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202A - 시약용기 - Google Patents

시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202A
KR20130140202A KR1020137030549A KR20137030549A KR20130140202A KR 20130140202 A KR20130140202 A KR 20130140202A KR 1020137030549 A KR1020137030549 A KR 1020137030549A KR 20137030549 A KR20137030549 A KR 20137030549A KR 20130140202 A KR20130140202 A KR 2013014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trip
reagent
container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126B1 (ko
Inventor
긴야 우치하시
다츠야 나리카와
유스케 모리
겐이치 미즈타니
후미나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16Straps used as handles fixed to the container by glueing, stapling,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이 시약용기는 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액체시약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를 매단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띠 모양의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는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된 띠 모양 부재와,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상기 띠 모양 부재에 마련된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약용기 {REAGENT CONTAINER}
본 발명은 시약용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분석장치에 이용되는 액체시약을 수용하기 위한 시약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석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액체시약이 사용된다. 분석장치의 측정항목이나, 분석장치의 처리능력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5리터 정도라고 한 어느 정도 양이 많은 액체시약을 수용하는 시약용기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중량도 체적도 크게 되기 때문에, 운반 등 취급이 불편했다. 이와 같은 대형의 액체용기 취급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6-345077호 공보에 기재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6-345077호 공보에는, 테이프 모양의 손잡이를 가지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용기는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3 ~ 5리터 이상의 용량을 가진다. 테이프 모양의 손잡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용기의 대향하는 한 쌍의 양(兩) 측면의 상단부 근방에 테이프 모양의 손잡이의 양단이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모양의 손잡이가 용기의 상면을 걸쳐 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시약용기를 매달도록 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34507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일본국 특개평6-345077호 공보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테이프 모양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용기를 들어올릴 때, 용기의 중량감에 의해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여,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거나, 손가락의 피부를 다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내용량이 많아 무거운 시약용기의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내용량이 많아 무거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한 시약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의 시약용기는, 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액체시약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매단 상태에서 파지하기 위한 띠 모양의 파지부를 구비하며, 파지부는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용기본체에 장착된 띠 모양 부재와,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띠 모양 부재에 마련된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지부에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용기본체에 장착된 띠 모양 부재와,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띠 모양 부재에 마련된 보호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띠 모양 부재와 보호부재와의 양쪽을 파지하여 시약용기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보호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의 끼임이 억제되어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보호부재가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기 때문에,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보호부재를 확실히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약용기의 내용량이 많아 무거운 경우에도, 시약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띠 모양 부재의 단수(短手, 길이가 짧은)방향에서의 보호부재의 폭은, 띠 모양 부재의 단수방향의 폭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보호부재는 띠 모양 부재의 장수(長手, 길이가 긴) 측의 양(兩) 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의 손가락과 띠 모양 부재의 양쪽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각각 보호부재를 확실히 개재시킬 수 있으므로,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보호부재는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의 중앙부 근방의 소정영역에 적어도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가 파지할 가능성이 높은 띠 모양 부재의 중앙 부분에 보호부재가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할 때에 사용자에게 보호부재의 형성영역을 용이하게 파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띠 모양 부재는 용기본체의 상면에 대향하는 제1 면과, 제1 면의 이면 측인 제2 면을 가지고, 보호부재는 띠 모양 부재의 제1 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지부를 파지했을 때에 시약용기의 중량이 걸리는 쪽의 면에 보호부재가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의 끼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보호부재는 띠 모양 부재의 용기본체로의 장착영역을 제외하고, 띠 모양 부재의 제1 면의 대략 전체 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지부의 파지위치에 의하지 않고, 파지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이는 것을 보호부재에 의해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보호부재는 탄성을 가짐과 아울러, 시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띠 모양 부재에 시트 모양의 보호부재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호부재의 탄성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띠 모양 부재는 합성종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지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파지부를 수지성형부재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재료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보호부재는 발포수지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스펀지 모양의 발포수지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으로 탄성(완충성)이 뛰어난 보호부재를 파지부에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의 