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413B1 -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413B1
KR102053413B1 KR1020190012243A KR20190012243A KR102053413B1 KR 102053413 B1 KR102053413 B1 KR 102053413B1 KR 1020190012243 A KR1020190012243 A KR 1020190012243A KR 20190012243 A KR20190012243 A KR 20190012243A KR 102053413 B1 KR102053413 B1 KR 10205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ser
information
user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다이 스즈키
최우석
유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13B1/ko
Priority to JP2019570387A priority patent/JP6853389B1/ja
Priority to PCT/KR2019/001655 priority patent/WO20201589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포스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할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METHOD FOR MANAGING POS DEVICE APPLICABLE TO MULTIPLE TYPE OF BUSINESS}
본 발명은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포스 단말은 업태별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업장에서도 제공되는 서비스의 업태가 상이한 경우 복수의 포스 단말을 운용해야 하였다.
이 경우 이중으로 관리비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포스 단말별로 직원을 교육해야 하므로 교육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7678호, 2011.12.2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은, 포스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할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회원가입된 사용자의 경우, 회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회원가입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비회원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이용금액 및 상기 제1 블록의 이용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 하나인 제1 사용자로부터 이동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블록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저장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쿠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쿠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전체 이용금액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및 상기 제2 서비스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쿠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 조정된 이용금액을 합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비스의 제공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단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블록의 정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수가 상기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새로운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블록에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업태별로 포스 시스템을 운영함에 따라 관리비가 이중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운영 관리비를 일원화함으로써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업태의 고객대응 및 정보처리를 하나의 포스장치로 수행할 수 있는 바, 하나의 포스 시스템에 대한 교육만으로 양 업태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직원을 육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 장치 운영을 위한 교육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직원을 교육하여 현장에 투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교육시간의 상당부분을 접객연수 등 다른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스(POS: Point Of Sale)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블록 간에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스(POS: Point Of Sale)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업장을 운용하거나, 동일한 장소에서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포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은 포스 장치의 운영자, 고객 및 포스 서버 관리자 모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장애 발생시 이에 대비할 수 있는 대응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스 시스템은 서버(100), 포스단말(200) 및 접수단말(300)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 포스단말(200) 및 접수단말(300)은 상술한 컴퓨터의 일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포스단말(200)은 컴퓨터뿐 아니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주변장치(예를 들어, 카드결제기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포스단말(200)이 비치된 사업장의 본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스단말(200)은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각 사업장에 비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단말(200)은 서로 다른 사업분야(업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처리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처리시스템은 서버(100)에 의하여 서포트된다.
예를 들어, 동일 또는 인접한 장소에서 노래방과 PC방이 함께 운영되는 경우, 노래방과 PC방에서 관리되어야 하는 정보는 서로 상이하므로, 기존에는 2개의 서로 다른 포스장치를 이용하여야 했다.
하지만,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단말(200)은 하나의 포스단말(200)을 이용하여 노래방과 PC방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처리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를 통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단말(200)은 업태별로 포스 시스템을 운영함에 따라 관리비가 이중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운영 관리비를 일원화함으로써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업태(예를 들어, PC방(혹은 인터넷 카페)과 노래방)의 고객대응 및 정보처리를 하나의 포스장치로 수행할 수 있는 바, 하나의 포스 시스템에 대한 교육만으로 양 업태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직원을 육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 장치 운영을 위한 교육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직원을 교육하여 현장에 투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교육시간의 상당부분을 접객연수 등 다른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업태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들의 등록, 데이터 가공, 분석 및 지표생성 등 정보 처리를 동일한 형식으로 통일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자동으로 정리하여 분석단계로 넘길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人的) 실수를 막고, 동일한 기준에서 분석된 지표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업태를 운영하는 본부 사업체에서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분석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각 업장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업장의 포스 단말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포스 단말 차원에서 메인 포스의 기능을 서브 포스로 전환하고, 장애 해소시 일정 주기로 백업된 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부의 원격 서포트가 개시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장애로 인한 복구를 빠르게 복원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서브 포스의 기능변경을 통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솔루션 연동을 통해 효율적인 점포관리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PC방 등에서 좌석별 패치작업을 수행하고, 콘텐츠별 좌석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품결제 및 PC 복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수단말(300)은 사업장에 비치된 태블릿 PC를 의미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접수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특정 사업장에 대한 회원등록, 접수 또는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접수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서버(100)로 전달되고, 서버(100)는 해당 정보를 등록한 후 대응하는 포스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과정은 매장에 비치된 태블릿 PC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고객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고객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 후 매장에 비치된 태블릿 PC를 통해 간단히 정보 입력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객정보의 등록과 접수, 예약 등을 고객이 셀프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매장 직원은 본인확인 등 최소한의 업무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관리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관리 화면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숙련된 직원을 대상으로 주요 기능 위주로 단축 할당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고, 신입 직원을 대상으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구성된 아이콘들이 포함된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업태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따라서 각 업태의 성질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의 고객 입점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방의 경우 개인별로 회원가입, 이용시작, 이용종료, 결제를 수행하는 데 반해, 노래방의 경우 방을 단위로 하여 이용시작, 이용종료 및 결제가 수행되고, 특정되지 않은 하나 혹은 복수의 사람들이 해당 방을 이용하는 데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PC방과 노래방뿐 아니라 만화방, 멀티방, VR게임방, 룸식 카페, 독서실, 스터디룸, 스크린골프 등 기존에 존재하던 업태뿐 아니라 새롭게 생겨나는 업태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C방과 노래방을 예시로 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설명하겠지만,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외의 다양한 업태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방의 경우 개인별로 고객등록 및 회원가입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용시작, 이용시간 산정 및 종료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음식이나 음료 등 추가주문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개인별로 이를 기록하고, 차후 청구 및 결제가 진행된다.
