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636A -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636A
KR20130138636A KR1020120094565A KR20120094565A KR20130138636A KR 20130138636 A KR20130138636 A KR 20130138636A KR 1020120094565 A KR1020120094565 A KR 1020120094565A KR 20120094565 A KR20120094565 A KR 20120094565A KR 20130138636 A KR20130138636 A KR 2013013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vowel
use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거웅
Original Assignee
(주)스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토디 filed Critical (주)스토디
Publication of KR2013013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36A/ko
Priority to KR102020001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본 발명은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객체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과 전자 단말 성능의 향상으로 인하여, IT 기기를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이 더욱 발전할수록 아날로그적 행태가 디지털 사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 준다는 인식이 생겨나고 있으며, 디지로그(Digilog) 제품이나 서비스 및 시스템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디지로그란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라는 서로 상대되는 뜻을 가진 두 개의 개념을 결합한 합성어로서, 둘을 합쳐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새로운 트랜드를 이루는 현상을 말하며, 기본적으로는 아날로그 시스템이지만 디지털의 장점을 살려 구성된다.
최근 들어, 증강 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은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장치의 뷰 파인더나 전자 표시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서 건물 주소와 부동산 동향, 소매 판매 할인, 식당 이용 후기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00069호에는 도서의 펼쳐진 페이지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페이지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페이지의 내용 및 배경 음악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주는 음성 출력 도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NFC, RFID 또는 AR을 이용하여 객체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학습, 게임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키와 상기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FC, RFID 또는 AR을 이용하여 객체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학습, 게임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10) 및 입력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객체(10), 입력 장치(100),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를 포함하며 서로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0) 및 출력 장치(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로봇(robot) 및 텔레비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입력 신호 또는 주위 환경 조건 등을 수신하고, 수신 결과에 따라 자신이 적절한 반응 또는 행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제어, 유도 장치 및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와 출력 장치(200)는 네트워크(N)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입력 장치(100)와 출력 장치(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 태그 블록(Block), 태그가 포함된 캐릭터 용품, AR 마커가 부착된 객체 등으로부터 객체 정보 등을 수신하고,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AR 마커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원격 조정기(Remote Control), 모바일 단말, 게임 단말, TV 단말, 로봇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객체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예를 들어, 객체의 식별 정보를 제어 서버(300)로 전송하고, 제어 서버(300)로부터 객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체의 일례인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키면,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NFC 모듈을 이용하여 태그 카드(10)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는 태그 카드(10)로부터 태그 정보로서 영어 알파벳 “a”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a”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는 “a”에 대한 정의, “a”로 시작하는 추천 단어 등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장치(200)는 입력 장치(100) 또는 제어 서버(300)로부터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 또는 수신된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정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서버(300)는 입력 장치(100) 및 출력 장치(2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장치(100)로부터 객체 정보 또는 입력 정보 등을 수신하고, 출력 장치(200)로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300)는 입력 정보, 출력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10), 입력 장치(100),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 중 하나 이상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인 원격 조정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객체(10)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인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구성된 입력 정보, 출력 정보 등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0) 예를 들어, 스마트 TV는 원격 조정기로부터 수신한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0)인 스마트 TV는 원격 조정기로부터 출력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TV의 로컬 저장소 또는 제어 서버(300)에 위치한 출력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10)와 입력 장치(1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 입력 장치(100)를 중심으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 정보 수신부(110), 입력 정보 구성부(120), 출력 정보 구성부(130), 출력 정보 제공부(140), 송수신부(150)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객체는 태그 카드, 태그 블록(Block), AR 마커,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는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객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100)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NFC 태그 카드, NFC 태그 블록, RFID 태그 카드, RFID 태그 블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카드는 NFC 태그를 통해 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객체 정보는 예를 들어, 문자의 자음 및 모음, 숫자, 기호,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는 다양한 언어의 단위 문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자, 일본어의 히라가나, 가타가나 등의 단위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인 모바일 단말은 태그 카드(10)로부터 ‘a’라는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은 ‘a’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문자 ‘A’의 경우, 예를 들어 아스키코드의 정수 값으로 ‘65’를 식별 정보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대문자 ‘A’의 경우, 상술한 예와 같이 대문자 ‘A’를 포함하는 객체를 통해 해당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a’와 제어키의 조합을 통해 대문자 ‘A’를 객체 정보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키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a’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대문자 ‘A’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shift’가 포함된 객체는 제어키의 일례이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대문자를 입력하고 싶은 경우, 해당 기능의 제어키를 포함하는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NFC 칩이 내장되거나, 객체의 표면에 마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는 특정 정보를 부호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1 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칼라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기 설정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글, 영어, 일어 등의 알파벳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글과 