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394A -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394A
KR20130138394A KR1020120061915A KR20120061915A KR20130138394A KR 20130138394 A KR20130138394 A KR 20130138394A KR 1020120061915 A KR1020120061915 A KR 1020120061915A KR 20120061915 A KR20120061915 A KR 20120061915A KR 20130138394 A KR20130138394 A KR 2013013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mold
crystal panel
shield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964B1 (ko
Inventor
유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 상기 관통창의 전면에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글래스, 광원으로 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으로 빛을 사출하고,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결합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커버하고, 전면은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 둘레및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 내측 둘레와 결합하는 몰드, 및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사이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몰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몰드를 통해 전면으로 사출되는 빛을 커버하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액정패널의 측면의 몰드를 투과하거나 접착테이프를 투과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빛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E FOR PRODUCING DISPLAY UNIT}
액정패널의 몰드 및 차광 테이프 등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정패널의 측면으로 새어나오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극선관 모니터(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하나로 액정 디스플레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은 액정분자의 광학적 이방성과 복굴절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로서,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며, 그 달라진 액정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특성도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한다.
액정패널는 한 쌍의 유리 기판들(칼라필터층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 분자들이 주입된 구조로, 상기 한 쌍의 유리 기판들 사이에 주입된 액정 분자들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동적 산란을 일으켜 광투과량이 조절된다.
액정패널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의 특징으로 인해 데스크탑 컴퓨터, 및 다른 사무용 또는 가정용 기기의 모니터 및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 액정패널는 단순한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더 나아가 3D 디스플레이용 화면에도 이용됨에 따라, 빛의 경로에 더욱 민감해져 빛의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꺽여지는 경우 나타나는 불량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액정패널의 측면에 반사되는 빛에 의한 빛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차단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 상기 관통창의 전면에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글래스, 광원으로 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으로 빛을 사출하고,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결합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커버하고, 전면은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 둘레및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 내측 둘레와 결합하는 몰드, 및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사이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몰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몰드를 통해 전면으로 사출되는 빛을 커버하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몰드와 상기 케이스 내측면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몰드의 전면으로 부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둘레와 상기 액정패널의 둘레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몰드에 결합된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은 상기 몰드의 전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LCD둘레는 차광패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광테이프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기재는, 일면에 어두운 색상을 도포하여 형성한 차광층 또는 미러 인쇄로 헝성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테이프는 투명한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미러 인쇄로 형성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위에 어두운 색상의 차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이 중앙에 삽입된 몰드를 가이드폴이 구비된 지그에 안착하는 단계; 차광테이프와 차광테이프의 일면에 결합되고 가이드홀이 형성된 박리지를 포함하는 차광테이프 원단을 상기 가이드홀에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박리지를 제거하여 상기 차광테이프 전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차광테이프 전면에 액정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는, 상부 단면 크기가 하부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가이드 폴을 상기 가이드 폴의 단면보다 큰 가이드홀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액정패널의 측면의 몰드를 투과하거나 접착테이프를 투과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빛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빛샘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빛샘현상으로 인한 베젤 크기 축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광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광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이드폴과 차광테이프 원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한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부의 크기나 화질 등에 민감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에 배선이나 카메라 촬상소자(121)나 음향모듈(152)의 리시버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전자부품을 커버하는 베젤의 크기를 줄일 것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베젤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배선의 문제와, 각 구성의 결합력 등의 문제로 간단하지 아니하며, 무엇보다 베젤의 크기를 작게할 수록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에서 비정상적으로 사출되는 빛에 의한 빛샘현상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조를 변경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한 단면도으로, 프론트 케이스(101), 액정패널(220), 백라이트 유닛(210), 몰드(240), 차광테이프(250)가 도시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부분으로서,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가 노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픽셀별로 색을 구현하는 액정패널(220)과 상기 액정패널(220)의 후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210)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둘레를 커버하는 몰드(240)로 구성된다.