반면, 노래방의 경우 방 별로 이용시작, 이용시간 산정 및 종료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음식이나 음료 등 추가주문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방 별로 이를 기록하고, 차후 청구 및 결제가 진행된다. 따라서, 노래방의 경우 각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 및 등록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방에 복수의 비회원(게스트) 사용자들이 등록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개별적인 사용자는 등록하지 않고, 방 단위로만 관리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라, 각 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따라 비용이 달리 과금되는 경우에는 추가 사용자가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방에 합류되는 시점에 대한 관리 또한 함께 수행될 수 있고, 이때 비용은 이용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일 시스템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업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방 각각에 대응하는 객체 혹은 자료구조가 마련되고, 각각의 정보가 계층적으로 저장되는 모델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새로운 고객이 입장하는 경우, 고객정보를 등록함에 있어 PC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PC방 혹은 개인 메뉴를 선택하고, 개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며, 사용시작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반대로, 고객이 노래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노래방 혹은 방 메뉴를 선택하고, 방에 대한 사용시작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나아가, 방에 대하여 사용시작 시간이 등록되는 경우, 해당 방의 하위계층에 해당 방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 및 각 사람들의 이용 시작시간이나 주문한 음료, 음식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용시작과 종료, 그리고 이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비용은 사람들이 저장된 계층이 아닌, 그상위의 방 계층을 통해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차원에서는 사람과 방을 유사 혹은 동일하게 취급하여 사용등록 및 종료가 가능케 하되, 포스단말(200) 혹은 서버(100) 차원에서는 사람과 방을 서로 다른 객체에 대응하도록 저장하고, 사람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회원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방에 대해서는 각 방을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람의 수 등)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과 방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료구조(예를 들어, 클래스 등)를 활용함으로써 이를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방을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저장이나 로드가 필요한 경우, 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의 하위개념으로서, 혹은 하위 계층에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를 링크 혹은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업태의 이용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단말(200)은 사용자들의 일시외출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이용을 정지한 시간과 재개한 시간을 관리하며, 기 납부한 비용이 있는 경우 이를 예치금으로서 관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일시외출을 수행하는 경우 그때까지 이용한 시간 혹은 일정 시간을 미리 결제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일시 외출을 요청하는 경우 모든 사용자들이 방을 비우는지 여부를 카운트하여 판단하도록 포스 단말(200)의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포스 단말(200) 혹은 서버(100)는 신용카드 인식 단말 등과 연계되어, 결제시 신용카드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오류없이 수신하고, 전달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스 단말(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결제(청구)정보와, 현금 외 결제(청구)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하고,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기록되는 사용기록과 연동함으로써, 회계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PC방의 경우 PC화면을 통해, 노래방의 경우 각 방에 마련된 태블릿 PC 등을 통해 주문할 수 있는 음식이나 음료와 같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를 주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출 등을 결산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항목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결산 진행상황에 따라 이를 요약하거나 강조하여 제공함으로써, 결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포스 단말(200)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로컬, 서버 및 클라우드 등을 통해 백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그 주기 또한 시간별 차분백업, 일별 백업, 서로 다른 백업수단을 이용한 계층적 백업 등을 수행함으로써, 포스 단말(200)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장애상황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각 PC의 패치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컨텐츠별 좌석을 안내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특정 게임이나 프로그램이 설치된 PC를 탐색하고,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 판매 상품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회계정보 관리를 보조하는 시스템, 서로 다른 단말 간 매칭을 통해 상호 카피를 저장 및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스 시스템은 본부 서버(100)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포스 단말(210 및 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부 서버(100)는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하고,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에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원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서버(100)를 통하여 각 포스 단말(210 및 220)의 회원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업태에 걸쳐 공통적으로 회원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로부터 일별 가동시간, 가동일보, 이용경향, 결제, 등록, 실시간 이용상황, 쿠폰사용, 회원등록 등 다양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포스 단말(210 및 220)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형식의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업장 및 업태에 따른 이용동향, 매출동향, 수익동향 등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배포된 쿠폰들의 현황 및 소화 상황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하는 등, 빅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양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본부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각각의 포스 단말(210 및 220)에 제공되어 매장 운영을 보조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포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420에서, 포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43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할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블록을 획득한다.
