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961A -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961A
KR20130140961A KR1020120054741A KR20120054741A KR20130140961A KR 20130140961 A KR20130140961 A KR 20130140961A KR 1020120054741 A KR1020120054741 A KR 1020120054741A KR 20120054741 A KR20120054741 A KR 20120054741A KR 20130140961 A KR20130140961 A KR 20130140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inner tube
tube
appearance
gui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206B1 (ko
Inventor
이한철
강성권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2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3624 priority patent/WO2013176409A1/ko
Priority to EP13793076.4A priority patent/EP2853243A4/en
Publication of KR2013014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in a bifur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1Blood vessels provided with means for allowing access to secondary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002/96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with additional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43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ngula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제1외관이 연장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1내관이 연장된 제1보조부와, 제1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관을 관통하는 제1중심관과, 상기 제1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1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1스텐트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상기 제1외관에 삽입되는 제2외관이 연장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2내관이 연장된 제2보조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과 상기 제1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스텐트에 고정된 제2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관을 관통하는 제2중심관과, 상기 제2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2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2스텐트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은,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외관을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1스텐트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배출시키고,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전단부를 분지 협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내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텐트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둘레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마커를 포함하는 인공혈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Stent, Inserting Device of Stent and Surgical Procedur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내 혈관 등에 협착이 발생할 경우, 주 협착부위 외에 분지 협착부위에도 스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 혈관에 삽입되는 삽입관을 통해 분지 협착부위용 삽입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여 스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혈관, 식도 등 일정한 내경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관에 침전물 등의 원인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 인공적으로 협착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스텐트를 삽입하는 스텐트 삽입장치가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상기 협착부위로부터 파생되는 분지 협착부위가 인접해 있는 경우,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별도의 스텐트를 더 삽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협착의 원인이 침전물 등에 의한 것일 경우, 주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설치하는 과정 중에 침전물이 분지 협착부위에 밀려 들어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스텐트 삽입 시술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 협착부위 외에 분지 협착부위에도 스텐트를 동시 삽입하는 기술이 연구되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풍선도자를 사용한 확장 방법을 가지는 스텐트에 관한 기술로서, 자발 확장형 스텐트를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풍선도자를 사용하여 분지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기술의 경우, 스텐트의 일부를 분할하여 주 협착부위 및 분지 협착부위에 동시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분지 협착부위가 2개소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술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삽입될 스텐트의 개수에 각각 대응되는 제2가이드와이어 또는 제2가이드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제1삽입부에 미리 설치하는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분지 협착부위용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삽입부 및 제1보조부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외에 별도로 제2삽입부 및 제2보조부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포함하는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제1외관이 연장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1내관이 연장된 제1보조부와, 제1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관을 관통하는 제1중심관과, 상기 제1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1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1스텐트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상기 제1외관에 삽입되는 제2외관이 연장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2내관이 연장된 제2보조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과 상기 제1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스텐트에 고정된 제2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관을 관통하는 제2중심관과, 상기 제2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2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2스텐트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상기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심관 및 상기 제2중심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단에는, 대응되는 각 외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대응되는 각 외관보다 직경이 큰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상기 제1보조부의 후방을 통해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설치될 스텐트의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에 인공혈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에 구비되는 인공혈관에는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외관에 