액정패널(220)은 트랜지스터에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의 상변화를 유도함으로써 픽셀별로 원하는 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패널(220)은 두 개의 투명기판(222,223)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221)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투명기판(222)에는 투명한 상부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투명기판(223)에는 투명한 하부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투명기판(222)에는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포함하여 칼라필터층이라고도 한다.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의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한쌍의 투명기판(222, 223) 사이에 개재된 액정(221)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후면의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상부 투명기판(222)과 상기 하부 투명기판(223)의 표면에 편광필름(224, 225)이 더 적층된다. 상기 편광필름(224, 225)은 특정방향의 빛만 통과시킨다. 편광필름(224, 225)이 수직으로 교차되면 모든 빛이 차단되어 어둡게 보이나, 상기 액정층(221)의 배열이 변화하여 빛의 경로가 변화하면 빛의 진동방향이 변화하여 하부기판에 입사된 빛이 상부 투명기판(222)으로 사출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은 상기 액정 패널(2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정 패널(220)을 향해 균일하게 빛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크게 도광판과 도광판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투명한 재질이 이용되며, 투명한 아크릴 패널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광원에서 공급되는 빛을 액정패널(220)의 전면에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 표면에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표면에 프리즘 필름이나 반사필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광원은 상기 도광판에 빛을 공급하며, LED가 대표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광원이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몰드(2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외각부분을 구성하며, 액정패널(220)과 백라이트 유닛(210)을 보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한다.
도 12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몰드(24)는 백라이트 유닛(21)의 측면 뿐만아니라 액정패널(22)의 측면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액정패널(22)이 안착되는 부분과 백라이트 유닛(21)이 안착되는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액정패널(22)과 백라이트 유닛(21)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몰드(24)는 액정패널(22)의 측면 전체를 커버함으로써, 액정패널(22)과 백라이트 유닛(21)을 보호한다.
다만, 종래의 몰드(24)는 액정패널(22)의 상면과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1)에서 몰드(24)로 입사된 빛이 몰드(24)의 측면벽을 통과하여 상부까지 이동하여 액정패널(22)과 윈도우 글래스(23) 사이로 빠져나간다(①, ③).
배면의 백라이트 유닛(210)으로 부터 액정패널(220) 방향으로 사출되는 정상적인 빛의 경로와 달리 측면에서 입사되는 빛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를 받지 않고 새어나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하는 영상의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몰드(240)는 종래에 액정패널 측면을 전부 커버하던 몰드(24)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20)의 측면을 커버하는 몰드(240)의 높이를 낮추어 빛이 액정패널(220)과 윈도우 글래스(230) 사이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①). 즉, 몰드(240)의 측벽을 생략하여 몰드(240)를 통해 빛이 새어나가는 경로를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240)를 통해 전면으로 빠져나가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몰드(240)의 전면을 차광테이프(250)로 커버한다. 차광테이프(250)로 빛을 차단하는 소재, 즉 빛을 잘 흡수하는 어두운 색으로 된 테이프나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이 형성된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광테이프(2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양면에 접착성능을 갖은 양면 테이프는 베이스층(251)의 일면과 타면에 점착제(254)를 도포하여 형성하며 본 발명의 차광테이프(250)는 차광성능을 위해 기재의 일면에 검은색과 같이 어두운색의 잉크를 도포하여 차광층(252)을 형성하거나, 금속성 반사를 하는 미러 인쇄를 통해 형성한 반사층(2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차광테이프(2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252)과 차광층(253)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투명한 색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251)을 이용하는 경우 일면에 반사층(253)과 차광층(252)을 모두 형성하고, 차광층(252)이 액정패널(220)을 향하고, 반사층(253)이 몰드(250) 또는 백라이트 유닛(210)을 향하도록 몰드(240)에 부착하면 몰드(240)로 입사된 빛은 전면 방향으로 사출되지 못한다(①).
특히 본 발명에서 차광테이프(250)는 상기 액정패널(220)과 상기 몰드(240) 사이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몰드(240) 사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몰드(240) 전면을 커버한다. 차광테이프(250)를 이용함으로써 몰드(240)를 통해 전면 방향으로 사출되는 빛이 차단될 수 있다.
종래의 몰드(24)는 전면에 단차 형성되어 있어 차광테이프(25)를 몰드(24) 전면에 모두 붙이기 힘들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액정패널(220) 측면을 커버하는 몰드(240)의 측벽을 생략하여 차광테이프(250)를 몰드(240) 전면 전체에 붙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테이프(250)는 몰드(240)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액정패널(220) 둘레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둘레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는 편광필름(225)과 몰드(24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빛샘현상(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액정패널(22)의 하부 편광필름과 몰드(24) 사이에 공간이 있어서, 이 공간으로 백라이트 유닛(21)의 빛이 입사되면, 액정패널(22)의 둘레 부분에 빛샘현상(②)이 나타난다.