단계 S44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45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회원가입된 사용자의 경우, 회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회원가입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비회원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공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상기 제공단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블록의 정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 있어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수가 상기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새로운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상기 새로운 블록에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사용자가 함께 입장하는 경우 각각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해당 사용자들이 PC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블록에 사용자를 배치해야 하므로, 포스 장치는 1명의 사용자를 블록에 할당한 후 다음 블록을 획득하고, 다시 1명의 사용자를 블록에 할당한 후 다시 다음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사용자들이 노래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 룸의 정원을 판단하고, 사용자들이 룸의 정원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해당 룸에 대응하는 블록을 획득하고, 블록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이용금액 및 상기 제1 블록의 이용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산출된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 하나인 제1 사용자로부터 이동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이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저장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쿠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쿠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전체 이용금액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및 상기 제2 서비스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쿠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 조정된 이용금액을 합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방을 이용하던 사용자가 블록 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은 다른 노래방의 룸을 이용하고자 함일 수도 있지만, PC방을 이용하고자 함일 수도 있다.
따라서, 포스 장치는 결제금액을 산출함에 있어 각각의 서비스 업종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며, 또한 사용자가 보유한 쿠폰이 있는 경우 해당 쿠폰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서비스 분야에서 각각 쿠폰에 기반하여 조정된 결제금액을 산출 및 합산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스 장치(200)에 표시되는 포스 화면(6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화면(600)에는 하나 이상의 블록(610 내지 640)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블록은 단 한 명의 사용자에 대응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일행의 그룹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PC방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블록은 각각의 PC 혹은 해당 PC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노래방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블록은 노래방의 각 룸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 룸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해당 블록에 할당 및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블록에는 해당 블록에서 이용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해당 블록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각 사용자의 회원가입 여부 및 회원정보, 각 사용자의 입장시간, 서비스 이용시간, 이용 서비스, 구매한 물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는 블록 단위로 저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위로 저장될 수도 있다. 물품에 대한 정보가 블록 단위로 저장되는 경우, 결제시에 해당 블록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수로 전체 물품 가액을 나누어서 각각의 비용을 각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위로 물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즉 예를 들어 블록에 물품정보가 저장되되, 각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제시 각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노래방의 경우 누가 어떠한 제품(예를 들어, 음료나 식품 등)을 주문했는지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품을 주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제품의 주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 포함될 수 있고, 주문자 정보는 각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공동으로 주문하는 제품의 경우 공동으로 주문한다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시에 각 제품을 주문한 사용자에 대한 질의를 제공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에 기반하여 각 제품의 가액을 각각의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포스 장치(200)는 각 제품의 성질 및 각 사용자의 제품 구매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각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자서 먹기 어렵거나 대체로 혼자서는 잘 먹지 않는 양이 많은 식품이나 간식류를 주문한 경우, 이는 공동으로 주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음료의 경우 혼자서 하나씩 마시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사용자가 주문한 것으로 판단하되, 사용자 수에 비해 적은 음료가 주문된 경우 마찬가지로 공동으로 주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기존 제품구매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의 취향에 가장 부합하는 제품을 각각의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장치(200)는 각 제품과 각 사용자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금액을 청구하고, 연관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각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 제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 결과에 따라 금액 청구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품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가 제공되는 컵이나 음식이 제공되는 그릇에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며, 이는 각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노래방 안에서 각 블루투스 모듈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거리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거리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제품을 해당 사용자가 단독으로 이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지라도,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거리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거리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제품을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화면(600)의 각 블록들에는 해당 블록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 화면(600)의 블록(610)에는 사용자 아이콘(612)이 표시되어 있고, 블록(620)에는 복수의 사용자 아이콘(622 및 624)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사용자 아이콘은 각각 한 명의 사용자에 대응할 수도 있고,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사용자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수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630)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아이콘(632, 