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419A - 천장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천장용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40419A KR20130140419A KR1020120063807A KR20120063807A KR20130140419A KR 20130140419 A KR20130140419 A KR 20130140419A KR 1020120063807 A KR1020120063807 A KR 1020120063807A KR 20120063807 A KR20120063807 A KR 20120063807A KR 20130140419 A KR20130140419 A KR 201301404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frame
- ceiling
- link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프레임; 광 투과성과 탄성을 가지며,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주용공간을 마감하는 탄성시트; 상기 주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주프레임을 외측으로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스트레치 시트로 조명장치의 하단을 마감한 뒤 시트에 가해진 열이 냉각되면 시트의 탄성력으로 인해 조명장치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천장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제1보조프레임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시공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장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고, 마감된 천장에 형성되는 매립홈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매립되며, 상기 매립홈이 형성되지 않는 천장에도 설치할 수 있는 천장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를 밝혀주는 것으로서 현대인의 실생활에서 가장 긴 시간을 접하게 되는 조명기구인 천장용 조명기구는 크게 천장이 안쪽으로 매몰되어 공간을 구성하여 그 매몰된 공간 내부로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광원이 배치된 공간을 커버로 마감하는 매몰형 조명과, 천장 내부에 별도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청장의 외부에 광원이 배치되어 광원을 둘러싸는 커버로 구성되는 돌출형 조명으로 구분된다.
다만, 기존의 이러한 천장용 조명기구가 조명의 커버로 플라스틱과 같이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을 이용하여 설치에 있어서 제약이 있었던 것에 반해, 천장에 광원을 배치하고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스트레치 시트를 조명 커버로 이용하여 더 유연하고 탄력적인 설치가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천장용 조명기구가 발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치 시트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 즉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sheet)를 열풍기로 가열하여 잡아서 늘린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내장재이다.
이러한 스트레치 시트는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여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치 시트로 조명장치의 하단을 마감한 뒤 시트에 가해진 열이 냉각되면 시트의 탄성력으로 인해 조명장치의 외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립홈에 조명장치를 매립하여 고정하는 시공시, 조명장치가 매립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명장치를 소정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해야만 해서,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2인1조가 되어 시공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레치 시트의 탄성력으로 인해 조명장치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명장치가 천장의 내부 및 외부면을 수용하면서 고정됨으로써 따로 고정장치를 하지 않아도 시공자 혼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장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천장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프레임; 광투과성과 탄성을 가지며,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탄성시트; 상기 주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주프레임을 외측으로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걸림부재를와 상기 제1걸림홈의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시트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탄성시트가 감싸서 마감하도록 상기 탄성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장착되는 하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외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의해 상기 보강프레임이 고정되어 상기 주프레임을 외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천장에 형성되는 매립홈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천장 내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주프레임을 상기 매립홈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의 상기 주프레임이 상기 매립홈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천장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제1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주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로부터 상기 주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으로 천장을 지지하는 제2링크,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베이스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주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부가 장착되는 축을 제공하는 설치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프레임 및 후술할 제2보조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홈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프레임 및 후술할 제2보조프레임을 접촉 지지하는 제2돌출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과 제2돌출걸림부재 간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을 제2돌출걸림부재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프레임의 내면과 지지부의 상부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에 의하여, 스트레치 시트의 탄성력으로 인해 조명장치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보강프레임이 이웃하는 복수개의 주프레임에 동시에 수용됨으로써, 이웃하는 주프레임의 정렬이 용이한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천장 내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와 주프레임에 결합하며 고정부재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의 주프레임이 매립홈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보조프레임에 의하여, 천장의 내부 및 외부면을 수용하면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따로 고정장치를 하지 않아도 시공자 혼자서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주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매립홈이 형성되지 않는 천장에도 설치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을 제2돌출걸림부재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의 탈착이 용이한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보강프레임의 상단과 주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매립부에 의하여, 보강프레임의 하방에 마련되는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수용되어 배선 정리가 용이한 천장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부재의 제2링크에 의하여, 매립홈에 설치된 천장용 조명장치를 분리할 때 천장용 조명장치가 갑작스럽게 분리되어 천장에서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보강프레임의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2걸림부에서 탄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보강프레임의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2걸림부에서 탄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에에 따른 구성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프레임(110)과 광 투과성과 탄성을 가지며,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탄성시트(130)와 상기 주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주프레임(110)을 외측으로 지지하는 보강프레임(120)과 단부에 탄성시트(130)가 고정되어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하푼(140)을 포함한다.
