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032A - 맞춤형 의자 - Google Patents

맞춤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32A
KR20130138032A KR1020120061811A KR20120061811A KR20130138032A KR 20130138032 A KR20130138032 A KR 20130138032A KR 1020120061811 A KR1020120061811 A KR 1020120061811A KR 20120061811 A KR20120061811 A KR 20120061811A KR 20130138032 A KR20130138032 A KR 2013013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ser
assembled
chair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970B1 (ko
Inventor
이태원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태원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원, 이형곤 filed Critical 이태원
Priority to KR102012006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8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맞춤형 의자{Adjustable customized chair}
본 발명은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속하고 간편한 제작이 가능한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 사용장소,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그 구조도 다양하다.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며, 팔걸이부, 다리 등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의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척추를 교정하는 등과 같은 의자의 기능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척추 교정용 의자'는 좌판(20)과 지지판(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0)은 사용자의 척추 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0)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등의 중앙부분을 이루는 골짜기와 같은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도록 돌기(3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걸이부(33)가 지지판(3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감싸서 지지해 주도록 경추지지수단(4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걸이부(33)에는 래치수단을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쿠션(3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좌판(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리(50)는 좌판(20) 및 지지판(30)을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상기 좌판(20)과 지지판(30)이 획일화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 개인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정상적인 척추 자세에서 벗어난 잘못된 척추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이 획일화된 구조의 좌판과 지지판은 착석자의 안락함이나 장기사용에 의한 척추의 교정 효과 등을 얻기가 어려웠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는 개인별로 변형의 정도가 상이하여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89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에 대하여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118918호는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척추변형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들에게도 획일화된 맞춤형 의자가 아닌 개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의 신속하고 간편한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속하고 간편한 제작이 가능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연결되어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메인프레임 상에 조립되되,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판,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지지하는 견갑골등부지지판,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지지하는 허리골반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목 외형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리골반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간격조절부재가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간격조절부재가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지지판은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부에 힌지연결된 목지지프레임을 개재해서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허리골반지지판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겨드랑이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조절부 - 일측조절부 및 타측조절부 포함 - 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의 위치를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로 전환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힌지연결하는 힌지핀, 제1 조절부에 대해 제2 조절부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조절부에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조절부 - 일측조절부 및 타측조절부 포함 - 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의 위치를 삽입측 위치 또는 배출측 위치로 전환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의 단부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조절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 상기 제2 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조절부의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 - 두께별로 규격화된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하여 조립됨 - 과 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는 상기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의 전면부에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판은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 체형에 근거하여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좌판을 선택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팔부분을 더욱 지지하기 위해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연결되어 양측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팔걸이부는 사용자의 팔 체형에 근거하여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팔걸이부를 선택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은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미착석시 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착석시 상기 복수의 지지판이 상기 사용자의 등부분을 압박 지지하는 상태로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되어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체형에 따라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지지판, 좌판, 팔걸이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조립을 통해 맞춤형 의자를 제작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신속하고 간편한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척추변형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들에게도 개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맞춤형 의자의 사용에 의해 사용자는 착석시의 안락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사용을 통해 척추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판이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지지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인의 체형에 최적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메인프레임은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미착석시 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착석시 상기 복수의 지지판이 상기 사용자의 등부분을 압박 지지하는 상태로 펴질 수 있으므로 척추의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척추가 변형된 환자의 척추자세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한 정면 사진.
도 4b는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한 측면 사진.
도 4c는 기준척추자세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목지지판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목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견갑골등부지지판 및 겨드랑이지지판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견갑골등부지지판 및 겨드랑이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허리골반지지판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허리골반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메인프레임의 탄성변형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제작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겨드랑이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목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견갑골등부지지판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지지판의 전후방향 간격조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조립식 맞춤형 의자의 상하 슬라이딩 블록의 변형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조립을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은,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 시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가 요구된다.
이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하여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가 아닌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작된 지지판은 사용자의 척추자세를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C7) 또는 흉추1번(Th1)의 중심부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C7)의 중심부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이다.
더욱 바람직한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한 상태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C7) 또는 흉추1번(Th1)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의 편차가 1cm 이내이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C7)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의 편차가 2cm 이내이며, 경추는 30°~50°의 전만, 흉추는 20°~50°의 후만, 요추는 30°~70°의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이다.
