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30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306A
KR20130139306A KR1020137014884A KR20137014884A KR20130139306A KR 20130139306 A KR20130139306 A KR 20130139306A KR 1020137014884 A KR1020137014884 A KR 1020137014884A KR 20137014884 A KR20137014884 A KR 20137014884A KR 20130139306 A KR20130139306 A KR 2013013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absorbent
top sheet
liquid
permeable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하시노
유우키 노다
신페이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14Bulk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87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 A61F2013/15495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pore dim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에 열과 습도를 감소시키며 배설물의 흡수 후에도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이 보송보송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액투과성 톱 시트, 액불투과성 백 시트 및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45% 이하의 보온율 및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가진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다년간에 걸친 기술 개발로 인하여 생리대 및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기본 성능이 계속해서 향상되어, 경혈 및 소변과 같은 배설물의 흡수 후 샘 방지는 일반적으로 충족되었다. 현재 최근의 개발은 성능이 더욱 높은 흡수성 물품에 향해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10 cN/cm2 압력하에서 수평 방향으로 공기 투과 용량이 10 mL/cm2ㆍ초 이상인 흡수성 물품용 표면 시트(톱 시트)가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표면 시트에 의하면 착용자의 피부가 좀처럼 덥고 답답한 상태가 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2003-126147호
그러나, 두께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될 때에도 쉽게 붕괴되지 않는 요철이 제공되어 있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표면 시트는, 수평 방향으로의 공기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두껍게 디자인된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은, 그 두께 때문에 보온성이 높아 열감 및 습도감을 유발하고 착용시 착용자가 발한함으로써 착용시의 열 및 습도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 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며 배설물 흡수 후에도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이 보송보송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액투과성 톱 시트, 액불투과의 백 시트 및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며, 45% 이하의 보온율 및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시 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며 배설물 흡수 후에도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이 보송보송하다.
도 1은 수분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수분량 측정시의 시료와 도 1의 수분량 측정 장치의 센서간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요철과 구멍을 갖는 부직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서 구멍과 압착부가 중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압과 수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두께와 보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밀도와 보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밀도와 리웨트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제 본 명세서의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흡수성 물품은 보온율이 약 45% 이하이고 리웨트율이 약 10 질량% 이하인데, 본 발명자들은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이 약 45% 이하이고 리웨트율이 약 10 질량% 이하일 때 착용시 열 및 습도가 감소되고 배설물 흡수 후에도 보송보송함이 달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보온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1) Kato Tech Corp.사 제조 KES-F7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 THERMO LABO II를 준비하고, 실온을 20℃로 설정하고, 습도를 60% RH로 조정한다.
(2) 일회용 기저귀의 보온율을 측정하는 경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12 cm 및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간단히 "직교 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음)으로 12 cm의 시료를 컷팅한다.
생리대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2 cm x 12 cm의 시료를 얻는 것이 어려우므로,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8 cm 및 직교 방향으로 8 cm의 시료를 컷팅하여 8 cm x 8 cm의 시료를 얻는다. 도 8에는, 8 cm x 8 cm의 실시예가 부호 40으로 표시된다.
(3) THERMO LABO II 샘플 프레임에 시료를 양면 테이프로 부착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상기 측정 장치의 통상 순서에 따라, 시료를 샘플 프레임에 부착하고, 생리대의 경우에는 12 cm x 12 cm로 컷팅된 코튼 언더팬츠와 같은 시판의 속옷을 샘플 프레임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한 다음, 시료가 샘플 프레임의 중앙에 오도록 시료를 상기 언더팬츠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한다.
(4) THERMO LABO II에서, 윈드 터널의 풍속을 30 cm/초로 설정하고 BT-Box의 온도를 30℃로 설정한다.
(5) THERMO LABO II에 의하여, 시료를 부착한 샘플 프레임의 온도를 30℃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열(Qd)을 측정한다.
(6) THERMO LABO II를 이용함으로써,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샘플 프레임의 온도를 30℃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열(Q0)을 측정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샘플 프레임만을 BT-Box에 놓은 상태에서 열(Q0)을 측정하고, 생리대의 경우에는, 쇼츠를 부착한 샘플 프레임을 BT-Box에 놓은 상태에서 열(Q0)을 측정한다.
(7) 보온율을 이하의 식(1)에 의하여 산출한다.
보온율(%) = 100 x (Q0-Qd)/Q0 식(1)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은 약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4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42% 이하이다. 상기 보온율이 더 높으면 착용자의 열감 및 발한 정도가 커져, 덥고 축축한 느낌을 유발한다. 보온율의 하한이 약 0%이다. 보온율이 약 0%에 가까운 경우, 열 수준이 흡수성 물품을 착용하지 않고 얻어지는 수준에 근접할 수 있다.