상기 주프레임(110)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수용공간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조명(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며, 하부는 개방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프레임(110)의 형상을 육면체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주프레임(1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주프레임(110)과 후술할 보강프레임(120) 사이에 구비되며, 보강프레임(120)의 하방에 마련되는 광원(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매립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주프레임(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후술할 하푼(140)이 장착되는 제1걸림부(111)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1걸림부(150)는 주프레임(110)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단부에 탄성시트(130)가 고정되어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하푼(140)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150a)과 제1걸림홈(150a)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하푼(140)이 고정되도록 하푼(140)을 접촉지지하는 제1돌출걸림부재(150b)와 제1걸림홈(150a)의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푼(130)의 단부에 고정되는 탄성시트(130)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15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걸림부(150)는 주프레임(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부(113)를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탄성시트(130)는 반투명의 스트레치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시트(130)의 가장자리가 하푼(140)의 단부에 결합 되어 제1걸림부(150)에 장착되면, 주프레임(110)의 수용공간을 마감한다.
또한, 탄성시트(130)는 주프레임(11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며, 상술한 제1걸림홈(150)의 내측에 소정의 접착수단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신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인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로 한정하였으나,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다른 수지를 사용한 스트레치 시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주프레임(110)에 접촉되어 결합되며, 상기 탄성시트(130)의 탄성력에 의해 주프레임(110)이 변형되지 않도록 접촉된 면에 의하여 주프레임(110)을 외부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주프레임(110)의 내면에 접촉되는데, 상호간의 형상의 변화로 접촉면적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며, 결합이 용이하도록 선접촉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주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수용공간의 외면과 지지부(150c)에 의해 고정되어 탄성시트(130)의 탄성력으로부터 주프레임(110)을 외측으로 지지하여 주프레임(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보강프레임(120)은 장방형 또는 다각형 등 조명장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하푼(140)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81525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1걸림부(11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푼(140)에는 탄성압축 또는 탄성복원될 수 있는 걸림단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탄성시트(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걸림홈(150)에 하푼(140)이 삽입시, 걸림단부(141)가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고, 삽입완료시에는 걸림단부(141)가 탄성복원되어 제1돌출걸림부재(150b)에 걸림으로써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푼(140)이 제1걸림홈(150)에 장착됨으로써, 주프레임(110)의 하부는 탄성시트(130)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게 되며, 조명(3)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탄성시트(130)을 통해 하향으로 방출되게 된다.
여기서, 제1걸림부(150)는 주프레임(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부(113)를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설치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주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설치하고, 탄성시트(130)가 단부에 고정되는 하푼(140)을 주프레임(110)의 제1걸림부(111)의 입구측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시트(130)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를 유지한다.
이어서, 시공용 주걱 등의 공구(미도시)를 이용해 상기 하푼(14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걸림부(150)로 삽입시키면 삽입중 상기 제1걸림부(150)의 제1돌출걸림부재(150b)와 지지부(150c)의 사이공간을 통과하면서 하푼(140)의 걸림단부(141)가 탄력적으로 접힌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걸림부(150)에 삽입된 이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면서 하푼(140)이 제1돌출걸림부(150b)에 걸리게된다. 이때, 상기 하푼(140)은 제1돌출걸림부(150b)에 밀착되므로 하측방향에서 하푼(140)을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고 제1걸림부(15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푼(140)의 임의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하푼(140)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탄성시트(130)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제1걸림부(150)에 구속된 하푼(140)의 단부에 고정되는 탄성시트(130)가 반대편의 제1걸림부(150)에 장착되면서 탄성시트(13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용공간을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의 탄성시트(130)가 주프레임(1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프레임(110)의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120)을 이용해 탄성시트(130)의 탄성력에 의해 주프레임(11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제1실시예의 보강프레임의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프레임(110)이 복수개가 이웃하게 마련되고, 보강프레임(120)이 이웃하는 주프레임(110)에 동시에 수용된다.
