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085A -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085A
KR20130141085A KR1020120064195A KR20120064195A KR20130141085A KR 20130141085 A KR20130141085 A KR 20130141085A KR 1020120064195 A KR1020120064195 A KR 1020120064195A KR 20120064195 A KR20120064195 A KR 20120064195A KR 20130141085 A KR20130141085 A KR 2013014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s
time
scree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뱅크
Priority to KR102012006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085A/ko
Publication of KR2013014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 BASED ON POINT OF SALES SYSTEM}
본 발명은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S(Point Of Sales)는 금전 등록기와 컴퓨터 단말기의 기능을 결합한 시스템으로, 매상금액을 정산해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소매경영에 필요한 각종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처리해주는 시스템으로 판매시점 관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즉,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시점에 기록하여 판매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서, 백화점, 은행, 대형 서점, 음식점 등 유통 서비스업계의 매장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손님과 종업원의 수가 많은 대형 음식점의 경우, 고객 테이블에 배치된 무선 호출기를 통해 주문을 하면, 카운터의 POS 단말 및 주방에 주문 자료가 전송되어 주문, 서빙 등의 업무가 빠르고 정확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계산시에도 복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POS를 이용하면, 제품의 판매 흐름을 단위 품목별로 파악할 수 있고, 매출 집계 및 복잡한 계산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요식업계에 POS 시스템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단순히 주문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그 기능을 확장하려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 통합 관리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은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7260호에는 주문 및 결제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능을 더 부가한 POS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매장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 손님이 몰리는 피크 시간대와 대형 음식점의 경우 주문이 쇄도하거나, 종업원 간의 소통 부재로 중복된 주문 및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또는 주문에 대한 서비스가 전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주문 처리의 한계가 있다. 또한, POS 시스템은 단순히 주문 및 결제만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 손님이 입장하면서 퇴장하기까지의 플로우에 따른 서비스를 인공지능적으로 제공하지 못하여 그 사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POS 시스템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결제는 편리해졌으나, 주문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만족도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출원특허 제10-2010-0017260호
고객의 입실에서부터 퇴실까지 제공되어야 할 실시간 서비스를 타임 라인 및 조건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고객이 요청하기 전에 미리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호출 신호를 우선순위화 하여 제공할 수 있고, 실제 매장 구조와 동일한 맵(Map)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테이블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호출 신호가 온 경우, 실시간 서비스의 타임 라인 및 조건에 따라 미리 응대를 준비함으로써, 찾아가는 실시간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고객이 말하기 전에 알아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OS(Point Of Sales)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가 활성화되면,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상기 활성화된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OS 단말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OS 단말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객이 집중되는 시간대 및 조건에 따라 서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매장에 적용하여, 고객이 요청하기 전에 미리 고객에게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불만이 낮아짐과 동시에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어 고객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고 매장 매출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호출 신호가 발생한 경우, 호출 순위를 우선순위대로 표시함으로써, 나중에 요청한 서비스가 먼저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호출이 발생한 경우, 단순히 호출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타임 라인 및 조건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를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고객의 주문 지연 불만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POS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OS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단말에서 출력하는 맵(Map)의 구현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맵 