상기 보온율은,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감소시켜,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낮출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감소하면 흡수성 물품 내부에 존재하는 보온성이 높은 공기의 양이 감소하여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이 낮아진다고 추정된다.
상기 보온율은 후술하는 흡수성 물품의 밀도에 따라서도 변화하므로, 흡수성 물품의 두께만으로 보온성을 논하는 것은 어렵지만, 약 45% 이하의 보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수성 물품의 두께,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두께는 예컨대 약 7 mm 이하, 약 6 mm 이하 또는 약 5 mm 이하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두께,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mm 이상이다.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1 mm 미만이면 배설물의 흡수 총량이 불충분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Kumagai Riki Kogyo Co., Ltd사의 TM600-L을 이용하여, 측정자 선단 직경 50 mm, 측정자 하강 속도 7.5 mm/sec 및 측정 하중 50 gf의 조건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보온율은 또한 흡수성 물품의 밀도를 증가시켜,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를 증가시켜 낮출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증가하면 흡수성 물품 내부에 존재하는 보온성이 높은 공기의 양이 감소하여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이 낮아진다고 추정된다.
상기 보온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에 따라서도 변화하므로, 흡수성 물품의 밀도만으로 보온성을 논하는 것은 어렵지만, 약 45% 이하의 보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수성 물품의 밀도,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는 예컨대 약 0.04 g/cm3 이상, 약 0.05 g/cm3 이상, 약 0.06 g/cm3 이상 또는 약 0.07 g/cm3 이상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밀도, 특히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5 g/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g/cm3 이하이다.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증가하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배설구 접촉 영역"이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배설구에 접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일반적으로 배뇨부에 접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생리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질구에 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체에 평량이 큰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평량이 큰 영역을 편의상 배설구 접촉 영역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란, 흡수성 물품이 플랩을 갖는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서 플랩의 중앙 및 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에서 상기 중앙을 의미하고, 흡수성 물품이 플랩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흡수체의 길이 방향에서 좁은 섹션의 중앙 및 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에서 상기 중앙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밀도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시료의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2 cm 직교 방향으로 2 cm로 컷팅하고 그 질량 m(g)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한다. 흡수성 물품의 두께 h(mm)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Kumagai Riki Kogyo Co., Ltd사의 TM600-L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상기 밀도 D(g/cm3)는 이하의 식(2)에 의하여 구한다.
D = m/(2 x 2 x 0.1 x h) 식(2)
리웨트율을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톱 시트의 위에, 중앙에 약 40 mm x 10 mm의 구멍이 있는 아크릴판을, 아크릴판의 구멍의 중심과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 대강 겹치도록 놓는다.
(2) 오토뷰렛에 인공 경혈을 넣고, 높이 약 10∼15 mm에서 아크릴판의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총 4 g의 인공 경혈을 적하한다. 인공 경혈을 적하하는 속도는 약 95 mL/분이다.
(3) 인공 경혈이 흡수성 물품에 흡수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아크릴판을 제거하고, 인공 경혈 적하 개시로부터 1분 경과 후에, 톱 시트 상에, 배설구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질량(A)을 측정한 여과지(No.2, 크기: 50 mm x 35 mm, Advantech Toyo, Inc사 제품) 10매를 놓고, 그 위에서 상기 여과지 상에 30 g/cm2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분동(weight)을 올려 놓았다.
(4) 분동을 올려놓고나서 1분 경과 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분동 및 여과지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B)을 측정한다.
(5) 리웨트율을 이하의 식(3)에 의하여 산출한다.
리웨트율(질량 %) = 100 x {질량(B) - 질량(A)}/4 식(3)
인공 경혈은 점도가 약 22∼26 mPaㆍs의 범위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물 1000 cc에 대하여 글리세린 80 g, CMC 나트륨염 8 g, NaCl 10 g, NaHCO3 4 g, 적색 색소 102호 8 g, 적색 색소 2호 2 g 및 황색 색소 5호 2 g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리웨트율은 약 1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 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7 질량 이하이다. 상기 리웨트율이 높으면 흡수성 물품에 배설물이 흡수된 후 예컨대 의자에 앉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압력이 가해진 때에 끈적끈적한 느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리웨트율의 하한은 약 0 질량%이다. 리웨트율이 거의 0 질량인 경우, 흡수성 물품이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더 쉬워진다.