여기서, 보강프레임(120)이 주프레임(110) 사이에 동시에 수용되어 주프레임(110)이 정렬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조명장치는 그 개수에 관계없이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되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구성이 일부 추가되며, 주프레임(210) 보강프레임(120), 탄성시트(130), 하푼(140), 고정부재(260), 제1보조프레임(270), 탄성체(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주프레임(210), 고정부재(260), 제1보조프레임(270), 탄성체(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통상적으로 천장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되므로, 조명장치가 설치될 매립홈(2)이 형성된 후 주프레임(110)이 매립홈(2)내에 장착되고, 주프레임(210)을 매립홈(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60)와 주프레임(110)이 천장(1)의 매립홈(2)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제1보조프레임(270)과 제1보조프레임(270) 및 후술할 제2보조프레임(360)이 삽입되는 제2걸림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걸림부(150)가 주프레임(110)의 안내부(113)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제1걸림부(250)가 주프레임(2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60)는 주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천장(1) 내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프레임(210)을 매립홈(2)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1링크(260a)와 제2링크(260b)와 탄성부(26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260a)는 주프레임(110)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260b)는 천장(2)의 내면에 접촉되며, 제1링크(260a)로부터 주프레임(210)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으로 천장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탄성부(260c)는 제1링크(260a)와 제2링크(260b)를 상호 연결하며, 제1링크(260a)와 제2링크(260b)가 작동하도록 천장(1)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260)는 매립홈(3)에 설치시 주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천장(1) 내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프레임(210)을 매립홈(2)에 고정함으로써, 조명장치가 안정적이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프레임(270)은 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천장(1)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된다. 또한, 제2걸림부(216)에 결합하며, 고정부재(260)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의 주프레임(210)이 매립홈(2)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도 8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2걸림부에서 탄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걸림부(216)는 주프레임(210)의 양측면에 함몰형성되어 제1보조프레임(270) 및 후술할 제2보조프레임(360)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216a)과 제2걸림홈(216a)의 외부로부터 제2걸림홈(216a)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보조프레임(270) 및 제2보조프레임(360)을 접촉지지하는 제2돌출걸림부재(216b)와 제1보조프레임(270) 또는 제2보조프레임(360)과 제2돌출걸림부재(216b) 간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보조프레임(270) 또는 제2보조프레임(360)을 제2돌출걸림부재(216b)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280)를 포함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의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천장시공이 완료된 후 조명장치가 설치될 매립홈(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매립홈(2)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있는 고정부재(260)를 매립홈(2)에 삽입한 뒤 체결수단을 제거한다. 이때, 체결수단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부재(260)는 탄성력에 의해 천장의 내면에 접촉하여 주프레임(210)이 매립홈(2)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60)는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제1링크(260a)와 제2링크(260b)가 작동하도록 하는 탄성부(260c)이 제2링크(260b)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링크(260b)가 천장(1)의 내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주프레임(210)이 매립홈(2)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60)는 레일홈(1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주프레임(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홈(111)을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214)에 고정부재(260)가 결합 되는 설치봉(215)이 결합 되어 고정부재(260)가 주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재(260)는 천장(1)의 내면을 지지하고, 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프레임(270)은 천장(1)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프레임(210)이 고정부재(260)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매립홈(2)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매립홈(2)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보조프레임(270)은 제2걸림부(216)에 걸리게 되는데, 제2걸림부(216)의 탄성체(280) 측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체(280)가 눌리게 되어 제1보조프레임(270)이 제2걸림부(216)로 삽입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 탄성체(280)가 제2돌출걸림부재(216b)측으로 탄성지지하여 고정된다.
도 7은 도 5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립홈(2)에 설치된 천장용 조명장치에 천장(1) 외부측으로 고정부재(26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하면 고정부재(260)가 상부로 들리면서 조명장치가 매립홈(2) 외부로 1차 분리된다.