중 예측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맵 중 호출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맵 중 예측 및 호출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측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호출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측 및 호출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POS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POS 시스템(1)은 입력부(100), POS 단말(300), 출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OS 시스템(1)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RS232와 같은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동축 케이블, 광 케이블, PLC(Power Line Commnication), 마이크로파 중계회선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홈 RF, 무선랜,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입력부(100) 및 출력부(5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의 입력부(100) 및 출력부(500)가 도 1 에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00)는 POS 단말(300)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POS 단말(300)의 종류에 따라 입력부(100)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터치 단말, 키보드, 마우스, 호출기,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카메라, 리더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OS 단말(300)의 출력부(500)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인 경우, 출력부(500)임과 동시에 입력부(100)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고정 또는 이동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POS 단말(300)이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과 같은 주변 입력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100)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이 사람에 의해 입력되지 않고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입력부(100)는 적외선 센서, 카메라, 리더기 등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석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사람의 일반 체중을 70kg에서 오차범위를 ±20kg로 설정해놓았다고 가정하면, 1 번 테이블에 150kg가 감지되었고, 2 개의 좌석에서 압력 센서의 입력값이 1(0: 압력값 일정 값 미만, 1: 압력값 일정 값 초과)인 경우, 1 번 테이블에 성인 2 명이 앉은 것으로 POS 단말(300)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 번 테이블에 90kg가 감지되었고, 2 개의 좌석에서 압력 센서의 입력값이 1 이며, 각 좌석의 압력값의 편차가 심할 때에는 아동과 여성, 또는 아동과 남성이 앉은 것으로 가족끼리 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거나 또는 압력값의 편차가 오차 범위 내일 때에는 여성 2 명이나 청소년 2 명이 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몸으로부터 발광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람의 명수 및 테이블을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온도 센서를 좌석에 구비하여 좌석의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높게 측정되거나 또는 사람의 체온과 동일하게 측정되는 경우, 사람의 명수 및 테이블을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얼굴 형상 감지기와 같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연령대, 명수, 앉은 테이블 수를 파악할 수도 있고, 입구에서부터 태그를 배부하여 앉은 테이블이나 좌석을 옮긴 경우의 테이블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좌석에 앉은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주문하기 위해 누르는 호출기도 입력부(100)에 포함되는데, 이러한 호출기는 음식점 등의 테이블에 부착되어 고객이 종업원을 부르거나 메뉴를 주문하거나 하는 등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호출기는 POS 단말(300)과 연결되어 호출한 테이블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입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호출기 내에 메뉴판의 번호 등이 기재되어 있어, 4 번 테이블에서 1 번 메뉴를 누르게 되면, POS 단말(300)을 통해 4 번 테이블에 1 번 메뉴가 추가되어 계산됨은 물론, 전광판을 포함한 출력부(500)에 4 번 테이블-1 번 메뉴라고 일정 시간 점멸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 번 테이블에서 주문한 1 번 메뉴가 소주였다고 가정하면, POS 단말(300)에서는 4 번 테이블에 + 4000원을 함과 동시에 전광판에는 "1 번 테이블-소주 1 병"으로 일정 시간 깜박이며 점멸될 수 있다. 또는 전광판을 깜박이며 점멸한 후 + 4000원을 할 수도 있으며,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POS 단말(300)은 랩톱, 노트북, 데스크탑,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출력부(500)는 모니터,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모바일 단말, 전광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실제 음식점의 구조와 동일하게 테이블 이미지를 배치하여 직관적으로 테이블의 계산 또는 주문을 받을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호출기로부터 호출이 온 경우, 출력부(500)에 근접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점장이거나 매니저일 수 있는데, 직접 서빙을 나가는 사람은 점장이나 매니저가 아닌 종업원일 수 있으므로, 종업원이 휴대한 모바일 단말로 호출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블루투스, 지그비, WIFI, NFC 등의 기능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종업원이 1 번 테이블을 맡고 있다고 가정하면, 1 번 테이블에서 소주 1 병과 같은 번호나 또는 일반적인 호출이 발생한 경우, A라는 종업원이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로 