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102A -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102A
KR20130141102A KR1020120064226A KR20120064226A KR20130141102A KR 20130141102 A KR20130141102 A KR 20130141102A KR 1020120064226 A KR1020120064226 A KR 1020120064226A KR 20120064226 A KR20120064226 A KR 20120064226A KR 20130141102 A KR20130141102 A KR 2013014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riving
vehicl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욱
이경훈
Original Assignee
강재욱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욱, 이경훈 filed Critical 강재욱
Priority to KR102012006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102A/ko
Publication of KR2013014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 모듈과, 사전에 교통 혼잡을 예측하는 혼잡 예측 모듈과, 실시간 교통정보와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모듈과, 사용자 차량의 운행 변경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 변경 정보 수집 모듈과, 수집된 사용자의 차량 운행 관련 정보와 실 운행된 사용자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TRAFFIC CONGESTION}
본 발명은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 교통 특히 고속도로의 극심한 정체를 사전에 파악한 운전자가 스스로 정체를 회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증대를 도로가 따라가지 못함으로 인해 도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인해 교통 체증이 증가하고, 이로인한 직접 및 간접적인 경제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예전부터 이와 같은 교통 체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주요 거범에 대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서는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설치하고, 운전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깔려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의 교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사전에 차량의 혼잡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예측 시스템은 사전에 차량의 혼잡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차량의 흐름을 분산시켜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자함이 그 목적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예측 시스템은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경우 이와 같은 예측 시스템의 정확성이 낮기 때문에 신뢰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운전자가 사전에 혼잡을 예상하더라고, 굳이 이를 회피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 분산을 통한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전에 차량의 혼잡을 예측하고,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 운행을 기존에 계획하였던 시간보다 혼잡하지 않는 시간에 하였을 경우, 운전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차량의 분산을 통해 교통 체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 모듈과, 사전에 교통 혼잡을 예측하는 혼잡 예측 모듈과, 실시간 교통정보와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모듈과, 사용자 차량의 운행 변경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 변경 정보 수집 모듈과, 수집된 사용자의 차량 운행 관련 정보와 실 운행된 사용자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사용자가 이용할 차량 정보, 도로 정보, 구간 정보, 방향 정보와 운행 예정 시간 정보 그리고, 운행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정보로는 운행할 차량이 승용차인지, 화물차인지, 승합차인지 아니면 버스인지에 관한 정보와, 탑승 인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정보로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정보는 시점 정보와 종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상행 정보와 하행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예정 시간 정보는 운행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잡 예측 모듈은 주 또는 년 단위의 교통 흐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혼잡 예측을 실시하여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운행 예정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예측 정보를 수정하여 최종 혼잡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 예측 정보는 평일 및 주말에 대한 예측일 경우에는 약 2 내지 20주 동안의 차량 흐름(즉,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공휴일, 휴가 또는 명절 기간에 대한 기초 예측은 2 내지 5년 동안의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산출하고, 기초 예측은 시간과 구간에 따른 차량의 평균 속도를 기준으로 예측하되, 구간의 법적 기준 속도를 기준 값으로 하여 혼잡도는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는 상기 기초 예측 정보에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 예상 정보를 가중치 값으로 가산하여 산정하되, 가중치는 -30% 내지 +50%까지 가중하되, 가중치는 각 도로의 구간마다 설정된 기준 운행 차량 대수를 바탕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운행하게 될 예정 차량 대수의 비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에는 눈, 비, 안계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따라 추가 가중치를 더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센티브 제공 모듈은 실제 차량이 운행한 기록을 확인 저장하는 기록 확인부와, 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행 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제 차량이 혼잡을 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운행 판단부와, 운행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차량 운행 예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통계 정보와 사용자의 운행 예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계산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차량 운행 예상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차량이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운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차량을 운행한 경우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사전에 차량의 혼잡을 예측하고,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 운행을 기존에 계획하였던 시간보다 혼잡하지 않는 시간에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계획은 변경하여 혼잡하지 않는 시간에 차량을 운행한 운전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차량의 분산을 통해 교통 체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통 혼잡 예상 정보 화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혼잡 회피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통 혼잡 예상 정보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실시간 교통 정보 및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혼잡 회피를 유도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로 관리 시스템 및 하이패스 시스템이 추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은 교통 혼잡을 사전에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혼잡하지 않는 시간에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초기에 운행하기로 예정하였던 시간이 교통 혼잡 예정 시간이지만, 실질적으로 이를 변경하여 혼잡하지 않는 시간에 차량을 운행하였다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 인해 교통 혼잡을 회피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여 교통 혼잡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 모듈(310)과, 사전에 교통 혼잡을 예측하는 혼잡 예측 모듈(320)과, 실시간 교통정보와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모듈(330)과, 수집된 사용자의 차량 운행 관련 정보와 실 운행된 사용자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 모듈(340)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50)와, 상기 각 모듈과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 모듈(310)은 사용자로부터 차량(200)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다.