여기서, 고정부재(260)의 제2링크(260b)의 말단부가 천장의 내면을 지지하여 조명장치가 매립홈(2)에서 분리될 때 한번에 분리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1차 분리된 상태의 조명장치에 매립홈(2)의 외부측으로 다시 힘을 가하게 되면 조명장치는 매립홈(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즉, 매립홈(2)에 설치된 천장용 조명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천장(1)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부재(260)의 제2링크(260b)의 말단부가 매립홈(2)에 걸리게 됨으로써, 천장용 조명장치를 분리 시 갑작스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천장용 조명장치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구성이 일부 변경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주프레임(210), 보강프레임(120), 탄성시트(130), 하푼(140), 결합부재(350), 제2보조프레임(360), 탄성체(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 중 결합부제(350), 제2보조프레임(3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재(350)는 주프레임(210) 상부에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레일홈(111)에 각각 결합되는 제1단부(350a) 및 제2단부(171)와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를 상호 연결하며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350c)를 포함한다.
지금부터, 상술한 본 발명 천장용 조명장치의 제3실시예의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천장용 조명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는 내부에 조명(3)이 마련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주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레일홈(111)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50) 고정되는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천장(1)에 고정되며, 수용공간의 하부는 탄성시트(130)에 의해 마감된다.
이러한 천장용 조명기구의 설치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 3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장치에서 결합부재(350)는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 및 체결부재(350c)으로 형성되어 주프레임(210)의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홈(111)에 결합된다.
이 같은 결합부재(350)는 매립홈(2)이 형성되지 않은 천장(1)에 소정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천장(1)에 고정된다.
상기 제1단부(350a) 및 제2단부(350b)가 주프레임(210)의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홈(111)을 따라 결합 된다. 이때,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재(350c)가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레일홈(111)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가 레일홈(111)을 따라 결합 되고, 제1단부(350a)와 제2단부(350b)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재(350c)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홈(111)에 고정되어 결합부재(350)는 주프레임(210)에 결합되고, 결합부재(350)에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천장(1)에 결합부재(350)가 고정됨으로써, 조명장치가 천장(1)에 설치된다.
여기서, 주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216)에 제2보조프레임(360)이 상술한 제1보조프레임(270)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되어 주프레임의 측면을 마감한다.
이때, 상술한 소정의 고정수단은 스트링, 와이어 등이 사용되어 조명장치를 천장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링, 와이어 등의 고정수단으로 천장(1)에 조명장치를 고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 등의 다른 체결수단으로 천장(1)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천장 2 : 매립홈 3 : 조명
110, 210 : 주프레임 111 : 레일홈 112 : 매립부
113 : 안내부 120 : 보강프레임 130 : 탄성시트
140 : 하푼 141 : 걸림단부 150, 250 : 제1걸림부
150a, 250a : 제1걸림홈 150b, 250b : 제1돌출걸림부재 150c, 250c : 지지부
214 : 베이스 215 : 설치봉 216 : 제 2걸림부
216a : 제2걸림홈 216b : 제2돌출걸림부재 260 : 고정부재
260a : 제1링크 260b : 제2링크 260c : 탄성부
270 : 제1보조프레임 280 : 탄성체 350 : 결합부재
350a : 제1단부 350b : 제2단부 350c : 체결부재
360 : 제2보조프레임
110, 210 : 주프레임 111 : 레일홈 112 : 매립부
113 : 안내부 120 : 보강프레임 130 : 탄성시트
140 : 하푼 141 : 걸림단부 150, 250 : 제1걸림부
150a, 250a : 제1걸림홈 150b, 250b : 제1돌출걸림부재 150c, 250c : 지지부
214 : 베이스 215 : 설치봉 216 : 제 2걸림부
216a : 제2걸림홈 216b : 제2돌출걸림부재 260 : 고정부재
260a : 제1링크 260b : 제2링크 260c : 탄성부
270 : 제1보조프레임 280 : 탄성체 350 : 결합부재
350a : 제1단부 350b : 제2단부 350c : 체결부재
360 : 제2보조프레임
Claims (11)
- 천장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주프레임;
광 투과성과 탄성을 가지며,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탄성시트;
상기 주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주프레임을 외측으로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을 외측으로 지지하며,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주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은 천장의 매립홈내에 장착되고,