상기 리웨트율은,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밀도를 증가시켜, 특히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밀도를 증가시켜 낮출 수 있다.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증가하면, 흡수성 물품내 부직포 섬유 및 흡수체 내부의 펄프간 거리가 감소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의 내부에 인입되기 쉬워지고 유지되기 쉬워져 상기 리웨트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07 g/cm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8 g/cm3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9 g/cm3 이상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g/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g/cm3 이하이다.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증가하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흡수성 물품은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서의 수분율이 바람직하게는 약 20 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 질량%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7 질량% 이하이다.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을 낮춤으로써,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최상부에서의 수분율이 감소하여, 배설물이 흡수된 후에도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이 보송보송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0.3 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질량% 이상이다. 수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기후에 따라 착용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1)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를 준비하고, 실온을 20℃로 습도를 60% RH로 조정한다. 수분량 측정 장치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2) 수분율이 기지인 시료를 복수 준비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한 쌍의 전극간 전압(V)을 측정하고, 검량선을 작성한다.
(3) 오토뷰렛에 인공 경혈을 넣고, 액투과성 톱 시트의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향해 총 4 g의 인공 경혈을 적하한다.
(4) 1분 경과 후,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12 mm 직교 방향으로 30 mm의 범위에서 무작위로 15개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검량선에 기초하여 수분율을 계산한다.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는, 정전용량식 수분 센서인 센서(2), 흡수성 물품에서 취한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놓는 시료대로서 상기 시료를 그 위에 놓기 위한 볼록면을 갖는 시료대(3), 상기 시료에 대한 상기 센서의 접촉압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5), 시료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6), 및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센서를 시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센서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그것에 의해 시료의 수분량 분포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9)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시료대(3)는 정원주(regular cylinder)를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반정원주(half-regular cylinder)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1의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지지 기구(5)는 분동(8)의 위치에 의해 시료(4)에 가해진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저울이며, 도 1에 B로 표시되는 연직 방향(이하, '방향 B'라 칭하기도 함)으로 일정한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이동 기구(6)는, 정원주의 중심축 둘레에서 A 방향을 따라 시료대(3)를 회전시키고, 정원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즉, 도 1에서는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방향으로 시료대(3)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시료대(3)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시료대(3)를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이동 기구(6)는 시료의 수분량의 분포를 평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센서(2)는 지지 기구(5)를 통해 그리고 이동 기구(6)는 직접 측정 기구(9)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의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시료(4)는 시료대(3) 위에 셋팅되고, 절연 필름(7)이 센서(2)와 시료(4) 사이에 배치되어 시료(4)를 덮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에서, 시료(4)의 수분율의 분포를 측정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1)를 준비한다. 이어서, 시료대(3)의 볼록면에 시료(4)를 놓고, 시료(4) 위에 절연 필름(7)을 셋팅하고, 절연 필름(7)을 사이에 두고 시료(4) 위에 센서(2)를 셋팅한다. 이어서, 측정 기구(9)를 조작하여 이동 기구(6)를 제어하고, 시료대(3)를 시료대(3)의 정원주의 중심축 둘레에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시료대(3)를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시간 동안 센서(2)를 이용하여 복수 개소에서의 시료(4)의 수분율을 측정한다. 이들 측정을 조합함으로써 시료(4)의 수분율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되는 센서는 임의의 시판되는 정전용량식 수분 센서일 수 있고, 이 정전용량식 수분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센서(2)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10a 및 10b)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 사이의 정전용량은 금속 와이어를 통해 측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센서(2)는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을 지지하기 위한 전극 지지 부재(1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센서(2)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은 전극 지지 부재(11)의 측정측에 장착된다.
전극 지지 부재는 수분율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후술하는 절연 필름과 동등한 비유전율, 함수율 및 투수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지지 부재용 소재의 예는 BAKELITE와 같은 상표명으로 공지된 페놀 수지이다.
도 2에 도시된 센서(2)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 사이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상기 수분량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 사이에 상기 언급한 전극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 사이에 상기 전극 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전극과 시료 사이에 더욱 일정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센서(2)는 절연 필름(7)을 통해 시료(4)와 접하고 있다. 센서(2)에는 일정한 연직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센서(2)는 상기 한 쌍의 전극(10a 및 10b)과 시료(4)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분량 측정 장치가, 상기 시료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시료를 덮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로서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흡수 표면은, 흔히 배뇨후 수분율이 거의 100%에 달한다. 이러한 고수분율 상태에서 수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율을 측정하는 경우, 수분의 일부가 센서, 특히 전극에 가까이 부착되어 측정 결과에 오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와 시료 사이에 센서와는 별체의 절연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센서에 수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수분량 측정 장치에서, 센서 자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와 접촉하는 면에 전극의 콘덴서 성질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부를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센서는 공지된 또는 시판되는 정전용량식 수분 센서에서와 같이 시료와 접촉하는 면에 전극의 콘덴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름은, 수분율을 측정한다는 성질상, 진공의 유전율과의 비(이하, 간단히 "비유전율"이라고 함)가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이하이다. 비유전율이 높으면 측정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절연 필름은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막 두께가 얇고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300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 이하이다.