진동이나, 알람음, "1번 테이블에 소주 1 병의 주문이 있습니다 " 또는 " 1 번 테이블에서 호출이 있습니다 "라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직원이 테이블을 전담하지 않는 경우, 모든 직원들에게 진동이나 알람음 등을 출력하되, 어느 한 직원이 알람을 끈 경우에는 다른 직원들에게는 더 이상 진동이나 알람을 울리지 않도록 하여 업무가 중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호출이나 주문이 일정 시간 동안 2 번 이상 출력되는 경우, 해당 테이블을 맡은 직원에게 패널티를 가할 수도 있고, 모든 직원에게 일이 동시에 분배될 때에는 다른 직원이 알람을 끌 때까지 계속적으로 알람이나 진동을 울릴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진동이나 알람의 주기나 세기를 빠르게 또는 강하게 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로 울릴 경우, 스마트 폰의 경우 매장 서빙 앱 등을 설치하여 구동하게 푸시, 풀 등의 기법으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도 있고, 일반 폰의 경우 메세지를 계속적으로 전달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POS 단말(3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스피커를 출력부(500)로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음성이나 알람을 스피커를 통해 알려줄 수도 있고, 고객에게 방해가 될 수도 있으므로, 블루투스 이어폰 등과 같은 무선 이어폰을 각 종업원에게 장착하도록 하여 음성이나 알람 등을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1)이 적용되는 곳은 예를 들어, 요식점 등의 서빙과 주문이 자주 일어나는 장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퇴근 시간 이후의 피크 시간대, 점심 시간 또는 저녁 시간대로 고객이 집중되는 시간대, 주문이 반복해서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서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장소, 금요일이나 주말 등 고객이 집중되는 시간대, 단체 손님이 많고 주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매출로 이어지지 않거나 매출이 되었음에도 누락되는 장소, 종업원이 매출을 누락시켜 부당이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매출 계산 등만이 아니라, 고객의 입실부터 퇴실까지의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는 장소, 고객이 호출하기 전에 미리 서비스를 준비하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소, 코스 요리나 세트 요리가 많은 장소 등 서비스 질의 개선이 필요한 곳이나 시간대를 가지는 장소이면 모든 곳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OS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OS 단말(300)은 예측 대응부(310), 호출 대응부(330),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 데이터베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POS 단말(300)은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측 대응부는(310)는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입실 시각을 저장하고 경과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주문 상태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도록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에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호출 대응부(330)는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나서,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에 외장 또는 내장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호출 신호를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첫 번째로, 예측 대응부(310)에서 출력한 시간의 흐름이나 고객의 주문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두 번째로, 호출 대응부(330)로부터 출력한 호출 신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실시간 서비스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세 번째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호출 대응부(330)로부터 출력한 호출 신호를 예측 대응부(310)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의 흐름이나 고객의 주문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에서,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300)의 출력부(500)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수와 테이블 ID가 매핑되는 방법은, 터치 패널, 마우스, 키보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적외선 카메라, 얼굴 인식 카메라, 태그 등의 다양한 입력부(100)에 의한 입력에 의해 매핑될 수 있고, 이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으로 생략한다.
이때,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색상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색상 정보는 데이터 정보와 각각 연계된 제 1 색상 내지 제 5 색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정보는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정보는 화면에 출력되는 테이블 이미지 자체를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등에 맞도록 사용자가 또는 디폴트로 지정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 번 테이블의 이미지를 입실 후에는 활성화시켜 흰색으로, 주문 후에는 주문 독촉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빨간색으로, 서빙이 완료된 응대 후에는 주문 독촉이 들어올 확률이 낮으므로 소강 상태를 나타내는 파란색으로, 계산 완료 전에는 계산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자주색으로, 계산 후 퇴실 전에는 노란색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색상들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보는 예를 들어, 주문 전에는 메뉴판, 물수건, 물 등을 사전에 세팅해야 하기 때문에,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 내에 메뉴판, 물수건, 물 준비라고 디스플레이하거나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다.
