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115A -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 Google Patents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115A
KR20130139115A KR1020120062875A KR20120062875A KR20130139115A KR 20130139115 A KR20130139115 A KR 20130139115A KR 1020120062875 A KR1020120062875 A KR 1020120062875A KR 20120062875 A KR20120062875 A KR 20120062875A KR 20130139115 A KR20130139115 A KR 2013013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artition
case
cha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705B1 (ko
Inventor
이보성
류동명
류부열
최필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0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유입구와 연료배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챔버유입홀 및 챔버배출홀을 가지는 구획격벽;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외곽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1포집격벽;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순수연료를 상기 연료배출구로 내보내기 위한 연료토출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케이스의 내측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2포집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Fuel filter for fuel pump module}
본 발명은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 내부에는 연료탱크의 연료를 엔진으로 송출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연료펌프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펌프모듈은 프리필터와 메인 연료필터 및 연료펌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필터는 일반적으로 메쉬망 구조 혹은 부직포 구조로 된 것이 사용되며, 연료탱크에서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연료를 1차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 연료필터 대비 상대적으로 입자가 크고 밀도가 작은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연료펌프는 연료탱크의 연료를 강제로 엔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연료필터는 연료펌프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2차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고 밀도가 큰 먼지 등을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연료펌프모듈을 통과하는 연료탱크의 연료는 프리필터 -> 연료펌프 -> 메인 연료필터를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료필터는 지지체(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여과지(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지(2)에 연료를 통과시켜 연료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료필터는 연료탱크의 연료를 여과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여과지의 가격이 고가임에 따라 제조비용 면에서 불리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힘으로 효율이 저하되어 사용수명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른 여과지 교체시 고객의 부담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료필터는 여과지의 효율 저하에 따라 공급 연료의 차압이 증가하게 되어 차량의 시동성 불량 및 가속 불량을 초래하게 되고, 심각하게는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엔진이 정지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여과지를 제거하고 대신 원심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료유입구와, 연료배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챔버유입홀 및 챔버배출홀을 가지는 구획격벽;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외곽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1포집격벽;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순수연료를 상기 연료배출구로 내보내기 위한 연료토출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케이스의 내측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2포집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획격벽의 하부에는 챔버유입홀을 통해 이물질 챔버로 유입된 혼합연료 중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격벽이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구획격벽의 상단에는 이물질 챔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성분을 여과챔버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를 가지는 연료순환관이 챔버배출홀 상에 구비된다.
상기 제1포집격벽은 구획격벽의 상단에서 케이스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고 케이스와 동심구조를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며, 후단이 케이스의 내벽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료토출관은 구획격벽의 중앙 상단에서 케이스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고, 하단의 순수연료유입구로 유입되는 순수연료를 연료배출관으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를 내부에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포집격벽은 구획격벽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고, 연료토출관의 순수연료유입구로 혼합연료가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포집격벽의 선단과 연료토출관 사이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종래의 연료필터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여과지를 삭제한 구조를 가지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2. 종래의 연료필터에서는 여과지의 미세홀을 통과시켜 연료를 여과하게 되므로 필터링시 연료의 유동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연료필터에서는 원심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연료를 여과하게 되므로 필터링시 연료의 유동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차량의 시동성 및 가속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종래의 연료필터 대비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여 레이아웃이 유리한 이점이 있다.
4. 종래의 연료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 성능이 상대적으로 크게 저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연료필터는 이물질 챔버의 크기를 대용량으로 구성함이 용이하여 필터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터의 유지 관리를 위한 고객의 부담비용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투영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 B-B, C-C, D-D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의 작동원리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투영도,
도 8은 도 6의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후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를 나타낸 투영도,
도 11은 도 9의 E-E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상기 도 4 내지 5d와 도 11의 단면도는 각각의 절개면 상의 구성요소만을 나타낸 개략도로, 절개면 아래로 보이는 구성요소는 생략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여과지 없이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에 관한 것으로, 원심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입자가 작고 밀도가 높은 이물질을 여과함에 특징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심력은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으로서, 구심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며,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질량에 비례한다.
그리고, 부력은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그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중력에 반대되는 위쪽으로 뜨려는 힘으로, 그 크기는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는 연료펌프로부터 연료탱크의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 내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엔진으로 송출하는 장치로서, 케이스(10)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연료 내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이물질이 통상 연료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으로 전체 연료 중 이물질의 분포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물질의 함량이 높은 부위와 이물질의 함량이 낮은 부위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케이스(10)로 유입되는 연료 내에 이물질의 함량이 높은 부위의 연료와 이물질의 함량이 낮은 부위의 연료 간에 부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상대적으로 이물질의 함량이 낮은 연료에 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로 유입되는 연료 중 이물질의 함량이 낮은 부위의 연료는 이물질을 미량으로 포함하거나 혹은 포함하지 않은 연료로서 순수연료라고 하고, 이물질의 함량이 높은 부위의 연료는 상대적으로 이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있는 혼합연료라고 하여 설명하겠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이 케이스(1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연료의 유입을 위한 연료유입구(11)가 구성된다.