삽입되는 제3외관이 연장된 제3삽입부와, 상기 제3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3내관이 연장된 제3보조부와, 상기 제3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과 상기 제2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스텐트에 고정된 제3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3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내관을 관통하는 제3중심관과, 상기 제3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3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3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3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3스텐트를 포함하는 제3스텐트 삽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는, 제1외관이 연장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1내관이 연장된 제1보조부와, 제1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관을 관통하는 제1중심관과, 상기 제1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1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1스텐트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상기 제1외관에 삽입되는 제2외관이 연장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2내관이 연장된 제2보조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과 상기 제1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제2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텐트에 고정된 가이드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관을 관통하는 제2중심관과, 상기 제2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2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2스텐트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상기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심관 및 상기 제2중심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단에는, 대응되는 각 외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대응되는 각 외관보다 직경이 큰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제1보조부의 후방을 통해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은 설치될 스텐트의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에 인공혈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에 구비되는 인공혈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삽입장치를 이용한 시술방법은,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외관을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1스텐트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배출시키고,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전단부를 분지 협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내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와이어를 상기 확장방지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외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 또는 다른 제2스텐트 삽입유닛의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제2외관을 다른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다른 제2스텐트를 상기 다른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가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개수만큼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제1내관을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를 이용한 시술방법은,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외관을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1스텐트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배출시키고,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를 분지 협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관에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가이드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와이어를 상기 확장방지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제1내관을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트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둘레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마커를 포함하는 인공혈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커는, 상기 통과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마커, 상기 통과홀의 반대측 둘레에 형성된 제3마커 및 상기 제1마커 및 상기 제3마커 사이에 형성되고, 된 기준마커와, 상기 제1마커 및 상기 제3마커 사이에 형성되고, 서로 대비하여 상기 몸체의 회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마커 및 대비마커를 포함하는 제2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삽입될 스텐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가이드와이어 또는 제2가이드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사용하므로, 분지 협착부위가 2개소 이상 존재할 경우에도 제2가이드와이어 또는 가이드관을 각 분지 협착부위마다 위치시켜 각 스텐트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분지 협착부위에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가 존재할 경우에도, 제1삽입부와 같이 제2삽입부에도 가이드와이어를 미리 설치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에도 스텐트를 삽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분지 협착부위용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제2삽입부 및 제2보조부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사용하므로, 주 협착부위에 위치된 제1외관을 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제1스텐트 삽입유닛은 제2스텐트 삽입유닛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작을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전체적인 조작이 간편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외관의 전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외관의 전단부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주 협착부위에 제1가이드와이어를 미리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제1외관을 주 협착부위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제1스텐트의 일부를 배출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정와이어를 제거하여 제1스텐트를 주 협착부위에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내관을 후퇴시켜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제2외관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분지 협착부위에 제2외관을 위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제2스텐트를 배출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정와이어를 제거하여 제2스텐트를 분지 협착부위에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각 스텐트를 설치한 후 스텐트 삽입장치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외관의 전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제1스텐트의 일부를 배출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가이드관을 따라 제2가이드와이어를 삽입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각 스텐트를 설치한 후 스텐트 삽입장치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각 스텐트를 설치한 후 스텐트 삽입장치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스텐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스텐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제1스텐트 삽입유닛은 각각 삽입부 및 보조부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이 도시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만을 도시하였으며, 제2스텐트 삽입유닛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텐트 삽입유닛은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를 포함하며, 제1삽입부(10)에는 제1외관(50)이 연장되고, 제1보조부(20)에는 제1내관(60)이 연장된다. 