNA(115)가 하나 또는 다수 포함될 수 있고, 제 1 DNA(115)와는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제 2 DNA(135)가 하나 또는 다수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DNA(115)의 종류와 제 2 DNA(135)의 종류는 다를 수 있다.
제 1 DNA(115)는 제 1 마크 물질과 동일한 표지 물질에 의하여 표지 또는 상기 제 1 마크 물질로 염색될 수 있고, 제 2 DNA(135)는 제 2 마크 물질과 동일한 표지 물질에 의하여 표지 또는 제 2 마크 물질로 염색될 수 있다.
여기서, 최근 개발된 나노 DNA 바코드를 살펴보면, 나노 DNA 바코드는 단순히 DNA 암호만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변형이 일어나거나 장기간 부착되지 못하는 등의 안정성의 문제가 발견되어, DNA 암호를 무기 캡슐이 넣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나노 DNA 바코드 시스템은 안정성이 확보된 DNA 사슬을 제품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DNA 정보를 추후에 분리, 분석함으로써 암호의 값을 찾아낼 수 있다. 다만, DNA 암호를 풀기 위해서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 가격이 억대를 호가하는 고가이고, 휴대가 어려우며, 1 개의 암호를 분석하는데 DNA 변성, 프라이머의 결합, DNA 합성을 반복하는 온도 변화에 걸리는 시간이 적어도 2 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 1 마크층(110) 및 제 2 마크층(130)에 제 1 DNA(115) 및 제 2 DNA(135)를 삽입하는 경우, 1 차적으로 방출 파장의 분석을 하고, 방출 파장의 분석이 어려운 코드마크(100)만을 선별하여 2 차적으로 혼성화(Hybridization)를 위한 DNA 칩(DNA Chip, Microarray)을 이용하므로 높은 휴대성을 가지고 시간도 절약하면서 비용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 1 DNA(115), 제 2 DNA(135)는 염기서열의 종류가 서로 달라야 하는데, 예를 들어, 제 1 DNA(115)가 5' GCC AGC AGC CAC ACC AGA ATG ATG ACG GTC CGA AT 3', 5' ATT CGG ACG CTC ATC ATT CTG GTG TGG CTG CTG GC 3'의 쌍이라면, 제 2 DNA(135)는 5' GAG TAC TAT AAA ATT AAA GTG GCC GAC CTG TTG TC 3', 5' GAC AAC AGG TCG GCC ACT TTA ATT TTA TAG TAC TC 3'일 수 있다.
또한, 제 1 DNA(115)에 예를 들어, Alexa350 필터로 읽히는 형광 물질이 표지(Tagging)될 수도 있고 또는 염색(Dye)될 수도 있으며, 제 2 DNA(135)에 TRITC 필터로 읽히는 형광 물질이 표지 또는 염색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코드마크에 마크층이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코드마크의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5의 코드마크에 DNA가 포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마크층(110) 및 제 2 마크층(130)과 서로 다른 여기 파장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을 나타내는 제 3 마크 물질이 제 3 형상으로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3 마크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마크층(110), 제 2 마크층(130) 및 제 3 마크층(150)의 여기 파장, 방출 파장 및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코드마크(100)는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즉, 코드마크(100)는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마크층(110, 130)을 가져야 하지만, 그 위에 적층될 수 있는 마크층(150)의 수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각 마크층(110, 130, 150)의 여기 파장, 방출 파장이 다르다면 최소한의 필요 조건은 만족하므로 코드마크(100)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형상, 제 2 형상, 제 3 형상은 동일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각 마크층(110, 130, 150)의 방출 파장 대역이 다르다면, 방출 파장 대역의 종류로도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방출 파장 대역으로 데이터를 표현할 경우의 수를 발생시킬 것인지, 문자 등의 조합으로 데이터를 표현할 경우의 수를 발생시킬 것인지, 또는 그 둘을 섞어 경우의 수를 발생시킬 것인지의 여부는 구분해야 할 데이터의 숫자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또한, 최소한의 필요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에서, 마크층을 덧붙여 그 경우의 수를 늘릴 수도 있고, 형상의 종류 및 수를 변형하여 그 경우의 수를 늘릴 수도 있으며, 마크 물질의 색상과 종류를 변형하여 그 경우의 수를 늘릴 수도 있는 등의 다양한 종류의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필요 조건만을 만족한다면 나머지의 조건 및 경우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마크층(110)의 제 1 여기 파장(111), 제 1 방출 파장(113), 제 2 마크층(130)의 제 2 여기 파장(131), 제 2 방출 파장(133), 제 3 마크층(150)의 제 3 여기 파장(151), 제 3 방출 파장(153)의 피크는 서로 다르며 겹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된 내용은 중복이므로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코드마크(100)에 제 3 마크층(150)이 더 적층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제 3 DNA(155)도 제 1 마크층(110) 및 제 2 마크층(130)의 마크 물질과 다른 마크 물질로 태깅 또는 염색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된 내용은 중복이므로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제조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제 1 마크 물질로 제 1 형상을 가지는 제 1 마크층을 도포 또는 인쇄한다(S810).