끼임이 발포수지재료로 이루어진 보호부재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파지부를 파지하여 운반할 때에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는 종이재를 포함하는 시트 모양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시약용기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는 폐기할 때에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접는 선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폐기시에 용기본체를 접어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폐기시의 부피가 줄어들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가 종이재를 포함하는 시트 모양 재료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는 시트 모양 재료가 접어 겹쳐진 측면 부분을 가지고, 띠 모양 부재는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용기본체의 측면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트 모양 재료가 접어 겹쳐진 측면 부분은 변형에 대해서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하여 용기본체를 매달았을 경우에도, 용기본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파지부는 띠 모양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원호 모양이 되도록 용기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지부와 용기 상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 틈새에 사용자가 손을 넣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시약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파지부는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기본체와 파지부가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어도, 폐기시에 파지부를 분리하여, 파지부와 용기본체를 분별하여 폐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띠 모양 부재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접착제로 장착되어 있고, 접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접착 강도보다도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의 접착 강도가 크게 되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지부를 파지하여 시약용기를 운반할 때에는 파지부가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파지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접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 떼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띠 모양 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접착제로 장착되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에서의 용기본체에 대한 접착면의 길이는 띠 모양 부재의 단수방향의 폭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으로의 접착면의 접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은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파지부에 의해 용기본체가 매달렸을 경우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운반시에 파지부가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는 용기본체와 분석장치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용량이 크고 무거운 경우에서도, 용기본체와 분석장치를 그대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시약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접속구는, 평면에서 보아, 용기본체의 상면에서, 또한, 파지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속구를 분석장치 측에 접속할 때에, 파지부가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접속구를 분석장치에 접속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송시에 시약용기를 틈새 없이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수송 효율이 좋고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액체시약은 혈구계수장치용 시약 또는 뇨(尿)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용 시약이다. 혈구계수장치에 이용되는 시약에는 희석액이나 용혈제(溶血劑), 세정액 등이 있다. 또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에 이용되는 시약에는 희석액이나 세정액 등이 있다. 이들 혈구계수장치용 시약이나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라고 하는 분석장치는 액체 내의 세포를 분류·계수하는 것이지만, 모두 생체 시료를 희석액이나 용혈제로 소정의 배율에 희석하거나, 희석액이나 세정액을 이용하여 분석장치의 유체계의 세정 동작을 실행한다. 또 플로우 사이토메트리(flow cytometry)법을 이용한 분석장치이면, 플로우 셀 내에서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액의 층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시료액과 함께 흘리기 위한 시쓰액(sheath fluid)도 이용된다. 이 때문에, 이들 시약은 1회의 분석으로 사용하는 양이 많아진다. 또, 분석장치를 사용하는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서는, 분석장치 1대에서의 분석의 회수가 하루에 수백 회를 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시약교환작업을 행하는 빈도를 저감하기 위해서, 수백 회부터 수천 회분의 분석에 이용하는 시약을 수용 가능한 크기의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혈구계수장치용 시약이나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용 시약을 수용하는 용기는 대형화하기 쉽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혈구계수장치용 시약이나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용 시약의 시약용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고, 혈구계수장치나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를 사용하는 검사 기사에 의한 시약용기의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액체시약은 희석액, 용혈제 또는 세정액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희석액이나 용혈제는 분석장치로 비교적 많은 양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은 희석액, 용혈제 또는 세정액의 시약용기에 적용했을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약용기의 내용량이 많아 무거운 경우에도, 시약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시약용기를 분석장치와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파지부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파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시약용기를 폐기할 때에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제1 변형예에서의 파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제2 변형예에서의 파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제3 변형예에서의 파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의 제4 변형예에서의 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시약용기의 치수, 내용량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이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 ~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1)는 검체분석을 행하는 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액체시약을 수용하는 것이다. 시약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시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2)와, 사용자가 용기본체(2)를 매단 상태에서 파지하기 위한 띠 모양의 파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2)에는, 예를 들어 분석장치의 일례인 혈구계수장치용의 희석액이나 용혈제 등의 액체시약이 수용된다.