또한, 주문 후에는 주문 독촉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사전에 테이블에 찾아가 미리 안내할 수 있도록 음식이 잘 준비되고 있음을 알려주거나 세팅을 점검하거나, 주문정보확인, 인원정보확인, 객층정보를 확인하도록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내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문 후 일반적으로 주문 음식이 나올 시간이 경과되면, 점층적으로 짙은 색상으로 표현하거나 또는 점멸하거나 하는 등으로 주문에 대한 응대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메뉴가 준비되기까지의 평균 시간이 10분이라고 가정하면, 1 번 테이블에서 A 라는 메뉴가 입력된지 10분이 경과하고 나서 2 분 간격으로 색상을 점차 짙게 하거나, "주문 지연" 이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해당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주기를 시간이 지날수록 빠르게 하거나 하는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주문이 지연되거나 하면, 해당 음식점의 메뉴가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고객은 해당 음식점에 대한 서비스 점수를 낮게 줄 수 있고, 다시는 해당 음식점에 가지 않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1)은 주문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음식점에 대한 평가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입실부터 퇴실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이나 조건 등에 따라 고객이 요청하기 전 미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POS 단말(300)의 출력부(500)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 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테이블 ID와 함께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오버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를 출력할 때에는 테이블 이미지 자체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테이블 이미지 내에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의 내용을 문구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하는 경우 화면 중앙에 해당 테이블 이미지를 전면에 배치시켜 점멸시키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POS 단말(300)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팅 또는 입실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팅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POS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카운팅 되는 시간 및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를 POS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두 명이 저녁 7시에 입실하였고, 현재 맥주와 치킨을 주문한 상태로 경과 시각은 30분이 지났다고 가정하자. 입실 후 30분이면 치킨이 제공되어야 하고, 그 후 물이나 물수건, 휴지 등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를 타임 라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의 종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이 요청하기 전에 미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자 두 명이 입실한 경우, 성별, 나이, 수 등에 따라 타임 라인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남자 두 명이 입실한 경우에는 요리의 주문량보다 술의 주문량과 주기가 더 많고 더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30분 간격으로 맥주 500cc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또는 여자 두 명이 입실한 경우에는, 술의 주문량보다 요리의 주문량과 주기가 더 많고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1 시간 간격으로 메뉴판을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성별, 나이, 수, 가족 단위, 회식, 관광 단체, 모임 단체 등의 다양한 종류로 타임 라인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타임 라인뿐만 아니라,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실한 후 친구를 기다리며 주문을 미루는 고객이 있을 수 있고, 아이가 동행하여 먹는 속도가 현저히 느릴 수 있으며,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어 데이터베이스화된 타임 라인보다 더 빠른 타임 라인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등의 조건을 더 설정하여, 조건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가 입력부(100)와 예측 대응부(310)를 통해 입력받는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생성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고객의 종류와 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70)는 시간의 경과 또는 주문 상태에 따라 레이블에 매핑하여 실시간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는 하기 표 1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흐름 테이블 색상 상세 상태 설명 실시간 정보
1 흰색
(지정가능)
입실
(주문 전)
고객이 테이블에 착석한 상태 메뉴판, 물수건, 물 등 사전 준비 세팅
2 빨강
(지정가능)
입실
(주문 후)
주문 독촉 전 사전 대응 사전에 테이블에 찾아가 미리 안내함
-사전예약안내
-음식이 잘 주문되고 있음을 사전 안내 및 셋팅 점검
-주문정보확인/인원정보/객층정보
3 파랑
(지정가능)
식사
(서빙 완료)
서빙 완료 후 식사 시점에 따라 필요사항 대응 주문음식에 맞는 추가 서빙 준비
-주문정보확인/인원 정보/객층 정보
4 자주
(지정가능)
완료
(계산 전)
계산전 빌(Bill)지를 미리 준비하여 안내
5 노랑
(지정가능)
퇴실
(계산 후)
다음 고객을 위한 테이블 재세팅 고객 퇴실 후 다음 고객을 위해 즉시 테이블 세팅
또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주문이 단계별 또는 시간별 응대가 요구되는 주문인 경우,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각 단계별 또는 시간별 색상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를 단계별 또는 시간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요리이거나 또는 세트 요리인 경우, 에피타이저부터 디저트까지의 평균 섭취 시간을 데이터베이스(370)에 메뉴에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빙의 단계를 시간별 또는 단계별로 나누어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에 따라 색상 또는 데이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오버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흐름 테이블 색상 상세 상태 설명 실시간 정보
1 흰색
(지정가능)
식사
(서빙진행)
에피타이저


요리 코드에 따른 시간별 또는 단계별 대응
-주문 메뉴 정보
-객수 및 종류 정보