그리고 나서, 제 1 마크 물질과 다른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을 나타내는 제 2 마크 물질이 제 1 마크층에 제 1 형상과는 다른 제 2 형상의 제 2 마크층으로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한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1)은 코드마크(100)와 인식 장치(3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코드마크(100), 인식 장치(300)는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마크층(110)에 A 라는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제 2 마크층(130)에 B 라는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다고 하면, 인식 장치(300)는 여기 파장 필터 또는 방출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제 1 마크층(110)의 A 라는 데이터를 촬영하고, 제 2 마크층(130)의 B 라는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으며,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인식 장치(300)는 서로 다른 여기 파장 또는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식별하는 다중 파장 필터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단파장 필터가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즉, 여기 파장 필터가 넓은 파장 대역을 필터링하여 코드 마크(100)를 디코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방출 파장 필터가 넓은 파장 대역을 필터링하여 코드 마크(100)를 디코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여기 파장 필터일 경우, 각각의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출 파장 필터일 경우, 각각의 파장의 빛만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LED는 다양한 광원 중 가장 포터블(Portable)한 광원을 실시예로 든 것 뿐이며,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은 여기 파장을 발광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단파장 필터는 하나의 파장만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중 대역 파장 필터가 아닌, 단파장 필터로 구성하려면, 적어도 두 개의 단파장 필터를 구비해야 한다. 즉, 다수개의 파장대를 분리하려면, 개수에 맞는 단파장 필터를 구비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파장대를 분리할 수 있는 다중 대역 파장 필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파장 필터도 다중 파장 필터와 마찬가지로 여기 파장 필터 또는 방출 파장 필터일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에서 코드마크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마크층(110)은 A 라는 데이터, 제 2 마크층(130)은 B 라는 데이터, 제 3 마크층(150)은 C 라는 데이터가 인쇄 또는 도포되어 있다.
이때, 인식 장치(300)는 여기광(Excitation Light) 및 내장 또는 외장된 여기 파장 필터 또는 방출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ABC라는 읽어들일 수 있다. 이때, 인식 장치(300)의 종류에 따라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웹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헨드 헬드 기기형 카메라(손으로 들 수 있는 카메라면 무엇이든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장치(300)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데, A 라는 데이터, B 라는 데이터, C 라는 데이터는 각각의 영상으로 촬영되거나 연속으로 촬영되었더라도 프레임이 다르므로, 분리되어 인식 장치(300) 또는 외부 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식별 대상과 코드 마크가 매칭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코드 마크와 촬영된 코드 마크(100)를 비교하여 비교 작업을 거쳐 코드 마크(100)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코드 마크(100)가 예를 들어, 이미지일 수 있는데,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의 색, 크기, 모양 등을 비교할 수 있으며, 글자 패턴인 경우, 글자의 종류, 조합, 배열 순서 등을 비교하여 알 수 있다.