그리고, 제1내관(60)은 제1삽입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외관(5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를 조작함에 따라 제1내관(60)은 제1외관(50)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된다. 구체적으로,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좁히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제1내관(60)이 제1외관(50) 내부에서 전방 이동되고,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넓히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제1내관(60)이 제1외관(50) 내부에서 후방 이동된다.
한편,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실시예에서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길게 형성된 몸체를 가진다. 또한, 제1외관(50) 및 제1내관(60)은 각각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내관(60)은 제1삽입부(10)의 후방으로 삽입된다.
더불어, 제1삽입부(10)에는 제1내관(60) 외에도 제2가이드와이어(2)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보조부(20)에는 제1중심관(70)이 삽입되어 제1내관(6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1스텐트 삽입유닛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제1외관(50) 전단부의 모습이 도시되며, 도 3에는 제1외관(50) 전단부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먼저.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외관(50)의 내부 공간에는 제1내관(60)이 삽입되며, 제1내관(60)의 내부 공간에는 제1중심관(70)이 관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중심관(70)의 전단에는 가이드부재(80)가 구비되고, 이는 이후 제1가이드와이어를 입구의 가이드홀(82)에 삽입하여 제1외관(50)의 경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80)의 내부에는 가이드홀(82)과 연결된 연결홀(84)이 형성되어, 제1중심관(7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중심관(70)이 가이드부재(80) 내부로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심관(70)이 가이드부재(80)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제1가이드와이어는 가이드부재(80)의 가이드홀(82)에서부터 제1중심관(70)의 내부 공간까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부재(80)의 두께는 제1외관(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외관(50)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는 이후 제1외관(50)을 인체에 삽입할 경우 체액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고, 가이드부재(80)의 위치를 제1외관(50)의 전단에 고정시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부재(80) 및 제1내관(60)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사이에 제1스텐트(9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스텐트(90)는 제1중심관(70)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80) 및 제1내관(60)이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좁히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제1내관(60)이 제1외관(50) 내부에서 전방 이동되어 상기 제1스텐트(90)를 밀어낼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제1내관(60)이 전방 이동하여 제1스텐트(90) 및 가이드부재(80)를 제1외관(50) 외측으로 밀어 제1스텐트(90)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스텐트(90)는 제1외관(50)으로부터 배출될 경우, 직경이 확장되어 협착이 발생된 부위의 내벽을 지지하고, 상기 협착 부위의 직경을 일정 이상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스텐트(90)는 풍선도자 등 기타 장치에 의해 확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자발적으로 확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 제1스텐트(90)는 자발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는 방법 또는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방법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는 상기 협착이 발생된 부위가 혈관인 것으로 하였으며, 따라서 인공혈관(94)이 제1스텐트(90)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공혈관(94)은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스텐트(90)의 둘레에는 제1스텐트(90)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96)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스텐트(90)가 제1외관(50)의 외측으로 배출될 경우에도 제1스텐트(90)의 확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확장방지부재(96)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1스텐트(90)가 제1외관(50)에서 배출되는 순간 확장이 시작되고, 완전히 배출될 경우 협착부위의 내벽에 접촉되므로 설치 위치를 보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확장방지부재(96)가 구비될 경우에는 일단 제1스텐트(90)를 배출시킨 후, 미세한 설치 위치 조절을 시행한 후 확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확대된 그림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확장방지부재(96)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나, 고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제작되고, 하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갈고리 형상에 삽입되어 확장방지부재(96)가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와이어(98a, 98b)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확장방지부재(96)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특히 인공혈관(94)보다 전방에 총 두 개소가 구비된다. 그리고, 인공혈관(94)보다 전방에 위치된 확장방지부재 중 인공혈관(94)에 가까운 확장방지부재에는 제2고정와이어(98b)가 삽입되며, 나머지 확장방지부재들에는 제1고정와이어(98a)가 삽입된다. 즉, 인공혈관(94)보다 전방에 위치된 확장방지부재 중 인공혈관(94)에 가까운 확장방지부재는 다른 확장방지부재와는 별도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98a, 98b)는 제1내관(60)을 통해 제1보조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재(25)는 고정와이어(98a, 98b)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돌출부재(25)를 통해 노출된 고정와이어(98a, 98b)를 잡아 제1보조부(20)로부터 빼낼 경우 고정와이어(98a, 98b)가 후방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각 확장방지부재(96)에서 분리되어 제1스텐트(90)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확장방지부재(96) 및 고정와이어(98a, 98b)는 서로 연동되어 제1스텐트(90)의 확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여, 사용자는 더욱 정밀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방법 외에도 확장방지부재(96)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에 의해 제1스텐트(90)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와이어(2)는 제1삽입부(10)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2가이드와이어(2)는 제1외관(50) 및 제1내관(60)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반대 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텐트(90)에 고정된다. 