연관된 태그 카드는 자음 14개, 모음 10개 등 총 24개의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영어와 연관된 태그 카드는 알파벳 26개의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어의 경우, 예를 들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등을 포함하는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객체는 객체 정보로서, 제어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제어키로서, 입력된 객체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 객체, 입력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엔터’ 객체, 입력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스페이스’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키는 예를 들어, 알파벳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알파벳을 구성하는 객체와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는 객체를 함께 입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키를 객체 정보로서 포함하는 객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어, 문장 또는 단락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제어 기능과 연관된 객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객체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 태그 카드, ‘엔터’ 태그 카드, ‘스페이스’ 태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어, 문장, 또는 단락을 구성할 수 있는 기능과 연관된 태그 카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숫자와 연관된 태그 카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 ‘1’, ‘2’ … ‘9’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는 태그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숫자와 연관된 태그 카드에는 ‘(‘, ‘+’, ‘-‘, ‘/’, *’, ‘)’ 등의 사칙 연산과 수학과 관련된 모든 수식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객체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순차적으로 인식을 시킴으로써,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로서 ‘a’, ‘p’, ‘p’, ‘l’, ‘e’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최종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복수의 객체 정보는 후술할 입력 정보 구성부(120)에 의해 입력 정보 ‘appl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NFC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수학 문제, 예를 들어, “37 + 24”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답으로서, “61”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객체 정보 ‘6’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와 객체 정보 ‘1’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에 접근 시킴으로써, NFC 통신을 통해 각가 ‘6’과 ‘1’을 순차적으로 입력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예시에서 사용자는 제어키로서, ‘엔터(enter)’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에 접근하여 입력 장치(100)에 입력의 종료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AR(augmented reality) 마커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객체에 포함된 AR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AR 마커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커리스(Markerless) 기술을 활용하여 객체로부터 소정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한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가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경우, 자음을 초성 또는 종성으로 하고,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 ‘ㄱ’, ‘ㅏ’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입력 정보로서, ‘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복수의 태그 카드를 순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복수의 태그 카드를 동시에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a’, ‘p’, ‘p’, ‘l’, ‘e’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동식에 입력 장치(100)에 접근 시키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하나의 ‘a’, ‘l’, ‘e’와 두개 알파벳 ‘p’로 구성될 수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apple’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파벳들로 구성될 수 있는 단어는 ‘apple’ 이외에도 펜싱에서 사용되는 기술인 ‘appel’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제어 시스템은 ‘apple’과 ‘appel’을 사용자에게 모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검색 빈도 또는 가중치 등을 반영하여, ‘apple’를 먼저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 는 사용자가 3개의 태그블록(10)을 이용하여 입력 장치(100)에 알파벳 ‘A’, ‘C’, ‘T’를 입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A’, ‘C’, ‘T’를 이용하여 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영어 단어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중 ‘CAT’와 ‘ACT’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기타 단어로서 ‘TAC’를 제공하고 있다.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CAT’의 영어 발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양이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등 소정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어 발음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영어 발음을 따라 하여 입력 장치(100)에 자신의 발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외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한글과 연관된 복수의 태그 카드를 식별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자음, ‘모음’, ‘받침’을 순서대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한글과 연관된 복수의 태그 카드를 식별할 때, 다중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음 태그와 모음 태그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자음 태그와 모음 태그로 구성될 수 있는 글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태그 카드와 연관된 알파벳, 숫자 등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다양한 조합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예를 들어 ‘스페이스’와 연관된 태그 카드를 인식하여 단어 또는 문장을 식별할 수 있으며, ‘백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기 식별된 태그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태그 카드의 입력의 끝을 의미하는 ‘엔터’ 카드를 식별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 ‘c’, ‘a’, ‘t’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입력 정보로서, ‘cat’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태그 카드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경우, ‘a’로 시작하는 복수의 키워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에 이어 ‘p’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하는 경우, ‘ap’로 시작하는 키워드 예를 들어, ‘apple’, ‘april’ 등을 자동 완성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의 쌍자음(쌍조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키 예를 들어,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소정의 자음이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소정의 자음에 대응하는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의 자음이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연속으로 2번 입력할 경우, 해당 자음에 대응하는 쌍자음이 자동으로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ㄱ’을 포함하는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2번 연속으로 입력할 경우, 쌍자음 ‘ㄲ’이 입력되고, ‘ㄷ’을 포함하는 객체를 두 번 연속 입력할 경우, 쌍자음 ’ㄸ’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ㅒ’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키 예를 들어,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모음 ‘ㅐ’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모음 ‘ㅑ’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입력한 후, 순차적으로 모음 ‘ㅣ’를 입력하여 새로운 모음 ‘ㅒ’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의 이중모음(diphthong)을 입력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모음을 입력 장치(100)에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음과 예를 들어, 