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148B1 -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148B1
KR101651148B1 KR1020140149876A KR20140149876A KR101651148B1 KR 101651148 B1 KR101651148 B1 KR 101651148B1 KR 1020140149876 A KR1020140149876 A KR 1020140149876A KR 20140149876 A KR20140149876 A KR 20140149876A KR 101651148 B1 KR101651148 B1 KR 10165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diameter
endoscope
endoscopic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819A (ko
Inventor
아츠시 미나미
김은진
박헌국
장봉석
호 윤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14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4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단부의 방향을 향해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는 서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구가 각각 체내 직경이 다른 내강 상에 위치함으로써, 내시경 등의 수술도구의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Endoscope Guide Stent}
본 발명은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강 내의 수술 시, 직접적으로 배를 절개하여 수술을 진행하기 보다는 복부에 일정 크기의 절개창을 내고, 그 안으로 내시경 장비 등을 삽입하거나 신체 내 개구부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술을 위해 내시경을 삽입하는 경우, 수술부위까지 내시경을 목적이 되는 수술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내시경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7670호의 "내시경 가이드 장치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광 간섭계를 기반으로 내시경과 조직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내시경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치로써, 정확하게 산출된 내시경과 조직 간의 거리는 내시경의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조직 손상 및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내시경의 이동이 가능한 일정 범위 내로 직경이 형성된 내강에서의 내시경 이동만을 안내하는 장치로서, 내시경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에서의 거리 측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광 간섭계를 기반으로 측정한 내시경과 조직 간의 거리를 시술자가 직접 확인하여 판단한 뒤. 내시경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조작해야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떨림 혹은 내부 장기의 예상하지 못한 수축 및 이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접촉으로 인해 조직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각각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 내강들 중에서 내시경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직경으로 형성된 내강 내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내시경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밀성에 차이를 부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몸체부가 굴곡 변형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단부의 방향을 향해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는 서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각각 내시경의 이동이 용이한 직경의 내강뿐만 아니라 내시경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직경의 내강에서도 확장 설치되어, 내시경의 진입이 어렵던 내강 내 이동통로를 확보하고, 내시경 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에 의한 조직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 및 내시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 및 내시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 및 내시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상태 및 내시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경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는 제1 몸체부(110);및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10)은 중공의 원통형을 가진다.
제2 몸체부(110)는 상기 제1 몸체부(120)의 일단에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는 각각 직경이 상이한 체내 기관의 내강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몸체부(110)은 타단에 제1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 몸체부(110)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방지부(130)는 제1 몸체부(110)의 타단으로부터 단부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 부(110, 120, 130)는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10)은 제1 몸체부(110)을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밀성에 차이를 부가하고, 이에 따라 굴곡 변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굴곡 변형성을 가지는 제1 몸체부(110)은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므로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이 방향성을 달리하여 각각이 다른 내강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는 상기 각 부(110, 120, 130)의 내부면 혹은 외부면을 감싸며,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막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올레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 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부(110, 120, 130)는 체내 설치된 상기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40)는 X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를 통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의 체내 삽입 시 가시성을 확보시켜 줌으로써 협착 부위에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몸체부(120)의 타단, 즉 제1 몸체부(110)에서 연장되는 쪽의 말단이 아닌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가 내강으로 삽입되어 온 쪽의 말단에는 당김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당김부재는 제2 몸체부(120)의 타단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의 원주를 따라 둘레를 통과하여 결합된 뒤, 당김부재의 양단을 묶어서 매듭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당김부재는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협착부위의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외과적 수술 없이도 간단하게 제거 과정을 수행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300)의 제2 몸체부(320)는 제1 몸체부(310)의 일단에서부터 연장되어 일정 범위까지 점차 직경이 확장된 후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직경의 확장을 멈추고 일정하게 확장된 크기를 유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6에 되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320)는 일정 범위를 넘어서서 직경의 확장을 멈추고 일정 직경을 유지하는 영역이 십이지장(10)의 내벽에 위치하여 체내 내강과 스텐트의 접촉 면적을 줄여 스텐트와 내강의 접촉에 의한 조직손상을 감소시킨다.
2.내시경 안내용 스텐트의 설치에 따른 작용에 관한 설명
도3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는 체내 내강에 설치 시 제2 몸체부(120)에 비해 좁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부(110)은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가지는 내강에, 제2 몸체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는 내강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는 제1 몸체부(110)을 담도(20)내 위치시키고 제2 몸체부(120)를 십이지장(10)내 위치시켜, 내시경(200) 등의 체내 내강을 통해 이동하는 수술도구들의 이동경로를 안내함으로써, 별도의 확인 절차 및 안내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수술도구를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부(110)는 담도(20)와 같이 내시경(200) 등의 수술도구들이 진입하여 이동하기 어려운 직경으로 형성된 체내 내강에 설치되어 내강의 직경을 내시경(200) 등의 수술도구가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 300)는 십이지장(10)에서 담도(20)로 이동하는 내시경(20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것에 설치 장소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시경(200)을 비롯한 수술도구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직경으로 형성된 내강에 설치되어 이동 통로를 확보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의 이동방지부(130)는 담도 구멍을 통과하여 담도(20) 내 위치하여 단부를 향해 점점 확장되는 직경을 가짐으로써, 미끌림에 의해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100) 전체 혹은 제1 몸체부(110)이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십이지장
20 : 담도
100, 300 :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110, 310 : 제1 몸체부
110, 320 : 제2 몸체부
130, 330 : 이동방지부
140, 340 :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
200 : 내시경