즉, 제2가이드와이어(2)는 제1스텐트(90)가 제1외관(50)으로부터 배출될 경우 제1스텐트(90)와 함께 제1외관(50)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텐트(90)에 인공혈관(94)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가이드와이어(2)가 제1스텐트(90)에 직접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인공혈관(94)이 구비된 경우에는 인공혈관에 통과홀(95)을 형성하여 제2가이드와이어(2)를 통과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제2가이드와이어(2)는 도 1과 같이 제1보조부(20)의 후방으로 삽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가이드와이어(2)는 다양한 위치로부터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제1스텐트 삽입유닛에 대한 설명을 완료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인체 내에 협착이 발생된 부위를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협착이 발생된 부위는 주 협착부위 외에 상기 주 협착부위에서 분기된 분지 협착부위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시술을 위해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한다. 본 단계에서, 스텐트 삽입장치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선행 과정으로, 제1가이드와이어를 미리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 협착부위(200) 및 분지 협착부위(205)가 도시되며, 제1가이드와이어(1)가 주 협착부위(200)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1)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제1스텐트 삽입유닛의 중심관(70)에 삽입하여, 제1가이드와이어(1)를 따라 제1외관(50)을 상기 주 협착부위(200)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제1외관(50)의 전단부는 제1가이드와이어(1)의 경로를 따라 주 협착부위(200)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제1스텐트(90)를 제1내관(60)으로부터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단계에서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의 이격된 거리를 좁히도록 조작하여 제1내관(60)이 제1외관(50) 내에서 전방 이동되도록 하여 제1스텐트(90)를 밀어내도록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조작을 위해 제1삽입부(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보조부(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보조부(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삽입부(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스텐트(90)를 배출시키기 위한 조작은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한 것으로, 편의에 따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제1스텐트(90)위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삽입부(1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외관(50)이 후퇴되도록 하여 제1스텐트(90)는 초기 위치에서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스텐트(90)가 제1외관(50)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통과홀(95)이 납작하게 변형된 상태를 가지므로, 통과홀(95)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본 과정에서 통과홀(95)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로 제1스텐트(90)를 완전히 배출시킬 경우에는 제2가이드와이어(2)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스텐트(90)의 일부만을 배출시킨 뒤, 제2고정와이어(98b)를 제1보조부(20)로부터 빼내 통과홀(95) 부분만이 확장되도록 하여, 통과홀(95)의 위치를 확인 및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킨 뒤 순차적으로 제1스텐트(90)를 완전히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와이어(98b)가 인공혈관(94)보다 전방에 위치된 확장방지부재 중 인공혈관(94)에 가까운 확장방지부재에만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제1스텐트(90)의 일부를 배출시킨 이후에는, 제1스텐트(90)에 고정된 제2가이드와이어(2)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분지 협착부위(205)는 주 협착부위(200)에 비해 직경이 작으므로, 제2가이드와이어(2)를 별도의 작업으로 상기 분지 협착부위(205)에 삽입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제2가이드와이어(2)를 제1스텐트(90)에 미리 고정시킬 경우에는 제1스텐트(90)를 제1외관(50)으로부터 배출시키는 작업과 함께 제2가이드와이어(2)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1스텐트(90)에 확장방지부재(96)가 구비될 경우에는, 제1스텐트(90)가 제1외관(50)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되어도 확장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단계에서 제2가이드와이어(2)를 내측으로 더 삽입되도록 밀어 넣어, 이후 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주 협착부위(200)에 위치된 제1스텐트(90)를 확장시킨다. 본 단계에서, 제1스텐트(90)를 확장시켜 주 협착부위(200)의 내관의 직경을 확보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스텐트(90)에 확장방지부재(96)가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 제1스텐트(90)를 제1외관(50)에서 배출시키는 과정과 함께 제1스텐트(90)가 자발 확장되어 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확장방지부재(96)가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와이어(98a)를 제거하여 제1스텐트(9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제1고정와이어(98a)를 잡아 빼는 것으로 제1스텐트(90)가 완전히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스텐트(90)가 풍선도자에 의해 확장되는 형태일 경우에는, 풍선도자를 부풀게 하여 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단계까지의 작업을 통해, 제1스텐트(90)가 주 협착부위(200)에 설치 완료되고, 이후에서는 분지 협착부위(205)에 제2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 제2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이후 제1내관(60)을 후퇴시켜 제1외관(50)의 내측 공간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이후 제1외관(50)을 통해 제2외관을 삽입하기 위해서이며, 이에 대해서는 다음 단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관(60)을 후퇴시키는 작업은 제1보조부(20)를 제1삽입부(10)로부터 멀어지도록 잡아당기는 조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보조부(20)의 움직임에 따라 제1내관(60)은 제1외관(50) 내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과정에 의해, 제1외관(50)의 내측 공간에는 중심관(70)과 제 가이드와이어(2)만이 남게 된다. 