상기 빛샘현상(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테이프(250)를 내측으로 더 연장하면 차광테이프(2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의 편광필름(225)을 상기 몰드(240)의 까지 연장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과 상기 액정패널(220) 사이에 편광필름(225)을 통과하지 않고 빛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240)의 두께와 백라이트 유닛(210)의 두께를 같게하면 상기 차광테이프(250)를 붙이기에 용이하다.
몰드(240)가 액정패널(220)의 측면을 커버하지 못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파손될 수 있는 약점은 도면과 같이 몰드(240)의 전면과 윈도우 글래스(230) 사이에 케이스가 위치하는바 보완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20)의 둘레에 상부의 편광필름(224)을 투과하지 않은 빛이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윈도우 글래스(230)의 후면에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부(151)와 결합을 위한 윈도우 테이프(261)는 기재의 양면에 도포된 점착성분이 빛을 투과하여 액정패널(220)의 둘레를 통해 상면 편광필름(224)을 투과하지 않은 빛이 사출되는 빛샘현상(③)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와 윈도우 글래스(230)를 접착하는 부분은 점착성분이 있는 테이프를 이용하고, 액정패널(220)의 둘레와 윈도우 글래스(230) 사이에는 차광패드(262)를 개재한다.
상기 차광패드(262)는 빛을 투과하지 않는 어두운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점착층을 생략하여 점착층을 통해 발생하던 빛샘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점착제 없이 윈도우 글래스(230)와 액정패널(220)과의 밀착을 위해 탄성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광패드(262)를 이용하는 경우 윈도우 글래스(230)를 고정하는 윈도우 테이프(261)의 면적이 줄어드는 바, 종래의 윈도우 테이프(261)에 비해 점착력이 강한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용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방수용 테이프는 통상의 양면 테이프보다 점착력이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몰드(240)와 차광테이프(250)를 이용하면 빛샘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몰드(240)의 전면은 단차가 없어 몰드(240)의 가운데에 백라이트 유닛(210)을 안착한 후에 차광테이프(250)를 적층하거나 액정패널(220)을 적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차광테이프(250)의 박리지(255)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차광테이프(250)를 상기 몰드(240) 및 백라이트 유닛(210)의 정확한 위치에 적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조방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백라이트 유닛(210)을 몰드(240) 중앙에 삽입한다. 백라이트 유닛(210)이 중앙에 삽입된 몰드(240)를 가이드폴(3)이 구비된 지그(1)에 안착한다(S100). 지그(1)는 상기 몰드(240)의 크기와 일치하는 안착부를 가진 일종의 조립을 위한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지그(1)는 가이드폴(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폴(3)은 기둥형상으로 몰드(240) 안착부의 둘레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차광테이프(250)와 차광테이프(250)의 일면에 결합되고 가이드홀(256)이 형성된 박리지(255)를 포함하는 차광테이프(250) 원단을 상기 가이드홀(256)에 상기 가이드폴(3)이 삽입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전면에 적층한다.
차광테이프(250)는 양면에 점착제(254)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사용하기 전에는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고 조립시에는 이를 벗겨낼 수 있는 박리지(255)를 구비한다. 상기 차광테이프(250)를 상기 몰드(24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에 적층시에는 차광테이프(250) 일면의 박리지(255)는 두고 차광테이프(250) 타면의 박리지(255)를 박리한 후에 적층한다(S200).