아래아(‘ㆍ’)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음 ‘ㅐ’는 모음 ‘ㅏ’와 ‘ㅣ’, 모음 ‘ㅒ’는 모음 ‘ㅑ’와 ‘ㅣ’, 모음 ‘ㅔ’는 모음 ‘ㅓ’ 와 ‘ㅣ’, 모음 ‘ㅖ’는 모음 ‘ㅕ’와 ‘ㅣ’, 모음 ‘ㅘ’는 모음 ‘ㅗ’와 ‘ㅏ’, 모음 ‘ㅙ’는 연속되는 모음 ‘ㅗ’, ‘ㅏ’, ‘ㅣ’, 모음 ‘ㅚ’는 모음’ㅗ’와 ‘ㅣ’ 모음’ㅝ’는 모음 ‘ㅜ’와 ‘ㅓ’, 모음 ‘ㅞ’는 연속되는 모음 ‘ㅜ’, ‘ㅓ’, ‘ㅣ’, 모음 ‘ㅟ’는 모음 ’ㅜ’와 ‘ㅣ’, 모음 ‘ㅢ’는 모음 ‘ㅡ’와 ‘ㅣ’의 조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출력 정보 구성부(13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서, 출력 정보는 입력 정보와 연관되는 소정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입력 정보가 ‘cat’인 경우, 영어 단어 ‘cat'의 사전적인 의미, ‘cat’과 연관된 이미지, ‘cat’의 발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정보 구성부(130)는 입력 정보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출력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이미지, 플래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 제어 시스템 또는 제어 서버(3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N)로 연결된 외부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출력 정보 제공부(140)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 정보 제공부(140)는 출력 정보를 입력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거나, 입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여 출력 장치(20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50)는 출력 정보를 입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력 장치(200)로 전송한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입력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 정보를 제공한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유아에게 ’37+24 = ‘과 같은 연산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이미지를 문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단어의 철자를 예를 들어, 태그 카드를 통해 답안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영어 단어를 문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단어에 대한 뜻을 태그 카드를 통해 한글로 입력할 수도 있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서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객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예를 들어, 유아에게 소정의 문제를 제공하고, 유아가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 태크 블록 등을 통해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인지 능력과 산술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아는 예를 들어, 손을 이용하여 태그 카드, 태그 블록 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계산 과정 등을 통해 산술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인식 가능한 객체 정보가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해당 객체 정보를 인식하고 연관된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의 카메라부를 통해 AR 마커를 인식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입력된 태그 카드를 식별하여, 단어, 문장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마커일 수 있는데, 마커(10)는 특정 정보를 부호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1 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칼라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기 설정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커(10)는 특정 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태그 카드로서, 한글이 입력되는 경우, 한글의 띄어쓰기, 문장 부호, 맞춤법, 받아 쓰기 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정보를 게임의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방법은 학습, 게임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드 게임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대전 게임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이 게임에 활용되는 예로서, 게임 진행 과정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서 객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불(火)과 연관된 이미지, 동영상, 단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복수의 태그 카드 중 불(火)을 진화할 수 있는 물(水)을 객체 정보로서 포함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에 입력하여 게임의 종료를 막고 게임을 계속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게임은 영유아의 인지 능력 및 사고 능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입력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어 게임에 활용될 경우, 입력 제어 시스템은 불과 관련된 영상 또는 “fire”와 같은 단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예를 들어, ‘water’를 태그 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게임의 종료를 막고 게임을 이어나갈 수 있다. 또한, 한글 게임의 경우, 사용자는 게임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물’을 입력하여 게임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게임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게임 이벤트에 대한 응답을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게임 이벤트에서 제공되는 언어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언어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게임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전 게임 형태로 게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이 수학 학습에 활용되는 경우, 3차원 학습에 효과적인 AR환경 등을 이용하여 공간, 도형, 좌표, 미적분학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부루마블 및 체스 게임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이 소정의 이미지, 동영상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 동영상 등을 보고,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연상하여 태그 카드 등을 통해 답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이 한글 단어, 영어 단어 등의 뜻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단어의 뜻을 보고, 해당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이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어 단어와 매칭되는 타 언어, 예를 들어 한글, 일어, 중국어 등을 입력하여 언어와 관련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이 객체 정보로서 한자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한자와 연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와 입력 장치 간에 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데, 상기 구성은 상술한 NFC, AR 을 이용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RFID를 활용하는 경우, 객체는 예를 들어, IC(Intergrated Circuit)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IC 칩에는 객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는 객체에 포함된 IC 칩과 입력 장치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린이 학습용 로봇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봇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는 로봇에 객체를 인식시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어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로봇은 해당 영어 단어의 발음, 해당 영어 단어와 연관된 동영상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린이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와 로봇은 예를 들어, RFID, NFC, AR 등을 통해 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어린이는 로봇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키보드 입력이 아닌 능동적인 객체 입력을 통해 학습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지각능력(perceptual abitities)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입력 제어 시스템 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입력 제어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S61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한다(S62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한다(S6300).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예시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입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로부터 각각의 태그 카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0).