즉 제1내관(60)은 제1삽입부(10)의 후방으로 완전히 제거되어, 제1외관(50)의 내측 공간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내관(60)이 제1삽입부(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고정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의 경우 제1내관(60)은 제1삽입부(10)의 후단을 통해 삽입되므로, 고정부재(12)는 제1삽입부(10)의 후단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2)는 제1내관(60)이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제1실시예에서는 회전에 의한 조임 구조를 형성하여 제1내관(6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더불어, 제1삽입부(10)뿐 아니라 제1보조부(20)에도 이와 같은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제1삽입부(10), 제1보조부(20)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다른 구성요소 역시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10)의 후방을 통해 노출된 제2가이드와이어(2)의 후단을 통해 제2스텐트 삽입유닛의 제2외관(150)을 제1외관(50) 내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2스텐트 삽입유닛은 분지 협착부위에 제2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 및 조작방법은 제1스텐트 삽입유닛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2스텐트 삽입유닛은 제2삽입부(110) 및 제2보조부(120)를 가지며, 제2외관(150) 내에 제2내관(160)이 삽입된 형태를 가지며, 제2내관(160)을 제2중심관(170)이 관통하는 것 역시 동일하다. 또한, 이외의 다른 세부 구성요소 역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실시예의 경우, 제2삽입부(110)에는 또 다른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스텐트의 확장방지부재들에는 제1스텐트(90)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고정와이어(198)만이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또 다른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된 형태의 제2스텐트 삽입유닛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외관(150)은 제1외관(50)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제2외관(150)의 직경은 제1외관(50)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2가이드와이어(2)를 제2중심관(170)에 삽입시키고, 제2가이드와이어(2)를 따라 제2외관(150)을 제1삽입부(10)에 밀어 넣는 것으로 제2외관(150)을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제2가이드와이어(2)는 이전 작업에 의해 분지 협착부위(205)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2외관(150)은 이를 따라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2외관(150)이 제1외관(50)을 관통하고, 제1스텐트(90)의 인공혈관(94)에 형성된 통과홀(95)을 통해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제2스텐트(190)를 확장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스텐트(90)를 확장시키는 과정과 동일한 순서를 거쳐 이루어진다. 즉,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도 9에 도시되었던 제2내관(160)을 전방 이동시켜 제2스텐트(190)를 배출시키고, 고정와이어(198)를 제거하여 제2스텐트(190)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다.
상기 모든 과정을 거쳐, 제1스텐트(90) 및 제2스텐트(190)는 각각 주 협착부위(200) 및 분지 협착부위(205)에 설치 완료된다. 이후, 설치된 각 스텐트(90, 1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빼내어 시술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협착부위(200) 및 분지 협착부위(205)에 각 스텐트(90, 19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와이어(2)가 제1스텐트(90)에 고정되어, 제1스텐트(90)의 배출과 함께 배출되어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되었으나, 가이드와이어는 일반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강직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제2가이드와이어(2)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텐트 삽입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외관(50)의 전단부가 도시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경우, 제1실시예의 스텐트 삽입장치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와이어(2)가 제1스텐트(90)에 고정되던 반면, 제2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와이어(2) 대신 가이드관(100)이 제1스텐트(90)에 고정된다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관(100)은 이후 제2가이드와이어(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제2가이드와이어(2)보다 높은 강직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와이어(2)에 비해 조작하기가 보다 용이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삽입부(10) 및 제1보조부(20)의 이격된 거리를 좁히도록 조작하여 제1내관(60)이 제1외관(50) 내에서 전방 이동되도록 하여 제1스텐트(90)를 밀어냄과 함께 가이드관(100)이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관(100)의 후방을 통해 제2가이드와이어(2)를 삽입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즉, 가이드관(100)을 통해, 제2가이드와이어(2)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내관(60)을 후퇴시켜 제1외관(50)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과 함께 가이드관(100)을 함께 후퇴시켜 제거할 경우, 분지 협착부위(205)에는 제2가이드와이어(2)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와이어(2)의 후단을 통해 제2스텐트 삽입유닛의 제2외관을 제1외관(50)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하 작업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상기 분지 협착부위(205)가 2개소 이상 존재하는 경우 및 상기 분지 협착부위(205)에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계속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모습이 도시된다. 제3실시예에 스텐트 삽입장치 역시, 제1실시예의 스텐트 삽입장치와 전체적인 구성 및 조작은 동일하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제1보조부(20)의 후방을 통해 2개의 제2가이드와이어(2, 3)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제2가이드와이어(2, 3)는 모두 제1스텐트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의 경우, 주 협착부위(200) 외에도 2개소의 분지 협착부위(205, 210)가 존재할 경우, 각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2개의 제2가이드와이어(2, 3)는 도 18에 도시된 각 분지 협착부위(205, 210)가 상호 이격된 거리에 맞추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스텐트(90)에 인공혈관(94)이 구비되는 경우, 통과홀(195, 195a)은 제2가이드와이어(2, 3)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주 협착부위(200) 및 하나의 분지 협착부위(205)에 제1스텐트(90) 및 제2스텐트(190)를 설치한 뒤, 상기 제2스텐트(190)를 설치하기 위해 제1외관 내로 삽입한 제2외관을 후퇴시켜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3)를 통해 제2스텐트(190)를 설치한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또 다른 제2스텐트(190a)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제2가이드와이어(2)에 사용한 제2스텐트 삽입유닛에 또 다른 제2스텐트(190a)를 구비시키고,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3)에 삽입시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제2가이드와이어(2, 3)에는 별도의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술을 신속하게 수행하여야 시술의 안정성이 더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 역시 제1실시예의 스텐트 삽입장치와 전체적으로는 동일한 구성 및 조작방법을 가진다. 그리고, 도시된 모습은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제2가이드와이어(2)에 삽입하는 순간을 나타낸다. 