634 및 636)이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 아이콘(632)은 다른 사용자 아이콘들(634 및 636)과는 상이한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콘(632)는 기 설정된 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5명)에 대응하는 것이고, 다른 사용자 아이콘들(634 및 636)은 각각 1명의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수가 많아지는 경우 표시되는 사용자 아이콘의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장치(200) 이용자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해당 블록에 회원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회원정보의 입력은 회원카드를 스캔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고, 접수단말(300)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는 링크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회원인 경우 해당 비회원의 정보에 기반하여 비회원을 위한 임시 계정이 생성되고, 임시 계정에 기반하여 각 블록에 정보가 저장되고 해당 사용자의 이용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회원 임시계정은 생성 후 소정의 기간동안 보관되며, 해당 기간 내에 해당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해당 임시계정에 대응하는 이용정보가 해당 회원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사용자의 회원여부에 기반하여 각 블록에 표시되는 사용자 아이콘의 외관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포스 장치(200) 사용자가 해당 비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회원가입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서비스 이용 종료시, 포스 장치(200) 사용자는 결제대상 블록을 선택하고, 포스 장치(200)는 선택된 블록에 대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포스 장치(200)는 선택된 블록에 포함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요금 및 해당 블록의 전체 이용요금을 산출 및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200)는 전체 이용요금을 함께 계산할지, 혹은 개별적으로 계산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 장치(200)는 개별결제 혹은 함께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블록 간에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노래방의 경우 각 방을 이용하는 일행들이 하나의 블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620)의 경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아이콘(622 및 624)이 블록(620)에 표시되며, 이는 각 사용자가 함께 블록(620)에 대응하는 룸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아이콘(624)이 블록(640)으로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 아이콘(624)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블록(640)에 대응하는 룸으로 이동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룸 이동을 원하는 경우 요청 및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스 장치(200)에는 해당 사용자의 룸 이동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포스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콘(624)을 해당 사용자가 이동한 룸에 대응하는 블록(640)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한 해당 블록(6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블록에는 해당 블록에 소속되었고, 아직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사용자 아이콘(624)이 블록(640)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전 블록(620)에는 해당 사용자 아이콘(624)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남아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아이콘(622 및 624)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룸을 이용하다가 함께 퇴장하며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최초에 각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었던 블록(620)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들에 대한 결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620)에는 룸을 이동한 사용자가 이동한 대상 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블록(620)에 대한 비용정산이 요청되는 경우, 포스장치(200)는 이동한 대상 룸에 대응하는 블록(640)으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이용한 비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각 사용자가 이용한 비용에 대한 정보는 해당 사용자에 매칭되어 저장되고, 블록(620)은 최초에 블록(620)에 저장되었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에 매칭된 비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들 중 일부가 먼저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만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록(620)에 저장된 사용자들 중 현재 블록(620)에 대응하는 룸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결제가 모두 완료되는 경우, 포스 장치(200)는 해당 룸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한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가 이동한 룸에 기반하여 정보가 관리되며, 결제시에도 해당 룸을 선택함으로써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 장치(200)에는 각 룸 및 좌석의 상태와 이용가능여부, 이용가능시간 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 장치(200)에는 각 룸, 좌석 및 사용자의 이용시간, 이용예상시간, 예상 퇴실시간 등이 간트 차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스 장치(200)는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각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상태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에게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사용자에게 제공된 쿠폰에 대한 정보는 포스 장치(200)에 저장되며, 포스 장치(200)는 쿠폰의 발급현황 및 쿠폰의 소진현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장치(200)에는 PC 혹은 노래방 룸 및 기타 서비스 시설들에 대한 배치도에 각각의 블록정보를 매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도 이미지 상에 각각의 블록정보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된 배치도 상에 각각의 블록정보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시 배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정보는 각 시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노래방 룸의 경우 각 룸의 크기, 수용인원 및 기타 부가시설에 대한 정보가 블록에 포함될 수 있으며, PC방의 경우 각 PC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게임 등), 각 PC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각 PC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좌석이나 룸을 포스 장치(200)에서 선택하여 제공하기 용이하며, 해당 좌석의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에도 조정된 배치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좌석에 대응하는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전체 인터페이스를 새로 생성하지 않고도 연속성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2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02)는 프로세서(2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4)에는 프로세서(2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버
200 : 포스 단말
300 : 접수단말

Claims (8)