이렇게 읽혀진 ABC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조합 및 순서였다고 가정하고, 하기의 표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패턴 데이터베이스 입력 출력
패턴 원산지

ABC
(빨간색, 초록색, 파랑색)
ABC(빨강, 파랑, 초록) 칠레
ABC(빨강, 빨강, 빨강) 일본
ABC(파랑, 초록, 초록) 미국
ABC(빨강, 초록, 파랑) 한국 일치함
ABC(초록, 초록, 초록) 대만
색상의 중복을 허락한 경우, 더욱 다양한 경우의 수가 나오게 되는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화된 값을 비교한 후 한국이 원산지인 것을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의 중복을 허락한 경우라는 것은 ABC 중 적어도 하나가 빨간색 또는 초록색 또는 파란색으로 도포 또는 인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색상은 방출 파장으로 인해 카메라 등으로 인해 읽혀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방출 파장과 색상은 동일한 의미인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가의 제품에 MADE IN ITALY라는 원산지 표시가 되어있는 경우, 이탈리아로부터 수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탈리아로부터 수입된 제품은 코드마크가 부착되었고, 위조된 제품은 코드마크를 복제한 코드마크를 부착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정당 권리자가 아닌 자가 해당 제품의 위조품을 만들고, 인증 코드도 복제하여 부착했다고 가정하면, 해당 제품의 진품 또는 원산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인식 장치(300)를 이용하여 정당 권리자의 제품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나노 DNA 바코드와 같은 경우, 해당 제품을 파악하는데만 적어도 2 시간 이상이 걸리지만, 본 발명의 코드마크(100)는 인식 장치(300)를 통하여 수초 미만의 시간만이 소요될 뿐이다.
도 11은 도 9의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에서 DNA가 포함된 코드마크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DNA 칩은 작은 금속 또는 유리 표면에 이미 염기서열이 알려진 수천에서 수만 종류의 DNA를 고밀도로 부착시키고, 특정 조직 또는 처리 조건의 mRNA 또는 cDNA를 탐침으로 상보적으로 혼성화를 시켜, 각 DNA의 혼성화 정도에 따라 대규모로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다.
예를 들어, 탐침 DNA(기준 DNA)와 제 1 마크층(110)의 목적 DNA(TEST DNA)를 혼성화시키는데, 탐침 DNA는 방사능 등으로 표지될 수 있으며, 찾고자 하는 목적 DNA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적당한 처리 조건에서 목적 DNA와 혼성화 반응을 하게 되면, 원하는 유전자를 탐지해낼 수 있게 되는 Southern 혼성화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유전자의 mRNA의 전사 여부와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탐침 DNA와 RNA를 혼성화하는 Northern 혼성화일 수 있다. DNA 칩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종류의 혼성화가 가능할 수 있다.
첫 번째 DNA 칩을 보면, 코드마크의 제 1 마크층(110), 제 2 마크층(130), 제 3 마크층(150)에 각각 A, B, C가 도포 또는 인쇄되어 있고, 각각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었다. 만약, 1 차적으로 인식 장치에 의해 판독을 실시했지만, 판독이 불가능했던 코드마크는 2 차적으로 DNA 칩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DNA 칩에서, 목적 DNA, 즉 제 1 마크층(110), 제 2 마크층(130), 제 3 마크층(150)의 제 1 DNA, 제 2 DNA, 제 3 DNA는 각각의 마크 물질로 태깅(라벨링)되어 있으므로, 혼성화시킨 후 여기 파장을 조사하면, DNA의 혼성화 정도에 따라 마크 물질이 형광 물질인 경우, 형광 광도를 측정하여 구분할 수 있다.
즉, DNA는 A-T, C-G 간의 강하고 선택적인 수소 결합을 이루고, 이들이 모여 적어도 이중 나선을 이루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DNA 칩은 상보적인 서열을 인지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DNA의 성질을 활용한다. 칩 위에는 한 가닥의 DNA 분자(탐침 DNA)가 미리 붙어 있고, 검색하고자 하는 mRNA, cDNA를 뿌려주면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것들만 탐침 DNA에 가서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탐침 DNA를 A, B, C 형상으로 마이크로 어레이(DNA Chip)에 배치하고, 제 1 DNA, 제 2 DNA, 제 3 DNA를 칩 위에 뿌려주면, 제 1 DNA는 A 형상의 탐침 DNA에 결합할 것이고, 제 2 DNA는 B 형상의 탐침 DNA에 결합하며, 제 3 DNA는 C 형상의 탐침 DNA에 결합할 것이다.