Claims (4)

  1.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스텐트 설치 시 담도 입구에 위치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스텐트 설치 시 십이지장 내 위치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가 위치하는 십이지장으로부터 담도 입구 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부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밀성에 차이를 통해 굴곡 변형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의 내부 중공의 공간은 십이지장에서 담도로 이동하는 내시경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단부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KR1020140149876A 2014-10-31 2014-10-31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KR10165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76A KR101651148B1 (ko) 2014-10-31 2014-10-31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76A KR101651148B1 (ko) 2014-10-31 2014-10-31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19A KR20160050819A (ko) 2016-05-11
KR101651148B1 true KR101651148B1 (ko) 2016-09-05

Family

ID=5602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76A KR101651148B1 (ko) 2014-10-31 2014-10-31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879A1 (en) 2008-08-26 2010-03-04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Thoracic aorta stent graft with access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879A1 (en) 2008-08-26 2010-03-04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Thoracic aorta stent graft with access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19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6360B2 (en) Delivery device with shortened inner tube and associated method
US11213657B2 (en) Guide wire for medical devices, method of using the guidewire, and method for forming a covering on the guidewire
US8133265B2 (en) Guide catheter, and stent delivery system
US20060258972A1 (en) Delivery device with viewing window and associated method
JP6571183B2 (ja) 心嚢内視鏡システム
US20210307641A1 (en) Integrated imaging and medical devic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6840793B2 (ja) 操作可能なカテーテル及びガイドワイヤシステム
JP2005516694A (ja) カテーテル用変位装置
KR20140135052A (ko) 이동방지용 스텐트
US20220378593A1 (en) Stent delivery system, endoscope system, and stent indwelling method
US20230078930A1 (en) Branch vessel stent
KR101473206B1 (ko) 스텐트,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1651148B1 (ko) 내시경 안내용 스텐트
US20190000652A1 (en) Deployment of multiple biliary stents
WO2016152192A1 (ja) 生検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
JP5027135B2 (ja) 二重金属製ステント導入器
JP6770875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ステントグラフトセッ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留置装置
JP2022549879A (ja) 超音波内視鏡ガイド下アクセス針
JP5985128B1 (ja) 生検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
US20220387202A1 (en) Stent delivery system, endoscope system, and stent indwelling method
US20230115360A1 (en) Endoscope, accessory, and endoscope system
JP7325263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器具
US20240041626A1 (en) Delivery device and endoscope system
JP2017192596A (ja) 内視鏡用スネア
US20100286761A1 (en) Translucent Outer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