상기 연료유입구(11)는 케이스(10)의 외주면에서 접선방향으로 돌출되는 직선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에 연료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안으로 유입된 연료가 케이스(10)의 곡선형 내벽면에 부딪히면서 원운동을 하게 되어 연료에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스(10) 내에 유입된 연료 중 혼합연료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가라앉게 되고 순수연료는 부력 혹은 유체의 비중량에 따른 중력 차에 의해 혼합연료보다 상방으로 흘러 이동하게 된다(도 5a 참조).
또한, 케이스(10) 내에 유입된 연료 중 혼합연료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케이스(10) 내부에서 외곽으로 흘러 이동하게 되고, 순수연료는 혼합연료 대비 작은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어 혼합연료보다 안쪽으로 흘러 이동하게 된다(도 5a 참조).
즉,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유입된 연료 중 혼합연료는 케이스(10) 내에서 외곽 및 내측 하방으로 흐르게 되고, 순수연료는 케이스(10) 내에서 상대적으로 내측 상방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연료를 순수연료와 별도로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 내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격벽(13)과 상기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케이스(10)의 상단(천장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포집격벽(16)이 구성된다.
상기 구획격벽(13)은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케이스(10) 내에 수평하게 구성되며, 이에 상기 케이스(10)는 이물질(즉,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연료)의 분리 및 제거가 수행되는 상부의 여과챔버(14)와 분리된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연료를 보관하는 이물질 챔버(15)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격벽(13)은 여과챔버(14)와 이물질 챔버(15) 간에 연결을 위해 즉, 여과챔버(14)에서 여과한 혼합연료를 이물질 챔버(15)로 흘려보내기 위해 챔버유입홀(13a)을 가진다.
상기 제1포집격벽(16)은 케이스(10) 내에서 외곽으로 흐르게 되는 혼합연료를 포집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대략 연료유입구(11)의 맞은 편 부근에 배치되고, 케이스(10)와 동심구조를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포집격벽(16)은 그 후단이 절곡되어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이에 제1포집격벽(16)과 케이스(10) 사이로 흘러들어온 혼합연료는 제1포집격벽(16)에 부딪혀 떨어지게 되고, 떨어진 혼합연료는 챔버유입홀(13a)을 통해 이물질 챔버(15)로 수용된다(도 5b 및 도 5c 참조).
상기 챔버유입홀(13a)은 구획격벽(13)의 외곽에서 제1포집격벽(16)의 후단에 이웃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5a에서 혼합연료보다 안쪽으로 흘러 이동하게 되는 순수연료는 제1포집격벽(16)의 안쪽(혹은 케이스의 중앙 측)으로 흘러 케이스(1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중앙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료토출관(18)이 구성된다.
상기 연료토출관(18)은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케이스(10)의 상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하부에 순수연료의 유입을 위한 순수연료유입구(18a)를 가지며, 순수연료유입구(18a)를 통해 유입된 순수연료의 배출을 위해 내부에 노즐구조(순수연료를 연료배출관(12)을 통해 엔진 측으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임)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는 연료토출관(18)과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배출구(12)가 구성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10)로 유입되어 케이스(10)의 상부에서 중앙 측으로 흘러 이동하게 되는 순수연료는 순수연료유입구(18a)를 통해 연료토출관(18)으로 유입된 후 연료배출구(12)를 통해 엔진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도 5d 참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연료 중 일부는 케이스(10)의 내측 하방으로 흐르게 되므로, 이를 포집하여 여과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제2포집격벽(17)이 구성된다.
상기 제2포집격벽(17)은 제1포집격벽(16)의 선단에서부터 연료토출관(18)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에 케이스(10)의 내측 하방으로 흐르게 되는 혼합연료가 챔버유입홀(13a)을 통해 이물질 챔버(15)로 유입되게 하는 동시에 순수연료와 함께 제1포집격벽(16)의 안쪽(혹은 케이스의 중앙 측)으로 흘러 연료토출관(18)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도 5b 및 도 5c 참조).