용기본체(2)는 폭 및 깊이(L1), 높이(H1)의 직방체 모양 형상을 가진다. 용기본체(2)는 약 4리터의 액체시약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는 종이재를 포함하는 시트 모양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종이 및 배리어 필름(barrier film) 등이 적층된 시트 모양의 복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는,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2a)과, 전면(前面)(2b)과, 측면(2c 및 2d)과, 배면(2e)과, 저면(2f)을 가지고 있다. 용기본체(2)는 상단 개방의 대략 직방체 모양 형상으로 형성된 후, 상단(개방단)을 접합부(2g)로 접합하여 밀폐 구조로 하고, 남은 연장부(2h)를 양 측면(2c 및 2d) 측에 각각 접어 접착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전면(2b), 측면(2c 및 2d))에는 수용하는 액체시약의 종류, 제품명 등, 각종의 인자(도시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본체(2)의 상면(2a)에는 분석장치(도시생략)와 용기본체(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21)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구(21)는 상면(2a)으로부터 위쪽(Z1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개폐용의 캡(22)이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구(21)는, 평면에서 보아, 상면(2a)의 중심으로부터 전면(2b) 측(Y2방향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접속구(21)는 파지부(3)와는 상하(Z방향)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1)의 사용시에는, 접속구(21)로부터 캡(22)(도 1 참조)이 떼어내진 후, 분석장치의 커넥터(50)가 접속구(21)에 접속된다. 커넥터(50)는 튜브(51)와 연통됨과 아울러, 커넥터(50)에 접속되어 용기본체(2)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신(延伸)하는 흡인(吸引)튜브(도시생략)를 가지고 있고, 커넥터(50)를 접속구(21)에 접속할 때, 흡인튜브는 용기본체(2) 내에 삽입된다. 분석장치의 사용시에는, 용기본체(2) 내부의 시약이 용기본체(2) 내의 흡인튜브, 커넥터(50) 및 튜브(51)를 통하여 분석장치에 흡인된다. 이와 같은 흡인튜브나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9-297146호 공보나, 미국특허 출원공개 2005/0191211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석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한 번 커넥터(50)가 접속구(21)에 접속되면, 시약용기(1) 내의 시약이 사용되어 다음에 시약용기(1)를 교환할 때까지, 접속된 상태인 채로 사용된다.
용기본체(2)에는 폐기시에 용기본체(2)를 접어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접는 선(23)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측면(2c 및 2d)에, Y방향의 중앙을 소정 위치까지 상하로 연장하는 접는 선(23a)과, 저면(2f) 측의 양 각부(角部)로부터 각각 접는 선(23a)의 하단까지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접는 선(23b 및 23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접는 선(23a ~ 23c)의 합류 부분으로부터 배면(2e) 측으로 연장하고, 배면(2e)을 횡단하여(도 2 참조) 양 측면(2c 및 2d)을 잇도록 연장하는 접는 선(23d)이 용기본체(2)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는 띠 모양 부재(30)와,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 측의 양 가장자리부(34)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된 보호부재(40)를 포함한다. 파지부(3)는 띠 모양 부재(30)의 양단이 용기본체(2)의 측면(2c 및 2d)에 각각 접착되는 것에 의해 용기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파지부(3)는, 폐기시에는, 띠 모양 부재(30)를 떼는 것에 의해 용기본체(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는 띠 모양 부재(30)가 일단 측(측면(2c) 측)으로부터 타단 측(측면(2d) 측)에 걸쳐서, 용기본체(2)의 상면(2a)을 걸쳐 넘는 원호 모양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3)는 장수방향의 중앙에서 최대 높이(H2)만큼 용기본체(2)의 상면(2a)으로부터 이간(離間)하고 있다. 높이(H2)는 파지부(3)를 파지할 때에 사용자가 상면(2a)의 사이에 손을 넣기 쉬운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는, 평면에서 보아, 용기본체(2)의 전후방향(Y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는 길이(장수방향의 길이)(L2), 폭(단수방향의 길이)(W1) 및 두께(t1)를 가진다. 띠 모양 부재(30)는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두께(t1 = ) 약 0.1㎜의 합성종이로 이루어진다. 띠 모양 부재(30)에는 편측(片側) 표면(하면(31))의 전체 면에 걸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띠 모양 부재(30)의 하면(31)은 접착면으로 되어 있고, 띠 모양 부재(30)는 이 하면(31) 측에서 용기본체(2)의 양 측면(2c 및 2d)에 접착되어 있다. 