이때, 차량 운행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할 차량 정보, 도로 정보, 구간 정보, 방향 정보와 운행 예정 시간 정보 그리고, 운행 변경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로는 운행할 차량(200)이 승용차인지, 화물차인지, 승합차인지 아니면 버스인지에 관한 정보와, 탑승 인원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차량 정보로 사전에 사용자가 서버에 가입할때 입력한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차량이 고속도로를 운행할때 버스 전용차로로 운행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차로로 운행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로 정보로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분리될 수 있다. 구간 정보는 시점 정보와 종점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시점 정보와 종점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정보의 도로로 고속도로, 국도 및 지방도가 중복 입력될 수 있다. 방향 정보는 상행 정보와 하행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도로 정보, 구간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운행할 노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 예정 시간 정보는 운행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시간 정보는 시점에서 출발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정보들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할 예상 경로와 예상 시간을 사전에 알 수 있다.
또한, 운행 변경 정보는 사용자가 교통 혼잡 예상 정보의 확인후에 앞서 설정된 운행 예정 시간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운행 예정 구간을 변경하는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정보를 변경하여 차량이 막히지 않는 시간으로 차량은 운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혼잡 예측 모듈(320)은 통계 정보와 정보 수신 모듈(310)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의 운행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교통 혼잡을 예측한다.
즉, 몇주 또는 몇년 동안의 교통 흐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혼잡 예측을 실시하여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사용자의 운행 예정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예측 정보를 수정하여 최종 혼잡 예측 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에는 기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눈, 비, 안계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따라 혼잡 예측 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기초 예측 정보는 평일 및 주말에 대한 예측일 경우에는 약 2 내지 20주 동안의 차량 흐름(즉,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한다. 공휴일, 휴가 또는 명절 기간에 대한 기초 예측은 2 내지 5년 동안의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초 예측은 몇주간 동안에 해당 구간 및 시간에서의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한다.
즉, 해당 구간의 차량의 법적 기준 속도를 기준(100%)으로 일정 값을 기준으로 혼잡도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3분류로 분류할 경우 30% 이하, 30% 이상에서 70%이하 및 70%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4 분류로 분류할 경우에는 25%이하, 25~50%사이, 51~75%사이 및 76%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는 혼잡 예상도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숫자로 표기될 수도 있다.
이는, 만일 이전 2 내지 20주 동안의 경부고속도로의 A구간간에서 T시간대에 차량의 평균 속도가 100km/h였다면 이번주에도 원활한 것으로 기초 예측하거나, 차량의 평균 속도가 30km/h였다면 매우 혼잡할 것으로 기초 예측한다.
여기서, 구간은 고속도로의 경우 나들목 사이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거리 예를 들어 5 내지 50km를 한 구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설명에서는 기초 예측을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대수를 기준으로 기초 혼잡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는 차량의 대수와 도로의 폭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잡도는 일정한 수치값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측 혼잡도 값 또는 혼잡 예측 값, 또는 예측 값 등으로 표기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한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행 예상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혼잡 예측 정보(즉,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생성한다.