균일성은, 임의의 30점에서 측정한 막 두께의 변동 계수가 약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약 5%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는 하기 식(4)에 의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변동 계수(%) = 100 x 표준편차/산술평균 식(4)
또한, 절연 필름은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함수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율이 높으면 절연 필름의 비유전율이 높아져 측정 오차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함수율의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25℃에서 24시간 수중에 침지한 후의 함수율이 약 3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 질량%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약 0.5 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 필름은 투수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투수율의 일반적인 표준은 센서 및 특히 전극이 측정 동안 물에 젖지 않는 정도이다. 전극이 물에 젖으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름의 소재는 상기 성능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아미드, 멜라민, 에폭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메틸펜텐 소재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수분량 측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약 0∼10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90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80 질량%와 같은 매우 광범위의 수분율을 갖는 시료를 측정할 수 있다.
수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을 용이하고도 고도로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정전용량식 수분 센서를 이용하여 절연 필름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한 효과의 하나 이상을 발휘하기 위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약 7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약 0.07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약 6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약 0.07 g/cm3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약 5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약 0.07 g/cm3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약 5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약 0.075 g/cm3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는 약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 mm 미만이면, 배설물의 흡수 총량이 불충분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g/cm3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g/cm3 이하이다. 상기 밀도가 증가되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의 평량은,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약 45% 이하의 보온율과 약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250∼500 g/m2, 약 250∼400 g/m2 또는 약 250∼350 g/m2일 수 있다.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감소되면, 리웨트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증가되면, 착용시 더 뻣뻣한 느낌을 받는 경향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의 평량은,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평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약 300 g/m2 이하, 약 200 g/m2 이하 또는 약 100 g/m2 이하일 수 있다.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높으면, 리웨트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두께 때문에 보온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압착에 의해 두께가 감소된 경우에는 착용시 뻣뻣한 느낌을 받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흡수체내 펄프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배설구 접촉 영역 및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에서, 흡수체의 일부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가 흡수체의 전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의 전면에 분포된 압착부는 흡수체의 밀도 및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 및 리웨트율을 낮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흡수체(21)에서, 좌측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전방에 놓이고, 우측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후방에 놓인다. 도 3의 흡수체(21)에서, 복수의 압착부(23)가 흡수체(21)의 전면에 걸쳐 존재하거나 분포되고 흡수체(21)의 배설구 접촉 영역(22)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압착부의 형상, 면적,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이 작은 압착부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점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점재함으로써, 배설물의 흡수능이 작은 압착부의 면적 비율을 작게 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에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체형을 따라 어느 정도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압착부를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의 전방부(좌측) 및 후방부(우측)에서 흡수체의 표면에 걸쳐 대략 직사각형 (또는 세장형) 압착부를 압착부의 길이 방향이 흡수체의 직교 방향과 일치하도록 흡수체의 직교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둔부의 형상을 따라 비교적 변형하기 쉽게 된다.
또한, 직교 방향으로 배설구 접촉 영역(22)의 대향측(상측 및 하측)에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서혜부에 접하는 흡수체의 영역에 압착부(23)를 압착부(23)의 길이 방향이 흡수체(21)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착용자가 다리를 오므렸을 때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체형을 더 밀접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21)의 배설구 접촉 영역(22)에서 압착부(23)의 갯수 (또는 밀도)를 줄임으로써, 배설구 접촉 영역(22)이 더 쉽게 팽창되어, 보다 다량의 배설물이 더 쉽게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더 다량의 배설물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각 압착부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흡수체의 대략 직사각형 압착부에서, 긴 직경(치수)은 바람직하게는 약 1.0∼3.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2.5 mm이고, 짧은 직경(치수)은 바람직하게는 약 0.2∼2 m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1.0 mm이다. 압축부의 형상이 지나치게 작으면, 압축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그 형상이 지나치게 크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증가되어 착용감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흡수체에서, 압착부가 형성되는 흡수체의 압착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압착부의 총 면적의 면적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1∼1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이다. 상기 면적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압착이 불충분해져, 그 결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증가하고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면적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높아져 흡수량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면적율은 흡수체의 압착부의 갯수에 각 압착부의 면적을 곱하고 이것을 흡수체의 압착면의 전체 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는 흡수체에 스퀘어 지그재그 또는 60°지그재그형과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흡수체의 두께 및 밀도에서 분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압착부는 인접 압착부 사이가 바람직하게는 약 1∼10 mm 간격, 더 바람직하게는 약 2∼6 mm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것도 흡수체의 두께 및 밀도에서 분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흡수체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펄프와 같은 흡수성 섬유 및 SAP(초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임의의 원하는 흡수체 소재로 형성된 흡수체를 액투과성 티슈 등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액투과성 톱 시트는, 흡수성 물품이 45% 이하의 보온율과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루에어 부직포가 일반적인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한 효과의 하나 이상을 발휘하기 위하여, 액투과성 톱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으로 교대하여 갖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이하 간단히 "요철을 갖는 부직포"라고 칭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요철(24)을 갖는 부직포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25)와 복수의 오목부(26)(도 4에는 하나만 되시되어 있음)를 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으로 교대하여 갖는다.