띠 모양 부재(30)의 상면(32)에는 접착제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띠 모양 부재(30)는 양단의 길이(L3)의 영역이 용기본체(2)에 대한 접착영역(33)으로 되어 있다. 접착영역(33)의 길이(L3)는 띠 모양 부재(30)의 폭(W1)보다도 크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는 접착면(측면(2c 및 2d))에 직교하는 법선방향(X방향)의 접착 강도보다도,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Z방향 및 Y방향)의 접착 강도가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띠 모양 부재(30)는 사용자가 파지부(3)를 파지하여 시약용기(1)를 매달았을 경우에, Z방향으로 작용하는 용기본체(2)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시약용기(1)를 폐기할 때에는, 접착면(측면(2c 및 2d))에 직교하는 법선방향(X방향)으로 띠 모양 부재(30)를 당겨 떼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부(3)를 용기본체(2)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영역(33)은 본 발명의 「장착영역」 및 「용기본체에 대한 접착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의 폭(W1)은 용기본체(2)의 접합부(2g)의 폭(Wg)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띠 모양 부재(30)는 양 측면(2c 및 2d)(연장부(2h))에서, 접합부(2g)보다도 폭이 넓은 영역에서 접합부(2g)와 부분적으로 오버랩(overlap)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연장부(2h)는 측면(2c)(2d)과 겹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용기본체(2)에서 변형에 강한 개소이다. 따라서, 띠 모양 부재(30)를 연장부(2h)에 접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띠 모양 부재(30)를 파지하여 시약용기(1)를 매단 상태로 파지했을 때에, 용기본체(2)가 크게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부재(40)는 파지부(3)를 파지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재(40)는 길이(장수방향의 길이)(L4), 폭(단수방향의 길이)(W2)을 가지고, 두께(t2)의 시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재(40)는 탄성을 가지는 두께(t2 =) 약 2㎜의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또, 보호부재(40)는 용기본체(2)의 상면(2a)과 대향하는 띠 모양 부재(30)의 하면(31)에 접착되어, 띠 모양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부재(40)는 띠 모양 부재(30)의 중앙의 길이(L4)(L4 = L2-(2×L3))의 접착영역에 접착되어 있다. 즉, 보호부재(40)는 띠 모양 부재(30)의 용기본체(2)로의 접착영역(33)을 제외한, 하면(31)의 대략 전체 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40)는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 측의 양 가장자리부(34)로부터 각각, 길이(Ld)만큼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부재(40)의 폭(W2)이 띠 모양 부재의 폭(W1)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재(40)는 띠 모양 부재(30)와 폭방향(단수방향)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띠 모양 부재(30)에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부재(40)는 폭(W2)과 폭(W1)과의 차분에 따른 길이(Ld)(Ld = (W2-W1)/2)만큼 단수방향으로 비어져 나가 있다.
또한, 보호부재(40)와 같은 시트 모양 부재를 소정 치수로 형성(재단)할 때에는, 장수방향 또는 단수방향 중 어느 하나의 재단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많다. 이 주름은 주름 방향의 신축에 의해 치수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보호부재(40)는 단면(端面)(41)에 단수방향의 주름이 나타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부재(40)의 장수방향의 치수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 보호부재(40)는, 보호부재(40)의 기능상,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로부터 단수방향으로 비어져 나가 있으면 좋고, 또한, 폭(W2)이 길이(L4)에 비해 충분히 작기 때문에, 보호부재(40)의 단수방향에서 주름에 의한 치수의 편차의 영향은 거의 없다. 주름에 의한 단수 측(폭방향) 치수의 편차도 고려하여, 보호부재(40)의 비어져 나가는 부분의 길이(Ld)는 적어도 약 1㎜ 이상이고, 수 mm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시약용기(1)의 폐기시의 접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상태에서, 양 측면(2c 및 2d)(도 2 참조)으로부터 각각 연장부(2h)를 떼면서 세운다. 다음으로, 접합부(2g)를 상면(2a)으로부터 세운 후, 상면(2a)의 전면(2b) 측의 2모서리와, 배면(2e)(도 3 참조) 측의 2모서리를 맞추도록 하여 용기본체(2)의 상부를 평탄하게 접는다. 그리고, 평탄하게 한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양 측면(2c 및 2d)의 Y방향의 중앙을 상하방향의 접는 선(23a)을 따라서 산접기(mountain fold)로 접는다. 즉, 전면(2b)과 배면(2e)이 합쳐지도록 양 측면(2c 및 2d)을 접는 선(23a)으로 두겹접기(conduplicate)로 한다.