의학적으로는 기립 후 전척추 측정이 보편적이지만, 본 실시예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에서 상술한 기준척추자세를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기준척추자세의 유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엑스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하면서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교정시켜주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X선 촬영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 사진자료를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최종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형데이터를 얻기 위한 신체 외형의 측정은 2차원 촬영 또는 3차원 촬영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2차원 촬영은, 예를 들어, X선 촬영(X-ray), 사진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은 X선 촬영에 비해 대략 400배의 방사선이 방출된다는 점에서 촬영횟수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2차원 촬영의 경우, X선 촬영(X-ray) 또는 사진 촬영이 바람직하다.
3차원 촬영은, 예를 들어, 3차원 스캐닝,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이 있을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3차원 촬영은 측정의 정확도나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촬영 비용이 상당하다.
따라서, 3차원 촬영의 경우, 3D 스캐닝 방식의 촬영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비접촉식 3D 레이져 스캐너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여 체형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3D 스캐닝에 대하여는 다수의 공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므로, 그 이론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X선 촬영(X-ray), 사진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3차원 스캐닝,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과 같은 촬영 방식을 이용하여 신체 외형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X선 촬영방식을 이용한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시설명하도록 한다.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면과 측면을 기준으로 X선 촬영을 하여 얻은 전면 X선 사진과 측면 X선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한다.
상기 X선 촬영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사진을 보조적으로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할 수 있다.
X선 촬영에 의해 얻어진 전면 X선 사진과 측면 X선 사진은 신체가 투시된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을 바탕으로 신체의 전체 외형 윤곽을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척추가 지나는 등의 골짜기 부분, 옆구리의 굴곡 부분 등의 외형을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척추가 지나는 등의 골짜기 부분, 옆구리의 굴곡 부분 등의 외형을 쉽게 인식하기 위해 방사선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마커는 금속이나 조영제 등으로 이뤄져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X선 촬영 전, 촬영될 사용자 신체의 주요 부분에 상호 구별가능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마커를 부착하여 표시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형의 방사선마커의 경우에 각 방사선마커의 굵기를 다르게 하고, 점형의 방사선마커의 경우에 각 방사선마커의 크기나 모양을 다르게 하는 방법을 통하여 각각의 방사선마커가 상호 구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등의 골짜기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줄 타입의 마커(M1)을 부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등의 양 날개뼈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가장 돌출된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줄 타입의 마커(M2)를 부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구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점 타입의 마커(M3, M4, M5)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구별가능한 복수의 마커(M1, M2, M3, M4, M5)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의 전면, 측면을 X선 촬영을 하면, 상기 마커(M1, M2, M3, M4, M5)들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외형에 대한 3차원 형상을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외에도, 각 방사선마커에 고유의 표시나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구분하거나, 식별가능한 다수의 방사선마커가 표시된 의복을 입고 X선 촬영을 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2차원 촬영 또는 3차원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고, 이렇게 얻어진 사용자의 체형데이터를 맞춤형 의자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형상데이터의 획득방법 외에도 다른 여러 방법으로 기준척추자세에 해당하는 상태의 형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조립식 맞춤형 의자를 위한 형상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획득한 형상데이터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조립을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지판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한다는 것은 복수 지지판의 개별 지지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지지면이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이 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조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 의자의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과 좌판(200)이 각각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판(410), 사용자의 견갑골등부- 상기 견갑골등부는 견갑골에 대응하는 등 부분임 -를 지지하는 견갑골등부지지판(420),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판(430),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지지하는 허리골반지지판(440)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의 개별 지지면은 사용자의 목, 견갑골등부, 겨드랑이, 허리와 골반을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하며, 이러한 개별 지지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지지면이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이 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의 개별 지지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전체 지지면이 사용자의 등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교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은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규격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규격품화된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이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좌판(200), 상기 좌판(200)에 구비된 팔걸이부(210)도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규격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맞춤형 의자를 참조하여 상기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 의자는, 다리(100)의 상부에 조립된 좌판(200), 상기 좌판(2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조립된 팔걸이부(210), 상기 좌판(200)에 연결되어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조립된 메인프레임(300), 상기 메인프레임(300) 상에 구비된 목지지판(410), 견갑골등부지지판(420), 겨드랑이지지판(430), 허리골반지지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100)는 상기 좌판(20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바람직하게, 높이조절수단(110)과 구름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10)과 구름수단(120)에 대하여는 다수의 공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판(200)은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 체형에 근거하여 규격화된 좌판 중 하나가 선택되어 조립된다.