상기 요철을 갖는 부직포는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 포함되는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2008-25081호(미국 특허 공보 2009/282660) 또는 일본 비심사 특허 공개 2008-25082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와 같은 지지 부재(29)를 갖는 롤 상에 섬유 웹(30)을 놓고 유체 노즐(31)로부터 유체를 섬유 웹(30) 상에 분사하여 요철(24)을 갖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24)을 갖는 부직포의, 유체가 분사되는 노즐 바로 아래에 있는 영역에서, 반송 방향(MD)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CD)으로 섬유가 분류되어, 반송 방향(MD)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다. 각 노즐 사이의 영역에서는 섬유가 모여 반송 방향(MD)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의 예로서는 증기를 들 수 있으며, 예컨대, 약 5∼15 (nL/m2)의 분사 부피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체를 뿌리는 각 유체 노즐의 바로 아래에서 부직포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에 인접하여 볼록부가 형성되므로, 유체 노즐 간격은 원하는 볼록부 높이 및 요철의 피치를 형성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웹 및 상기 섬유 웹으로부터 형성되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에서 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웹의 평량 및 상기 섬유 웹으로부터 형성되는 요철을 갖는 부직포의 평균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50 g/m2, 더 바람직하게는 20∼50 g/m2이다. 상기 평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톱 시트가 사용 중에 찢어질 수 있다. 상기 평량이 지나치게 크면, 톱 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져 흡수성 물품의 보온율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요철을 갖는 부직포에서 볼록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5∼2.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7∼1.5 mm이다. 오목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3∼0.7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0.6 mm이다.
요철을 갖는 부직포에서 요철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약 2∼6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mm이다.
본 명세서에서 "볼록부의 높이"란 도 4에 h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저부로부터 볼록부의 정상부까지의 높이를 의미하고, "오목부의 높이"란 도 4에 h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저부로부터 오목부의 저부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요철의 피치는 도 4에 p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한 볼록부로부터 이의 인접 볼록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흡수성 물품에서, 액투과성 톱 시트는 더 바람직하게는 요철과 구멍을 갖는 부직포(이하,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라고도 함)로서 상기 요철은 피부 접촉면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일부는 상기 부직포가 존재하지 않는 구멍을 갖는다. 액투과성 톱 시트가 구멍을 가짐으로써, 톱 시트를 통해 흡수체의 내부로 배설물이 더 용이하게 인입된다.
도 6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요철 및 구멍(32)을 갖는 부직포는 오목부(26)에 부직포가 존재하지 않는 구멍(33)을 가진다.
상기 구멍의 직경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약 2.0∼2.5 mm이고, 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으로 약 0.5∼1.5 mm이며, 동일한 오목부에서 인접 구멍간 간격은 약 2.0∼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의 높이, 오목부의 높이, 요철의 피치 및 구멍의 직경은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계측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요철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지지 부재(29)는, 메쉬 등에서,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평행한 돌출부 및 함몰부를 반송 방향으로 교대로 갖는 지지체로 변경된다. 상기 구멍은 유체 노즐(31)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와 지지체의 돌출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흡수체가 압착부를 갖고 액투과성 톱 시트가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인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과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흡수성 물품에서 압착부와 구멍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흡수성 물품을 액투과성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서 본 도면으로,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도 7에는 설명을 위해 흡수체의 압착부(23)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구멍과 압착부가 중첩되는 영역이 34로 표시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이 구멍과 압착부가 중첩되는 영역(34)을 복수 갖는 경우, 흡수된 배설물이 구멍과 압착부가 중첩되는 영역(34)을 통과하여 신속하게 흡수체에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또한 액투과성 톱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임의의 세컨드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는 스루에어 부직포와 같은 부직포 또는 폴리락트산계 부직포와 같은 생분해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백 시트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비닐 알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시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형성되는 통기성 필름, 비통기성 필름, 개공 필름 등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이 세컨드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적층 방향(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함께 압착함으로써 배설물을 톱 시트로부터 흡수체 내부로 흡수시키기 쉬워진다. 압착부의 주연에서는 섬유 밀도가 높고 섬유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설물이 톱 시트로부터 흡수체 내부로 더 용이하게 인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 톱 시트, 임의의 세컨드 시트 및 이들을 흡수체와 함께 적층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투과성 톱 시트, 임의의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함께 압착함으로써 배설물이 톱 시트로부터 흡수체 내부로 용이하게 흡수된다. 압착부의 주연에서는 섬유 밀도가 높고 섬유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35)은 액투과성 톱 시트(36), 세컨드 시트(도시되지 않음), 흡수체(21), 백 시트(도시되지 않음) 및 사이드 플랩(37)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35)은 톱 시트와 세컨드 시트를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38) 및 톱 시트,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39)를 가진다.