또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접는 선(23b 및 23c)에 둘러싸이는 삼각형 모양의 측면 부분(A)을 저면(2f)(설치면)까지 X방향 외측으로 접는다. 이 때, 시약용기(1)의 저부는 저면(2f)과, 저면(2f)의 X방향 양측의 삼각형 모양의 측면 부분(A)에 의해, 육각 형상(도 8 참조)이 된다.
마지막으로, 측면 부분(A)과 저면(2f)으로 이루어지는 육각 형상 부분의 배면(2e) 측의 반을 접는 선(23d)에서 배면(2e) 측으로 접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1)가 도 8에 나타낸 평탄한 접는 상태로 변형된다. 또한, 각 부의 위치관계를 알기 쉽게하기 위해, 도 8에서는 파지부(3)를 남긴 상태로 접고 있지만, 파지부(3)는 시약용기(1)를 변형시키기 전, 또는 변형시킨 후에 띠 모양 부재(30)를 떼어 분리시키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지부(3)에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용기본체(2)에 장착된 띠 모양 부재(30)와,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 측의 가장자리부(34)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띠 모양 부재(30)에 마련된 보호부재(4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띠 모양 부재(30)와 보호부재(40)의 양쪽을 파지하여 시약용기(1)를 운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부재(40)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3)의 끼임이 억제되어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보호부재(40)가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 측의 가장자리부(34)로부터 비어저 나가기 때문에,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와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보호부재(40)를 확실히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1)에서는, 시약용기(1)의 내용량이 많아 무거운 경우에도 시약용기(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40)의 폭(W2)을 띠 모양 부재(30)의 폭(W1)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보호부재(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 측의 양 가장자리부(34)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띠 모양 부재(30)의 양쪽의 가장자리부(34)와의 사이에 보호부재(40)를 확실히 개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얇은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잘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3)를 파지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다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40)를 띠 모양 부재(30)의 하면(31)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파지부(3)를 파지했을 때에 시약용기(1)의 중량이 걸리는 쪽의 면에 보호부재(40)가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3)의 끼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용기본체(2)로의 접착영역(33)을 제외한 띠 모양 부재(30)의 하면(31)의 대략 전체 면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파지부(3)의 파지위치에 의하지 않고, 파지부(3)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이는 것을 보호부재(40)에 의해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40)를 탄성을 가지는 발포 폴리에틸렌에 의해 시트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띠 모양 부재(30)에 시트 모양의 보호부재(40)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보호부재(40)의 탄성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 보호부재(40)를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경량으로 탄성(완충성)이 뛰어난 보호부재를 파지부(3)에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파지부(3)의 끼임이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재(40)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파지부(3)를 파지하여 운반할 때에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종이로 이루어진 띠 모양 부재(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파지부(3)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파지부(3)를 수지성형부재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재료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종이재를 포함하는 시트 모양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용기본체(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시약용기(1)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폐기할 때에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접는 선(23)(23a ~ 23d)을 용기본체(2)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시약용기(1)의 폐기시에 용기본체(2)를 접어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폐기시의 부피가 줄어들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트 모양의 복합재가 측면(2c)(2d)에 접어 겹쳐진 연장부(2h)를 용기본체(2)에 마련하고, 띠 모양 부재(30)를 용기본체(2)의 연장부(2h)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모양의 복합재가 접어 겹쳐진 연장부(2h)는 변형에 대해서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부(3)를 파지하여 용기본체(2)를 매달았을 경우에도, 용기본체(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지부(3)를 띠 모양 부재(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원호 모양이 되도록 용기본체(2)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파지부(3)와 용기본체(2)의 상면(2a)과의 사이에 높이(H2)분만큼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틈새에 사용자가 손을 넣기 쉬워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시약용기(1)를 취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지부(3)를 폐기할 때에 용기본체(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본체(2)와 파지부(3)가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폐기시에 파지부(3)를 분리하여, 파지부(3)와 용기본체(2)를 분별하여 폐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를 용기본체(2)의 측면(2c 및 2d)에 대해서 접착제로 장착함과 아울러, 접착면에 직교하는 법선방향(X방향)의 접착 강도보다도,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Y방향 및 Z방향)의 접착 강도가 크게 되도록 접착하는 것에 의해서, 파지부(3)를 용기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파지부(3)를 파지하여 시약용기(1)를 운반할 때에는, 파지부(3)가 용기본체(2)로부터 떨어지는 일 없이 운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방향에서의 용기본체(2)에 대한 접착영역(33)의 길이(L3)를 띠 모양 부재(30)의 단수방향의 폭(W1)보다도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방향(도 1의 Z방향)으로의 접착면의 접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방향은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파지부(3)에 