상기 좌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다리(100)에 조립을 하기 위한 조립부(200a)가 구비된다.
상기 팔걸이부(210)는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팔 체형에 근거하여 규격화된 팔걸이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조립된다.
상기 팔걸이부(2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좌판(200)에 조립을 하기 위한 조립부(210a)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상기 좌판(200)에 연결되어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상기 좌판(200)에 조립을 하기 위한 조립부(310), 하단측이 상기 조립부(310)에 연결된 "ㄴ" 자 형태의 탄성절곡편(320), 상기 탄성절곡편(320)의 상단측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메인축(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절곡편(3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미착석시 상기 메인프레임(300)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절곡편(320)은,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착석시 상기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이 상기 사용자의 등부분을 압박 지지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300)이 대략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메인축(330)에는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 424, 444)과 전후 슬라이딩 블록(412, 422, 442)을 개재해서 목지지판(410), 견갑골등부지지판(420), 겨드랑이지지판(430), 허리골반지지판(44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래치수단 등의 각도 변환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변환 수단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좌판(200b)에 대하여, 90˚, 120˚, 150˚등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변경되어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까지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각도 변환 수단은 상기 조립부(310)와 상기 탄성절곡편(320)의 사이 또는 상기 탄성절곡편(320)과 상기 메인축(330)의 사이에 개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변환 수단에 대하여는 다수의 공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므로, 그 이론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지지판(4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과 제1 전후 슬라이딩 블록(412)을 개재해서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목지지판(410)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상기 목지지판(410)이 사용자의 목을 감싸 목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지지판(4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지지프레임(410a)을 개재해서 상기 제1 전후 슬라이딩 블록(4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은, 상기 한 쌍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전후 슬라이딩 블록(412)은, 전면부에 상기 목지지판(410)이 조립되고 후면부에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제1 간격조절부재(412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간격조절부재(412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수직공(412h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과 제1 전후 슬라이딩 블록(412) 간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에 구비된 고정핀(P1)이 상기 수직공(412h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간격조절부재(412b)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은 상기 메인축(330)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볼트(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를 푼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이 메인축(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볼트(B)를 조인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된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이 메인축(330)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과 상기 메인축(330)의 사이에는 고정링(R)이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R)에 의하여 상기 볼트(B)를 조일 시 상기 제1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이 메인축(3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과 제2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을 개재해서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은, 상기 한 쌍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은, 전면부에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조립되고 후면부에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제2 간격조절부재(422a)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간격조절부재(422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수직공(422h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과 제2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 간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에 구비된 고정핀(P3)이 상기 수직공(422h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간격조절부재(422b)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은 상기 메인축(330)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볼트(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를 푼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이 메인축(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볼트(B)를 조인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된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이 메인축(330)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과 상기 메인축(330)의 사이에는 고정링(R)이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R)에 의하여 상기 볼트(B)를 조일 시 상기 제2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이 메인축(3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은, 상기 제2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상기 왼나사축(422-1)과 오른나사축(422-2)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422-3), 상기 왼나사축(422-1)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430)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422-4), 상기 오른나사축(422-2)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430)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4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축결합부(422-3)가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22-1) 또는 상기 오른나사축(422-2)을 회전시키면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및 축결합부(422-3)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측조절부(422-4)와 타측조절부(422-5)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줄어들게 되어 한 쌍의 겨드랑이지지판(43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축결합부(422-3)가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22-1)을 회전시키면 일측조절부(422-4)의 좌우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오른나사축(422-2)을 회전시키면 타측조절부(422-5)의 좌우위치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겨드랑이지지판(43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허리골반지지판(4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과 제3 전후 슬라이딩 블록(442)을 