이제,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특별히 임의의 제한 없이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 예로서, 흡수체는 원하는 평량의 흡수성 섬유(예컨대, 펄프)에 임의의 흡수제(예컨대, SAP)를 분산시키고 흡수성 섬유를 액투과성 티슈로 커버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밀도 및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 흡수체를 압착할 수도 있다. 압착은 예컨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 포함되는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2009-273722호(미국 특허 공보 2011/11869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액투과성 톱 시트, 임의의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층한다. 소망에 따라, 액투과성 톱 시트와 세컨드 시트를 먼저 함께 압착한 후에 흡수체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이어서, 소망에 따라, 톱 시트, 임의의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할 수 있다.
흡수체 상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백 시트를 적층한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컷팅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예컨대 어느 정도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생리대 또는 일회용 기저귀일 수 있다.
이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표명 SILCOTT™(Unicharm Corp.)으로 입수가능한 코튼에 일정량의 수분을 포함시켜, 상이한 수분율을 갖는 표준 시료 1∼7을 제작했다. 이어서, 상기 표준 시료를 20℃에서 1일간 밀봉 상태로 정치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 장치를 준비하고, 표준 시료 1∼7을 각각 수분량 측정 장치의 시료대 위에 놓고, 이들의 수분율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센서의 접촉압은 8 g/cm2였다.
결과를 표 1 및 도 9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수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영점을 통과하는 검량선을 그렸을 때, 수분율 y와 전압 x 사이에 이하의 관계식(5)이 얻어졌다:
y = 32.7x 식(5)
[실시예 2]
도 8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표 2에 나타낸 톱 시트, 소망에 따라 세컨드 시트, 흡수체 및 백 시트로부터 제조하였다.
표 2에서, 톱 시트로서 사용된 부직포(1)는, 코어/시스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코어-시스 섬유(섬유 크기: 3 dtx, 섬유 길이: 45 mm)로 구성되는 섬유 웹을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2008-25082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평량: 35 g/m2, 볼록부의 높이: 1.1 mm, 오목부의 높이: 0.5 mm, 요철의 피치: 1.0 mm, 구멍의 직경: 2.5 mm(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x 1 mm(흡수성 물품의 직교 방향), 인접 구멍의 간격: 2.5 mm)이다.
부직포(2)는 코어/시스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코어-시스 섬유(섬유 크기: 3 dtx, 섬유 길이: 45 mm)로 구성되는 섬유 웹을 스루-에어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스루-에어 부직포(평량: 35 g/m2, 두께: 1.1 mm)였다.
개공 필름은 미국 특허 573362호에 개시된 공정을 이용하여 개공된 구멍을 갖는 산화티탄을 3 질량%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평량: 23 g/m2)(두께: 1.1 mm, 직경: 0.80 mm (MD) x 0.57 mm (CD), 개공율: 23%)이다.
표 2에서, 세컨드 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코어-시스 섬유(섬유 크기: 3 dtx, 섬유 길이: 45 mm)로 구성되는 섬유 웹을 스루-에어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스루-에어 부직포(평량: 20 g/m2, 두께: 0.19 mm)였다.
또한, 표 2에서, 흡수체는 표 2에 나타낸 평량의 펄프를 액투과성 티슈에 놓고, 펄프에 소량의 SAP을 산포하고, 상기 펄프를 티슈로 감싸고, 이어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었다(No. 6 제외).
표 2에서 백 시트는 폴리에틸렌 필름(평량: 24 g/m2)이었다.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압착하고, 이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흡수체를 세컨드 시트에 적층하고, 톱 시트,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 시트를 흡수체에 적층하고, 적층체를 흡수성 물품의 형상으로 컷팅하여 흡수성 물품을 완성하였다.
흡수성 물품 No. 8에서는, 세컨드 시트를 이용하지 않았다. 톱 시트를 압착하고, 이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흡수체를 톱 시트에 적층하고, 톱 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 시트를 흡수체에 적층하고, 적층체를 흡수성 물품의 형상으로 컷팅하여 흡수성 물품을 완성하였다.