의해 용기본체(2)가 매달렸을 경우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운반시에 파지부(3)가 용기본체(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2)에, 용기본체(2)와 분석장치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2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시약용기(1)의 용량이 크고 무거운 경우에도, 용기본체(2)와 분석장치를 그대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체시약을 교체하는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시약용기(1)를 취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용기본체(2)의 상면(2a)에서 파지부(3)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접속구(21)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접속구(21)를 분석장치 측에 접속할 때에, 파지부(3)가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접속구(21)를 분석장치 측에 접속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용기본체(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수송시에 시약용기(1)를 틈새 없이 늘어놓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1)의 수송 효율이 높아지므로, 환경으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혈구계수장치용의 액체시약(희석액 또는 용혈제)을 수용하는 시약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많은 양의 시약을 이용하는 혈구계수장치에 사용되는 시약용기(1)의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 희석액이나 용혈제는 혈구계수장치에서 비교적 많은 양이 사용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약용기(1)는 희석액 또는 용혈제의 시약용기로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며,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혈구계수장치용의 액체시약(희석액 또는 용혈제)을 수용하는 시약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뇨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에 이용되는 액체시약의 시약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 액체시약으로서, 희석액이나 용혈제 이외의 시약을 수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액체시약은 세정액이나 시쓰액이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본체를 폴리에틸렌, 종이 및 배리어 필름 등이 적층된 복합재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른바 폴리 용기와 같은 수지성형 용기나, 유연한 주머니 모양의 수지제 용기를 용기본체로서 이용해도 된다. 그 외, 용기본체를 수지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의 띠 모양 부재를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종이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이외의 수지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종이나, 합성종이 이외의 종이 재료에 의해 띠 모양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들 이외의 다른 재료에 의해 띠 모양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띠 모양 부재에는 얇고, 경량이며 튼튼한 재료가 재료 소비량이나 반송의 용이함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얇고 강한 띠 모양 부재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의 보호부재를 발포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발포 폴리에틸렌 이외의 발포수지재료나, 발포수지재료 이외의 고무시트 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보호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들 이외의 다른 재료에 의해 보호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본체의 상면과 대향하는 띠 모양 부재의 하면에 보호부재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의한 파지부(3a)와 같이, 보호부재(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상면(32) 측에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사용자가 파지부를 잡을 때에,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와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보호부재(40)를 개재시켜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의 폭(W2)을 띠 모양 부재의 폭(W1)보다도 크게 형성하여, 띠 모양 부재의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보호부재가 비어져 나가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에 의한 파지부(3b)와 같이, 2개의 보호부재(1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양 가장자리부(34)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해도 된다. 그 외에, 보호부재가 띠 모양 부재의 편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만 비어져 나가도록 보호부재를 마련해도 된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띠 모양 부재(30)보다도 폭이 넓은 보호부재(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전체 폭에 걸쳐서 마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부(3)를 파지했을 경우에 띠 모양 부재(30)의 폭방향으로 주름이 잡혀 가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를 띠 모양 부재의 하면 측에서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에 의한 파지부(3c)와 같이, 보호부재(2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상면(32) 및 하면(31)의 양측에서, 가장자리부(34)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하여, 띠 모양 부재(30)의 가장자리부(34)를 감싸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를 띠 모양 부재의 하면 측에서, 접착영역을 제외한 대략 전체 면에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에 의한 파지부(3d)와 같이, 보호부재(340)를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방향(X방향)의 중앙부 근방의 소정영역에만 마련해도 된다. 이 제4 변형예와 같이 보호부재(340)를 적어도 띠 모양 부재(30)의 장수방향의 중앙부 근방의 소정영역에 마련하면, 사용자가 파지할 가능성이 높은 띠 모양 부재(30)의 중앙 부분에 보호부재(340)가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파지부(3d)를 파지할 때에 사용자에 보호부재(340)의 형성영역을 용이하게 파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호부재를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에만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폐기시에 변형시키기 위한 접는 선을 용기본체에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에 접는 선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직방체 형상의 용기본체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를 직방체 형상 이외의 원통 형상이나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를 용기본체의 측면에 접착하여, 폐기시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파지부를 용기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분리할 수 없게 해도 된다.