-객층 정보(유아/노인/일반/장애/커플/단체/노소)
2 빨강
(지정가능)
식사
(서빙진행)
메인요리_1
3 파랑
(지정가능)
식사
(서빙진행)
메인요리_2
4 자주
(지정가능)
식사
(서빙진행)
요리_N
5 노랑
(지정가능)
식사
(서빙진행)
디저트
또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POS 단말(3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출력부(500) 중 하나인 화면에 매장에 배치된 테이블 구조와 대응되는 맵(Map)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맵 내의 테이블 이미지에는 주문 정보, 주문 금액, 입실 시각, 경과 시간, 고객의 종류 및 수, 객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출력의 종류는 출력부(5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맵 내의 테이블 이미지에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에 따른 색상 또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출력 신호를 출력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POS 단말의 화면 내에서,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거나, 출력부(500)의 종류에 따라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을 출력하거나, POS 단말(300)과 연계된 출력부(500)인 외부 기기의 화면을 점멸하거나, 색상을 변경하거나, 음성, 소리, 진동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호출 대응부(330)로부터 출력한 호출 신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실시간 서비스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가 활성화되면, POS 단말(300)의 화면에 활성화된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테이블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POS 단말(300)의 화면 내의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즉, 첫 번째 방법은 시간과 조건에 따라 미리 대응을 시도했다면, 두 번째 방법은 주문이 밀리거나 고객이 많은 경우, 주문을 독촉하거나 다른 주문을 하려는 고객에 의해 호출 신호가 울리는 경우가 다수 있으므로, 호출 신호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테이블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되면,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 번 테이블에서 호출 신호가 10시 10분에 울렸고, 2 번 테이블에서 호출 신호가 10시 12분에 울렸으며, 7 번 테이블에서 호출 신호가 10시 13 분에 울린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고객이 집중되는 시간대에는 서빙의 우선순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우선순위가 중복되는 경우 카운터에 점장이나 매니저가 순서를 파악하여 종업원에게 지시를 내리지만, 본 발명에 의한 POS 시스템(1)에서는 우선순위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시 10분에 울린 3 번 테이블은 우선순위 1, 2 번 테이블은 우선순위 2, 3 번 테이블은 우선순위 3으로 표시하여 서빙이나 주문 순서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테이블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되면, 호출 신호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색상, 데이터, 문자, 기호, 부호, 도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는,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킴과 동시에 POS 단말(300) 자체에서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이 발생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POS 단말(300)과 연계된 외부 기기로 화면 점멸,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500)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두 번 입력되는 경우, 점멸되는 테이블의 이미지의 점멸 주기는 호출 신호의 입력 수에 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분 동안 동일한 테이블에서 호출 신호가 2 번 이상 입력된 경우, 이미지의 점멸주기는 3초에 1번에서 1초에 1번으로 변경할 수 있고, 호출 신호가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점멸주기는 더 빨라질 수도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두 번 입력되는 경우,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화면 중앙에 오버레이(Overlay)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출 신호의 입력 수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번 테이블에서 10 분 동안 3 번의 호출이 온 경우에는, 화면 중앙에 테이블 12번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키고, 3 번 호출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수가 증가할 때마다 색상을 연한색에서 짙은색으로 변경하여 급한 정도를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멸이나 알림, 진동 등은 해제 이벤트 발생시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시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0)로 해당 호출에 대한 대응을 했다는 것을 입력하거나 또는 10분 정도가 경과하면 해제될 수 있다. 다만, 10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호출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더욱 빠른 주기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호출 대응부(330)로부터 출력한 호출 신호를 예측 대응부(310)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의 흐름이나 고객의 주문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300)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POS 단말(300)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즉, 시간, 조건 등의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와 고객의 호출 등으로 인한 수동적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실 후 10 분이 경과하여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 호출 신호도 디스플레이하지만, 10분의 타임 라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예를 들어, 물수건, 메뉴판, 물 등의 세팅 준비를 미리 하여 고객 테이블로 감으로써, 시간도 절약하고 고객 응대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구분 상세 실시간 서비스 정보
테이블 정보 테이블 이름
주문 메뉴 정보
객수 정보
객층 정보
경과 시간
주문자 정보
테이블정보/상태관리정보/메뉴정보를 활용하여 맵 상의 지정된 테이블에 어떤 서비스를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 감각적으로 다양하게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음.