여기서, 제 1 DNA, 제 2 DNA, 제 3 DNA에 태깅된 형광 물질의 여기광을 조사하고, 방출 파장을 분석하면 1 차적인 스캔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마크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제 1 마크층(110)에 A, 제 2 마크층(130)에 C가 도포 또는 인쇄되어 있고, 각각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었다. 만약, 1 차적으로 인식 장치에 의해 판독을 실시했지만, 판독이 불가능했던 코드마크는 2 차적으로 DNA 칩을 이용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제 2 마크층(130)에 B, 제 3 마크층(150)에 C가 도포 또는 인쇄되어 있고, 각각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었으며, 네 번째는 제 1 마크층(110)에 A, 제 3 마크층(150)에 C가 도포 또는 인쇄되었다.
첫 번째 방법과 마찬가지로 두 번째 내지 네 번째도 DNA 칩으로 정밀 분석을 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입된 만개의 제품이 있고, 이를 모두 인식 장치의 스캔으로 분석은 했지만, 그 중 1 개가 판독이 안되어 의심스러울 때에는, DNA 칩으로 정밀한 분석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제품의 정당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인식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코드마크와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1200).
그리고 나서,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상기 코드마크에, 서로 다른 여기 파장을 가지는 광들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S1210).
이때, 여기 파장으로 인해 방출되는 상기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순차적으로 인식한다(S1220).
마지막으로, 인식된 코드마크와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인식 대상을 검색한다(S1230).
도 1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코드마크 인식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코드마크에 있어서,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코드마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층은 제 1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고,
    상기 제 2 마크층은 상기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것인, 코드마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은 도형, 문자, 패턴, 기호, 부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코드마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일정 색상 및 일정 형상으로 상기 제 1 마크층 또는 제 2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커버 물질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상기 제 1 마크 물질 및 제 2 마크 물질과 혼합되어 일정 색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마크층 및 제 2 마크층을 형성하는 커버 물질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물질은 상기 마크 물질과 동일한 색상 또는 검정 색상인 것인, 코드마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물질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1 DN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크 물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2 DNA를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NA는 상기 제 1 마크 물질과 동일한 표지 물질에 의하여 표지 또는 상기 제 1 마크 물질로 염색되고,
    상기 제 2 DNA는 상기 제 2 마크 물질과 동일한 표지 물질에 의하여 표지 또는 상기 제 2 마크 물질로 염색되는 것인, 코드마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물질은 형광 색소(Fluorochrome) 또는 퀀텀 닷(Quantum dot)이고, 상기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의 중심 파장은 서로 다른 것인, 코드마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제 2 마크층과 서로 다른 여기 파장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나타내는 제 3 마크 물질이 제 3 형상으로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3 마크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마크층, 제 2 마크층 및 제 3 마크층의 여기 파장, 방출 파장 및 형상은 서로 다른 것인, 코드마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마크 물질은 상기 제 1 DNA 및 제 2 DNA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제 3 DNA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12. 코드마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제 1 마크 물질로 제 1 형상을 가지는 제 1 마크층을 도포 또는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마크 물질과 다른 여기 파장 및 방출 파장을 나타내는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상기 제 1 형상과는 다른 제 2 형상의 제 2 마크층으로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물질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1 DN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크 물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2 DNA를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제조방법.
  14. 코드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코드마크; 및
    상기 코드마크의 서로 다른 여기 파장 또는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 1 마크층 및 제 2 마크층을 인식하는 인식장치
    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물질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1 DN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크 물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2 DNA를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마크의 제 1 마크 물질 및 제 2 마크 물질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DNA와 제 2 DNA가 수소 결합을 이루는 혼성화(DNA Hybridization)하기 위한 DNA 칩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장치에는 상기 서로 다른 여기 파장 또는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식별하는 다중 파장 필터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단파장 필터가 내장 또는 내장된 것인, 코드마크 인식 시스템.