1 시약용기 2 용기본체
2a 상면 2c, 2d 측면
3, 3a, 3b, 3c, 3d 파지부 21 접속구
23(23a, 23b, 23c, 23d) 접는 선
30 띠 모양 부재 31 하면(제1 면)
32 상면(제2 면) 33 접착영역(장착영역)
34 가장자리부 40 140 240 340 보호부재

Claims (20)

  1. 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액체시약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를 매단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띠 모양의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는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된 띠 모양 부재와,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비어져 나가도록 상기 띠 모양 부재에 마련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시약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의 단수(短手)방향에서의 상기 보호부재의 폭은 상기 띠 모양 부재의 단수방향의 폭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장수(長手) 측의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가도록 마련되어 있는 시약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의 중앙부 근방의 소정영역에 적어도 마련되어 있는 시약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대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이면 측인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상기 제1 면에 마련되어 있는 시약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상기 용기본체로의 장착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상기 제1 면의 대략 전체 면에 마련되어 있는 시약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탄성을 가짐과 아울러, 시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약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는 합성종이로 이루어지는 시약용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발포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약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종이재를 포함하는 시트 모양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약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폐기할 때에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접는 선을 가지는 시약용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시트 모양 재료가 접어 겹쳐진 측면 부분을 가지고,
    상기 띠 모양 부재는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측면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시약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에 걸쳐 원호 모양이 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시약용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시약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접착제로 장착되어 있고, 접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접착 강도보다도, 접착면에 평행한 방향의 접착 강도가 크게 되도록 접착되어 있는 시약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장수방향에서의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접착면의 길이는 상기 띠 모양 부재의 단수방향의 폭보다도 큰 시약용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와 분석장치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를 가지는 시약용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서, 또한, 상기 파지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시약용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가지는 시약용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시약은 혈구계수장치용 시약 또는 뇨(尿)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용 시약인 시약용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액체시약은 희석액, 용혈제(溶血劑) 또는 세정액인 시약용기.
KR1020137030549A 2011-04-22 2012-04-05 시약용기 KR10157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6374A JP5789404B2 (ja) 2011-04-22 2011-04-22 試薬容器
JPJP-P-2011-096374 2011-04-22
PCT/JP2012/059387 WO2012144333A1 (ja) 2011-04-22 2012-04-05 試薬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02A true KR20130140202A (ko) 2013-12-23
KR101577126B1 KR101577126B1 (ko) 2015-12-11

Family

ID=4702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549A KR101577126B1 (ko) 2011-04-22 2012-04-05 시약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044611A1 (ko)
EP (1) EP2700586B1 (ko)
JP (1) JP5789404B2 (ko)