이때, 제4실시예의 스텐트 삽입장치의 경우, 제2삽입부(110)에 제3가이드와이어(4)가 삽입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을 참조하면 제2삽입부(110)는 제1삽입부(10)에 제2가이드와이어(2)가 삽입되는 것과 같이, 제2삽입부(110) 내측으로 제3가이드와이어(4)가 삽입되도록 하며, 제3가이드와이어(4)는 제2외관(150)의 전단부에 구비된 제2스텐트(19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보조부(120)에는 고정와이어(198a, 198b)가 총 두 개 노출되며, 이는 제1실시예에서 제1스텐트(90)의 확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스텐트(390)를 설치하기 위해 제2스텐트(190)의 인공혈관(194)의 통과홀(95)을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215)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제4실시예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주 협착부위(200)에서 분기된 분지 협착부위(205) 외에도, 상기 분지 협착부위(205)에서 분기된 다른 분지 협착부위(215)까지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고안되었던 타 스텐트 삽입장치와는 극명히 차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실시예에서는 제3스텐트 삽입유닛이 더 구비되며, 제3스텐트 삽입유닛은 제3외관이 연장된 제3삽입부, 제3내관이 연장된 제3보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3외관은 제2외관(15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외관(15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함으로써, 분지 협착부위(205)에서 분기된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215)에 제3스텐트(390)를 삽입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 외에도 본 발명을 응용하여, 주 협착부위에 분지 협착부위가 다수 존재할 경우 및 분지 협착부위에 또 다른 분지 협착부위가 연속하여 분기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스텐트를 해당되는 분지혈관에 위치시키는 작업은 엑스레이 등의 장치를 통해 시술자가 외부에서 이를 모니터링하며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엑스레이 등에 의해 투시된 2차원적인 화면으로, 각 스텐트의 회전 변위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제1스텐트(9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스텐트(90)를 삽입 시 제2가이드와이어(2)를 분지 협착부위(205)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인공혈관(94)의 통과홀(95)을 분지 협착부위(205)의 입구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시켜야 한다.
하지만, 시술자는 2차원 영상을 모니터링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통과홀(95)이 분지 협착부위(205)의 입구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에 나타나는 통과홀(95)이 화면을 기준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되어 있는지 또는 먼 쪽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구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시술자는 어느 방향으로 제1스텐트(90)를 회전시켜야 할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공혈관(94)이 구비된 제1스텐트(90)의 모습이 도시된다.
제1스텐트(90)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둘레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통과홀(95)이 형성된 인공혈관(94)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혈관(94)에는 마커(400, 402, 4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1마커(400)는 통과홀(95)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제3마커(404)는 통과홀(95)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제2마커(402)는 제1마커(400)와 제3마커(404)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다. 이때, 제2마커(402)는 세부적으로 기준마커(402a)와 대비마커(402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준마커(402a)와 대비마커(402b)는 서로 상대 위치를 대비하여 제1스텐트(90)의 회전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5실시예의 경우 기준마커(402a)는 제1스텐트(9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대비마커(402b)는 기준마커(402a)로부터 절곡되어 제1스텐트(9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즉, 제2마커(402)는 통과홀(9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2차원 영상을 통해서도 제1스텐트(9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과홀(95)이 화면을 기준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제2마커(402)는 위쪽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보일 것이며, 통과홀(95)이 화면을 기준으로 먼 쪽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제2마커(402)는 아래쪽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제1스텐트(9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커(402)를 통해 제1스텐트(90)의 회전 변위를 보정한 후 제1스텐트(90)의 수평 위치가 다소 어긋나 전후로 다소 이동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마커(400)와 제3마커(404)를 기준으로 제1마커(400)와 제3마커(404)가 각각 화면의 상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제1스텐트(90)를 이동시켜 회전 변위가 다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는, 2차원적인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도 시술을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제1스텐트(90)의 모습이 도시된다. 제6실시예의 경우, 제1스텐트(90)의 제1마커(500) 및 제3마커(504)는 제5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2마커(502)의 형태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마커(502a)가 제1스텐트(9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대비마커(502b)는 점 형태로 형성되고, 기준마커(502a)로부터 제1스텐트(9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도 기준마커(502a)와 대비마커(502b)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여 2차원 영상 상에서도 제1스텐트(90)의 회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2마커(502)의 경우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기준마커(502a)와 대비마커(502b)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여 제1스텐트(90)의 회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 제한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제1가이드와이어 2, 3: 제2가이드와이어
4: 제3가이드와이어 10: 제1삽입부
12: 고정부재 20: 제1보조부
25: 돌출부재 50: 제1외관
60: 제1내관 70: 제1중심관
80: 가이드부재 82: 가이드홀
84: 연결홀 90: 제1스텐트
94, 194: 인공혈관 95, 195, 195a: 통과홀
96, 196: 확장방지부재 98a: 제1고정와이어
98b: 제2고정와이어 100: 가이드관
110: 제2삽입부 120: 제2보조부
150: 제2외관 160: 제2내관
170: 제2중심관 190, 190a: 제2스텐트
198, 198a, 198b: 고정와이어 200: 주 협착부위
205, 210, 215: 분지 협착부위 390: 제3스텐트
400, 500: 제1마커 402, 502, 제2마커
402a, 502a: 기준마커 402b, 502b: 대비마커
404, 504: 제3마커

Claims (24)

  1. 제1외관이 연장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1내관이 연장된 제1보조부와, 제1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관을 관통하는 제1중심관과, 상기 제1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1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1스텐트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상기 제1외관에 삽입되는 제2외관이 연장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2내관이 연장된 제2보조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과 상기 제1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스텐트에 고정된 제2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관을 관통하는 제2중심관과, 상기 제2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2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2스텐트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