흡수성 물품 No. 1∼10의 구조 및 이들의 두께와 밀도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흡수성 물품 No. 1∼10 및 시판 제품인 Unicharm 주식회사의 날개 달린 Sofy Bodyfit(이하, "BFR"이라 함)(21 cm), Unicharm 주식회사의 날개 달린 보통일용 Sofy Bodyfit Slim(이하, "FUWAPITA"라 함)(21 cm) 및 Unicharm 주식회사의 날개 달린 양 많은 날용 Sofy Hadaomoi(이하, "HADAOMOI"라 함)의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에서의 보온율, 리웨트율 및 수분율을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및 밀도와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보온율, 리웨트율 및 수분율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또한, 도 10은 흡수성 물품 No. 1∼10 및 BFR, FUWAPITA 및 HADAOMOI로 이루어지는 시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및 보온율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11은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 및 보온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는 흡수성 물품 No. 1∼10에서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 및 리웨트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도 10 및 도 11로부터,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그리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온율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증가되면 리웨트율이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흡수성 물품 No. 1∼10 및 BFR, FUWAPITA 및 HADAOMOI를 복수의 피험자가 이용하였을 때, 얻어진 응답은 보온율 및 리웨트율이 감소될수록 착용시 열 및 습도감이 적고 배설물의 흡수 후에도 보송보송함이 커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온율이 45% 이하이고 리웨트율이 10 질량% 이하인 흡수성 물품 No. 1, 3, 7, 8 및 10과 No. 2는 착용시 열 및 습도감 방지가 현지하였다. 톱 시트의 피부면의 수분율이 20 질량% 이하인 흡수성 물품 No. 1∼3 및 7∼8도 보송보송함이 현저하였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일본 특허 출원 2010-25320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액투과성 톱 시트, 액불투과성 백 시트 및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45% 이하의 보온율 및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흡수성 물품.
[양태 2]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이 20 질량% 이하인 양태 1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3]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7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0.07 g/cm3 이상인 양태 1 또는 2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4]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250∼500 g/m2의 범위내인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5]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평량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평량보다 낮은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6]
상기 흡수체가 흡수체의 전면에 걸쳐 흡수체의 일부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7]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피부 접촉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요철을 갖는 부직포인 양태 6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8]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이고, 상기 구멍이 부직포가 존재하지 않는 복수의 오목부의 일부이며,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구멍과 상기 흡수체의 압착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양태 7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9]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세컨드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이들의 적층 방향으로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양태 10]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이들의 적층 방향으로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U1 내지 U18에 관한 것이다.
[U1]
액투과성 톱 시트, 액불투과성 백 시트 및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이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45% 이하의 보온율 및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흡수성 물품.
[U2]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이 20 질량% 이하인 U1에 따른 흡수성 물품.
[U3]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7 mm 이하이고,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0.07 g/cm3 이상인 U1 또는 U2에 따른 흡수성 물품.
[U4]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250∼500 g/m2의 범위내인 U1 내지 U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U5]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평량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평량보다 낮은 U1 내지 U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U6]
상기 흡수체가, 흡수체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고 흡수체의 전면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U1 내지 U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U7]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피부 접촉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요철을 갖는 부직포인 U6에 따른 흡수성 물품.
[U8]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부직포가 존재하지 않는 복수의 오목부의 일부에 구멍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구멍과 상기 흡수체의 압착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U7에 따른 흡수성 물품.
[U9]
액투과성 톱 시트 및 흡수체 사이에 세컨드 시트, 및
액투과성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함께 압착되는 복수의 압착부
를 더 포함하는 U1 내지 U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0]
액투과성 톱 시트,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함께 압착되는 복수의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U9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1]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밀도가 0.5 g/cm3 이하인 U3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2]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흡수체의 평량이 300 g/m2 이하인 U5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3]
흡수체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길게 늘어지고 직교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U6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4]
압착부가, 직교 방향으로 배설구 접촉 영역의 대향측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U13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5]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압착부의 밀도가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보다 낮은 U13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6]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각 압착부의 면적이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보다 작은 U13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7]
각 압착부의 긴 직경이 1.0∼3.0 mm, 짧은 직경이 0.2∼2 mm이고, 압착부 사이의 간격이 1∼10 mm인 U13에 따른 흡수성 물품.
[U18]
압착부가 형성되는 흡수체의 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압착부의 총 면적의 면적율이 바람직하게는 약 1∼10%인 U13에 따른 흡수성 물품.