사용자에 매장에 맞게 맞춤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상태 관리 정보 경과 시간
업무 단계
호출 대응
메뉴 정보 메뉴별 요리평균시간
메뉴별 섭취평균시간
또한, 입력 및 저장되는 타임 라인, 조건 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70)의 타임 라인, 조건 등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정보는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들로 수치화 및 평균화를 진행하여 고유한 노하우로 실시간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포항의 횟집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1)을 채용하는 경우, 대포항이라는 관광지의 특성과, 단체나 가족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축적되는 데이터들도 관광객이나 가족에 맞게 최적화될 수 있다. 이렇게 축적되도록 저장된 데이터 로그들을 분석하여 평균 및 오차범위 등을 상세히 찾아낼 수 있고, 최적의 타임 라인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정보 생성부(35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370)의 타임 라인 또는 조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하여 업데이트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1)을 쓰면 쓸수록 노하우로 최적화된 타임 라인을 가져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POS 단말(300)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팅 또는 입실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팅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POS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팅되는 시간 및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를 POS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단말에서 출력하는 맵(Map)의 구현 실시예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맵 중 예측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맵 중 호출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맵 중 예측 및 호출 대응에 따른 테이블이 구현된 실시 확대도이다.
다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화면은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500)에 매장과 동일한 구조로 축적 및 거리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테이블을 파악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화장실, 주방, BAR, 카운터 등을 이미지화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테이블 중 하나의 테이블 이미지가 확대된 것이며, 첫 번째 방법에 의거하여 출력된 이미지이다. 우선, 테이블 ID(351)가 14 번으로 상하좌우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무방하다.
또한, 주문 정보(352)는 가격과 메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고, 메뉴에 부여된 일련의 번호, 숫자, 부호, 기호, 이미지 등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주문 금액(353)은 주문한 가격의 합계를 나타내며, 입실 시각(354)/경과 시간(355)을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실 시각(354)과 경과 시간(355) 중 어느 하나만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고, 둘 모두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고객의 종류 및 수(356)는 숫자와 이미지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고객의 종류, 즉 남녀노소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정보(357)는 타임 라인, 조건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시간 30분 정도는 1 차를 마칠 시간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빌지를 준비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 주문이 있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주문이 더 이상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빌지를 준비하도록 하는 서비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정보(357)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색상도 변경할 수 있으며, 색상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타임 라인 보다 경과된 경우에는 화면 중앙에 해당 테이블 이미지를 중앙에 위치시켜 시급함을 표현하도록 이미화될 수도 있는 등 UI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테이블 중 하나의 테이블 이미지가 확대된 것이며, 두 번째 방법에 의거하여 출력된 이미지이다. 우선, 테이블 ID(351)가 14 번으로 상하좌우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무방하다.
또한, 주문 정보(352)는 가격과 메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고, 메뉴에 부여된 일련의 번호, 숫자, 부호, 기호, 이미지 등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주문 금액(353)은 주문한 가격의 합계를 나타내며, 입실 시각(354)/경과 시간(355)을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실 시각(354)과 경과 시간(355) 중 어느 하나만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고, 둘 모두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고객의 종류 및 수(356)는 숫자와 이미지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고객의 종류, 즉 남녀노소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될 수 있다.
또한 호출에 의한 우선 순위(358)를 오버레이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우선 순위(358)는 테이블 이미지 내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해당 테이블 이미지 자체가 확대되어 화면 중앙에 오버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우선 순위(358)에 따라 순위가 높은 테이블이 전면에 배치되도록 3D로 입체화시킬 수 있으며, 우선 순위(358)가 높은 테이블을 점멸하도록 할 수 있는 등 UI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의 테이블 중 하나의 테이블 이미지가 확대된 것이며, 세 번째 방법에 의거하여 출력된 이미지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모두 합쳐져 도시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중복으로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측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710),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720).
그리고 나서,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730),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740), 마지막으로,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호출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가 활성화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활성화된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활성화한다(S810).
그리고 나서, 테이블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POS 단말의 화면 내의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킨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예측 및 호출 대응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객이 입실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910).
그리고 나서,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920),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930).
또한,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940),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950).