    을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상기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더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관 및 상기 제2중심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단에는, 대응되는 각 외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대응되는 각 외관보다 직경이 큰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상기 제1보조부의 후방을 통해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텐트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설치될 스텐트의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스텐트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에 인공혈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에 구비되는 인공혈관에는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스텐트 삽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관에 삽입되는 제3외관이 연장된 제3삽입부와, 상기 제3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3내관이 연장된 제3보조부와, 상기 제3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과 상기 제2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스텐트에 고정된 제3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3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내관을 관통하는 제3중심관과, 상기 제3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3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3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3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3스텐트를 포함하는 제3스텐트 삽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9. 제1외관이 연장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1내관이 연장된 제1보조부와, 제1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관을 관통하는 제1중심관과, 상기 제1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1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1스텐트를 포함하는 제1스텐트 삽입유닛; 및
    상기 제1외관에 삽입되는 제2외관이 연장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외관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제2내관이 연장된 제2보조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관과 상기 제1내관 사이로 연장되고, 제2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텐트에 고정된 가이드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관을 관통하는 제2중심관과, 상기 제2중심관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제2외관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확장되는 제2스텐트를 포함하는 제2스텐트 삽입유닛;
    을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상기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더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관 및 상기 제2중심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단에는, 대응되는 각 외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대응되는 각 외관보다 직경이 큰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제1보조부의 후방을 통해 상기 제1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텐트 삽입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설치될 스텐트의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스텐트 삽입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에 인공혈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에 구비되는 인공혈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스텐트 삽입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외관을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1스텐트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배출시키고,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전단부를 분지 협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내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와이어를 상기 확장방지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외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 또는 다른 제2스텐트 삽입유닛의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다른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제2외관을 다른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다른 제2스텐트를 상기 다른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가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개수만큼 반복 수행되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제1내관을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20.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텐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외관을 상기 주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1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1스텐트를 상기 주 협착부위에 배출시키고,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를 분지 협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관에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가이드관을 후퇴시켜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의 후단을 상기 제2중심관에 삽입하여, 상기 제2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스텐트 삽입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제2내관을 전방 이동시켜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및 상기 제2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둘레에는 스텐트의 확장을 방지하는 확장방지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확장방지부재를 고정하고, 대응되는 각 내관을 통해 연장되어, 대응되는 각 보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텐트를 확장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와이어를 상기 확장방지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관이 상기 제1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제1삽입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외관의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외관을 상기 분지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제1내관을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
  23.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둘레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마커를 포함하는 인공혈관;
    을 포함하는 스텐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통과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마커;
    상기 통과홀의 반대측 둘레에 형성된 제3마커; 및
    상기 제1마커 및 상기 제3마커 사이에 형성되고, 된 기준마커와,
    상기 제1마커 및 상기 제3마커 사이에 형성되고, 서로 대비하여 상기 몸체의 회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마커 및 대비마커를 포함하는 제2마커;
    를 포함하는 스텐트.