즉, 최종 혼잡 예측 정보는 기 산정된 기초 예측 정보에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 예상 정보를 가중치 값으로 가산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상기 가중치는 -30%에서 +50%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구간에, 12시부터 1시 사이의 혼잡 예측 값이 최고 혼잡도 100을 기준으로 50으로 산정된 경우를 가정하고, 해당 시간에 구간을 운행하게 되는 예정 차량의 대수가 해당 도로가 허용하는 기준 운행 차량 대수 보다 많을 경우에는 상기 가중치를 더 부가한다. 즉, 도로의 허용 기준 운행 차량 대수가 1000대이지만, 예정 차량 대수가 2000대일 경우에는 가중치를 +30~50%까지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구간의 12시부터 1시 사이의 혼잡도 값은 65 내지 75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시점과 종점을 입력하기 때문에 운행하는 구간별도 도달 시간의 계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입력값과 기초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간별 운행시간을 산정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혼잡도 즉, 혼잡 예측 값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의 사용자 차량 운행 속도가 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해당 구간의 통과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로의 운행 차량 대수는 도로의 폭과 도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차선 고속도로인 경우와 2차선 지방 국도의 경우 정상속도(즉, 규정 속도)로 운행할 수 있는 차량 대수는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도로 하나의 차선에 대하여 1000 내지 20000대가 기준 운행 차량 대수이고, 국도 하나의 차선에 대하여 100 내지 2000대가 기준 운행 차량 가능 대수이다. 이는 하나의 차선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폭이 넓을수록 그 운행 가능 대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가중치는 각 도로의 구간마다 설정된 기준 운행 차량 대수를 바탕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운행하게 될 예정 차량 대수의 비율로 결정된다. 상기 차량 대수의 비율은 -200% 내지 +500%범위 내에서 선택되고 그 선택 값에 따라 -30% 내지 +50% 범위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에는 기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눈, 비, 안계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따라 혼잡 예측 값에 가중치(약 1 내지 10%)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최종 혼잡 예측 정보는 시간단위 및 구간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혼잡 예측 정보는 혼잡예상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잡, 막힘 및 원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잡 예측 정보는 도로의 구간과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표시를 위해 앞서의 혼잡는 붉은 색으로 표시하고, 막힘은 노락색으로 표히하고, 원활은 녹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계는 더 세분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체, 지체, 서행 및 원활과 같이 4단계로 세분화할 수도 있다. 물론 4단계 이상으로도 세분화가 가능하다.
교통 정보 제공 모듈(330)의 경우 현재 각 도로의 구간별 차량 속도의 평균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구간별 운행 차량의 대수를 이용하여 혼잡, 서행 및 원활과 같은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와 같은 혼잡 예측 모듈을 통해 각 구간별 장래의 혼잡 예상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교통 정보 제공 모듈(330)에 의해 제공된 교통 혼잡 예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운행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정보 수신 모듈을 통해 진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차량 운행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운행 정보가 다시 혼잡 예측 모듈(320)에 제공되어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재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차량 운행 변경 정보 수집하는 정보 수신 모듈(310)을 통해 차량 운행 시간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도로의 변경 즉, 우회 도로 설정을 할 수 있다.
앞서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한 이후, 자신이 가고자 하는 도로와 시간에 따른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 받는다. 이를 통해 자신이 가는 도로와 시간에 차량의 혼잡도를 예측하게 되여 사용자가 혼잡을 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후, 인센티브 제공 모듈(340)은 실제 차량(300)이 운행한 기록을 확인 저장하는 기록 확인부와, 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행 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제 차량이 혼잡을 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운행 판단부와, 운행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구비한다.
기록 확인부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각 도로에 설치된 차량 운행 정보 수집 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각 차량에 부착된 GPS가 사용될 수도 있고, 도로의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사전에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 활용에 동의한다.