개재해서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허리골반지지판(440)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상기 허리골반지지판(440)이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감싸 목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은, 상기 한 쌍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3 전후 슬라이딩 블록(442)은, 전면부에 상기 허리골반지지판(440)이 구비되고 후면부에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제3 간격조절부재(442a)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간격조절부재(442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수직공(442h1)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과 제3 전후 슬라이딩 블록(442) 간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에 구비된 고정핀(P5)이 상기 수직공(442h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간격조절부재(442b)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은 상기 메인축(330)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볼트(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를 푼 상태에서는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이 메인축(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볼트(B)를 조인 상태에서는 상기 분할된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이 메인축(330)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과 상기 메인축(330)의 사이에는 고정링(R)이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R)에 의하여 상기 볼트(B)를 조일 시 상기 제3 상하 슬라이딩 블록(444)이 메인축(3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리골반지지판(440)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3 전후 슬라이딩 블록(442)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442-1), 오른나사축(442-2), 상기 왼나사축(442-1)과 오른나사축(442-2)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442-3), 상기 왼나사축(442-1)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440)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442-4), 상기 오른나사축(442-2)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440)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4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42-1), 오른나사축(442-2), 축결합부(442-3)가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42-1) 또는 상기 오른나사축(442-2)을 회전시키면 왼나사축(442-1), 오른나사축(442-2) 및 축결합부(442-3)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측조절부(442-4)와 타측조절부(442-5)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줄어들게 되어 한 쌍의 허리골반지지판(44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42-1), 오른나사축(442-2), 축결합부(442-3)가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42-1)을 회전시키면 일측조절부(442-4)의 좌우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오른나사축(442-2)을 회전시키면 타측조절부(442-5)의 좌우위치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허리골반지지판(44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의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이 메인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 지지판(410, 420, 430, 4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판(410, 420, 430, 440)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교정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뤄진 맞춤형 의자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겨드랑이지지판 변형예 1, 도 15a 참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각 조절부(422-4, 422-5)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위치를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로 전환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조절부(422-4)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일측조절부(422-4)는 제1 조절부(422-4a)와 제2 조절부(422-4b)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422-4a)와 제2 조절부(422-4b)를 힌지연결하는 힌지핀(HG1) 및 상기 제1 조절부(422-4a)에 대해 제2 조절부(422-4b)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조절부(422-4a)에 구비된 스토퍼(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대략 'ㄱ' 자형으로 절곡된 제1 조절부(422-4a)와 대략 일자형의 제2조절부(422-4b)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제1 조절부(422-4a)의 단부와 제2 조절부(422-4b)의 단부가 힌지핀(HG1)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따라서, 오른나사축(422-2)에 결합된 제1 조절부(422-4a)에 대하여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는 상기 제1 조절부(422-4a)에 구비된 스토퍼(ST)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전방측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상기 스토퍼(ST)의 하단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후방측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상기 스토퍼(ST)의 상단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확대도는, 해당 부분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겨드랑이지지판 변형예 2, 도 15b 참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각 조절부(422-4, 422-5)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위치를 삽입측 위치 또는 배출측 위치로 전환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조절부(422-4)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일측조절부(422-4)는 제1 조절부(422-4c)와 제2 조절부(422-4d)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단부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조절부(422-4d)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S1), 상기 제2 조절부(422-4d)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S1)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p1, p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대략 일측이 완만하게 절곡된 제1 조절부(422-4c)와 이에 대응하여 일측이 절곡된 제2 조절부(422-4d)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단부측이 상기 제2 조절부(422-4d)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S1)에 삽입 또는 배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오른나사축(422-2)에 결합된 제1 조절부(422-4c)에 대하여 상기 제2 조절부(422-4d)가 삽입측 위치 또는 배출측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겨드랑이지지판의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삽입측 위치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S1)의 최내측면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겨드랑이지지판(430)의 후방측 위치는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S1)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p1, p2)에 제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삽입측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절부(422-4b)의 슬라이딩 슬롯(S1)의 최내측면에 상기 제1 조절부(422-4c)의 단부가 맞닿아 지지되고, 상기 제2 조절부(422-4b)가 배출측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절부(422-4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p1)이 슬라이딩 슬롯(S1)에 형성된 걸림턱(p2)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목지지판 변형예, 도 16 참조>