천장 내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주프레임을 상기 매립홈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의 상기 주프레임이 상기 매립홈을 마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천장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제1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주프레임 상부에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레일홈에 각각 결합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주프레임의 외관을 감싸는 제2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주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로부터 상기 주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으로 천장을 지지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상호 연결하며,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레일홈으로 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베이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주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부가 장착되는 축을 제공하는 설치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3항 내지 제 7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에 상기 탄성시트가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하푼;
상기 주프레임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하푼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푼이 고정되도록 상기 하푼을 접촉지지하는 제1돌출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홈의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푼의 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탄성시트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프레임 및 제2보조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홈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프레임 및 제2보조프레임을 접촉지지하는 제2돌출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프레임 또는 상기 제2보조프레임과 상기 제2돌출걸림부재 간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보조프레임 또는 상기 제2보조프레임을 상기 제2돌출걸림부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은 복수개가 이웃하게 마련되고, 상기 이웃하는 주프레임이 정렬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이 이웃하는 주프레임에 동시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 마련되는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매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807A KR20130140419A (ko) | 2012-06-14 | 2012-06-14 | 천장용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807A KR20130140419A (ko) | 2012-06-14 | 2012-06-14 | 천장용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0419A true KR20130140419A (ko) | 2013-12-24 |
Family
ID=4998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807A KR20130140419A (ko) | 2012-06-14 | 2012-06-14 | 천장용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4041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681B1 (ko) * | 2018-10-31 | 2020-02-19 | 장용민 | 스프링 탄지구에 의한 간편 설치구조를 갖는 장방형 천정 매입등 |
KR20200108644A (ko) * | 2019-03-11 | 2020-09-21 | 김한을 |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
WO2020187185A1 (zh) * | 2019-03-15 | 2020-09-24 |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 柜灯及灯柜 |
-
2012
- 2012-06-14 KR KR1020120063807A patent/KR2013014041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681B1 (ko) * | 2018-10-31 | 2020-02-19 | 장용민 | 스프링 탄지구에 의한 간편 설치구조를 갖는 장방형 천정 매입등 |
KR20200108644A (ko) * | 2019-03-11 | 2020-09-21 | 김한을 |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
WO2020187185A1 (zh) * | 2019-03-15 | 2020-09-24 |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 柜灯及灯柜 |
US11378270B2 (en) | 2019-03-15 | 2022-07-05 | Suzhou Opple Lighting Co., Ltd. | Cabinet lamp and lamp cabin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4663B1 (ko) | 레일조명시스템용 led조명등 | |
KR20130140419A (ko) | 천장용 조명장치 | |
KR101047854B1 (ko) |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 |
KR20170041492A (ko) | 엘이디 광원판과 컨트롤러가 분리 조립되게 한 조명등 | |
KR101764216B1 (ko) | 천장 고정용 엘이디 등기구의 커버 고정구 | |
JP2015225935A (ja) | 電線固定具 | |
KR20130134778A (ko) |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 |
KR200420588Y1 (ko) |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 |
KR20090083559A (ko) | 커버판의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 조명등 | |
JP6281810B2 (ja) | 照明器具 | |
KR101086353B1 (ko) | 조명기구 | |
KR101713963B1 (ko) | 간접 조명장치 | |
KR20100093352A (ko) |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 | |
KR101059366B1 (ko) | 천장용 조명기구 | |
KR200467901Y1 (ko) | 엘이디 조명 | |
KR200490844Y1 (ko) | 전선수용부가 구비된 조명등용 레일 | |
KR20120004162U (ko) | 엘이디 조명 | |
KR101029897B1 (ko) | 천정 매입등의 고정장치 | |
KR20170052249A (ko) | 조명등 장착장치 | |
CN104930454A (zh) | 电器工作状态指示灯结构及电器 | |
KR200470585Y1 (ko) | 조명등 커버의 고정장치 | |
CN204806274U (zh) | 电器工作状态指示灯结构及电器 | |
JP2016033859A (ja) | 照明器具 | |
JP2015011880A (ja) | 照明器具 | |
KR200446512Y1 (ko) |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