운행 판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초기 입력한 운행 시간에 도로의 혼잡도가 혼잡(붉은 색)이었는데 이를 변경하여 실 운행시 해당 도로의 혼잡도가 막힘(노랑 색) 또는 원활(녹색)로 변경되거나, 막힘(노랑 색)이었는데 이를 변경하여 실 운행시 해당 도로의 혼잡도가 원활(녹색)로 변경된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에 대한 혼잡 회피 신호를 생성한다.
보상부는 상기 혼잡 회피 신호가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이러한 인센티브로는 고속도로 통행료의 할인, 이벤트 자동 응모 및 추첨을 통한 선물 제공등일 수 있다. 물론 이는 모두 예시일 뿐 다양한 형태의 인센티브(세금 감면, 차량 수리 혜택 등)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의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 한국 도로 공사의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술한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확인하거나,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 받는다. 그리고, 교통 혼잡 예상 정보에 따라 기 입력된 자신의 차량 운행 정보를 변경 수정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초기 1월21일 11시경에 이동할 것으로 입력하였지만, 추후 변경(즉, 1월 20일 9시경)을 통해 혼잡도가 낮아진 경우(즉, 붉은 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됨)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로,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피씨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PC 또는 노트북 등이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혼잡 회피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S110). 이때 별도의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단말기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아니면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20).
이때,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S130).
하지만, 교통 정보 제공 서버가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로 부터 차량 운행 예상 정보를 입력 받는다(S140). 이때, 차량 운행 예상 정보로는 사용자가 이용할 차량 정보, 도로 정보, 구간 정보, 방향 정보와 운행 예정 시간 정보 그리고, 운행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교통 정보 제공 서버는 통계 정보와 사용자의 운행 예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한다(S150).
이어서, 사용자는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차량 운행 예상 정보를 변경할지 결정한다(S160). 만일 운행 예상 정보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상태로 종료된다.
하지만, 운행 예상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서버에서는 해당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서, 서버는 사용자가 실제 자신의 차량을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운행하였는지 판단한다(S170). 이때, 판단 기준은 시간과 구간의 이동 값에 따라 판단하고, 입력 값과의 오차를 1 내지 2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출발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S180).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이 혼잡한 시간대를 회피하여 차량을 운행함으로 인해 시간을 절약하고, 혼잡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잡회피로 인해 경제적인 보상을 받음으로 인해 혼잡회피에 적극 동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방법은 스마트폰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스마트폰에 인스톨함으로 인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차량
300 : 교통 정보 제공 서버 310 : 정보수신모듈
320 : 혼잡예측모듈 330 : 교통정보제공모듈
340 : 인센티브제공모듈

Claims (9)

  1.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 모듈과, 사전에 교통 혼잡을 예측하는 혼잡 예측 모듈과, 실시간 교통정보와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모듈과, 사용자 차량의 운행 변경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 변경 정보 수집 모듈과, 수집된 사용자의 차량 운행 관련 정보와 실 운행된 사용자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사용자가 이용할 차량 정보, 도로 정보, 구간 정보, 방향 정보와 운행 예정 시간 정보 그리고, 운행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로는 운행할 차량이 승용차인지, 화물차인지, 승합차인지 아니면 버스인지에 관한 정보와, 탑승 인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정보로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정보는 시점 정보와 종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상행 정보와 하행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예정 시간 정보는 운행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예측 모듈은 주 또는 년 단위의 교통 흐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혼잡 예측을 실시하여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운행 예정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예측 정보를 수정하여 최종 혼잡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예측 정보는 평일 및 주말에 대한 예측일 경우에는 약 2 내지 20주 동안의 차량 흐름(즉,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기초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공휴일, 휴가 또는 명절 기간에 대한 기초 예측은 2 내지 5년 동안의 교통 흐름을 바탕으로 산출하고, 기초 예측은 시간과 구간에 따른 차량의 평균 속도를 기준으로 예측하되, 구간의 법적 기준 속도를 기준 값으로 하여 혼잡도는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는 상기 기초 예측 정보에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 예상 정보를 가중치 값으로 가산하여 산정하되, 가중치는 -30% 내지 +50%까지 가중하되, 가중치는 각 도로의 구간마다 설정된 기준 운행 차량 대수를 바탕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운행하게 될 예정 차량 대수의 비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혼잡 예측 정보에는 눈, 비, 안계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따라 추가 가중치를 더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제공 모듈은 실제 차량이 운행한 기록을 확인 저장하는 기록 확인부와, 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행 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제 차량이 혼잡을 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운행 판단부와, 운행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9.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차량 운행 예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통계 정보와 사용자의 운행 예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혼잡 예상 정보를 계산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차량 운행 예상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차량이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운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변경된 운행 예상 정보에 따라 차량을 운행한 경우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혼잡 회피 유도 방법.