이때,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POS 단말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킨다(S960).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POS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색상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정보와 각각 연계된 제 1 색상 내지 제 5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보는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상기 POS 단말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 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상기 테이블 ID와 함께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팅 또는 입실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 및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를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이 단계별 또는 시간별 응대가 요구되는 주문인 경우, 상기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계별 또는 시간별 색상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를 상기 단계별 또는 시간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상기 고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매장에 배치된 테이블 구조와 대응되는 맵(Map)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맵 내의 테이블 이미지에는 주문 정보, 주문 금액, 입실 시각, 경과 시간, 고객의 종류 및 수, 객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맵 내의 테이블 이미지에는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에 따른 색상 또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는 상기 POS 단말의 화면 내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의 점멸,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 상기 POS 단말와 연계된 외부 기기의 화면 점멸, 색상 변경, 음성,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3.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POS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가 활성화되면,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상기 활성화된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OS 단말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상기 테이블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되면,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상기 테이블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되면,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색상, 데이터, 문자, 기호, 부호,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은, 해제 이벤트 발생시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단계는
    상기 POS 단말로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 상기 POS 단말와 연계된 외부 기기로 화면 점멸, 음성, 부저음, 알림음,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두 번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의 점멸 주기는 상기 호출 신호의 입력 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두 번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점멸되는 테이블 이미지는 화면 중앙에 오버레이(Overlay)되고, 상기 호출 신호의 입력 수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20.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POS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되면,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응대가 완료되면,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기 전,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후, 제 5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OS 단말의 화면 내의 상기 테이블 ID와 매핑된 테이블 이미지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이 입실하여 상기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ID와 고객의 수가 매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팅 또는 입실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부착된 호출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 및 입실 후, 주문 후, 응대 후, 계산 완료 전, 계산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5 정보를 상기 POS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64195A 2012-06-15 2012-06-15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41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95A KR20130141085A (ko) 2012-06-15 2012-06-15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95A KR20130141085A (ko) 2012-06-15 2012-06-15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85A true KR20130141085A (ko) 2013-12-26

Family

ID=4998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195A KR20130141085A (ko) 2012-06-15 2012-06-15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0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4763A (zh) * 2016-08-08 2018-03-09 申东建 无线震动铃
KR101890581B1 (ko) * 2017-07-20 2018-08-27 주식회사 디자인방위대 앱을 이용한 컬러 매칭형 매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053414B1 (ko) * 2019-01-30 2019-1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관리 및 티켓 출력 시스템
KR102053413B1 (ko) * 2019-01-30 2019-1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WO202015898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4763A (zh) * 2016-08-08 2018-03-09 申东建 无线震动铃
CN107784763B (zh) * 2016-08-08 2021-02-02 申东建 无线震动铃
KR101890581B1 (ko) * 2017-07-20 2018-08-27 주식회사 디자인방위대 앱을 이용한 컬러 매칭형 매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053414B1 (ko) * 2019-01-30 2019-1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관리 및 티켓 출력 시스템
KR102053413B1 (ko) * 2019-01-30 2019-1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WO202015898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7420B2 (en) Virtual queue for a line at a retail store
JP3582782B2 (ja) 飲食店用接客管理装置
US20140257877A1 (en) Location sensitive processing of restaurant orders
US20200184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entralized customizable operating solution
KR20130141085A (ko)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8245A (ko)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WO2017212994A1 (ja) 店舗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130135623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68450A1 (en) Service providing place inform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210070728A (ko) 메뉴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KR20110124026A (ko)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190131A (ja) 商品注文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4164693A (ja) 情報処理装置、商品注文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90011624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맞춤형 양방향 비대면 전자주문시스템
JP2006163447A (ja) 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JP4069048B2 (ja) 注文管理システム
KR20210070726A (ko) 스마트폰 기반의 주문 결제 시스템
JP2009037281A (ja) 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CN108765063B (zh) 订货单的生成方法及装置
KR20120119397A (ko)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JP2016110192A (ja) 経過時間管理装置、および経過時間管理プログラム
US20180114286A1 (en) Interactive timer with local and remote system integration
KR101751450B1 (ko) 사용자 위치기반 예약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94628A1 (en) Store clerk call system and store clerk call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