KR (1) KR101577126B1 (ko)
CN (2) CN202784046U (ko)
BR (1) BR112013026708A2 (ko)
HU (1) HUE026585T2 (ko)
SG (1) SG194454A1 (ko)
WO (1) WO2012144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199A (zh) * 2012-12-07 2014-01-01 上海艾录纸包装有限公司 包装袋拎手及阀口袋
JP6358875B2 (ja) * 2014-06-27 2018-07-18 サニー・ケミカルス株式会社 取っ手テープ
WO2016130964A1 (en) 2015-02-13 2016-08-18 Abbott Laboratories Decapping and capp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diagnostic analyzers
GB2542757A (en) * 2015-08-13 2017-04-05 Acquascience Ltd A Method for Supplying Histology Reagents
JP6643891B2 (ja) * 2015-12-15 2020-02-12 サニー・ケミカルス株式会社 テープ体及び取っ手付きボトル
CN107187692A (zh) * 2017-05-12 2017-09-22 上海普丽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密封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002A (en) * 1960-03-16 1962-04-17 Diamond National Corp Handle for large carton
FR1512737A (fr) * 1966-03-01 1968-02-09 Nordisk Plaster Ind As Poignées pour le transport d'objets
FR2180225A7 (ko) * 1972-04-13 1973-11-23 Cerbere Sovarec
US5467915A (en) * 1992-10-21 1995-11-21 Roberts Systems, Inc. Lift-up handle
JP3248542B2 (ja) * 1993-06-11 2002-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手提げ用テープ付き容器
JPH09297146A (ja) 1996-05-02 1997-11-18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液体吸引装置
US5951076A (en) * 1998-01-28 1999-09-14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handle for enabling handling of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JP2002080028A (ja) * 2000-09-12 2002-03-19 Nipro Corp 液状試薬用紙容器
JP3997464B2 (ja) * 2001-10-30 2007-10-24 平紐工業株式会社 粘着式取っ手
DE60331748D1 (de) 2003-12-16 2010-04-29 Sysmex Corp Analysevorrichtung und Reagenzbehälter
DE102006056476A1 (de) * 2006-11-28 2008-05-29 Henkel Kgaa Trageriemen, insbesondere für Waschmittelpakete
US8032986B2 (en) * 2007-06-07 2011-10-11 Patricia Lawrence Self enclosed disposable carry handle
US8814034B2 (en) * 2008-12-01 2014-08-26 2224568 Ontario Inc. Collapsible paperboard container and a blank for construc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4611A1 (en) 2014-02-13
JP5789404B2 (ja) 2015-10-07
CN202784046U (zh) 2013-03-13
BR112013026708A2 (pt) 2017-09-12
KR101577126B1 (ko) 2015-12-11
HUE026585T2 (hu) 2016-06-28
EP2700586A1 (en) 2014-02-26
EP2700586A4 (en) 2014-10-29
JP2012224391A (ja) 2012-11-15
CN102745377A (zh) 2012-10-24
EP2700586B1 (en) 2015-12-09
CN102745377B (zh) 2016-01-13
SG194454A1 (en) 2013-12-30
WO2012144333A1 (ja)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202A (ko) 시약용기
US20150183555A1 (en) Pouch container
EP1553394A1 (en) Sputum-collecting tool
TWI566999B (zh) The packing system of several articles
EP2826719B1 (en) Reagent receptacle for use in biological sample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agent receptacle
US8720731B2 (en) Packaging container
JPWO2003078262A1 (ja) 柔軟性容器、その形成方法、柔軟性容器の開封ガイド、柔軟性容器への液体封入方法、及び液体
JP5751023B2 (ja) 梱包容器
CN212140598U (zh) 一种临时无菌储存袋
US10955314B1 (en) One-handed surface sampling device
CN211845490U (zh) 用于电器元件运输的防震运输箱
US10160572B2 (en) Bag for carrying out dilution series, receiving device, dispenser, method for carrying out dilution series, use of bags for carrying out dilution series and dilution series system
CN213893299U (zh) 一种自带封条盒袋一体式餐盒
CN211838045U (zh) 一种医学检测试管箱
CN213293355U (zh) 一种设有撕裂线的包装袋
CN219173167U (zh) 一种小型样品包装袋
CN209393211U (zh) 一种微流控芯片取放夹持组件
CN210823423U (zh) 一种血样运送包
CN220924890U (zh) 一种乙肝检测试剂盒
CN112237404B (zh) 清扫片及具备清扫片的清扫工具
CN107149951B (zh) 一种具塞容器绑连带
CN217075232U (zh) 一种便于携带的微生物检测试剂盒
CN218777955U (zh) 一种检测用试管盒
CN213110520U (zh) 一种兽用采样盒
CN210638951U (zh) 一种适用于罐车的液体自动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