KR1020120064226A 2012-06-15 2012-06-15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1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26A KR20130141102A (ko) 2012-06-15 2012-06-15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26A KR20130141102A (ko) 2012-06-15 2012-06-15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02A true KR20130141102A (ko) 2013-12-26

Family

ID=4998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26A KR20130141102A (ko) 2012-06-15 2012-06-15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1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103A (zh) * 2017-09-13 2019-03-1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拥堵避免支援系统以及拥堵避免支援方法
KR101972421B1 (ko) 2018-08-22 2019-04-25 주식회사 사라다 교통 체증 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5544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추천 경로 안내 시스템
US11079758B2 (en) 2018-01-12 2021-08-0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user-aided improvement of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a vehicle us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103A (zh) * 2017-09-13 2019-03-1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拥堵避免支援系统以及拥堵避免支援方法
CN109493103B (zh) * 2017-09-13 2022-03-2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拥堵避免支援系统以及拥堵避免支援方法
US11079758B2 (en) 2018-01-12 2021-08-0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user-aided improvement of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a vehicle using the same
KR101972421B1 (ko) 2018-08-22 2019-04-25 주식회사 사라다 교통 체증 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5544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추천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125469A (ko) * 2019-12-30 2021-10-18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 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추천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20036365A (ko) * 2019-12-30 2022-03-22 주식회사 네이앤컴퍼니 대중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탄소 배출 저감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391B2 (e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arking instructions for autonomous and non-autonomous vehicles
US20230232185A1 (e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arking Instructions for Autonomous and Non-Autonomous Vehicles
US20200365015A1 (en) Connected and adaptiv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digital prioritization
US20190346275A1 (en) Vehicle route guidance
CN107045783B (zh) 一种基于约定出行的道路路网精准行车运行方法和系统
KR102231959B1 (ko)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서 사용하기 위한 호라이즌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504577B (zh) 一种停车换乘出行路线规划方法及装置
EP2806411B1 (en) Driving model generation device, driving model generation method, driving evaluation device, driving evaluation method, and driving support system
JP5482827B2 (ja) 交通指標算出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churicht et al. Efficiency-increasing driver assista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predictive traffic state estimation
WO2019156956A3 (en) Intelligent road infrastructure system (iris): systems and methods
US20110040621A1 (en)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WO2015166876A1 (ja) 交通信号制御装置、交通信号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95926B2 (ja) 移動案内装置及び移動案内方法
US20110037619A1 (en) Traffic Routing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GPS and Mobile Data Devices
WO2016135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afest route within a transportation network
JP5471212B2 (ja)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52921A1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CN103177562B (zh) 一种获取交通状态预测所需信息的方法及装置
JP2009031046A (ja) 自動車の燃料消費量推定システム、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運転指導システム
KR20140128063A (ko) 교통 상황 예측 시스템
Feng Intelligent traffic control in a connected vehicle environment
KR20130141102A (ko) 교통 혼잡 회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5702974B2 (ja) 環境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ockelman et al. Best practices for modifying transportation design, planning, and project evaluation in Tex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