KR1020120054741A 2012-05-23 2012-05-23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147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41A KR101473206B1 (ko) 2012-05-23 2012-05-23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PCT/KR2013/003624 WO2013176409A1 (ko) 2012-05-23 2013-04-26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EP13793076.4A EP2853243A4 (en) 2012-05-23 2013-04-26 STENT, DEVICE FOR INSERTING A STENT AND SURGICAL OPERATING PROCES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41A KR101473206B1 (ko) 2012-05-23 2012-05-23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961A true KR20130140961A (ko) 2013-12-26
KR101473206B1 KR101473206B1 (ko) 2014-12-16

Family

ID=4962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741A KR101473206B1 (ko) 2012-05-23 2012-05-23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853243A4 (ko)
KR (1) KR101473206B1 (ko)
WO (1) WO201317640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01B1 (ko) * 2016-05-30 2017-02-2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KR20180090595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KR20190077851A (ko) * 2017-12-26 2019-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그래프트 로딩용 장치
KR20190085572A (ko) * 2018-01-10 2019-07-19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방법
KR20220014693A (ko) * 2020-07-29 2022-02-0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전달 장치 및 스텐트 전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94B1 (ko) * 2017-02-23 2019-03-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825A (en) * 1996-09-18 1998-05-12 Isostent, Inc. Means method for treatment of stenosed arterial bifurcations
US6994721B2 (en) * 2002-10-21 2006-02-07 Israel Henry M Stent assembly
US8012192B2 (en) 2004-02-18 2011-09-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stent delivery system
DE602007011727D1 (de) * 2006-02-09 2011-02-17 Alain Dibie System zur behandlung von läsionen an einer blutgefässgabelung
US9757260B2 (en) * 2006-03-30 2017-09-12 Medtronic Vascular, Inc. Prosthesis with guide lumen
KR200427401Y1 (ko) * 2006-05-15 2006-09-26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인공혈관 스텐트 삽입장치
KR101041183B1 (ko) * 2009-11-16 2011-06-13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그래프트 로딩용 시술장치
AU2010202487B1 (en) * 2010-06-15 2011-07-28 Cook Incorporated Pre-loaded multiport delivery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01B1 (ko) * 2016-05-30 2017-02-2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WO2017209407A1 (ko) * 2016-05-30 2017-12-0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KR20180090595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KR20190077851A (ko) * 2017-12-26 2019-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그래프트 로딩용 장치
KR20190085572A (ko) * 2018-01-10 2019-07-19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방법
KR20220014693A (ko) * 2020-07-29 2022-02-0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전달 장치 및 스텐트 전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6409A1 (ko) 2013-11-28
KR101473206B1 (ko) 2014-12-16
EP2853243A4 (en) 2016-06-29
EP2853243A1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961A (ko)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US10786378B2 (en) Capture tube mechanism for delivering and releasing a stent
US96362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al to distal stent deployment
US11020256B2 (en) Bifurcated “Y” anchor support for coronary interventions
EP3238642B1 (en) Medical instrument and medical system
WO2019070349A1 (en) ANY YELLING ANCHOR SUPPORT FOR CORONARY INTERVENTIONS
BR112016009980B1 (pt) Stent a ser posicionado na bifurcação/ramificação de um vaso sanguíneo e kit
JP6696005B2 (ja) 固定部が形成されたガイド部材を含むステント挿入装置
EP3238641A1 (en) Medical instrument
JP5027135B2 (ja) 二重金属製ステント導入器
JP6180760B2 (ja) カテーテル装置
KR20120035978A (ko) 분지형 담도를 포함한 인체 y형 내강용 스텐트 설치 방법
KR101586615B1 (ko) 분지형 스텐트
KR101651148B1 (ko)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JP6366762B1 (ja) ステント挿入装置
JP6599669B2 (ja) 留置用器具
KR19990022127U (ko) 의료용스텐트삽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