1 수분량 측정 장치
2 센서
3 시료대
4 시료
5 지지 기구
6 이동 기구
7 절연 필름
8 분동
9 측정 기구
10a, 10b 전극
11 전극 지지부
21 흡수체
22 배설구 접촉 영역
23 압착부
24 요철을 갖는 부직포
25 볼록부
26 오목부
27 중앙부
28 측부
29 지지 부재
30 섬유 웹
31 유체 노츨
32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
33 구멍
34 구멍과 압착부가 중첩된 영역
35 흡수성 물품
36 톱 시트
37 사이드 플랩
38 톱 시트와 세컨드 시트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
39 톱 시트, 세컨드 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
40 8 cm x 8 cm 시료

Claims (10)

  1. 액투과성 톱 시트, 액불투과성 백 시트 및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45% 이하의 보온율 및 10 질량% 이하의 리웨트율을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피부 접촉면의 수분율이 20 질량% 이하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두께가 7 mm 이하이고,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밀도가 0.07 g/cm3 이상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체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평량이 250∼500 g/m2의 범위내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체의 배설구 접촉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평량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평량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흡수체의 전면에 걸쳐, 흡수체의 일부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피부 접촉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요철을 갖는 부직포인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가 요철 및 구멍을 갖는 부직포이고, 상기 구멍이 부직포가 존재하지 않는 복수의 오목부의 일부이며,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의 구멍과 상기 흡수체의 압착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세컨드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투과성 톱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이들의 적층 방향으로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투과성 톱 시트 및 흡수체를 이들의 적층 방향으로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20137014884A 2010-11-11 2011-10-28 흡수성 물품 KR20130139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3203A JP6057495B2 (ja) 2010-11-11 2010-11-11 吸収性物品
JPJP-P-2010-253203 2010-11-11
PCT/JP2011/075524 WO2012063750A1 (en) 2010-11-11 2011-10-28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306A true KR20130139306A (ko) 2013-12-20

Family

ID=4605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884A KR20130139306A (ko) 2010-11-11 2011-10-2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057495B2 (ko)
KR (1) KR20130139306A (ko)
CN (1) CN103221007A (ko)
AR (1) AR083761A1 (ko)
SG (1) SG189965A1 (ko)
TW (1) TW201233374A (ko)
WO (1) WO2012063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3291B2 (ja) * 2012-04-13 2017-06-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4104109A (ja) * 2012-11-27 2014-06-09 Kao Corp 吸収性物品のスキンケア効果の評価方法
JP6195770B2 (ja) * 2013-09-30 2017-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215084B1 (en) * 2014-11-06 202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trained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6599116B2 (ja) * 2015-03-30 2019-10-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82568B2 (ja) * 2019-03-29 2023-05-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073A (ja) * 1992-07-29 1994-02-22 Honshu Paper Co Ltd 使い捨ておむつ
US6444744B1 (en) * 1998-03-11 2002-09-03 Nippon Shokubai Co., Ltd. Hydrophilic resin, absorbent article, and acrylic acid for polymerization
EP0947184A1 (en) * 1998-03-28 1999-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e use of a breathable absorbent article to maintain ideal skin surface temperature
DE10052966A1 (de) * 2000-10-25 2002-05-02 Stockhausen Chem Fab Gmbh Hochquellbare Absorptionsmittel mit einer verminderten Tendenz zum Verbacken
WO2005012616A1 (ja) * 2003-08-01 2005-02-10 Mitsui Chemicals, Inc. 吸収性不織布、その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80796A1 (ja) * 2006-01-13 2009-06-11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体
CN101036611A (zh) * 2006-03-16 2007-09-19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可垂悬的吸收制品
JP4836639B2 (ja) * 2006-04-12 2011-12-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542032B (zh) * 2006-06-23 2011-08-2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无纺布
JP4972384B2 (ja) * 2006-11-27 2012-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20100022490A (ko) * 2007-06-01 2010-03-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시트형 부재의 적층체
JP5197147B2 (ja) * 2008-05-15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47644B2 (ja) * 2008-10-29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5225818B2 (ja) * 2008-11-21 2013-07-0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7495B2 (ja) 2017-01-11
SG189965A1 (en) 2013-06-28
JP2012100945A (ja) 2012-05-31
WO2012063750A1 (en) 2012-05-18
CN103221007A (zh) 2013-07-24
AR083761A1 (es) 2013-03-20
TW201233374A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5272B2 (ja) 多構成要素トップシート
JP4558798B2 (ja) 改善した獲得速度を持つ吸収性物品
US6515195B1 (en) Sanitary napkin with improved liquid retention capability
EP1078618B1 (en) A sanitary napkin with improved liquid retention capability
JP2021058655A (ja) 3次元基材
JP6042181B2 (ja) 吸収性物品
US20030093047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 absorbent structure
EP1990033A1 (en)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 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EP2226046B1 (en) Absorbent article
KR20130139306A (ko) 흡수성 물품
US6494871B1 (en) Sanitary absorbent napkin
WO2016040100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layer laminate
EP1206926B1 (en) A sanitary napkin having regions of varying flexibility
JP7149771B2 (ja) 吸収体
JP6957106B2 (ja) 吸収性コア
JP2020156754A (ja) 吸収性物品
JP4266685B2 (ja) 体液吸収性物品
RU2257189C2 (ru) Гигиеническая абсорбирующая прокладка
JP2020130442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