상기 제2포집격벽(17)은 내측 상방으로 흐르는 순수연료의 유동을 위해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예컨대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여과챔버(14)의 중간높이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0) 내 외곽으로 흐르게 되는 혼합연료는 제1포집격벽(16)에 의해 여과되고, 케이스(10)의 내측 하방으로 흐르게 되는 혼합연료는 제2포집격벽(17)에 의해 여과되며, 또한 케이스(10)의 내측 상방으로 흐르게 되는 순수연료는 제2포집격벽(17)의 상방으로 흘러서 연료토출관(18)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포집격벽(16,17)에 의해 여과된 혼합연료는 이물질 챔버(15)에 수용되며, 이때 혼합연료의 일부는 이물질이 여과된 후 여과챔버(14)로 이동되어 연료토출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 챔15버에는 혼합연료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격벽(19)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격벽(19)은 구획격벽(13)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부격벽(19a)과 케이스(10)의 하단(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부격벽(19b)으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챔버유입홀(13a)에서 멀리 떨어지고 챔버배출홀(13a)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격벽(19a)과 하부격벽(19b)은 일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판상으로 마련되고 그 끝단이 엇갈린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챔버유입홀(13a)을 통해 유입된 혼합연료는 밀도에 의해 가라앉은 이물질이 하부격벽(19b)에 의해 도 5d의 측면도를 기준으로 좌측 공간에 포집되고 혼합연료 내에 떠있는 이물질은 상부격벽(19a)에 의해 좌측 공간에 포집됨으로써 혼합연료 중 이물질을 제거한 연료성분만이 여과격벽(19)을 넘어 우측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여과격벽(19)은 이물질 챔버(15)에 유입된 혼합연료 중 이물질이 여과격벽(19)의 건너편으로 이동함을 방지하여 순수한 연료성분만이 재순환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성분은 구획격벽(13)의 챔버배출홀(13a)을 통해 여과챔버(14)로 배출되며, 이를 위해 상기 구획격벽(13)의 상단에는 이물질 챔버(15)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성분을 여과챔버(14)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를 가지는 연료순환관(20)이 챔버배출홀(13b) 상에 일체로 구성된다.
고밀도의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성분은 연료순환관(20)을 통해 여과챔버(14)로 순환된 후 연료토출관(18)을 통해 엔진 측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연료의 일부는 챔버유입홀(13a)을 통해 이물질 챔버(15)로 복귀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선 설명에서 상기 구획격벽(13)은 평판형으로 구성된다고 하였으나, 제2포집격벽(17)에 부딪혀 떨어진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13a)로 유도하거나 또는 연료순환관(20)을 통해 여과챔버(14)로 재순환되는 연료성분을 연료토출관(18)의 순수연료유입구(18a)로 유도하기 위하여, 구획격벽(13)은 부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10,10-2) 내 외곽으로 흘러 이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이물질 챔버(15)로 유도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변형된 구조를 가진다.
도 6 내지 8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경우, 제1포집격벽(16-1)을 제외한 다른 구조는 도 2 내지 4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포집격벽(16-1)은 케이스(10)의 상단에서 구획격벽(13)의 상단 사이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일정 너비의 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근접하거나 또는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 내에 유입된 연료 중 원심력에 의해 여과챔버(14)의 외각으로 이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는 제1포집격벽(16-1)에 의해 점차 하강하게 되어 제1포집격벽(16-1)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강하여 이물질 챔버(15)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제2포집격벽(17)은 연료토출관(18)에서부터 챔버유입홀(13a)의 가장자리까지 근접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도 9 내지 11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경우, 도 2 내지 4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앞선 실시예의 제1포집격벽(16,16-1)을 삭제하고 대신 외부챔버(21)를 가진다.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필터는 케이스(10) 외부에, 원심력에 의해 여과챔버(14)의 외각으로 이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수용하여 이물질 챔버(15)로 흘려보내기 위한 외부챔버(21)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외부챔버(21)와 여과챔버(14) 사이에 연결통로인 개구부(22)를 가지며, 구획격벽(13-2)은 외부챔버(21) 측에 배치되는 별도의 챔버유입홀(13c)을 가진다.