  1. 포스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할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이용금액 및 상기 제1 블록의 이용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 하나인 제1 사용자로부터 이동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블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저장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일시 외출을 요청하는 경우, 이용을 정지한 시간과 이용을 재개 시간을 관리하며, 기 납부한 비용을 예치금으로 관리하고, 이용 시간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며, 모든 사용자가 방을 비우는지 여부를 카운트하는 단계;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가 블록 단위로 저장되는 경우, 해당 블록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수로 전체 물품 가액을 나누어서 각각의 비용을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위로 저장되는 경우, 각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의 이용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구매한 제품의 성질 및 해당 블록에 소속된 사용자 각각의 제품 구매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추정하는 단계;
    해당 블록에 소속된 사용자 각각의 제품 구매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구매한 제품과 사용자 각각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금액을 청구하는 단계; 및
    제품과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제품과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거리 및 제품과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거리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제품을 특정 사용자가 단독으로 이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회원가입된 사용자의 경우, 회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회원가입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비회원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용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보유한 쿠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쿠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전체 이용금액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블록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및 상기 제2 서비스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쿠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2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금액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서 조정된 이용금액을 합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비스의 제공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단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블록의 정원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수가 상기 정원을 초과하는 경우, 새로운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블록에 상기 제1 블록에 정보를 저장할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KR1020190012243A 2019-01-30 2019-01-30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KR10205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243A KR102053413B1 (ko) 2019-01-30 2019-01-30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JP2019570387A JP6853389B1 (ja) 2019-01-30 2019-02-12 複数の業態に適用可能なpos装置管理方法
PCT/KR2019/001655 WO2020158984A1 (ko) 2019-01-30 2019-02-12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243A KR102053413B1 (ko) 2019-01-30 2019-01-30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13B1 true KR102053413B1 (ko) 2019-12-06

Family

ID=6883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243A KR102053413B1 (ko) 2019-01-30 2019-01-30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678A (ko)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네티모 쿠폰 서비스 기능을 갖는 pc방 서버 시스템, pc방에서의 쿠폰 서비스 방법
KR20130119228A (ko) * 2012-04-23 2013-10-31 에이에스지코리아 주식회사 포스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30138493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티켓몬스터 Pos 시스템 및 pos 결제 서비스 방법
KR20130141085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포스뱅크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7176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64225A (ko) * 2012-11-20 2014-05-28 손관우 안드로이드 기반 포스 매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678A (ko)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네티모 쿠폰 서비스 기능을 갖는 pc방 서버 시스템, pc방에서의 쿠폰 서비스 방법
KR20130119228A (ko) * 2012-04-23 2013-10-31 에이에스지코리아 주식회사 포스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30138493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티켓몬스터 Pos 시스템 및 pos 결제 서비스 방법
KR20130141085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포스뱅크 Pos 기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64225A (ko) * 2012-11-20 2014-05-28 손관우 안드로이드 기반 포스 매장 관리 시스템
KR101397176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9173B2 (en) Vending store inventory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US7110964B2 (en) Order processing
Leong Food order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JP5875167B1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WO2004010356A1 (ja) 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決済プログラム、および決済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1032153B2 (en) Method, medium, and server system for allocating and tracking resource distributions in computer networks
CN111476460B (zh) 一种银行自助设备智慧运营调度的方法、设备和介质
JP6505615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WO2017002952A1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22008305A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6353107B1 (ja) 両替支援システム、両替支援方法及び両替支援プログラム
US20110153467A1 (en) System and method of modifying menu data for self-service computers
US10122648B2 (en) Allocating and tracking resource distribution in computer networks
KR102053413B1 (ko)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KR102053414B1 (ko)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관리 및 티켓 출력 시스템
JP6853389B1 (ja) 複数の業態に適用可能なpos装置管理方法
KR20220019738A (ko)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318953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WO2010032253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tributed kiosk services
JP5971883B1 (ja) 指名制接待飲食店舗用posシステム
KR20210081690A (ko) 기업특성에 기반한 mro 상품 추천 및 수요 예측에 따른 자재소요계획 시스템 제공방법
KR20200057895A (ko)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시스템
US20080126142A1 (en) Promotional in-store demonstration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US118423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point-of-sale systems and customer devices at an establishment
CN110705734B (zh) 在线住宿产品的预订服务系统、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