  18. 코드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코드마크와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서로 다른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가지는 광들이 조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 파장(Emission Wavelength)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1 마크 물질이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1 마크층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크 물질들 중 제 2 마크 물질이 상기 제 1 마크층에 적층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제 2 마크층을 포함하는 상기 코드마크에, 상기 서로 다른 여기 파장을 가지는 광들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여기 파장으로 인해 방출되는 상기 서로 다른 방출 파장을 순차적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기 코드마크와 상기 인식 대상을 매칭하여 상기 인식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마크 인식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물질은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1 DN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크 물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DNA들 중 제 2 DNA를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인식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마크의 제 1 마크 물질 및 제 2 마크 물질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DNA와 제 2 DNA가 수소 결합을 이루는 혼성화(DNA Hybridization)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코드마크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층은 제 1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고,
    상기 제 2 마크층은 상기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을 형성하도록 도포 또는 인쇄되는 것인, 코드마크 인식방법.
KR1020120066347A 2012-06-20 2012-06-20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KR10138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347A KR101384612B1 (ko) 2012-06-20 2012-06-20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PCT/KR2013/004649 WO2013191387A1 (ko) 2012-06-20 2013-05-28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347A KR101384612B1 (ko) 2012-06-20 2012-06-20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11A true KR20130142811A (ko) 2013-12-30
KR101384612B1 KR101384612B1 (ko) 2014-04-11

Family

ID=4976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347A KR101384612B1 (ko) 2012-06-20 2012-06-20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4612B1 (ko)
WO (1) WO20131913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22B1 (ko) *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45254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조폐공사 보안 패턴 인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976B1 (en) * 2018-07-11 2019-10-29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Methods to identify additively manufactured par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96A (ja) * 2004-01-19 2005-07-28 Kyodo Printing Co Ltd 偽造防止部材およびコードマーク読取システム
JP4487090B2 (ja) * 2005-01-13 2010-06-23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真偽判別可能な発光印刷物
JP5055748B2 (ja) * 2005-11-11 2012-10-24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策が施された多層印刷物
KR101067588B1 (ko) * 2009-09-29 2011-09-27 한국조폐공사 진위식별용 섬유와 그 제조방법
KR101180081B1 (ko) * 2010-11-29 2012-09-06 한국조폐공사 다층 구조를 가지는 형광 은선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254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조폐공사 보안 패턴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163122B1 (ko) *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1101298A1 (ko)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더코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612B1 (ko) 2014-04-11
WO2013191387A1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480B2 (en) Multimode image and spectral reader
US8403223B2 (en) Invisible-fluorescent identification tags for materials
US68746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employing multi-spectral imaging for the remote identification and sorting of objects
US8746555B2 (en) Method of marking a document or item;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he marked document or item; use of circular polarizing particles
US7599544B2 (en) Authenticating and authentic article using spectral imaging and analysis
EP3013595B1 (en) Security coding system & marker, optoelectronic scanner and method of coding articles
US20080129037A1 (en) Tagging items with a security feature
US6786954B1 (en) Document security method utilizing microdrop combinatorics, ink set and ink composition used therein, and product formed
EP2637145B1 (en) Method of marking and identifying a document or item having circular polarizing particles
CN101681440A (zh) 使用可印刷染料和颜料创建和读取多色共平面标记的方法和系统
US7077329B2 (en) Spectral coding by fluorescent semiconductor nanocrystals for document identification and security applications
KR20070034594A (ko)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저장 소자를 구비하는 아이템
EP2973233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f rfid inlays
CA2619285A1 (en) Secure barcode
KR101384612B1 (ko)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CN108602374A (zh) 对设置有安全元素的对象的验证
CN104995623A (zh) 用于标记物品的方法和系统、以此方式标记的物品、以及用于验证所标记的物品的方法和系统
WO2000077104A1 (en) Ink set and ink composition used for document security method and product formed
TW201901530A (zh) 用於鑑別物件,特別是鑑別防偽元件的方法及防偽元件
CN107249897B (zh) 用于制造书式安全文件的方法
CN108364055B (zh) 一种多维光谱条形码用油墨
US8336783B2 (en) Polymeric thread with miniature pattern and fluorescent taggant for anti-counterfeit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30409844A1 (en) Method for Labelling Products with an Optical Security Feature with a Temporal Dimension
JP2005100003A (ja) 情報記録媒体
JP2006212944A (ja) 印刷物およびその印刷物の偽造判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