상기 외부챔버(21)는 케이스(10)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포물선 형태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므로 원심력에 의해 여과챔버(14)의 외각으로 이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는 케이스(10)의 여과챔버(14)와 외부챔버(21) 사이에 연결통로인 개구부(22)를 통해 외부챔버(21)로 유입되게 되고, 외부챔버(21)로 유입된 혼합연료는 구획격벽(13-2)의 챔버유입홀(13c)을 통해 이물질 챔버(15)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챔버(21) 중 구획격벽(13-2)에 의해 분리된 하부공간은 이물질 챔버(15)와 통합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되며, 이에 외부챔버(21) 측에 배치된 챔버유입홀(13c)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연료가 직접 이물질 챔버(15)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여과챔버(14)에서 제2포집격벽(17)에 의해 여과되는 혼합연료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이물질 챔버(15)로 포집되어 수용되거나 또는 제3포집격벽(23)에 부딪혀 외부챔버(21)로 흘러서 이물질 챔버(15)로 포집되어 수용되고, 순수연료 역시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순수연료유입구(18a)로 유입되어 연료토출관(18)을 통해 엔진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케이스
11 : 연료유입구
12 : 연료배출구
13 : 구획격벽
13a, 13c : 챔버유입홀
13b : 챔버배출홀
14 : 여과챔버
15 : 이물질 챔버
16 : 제1포집격벽
17 : 제2포집격벽
18 : 연료토출관
18a : 순수연료유입구
19 : 여과격벽
19a : 상부격벽
19b : 하부격벽
20 : 연료순환관
21 : 외부챔버
22 : 개구부
23 : 제3포집격벽

Claims (6)

  1. 연료유입구(11)와 연료배출구(12)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챔버유입홀(13a) 및 챔버배출홀(13b)을 가지는 구획격벽(13);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외곽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1포집격벽(16);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순수연료를 상기 연료배출구로 내보내기 위한 연료토출관(18);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연료 중 케이스의 내측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혼합연료를 챔버유입홀로 유도하기 위한 제2포집격벽(17);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13)의 하부에는 챔버유입홀(13a)을 통해 이물질 챔버(15)로 유입된 혼합연료 중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격벽(1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13)의 상단에는 이물질 챔버(15)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성분을 여과챔버(14)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를 가지는 연료순환관(20)이 챔버배출홀(13b)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포집격벽(16)은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케이스(10)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고 케이스(10)와 동심구조를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며, 후단이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토출관(18)은 구획격벽(13)의 중앙 상단에서 케이스(10)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고, 하단의 순수연료유입구(18a)로 유입되는 순수연료를 연료배출관(12)으로 송출하기 위한 노즐구조를 내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포집격벽(17)은 구획격벽(13)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고, 연료토출관(18)의 순수연료유입구(18a)로 혼합연료가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포집격벽(16)의 선단과 연료토출관(18) 사이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KR1020120062875A 2012-06-12 2012-06-12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KR10189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75A KR101896705B1 (ko) 2012-06-12 2012-06-12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75A KR101896705B1 (ko) 2012-06-12 2012-06-12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115A true KR20130139115A (ko) 2013-12-20
KR101896705B1 KR101896705B1 (ko) 2018-09-07

Family

ID=4998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875A KR101896705B1 (ko) 2012-06-12 2012-06-12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050A (ja) * 1999-01-13 2000-07-25 Toyota Motor Corp 気体燃料車
KR20040050219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WO2008008313A1 (en) * 2006-07-14 2008-01-1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yclonic particle separator for fuel systems
JP2009090268A (ja) * 2007-10-09 2009-04-30 Yoshitsugu Inoue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050A (ja) * 1999-01-13 2000-07-25 Toyota Motor Corp 気体燃料車
KR20040050219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WO2008008313A1 (en) * 2006-07-14 2008-01-1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yclonic particle separator for fuel systems
JP2009090268A (ja) * 2007-10-09 2009-04-30 Yoshitsugu Inoue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705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2868B2 (ja) 気泡分離器
KR101003524B1 (ko) 원심 필터
WO2016107751A2 (en) 2-stage water separator pre-filter
CN204973431U (zh) 一种高效油气分离器
CN102778090B (zh) 储液器
CN204841324U (zh) 一种高效油气分离装置
CN102334955B (zh) 吸尘器的尘杯装置及吸尘器
KR100908883B1 (ko) 압축공기용 수분분리기
CN109139189A (zh) 用于国六发动机的闭式曲轴箱强制通风系统油气分离器
US20060037908A1 (en) Reverse flow fuel filter
CN106678046B (zh) 一种油分装置、螺杆压缩机及空调系统
CN209885537U (zh) 一种结构紧凑的防振荡干燥罐及车辆
KR20130139115A (ko) 연료펌프모듈용 연료필터
CN217119758U (zh) 一种一体式重力分离器
CN202860347U (zh) 一种凝聚式旋风分离器
US2335456A (en) Air filter
CN102726337A (zh) 水污分离装置
CN209985166U (zh) 具有油气分离功能的干燥罐及带有该干燥罐的车辆
CN211384365U (zh) 一种新型的油气分离桶
JP2005332810A (ja) リザーバタンク
CN102872668B (zh) 一种凝聚式旋风分离器
KR100592509B1 (ko) 조합형 여과집진 장치
CN209848636U (zh) 具有较小无效空间的干燥罐
CN111594358A (zh) 油浴式空气滤清器
CN216814273U (zh) 油烟过滤装置及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