이처럼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박리지(255)를 포함하는 차광테이프(250)를 차광테이프(250) 원단이라하며, 상기 박리지(255)는 차광테이프(250)보다 크게 형성하여, 차광테이프(250)보다 큰 박리지(255)는 차광테이프(250)를 커버하지 않은 여분의 부분에 가이드홀(25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56)은 지그(1)에 고정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몰드 위에 상기 차광테이프 원단을 적측 시에 상술한 지그(1)에 형성된 가이드폴(3)에 삽입된다. 즉, 가이드폴(3)에 가이드홀(256)이 삽입되면 상기 지그(1)에 안착된 상기 몰드(240) 및 백라이트 유닛(210)과 상기 차광테이프(250)의 위치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이때 가이드폴(3)과 가이드홀(256)을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폴(3)의 상부 단면의 크기(A)가 하부 단면의 크기(B)보다 작은 가이드폴(3)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단면의 크기(A)가 작으면 상기 가이드홀(256)을 삽입하기가 수월하다. 상기 가이드홀(256)의 크기(C)는 상기 가이드폴의 상부 단면(A) 크기보다 크도록 한다. 가이드폴(3)의 하부 단면의 크기 보다 크게 하는 경우 공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폴(3)의 하부 단면(B)크기보다 작거나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차광테이프(250)의 타면과 상기 몰드(240) 및 백라이트 유닛(210)의 전면을 부착시킨 후에 상기 차광테이프(250)의 일면에 붙어있던 박리지(255)를 제거하여 차광테이프(250)의 일면을 노출시킨다(S30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10)의 전면과 상기 차광테이프(250)의 일면에 액정패널(220)을 안착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액정패널(220)은 차광테이프(250)와 달리 소정의 강성이 있어 차광테이프(250)처럼 별도의 가이드가 없어도 로봇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결합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액정패널(220)의 측면의 몰드(240)를 투과하거나 접착테이프를 투과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빛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빛샘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빛샘현상으로 인한 베젤 크기 축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지그 3: 가이드폴
101, 102,103: 케이스 105: 프레임
210: 백라이트 유닛 220: 액정패널
230: 윈도우 글래스 240: 몰드
250: 차광테이프 251: 베이스층
252: 차광층 253: 반사층
254: 점착층 255: 박리지
256: 가이드홀 261: 윈도우 테이프
262: 차광패드

Claims (9)

  1. 전면에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
    상기 관통창의 전면에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글래스;
    광원으로 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으로 빛을 사출하고,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결합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커버하고, 전면은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 둘레및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 내측 둘레와 결합하는 몰드; 및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사이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몰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몰드를 통해 전면으로 사출되는 빛을 커버하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몰드와 상기 케이스 내측면 사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몰드의 전면으로 부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둘레와 상기 액정패널의 둘레 사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에 결합된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은 상기 몰드의 전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LCD둘레는 차광패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테이프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기재는,
    일면에 어두운 색상을 도포하여 형성한 차광층 또는 미러 인쇄로 헝성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테이프는 투명한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미러 인쇄로 형성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위에 어두운 색상의 차광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백라이트 유닛이 중앙에 삽입된 몰드를 가이드폴이 구비된 지그에 안착하는 단계;
    차광테이프와 차광테이프의 일면에 결합되고 가이드홀이 형성된 박리지를 포함하는 차광테이프 원단을 상기 가이드홀에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박리지를 제거하여 상기 차광테이프 전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차광테이프 전면에 액정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는
    상부 단면 크기가 하부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가이드 폴을 상기 가이드 폴의 단면보다 큰 가이드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KR1020120061915A 2012-06-11 2012-06-11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KR10197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15A KR101971964B1 (ko) 2012-06-11 2012-06-11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15A KR101971964B1 (ko) 2012-06-11 2012-06-11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394A true KR20130138394A (ko) 2013-12-19
KR101971964B1 KR101971964B1 (ko) 2019-04-24

Family

ID=4998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15A KR101971964B1 (ko) 2012-06-11 2012-06-11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74A (ko) * 2015-06-30 2017-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KR20180049327A (ko) * 2016-10-31 2018-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63921A (ko) *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US10910601B2 (en) 2015-05-14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426A (ko) 2019-07-24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439A (ko) * 2009-01-09 2010-07-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18592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KR20110019823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439A (ko) * 2009-01-09 2010-07-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18592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KR20110019823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0601B2 (en) 2015-05-14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170003874A (ko) * 2015-06-30 2017-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KR20180049327A (ko) * 2016-10-31 2018-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63921A (ko) *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964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1466B (zh) 显示装置及移动终端
JP5884248B2 (ja) 電子機器用のカメラレンズ構造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構造体
US9690024B2 (en)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71964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부의 제조방법
US2020017430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high screen ratio
AU2013200511B2 (en)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19781B1 (ko) 이동단말기
KR10193929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US11681172B2 (en) Display assembly, termin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ssembly
AU2012258356B2 (en)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WO2020259279A1 (zh) 用于摄像头模组的光阑罩、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101975338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212276168U (zh) 一种显示模组和终端设备
US11360349B2 (en) Display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equipment
CN217932353U (zh) 背光模组及显示模组
KR20140045117A (ko) 이동 단말기
CN214476099U (zh) 显示屏及电子设备
CN217213393U (zh) 电子设备
KR1020139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5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80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3135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30112439A (ko) Lcd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01399A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