또한, 입력 장치는 단계 S7100에서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7200).
제어 서버는 단계 S7200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300).
제어 서버는 단계 S7300에서 구성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400).
제어 서버는 S7400에서 구성한 출력 정보를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7500).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는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600).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81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에 포함된 AR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S82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인식된 AR 마커에 기초하여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83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추출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84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구성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8500).
여기서, 출력 정보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입력 제어 시스템이,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2. 입력 제어 시스템이,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3. 입력 제어 시스템이,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키와 상기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KR1020120094565A 2012-06-11 2012-08-28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38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843A KR102254577B1 (ko) 2012-06-11 2020-02-17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2379 2012-06-11
KR1020120062379 2012-06-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43A Division KR102254577B1 (ko) 2012-06-11 2020-02-17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36A true KR20130138636A (ko) 2013-12-19

Family

ID=499843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80A KR101347148B1 (ko) 2012-06-11 2012-07-18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120094565A KR20130138636A (ko) 2012-06-11 2012-08-28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018843A KR102254577B1 (ko) 2012-06-11 2020-02-17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80A KR101347148B1 (ko) 2012-06-11 2012-07-18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43A KR102254577B1 (ko) 2012-06-11 2020-02-17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47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61A (ko) * 2016-09-21 2018-03-29 강거웅 문자 카드 세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2004A (zh) * 2014-12-24 2015-06-24 萍乡学院 一种网络教学专用信息交流云计算系统及控制方法
KR20170000713A (ko) 2015-06-24 2017-01-03 김종호 수학 계산 결과를 3차원으로 표현하는 3차원큐브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984B1 (ko) * 2000-01-08 2001-12-22 심현보 도서 내용 음성 출력 장치
KR200291781Y1 (ko) * 2002-06-11 2002-10-11 서문환 문자 카드를 이용한 어학 학습용 장치
KR2006004407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전자 통신 기기에서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920457B1 (ko) * 2007-11-14 2009-10-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의 물체인식방법 및 물체인식시스템
KR100940299B1 (ko) * 2007-11-27 2010-02-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KR101017598B1 (ko) * 2008-11-25 2011-0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KR101250619B1 (ko) * 2010-03-25 2013-04-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61A (ko) * 2016-09-21 2018-03-29 강거웅 문자 카드 세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148B1 (ko) 2014-01-03
KR102254577B1 (ko) 2021-05-21
KR20130138634A (ko) 2013-12-19
KR20200020755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A location-based services and Google maps-based information master system for tour guiding
KR102254577B1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971763B2 (en) Named entity recognition
US107692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verification code
Treré et al. The limits and boundaries of digital disconnection
WO2022001888A1 (zh) 基于词向量生成模型的信息生成方法和装置
JP2021096886A (ja) 融合関係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情報推薦方法、装置、デバイス、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04574466A (zh) 一种拼图学习方法及系统
CN110866098B (zh) 基于transformer和lstm的机器阅读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1414561B (zh) 用于呈现信息的方法和装置
Bragg et al. Designing an animated character system for American sign language
CN111538830A (zh) 法条检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1369209A (zh) 用于全混合输入的手写输入装置及其方法
KR20200086175A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Ouali et al. Architecture for real-time visualizing arabic words with diacritics using augmented rea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Wang et al. SHRIMP: solving collision and out of vocabulary problems in mobile predictive input with motion gesture
KR101743999B1 (ko)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Kulkarni et al. College chat-bot
Lawson An assessment of Arabic transliteration systems
KR20180033777A (ko) 번역문과 함께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57932B1 (ko)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4455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945150B1 (ko) 영어 교육 제공 장치 및 방법
Rao et al. On statistical measures and ancient writing systems
KR102638669B1 (ko) 천간, 지지 및 성명학을 이용한 사주 정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