목지지판(410)은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의 상단부에 힌지연결된 목지지프레임(410a)을 개재해서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 전면부에는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간격조절부재(422a)가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을 통해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상기 메인프레임(300) 상에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의 상단부에 목지지프레임(410a)이 힌지축(HG2)을 기준으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에 대해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목지지판(410)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의 회동 작동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메인축(330) 상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의 후면에 고정된 탄성부재(z)에 조립된 회전조절레버(L)를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회전조절레버(L)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이 후방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전조절레버(L)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이 전방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z)와 상기 회전조절레버(L) 간의 조립은, 상기 탄성부재(z)에 형성된 홈에 상기 회전조절레버(L)의 단부가 압입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조절레버(L)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목지지프레임(410a)이 힌지축(HG2)을 기준으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위치조절될 시, 상기 회전조절레버(L)의 단부가 상기 탄성부재(z)의 홈에 압입결합된 상태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z)와 상기 회전조절레버(L)가 서로 압입결합되는 조립 방식 이외에, 두 구성요소가 서로 유연하게 조립되는 방식이라면 공지의 조립 방식을 임의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견갑골등부지지판의 변형예, 도 17 참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상기 왼나사축(422-1')과 오른나사축(422-2')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422-3'), 상기 왼나사축(422-1')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422-4'), 상기 오른나사축(422-2')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42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축결합부(422-3')가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22-1') 또는 상기 오른나사축(422-2')을 회전시키면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및 축결합부(422-3')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측조절부(422-4')와 타측조절부(422-5')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줄어들게 되어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왼나사축(422-1'), 오른나사축(422-2'), 축결합부(422-3')가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왼나사축(422-1')을 회전시키면 일측조절부(422-4')의 좌우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오른나사축(422-2')을 회전시키면 타측조절부(422-5')의 좌우위치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폭조절부재를 수용하는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은 한 쌍의 겨드랑이지지판(430)을 폭조절하는 폭조절부재(422-1, 422-2, 422-3)도 함께 수용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은 상기 일측조절부(422-4')와 상기 타측조절부(422-5')에 각각 플렉시블한 탄성부재(FL)를 개재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재질과 같이 탄성을 갖는 부재(FL)를 개재해서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상기 일측조절부(422-4')와 상기 타측조절부(422-5')에 각각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FL)의 구성은 견갑골등부지지판(420) 이외의 다른 지지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420)이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감싸 사용자의 몸통부분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판의 전후방향 간격조절 변형예 1, 도 18 참조>
지지판(420)은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 414b)과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 414b)은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과 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은 두께별로 규격화된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이 선택되어 조립된다.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은 전면부에 상기 지지판(420)이 조립되고 후면부는 상기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의 전면부에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이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과 간격이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되,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두께별로 규격화된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하여 상기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으로서 조립구성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420)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420)을 후방측으로 더욱 이동하여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이미 조립되어 있는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의 두께보다 더 얇은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을 조립시킨다. (도 18의 (a) 참조)
또한, 상기 지지판(420)을 전방측으로 더욱 이동하여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이미 조립되어 있는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14a)을 조립시킨다.(도 18의 (b) 참조)
<지지판의 전후방향 간격조절 변형예 2, 도 19 참조>
지지판(420)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420)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과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에 형성된 관통홀(h1)을 관통하여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의 후방측에 형성된 너트홀(NTH)에 나사결합되는 블록결합볼트(B')와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과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블록결합볼트(B')에 결합되는 와셔(w)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과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의 사이에 개재된 와셔(w)의 두께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과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의 사이에 와셔(w)가 개재되지 않은 기본 위치에서,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422)과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의 사이에 5mm두께의 와셔(w) 개재하여 조립하면 상기 지지판(420)의 위치가 기본 위치보다 5mm가 전방측으로 위치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셔(w)는 일측이 개방된 와셔를 이용하여 블록결합볼트(B')를 완전하게 풀지 않더라도 와셔(w)의 삽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록결합볼트(B')는 길이별로 규격화된 다양한 길이의 블록결합볼트(B')가 구비되며, 상기 와셔(w)의 두께 또는 수량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시, 적절한 길이의 블록결합볼트(B')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하 슬라이딩 블록 변형예, 도 20 참조>
상기 메인프레임의 메인축(330)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a, 424b)은 밸브형 클램프(a1, a2, a3)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a)에 상기 밸브형 클램프의 일측 단부(a1)가 걸려 지지되고, 타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b)에 상기 밸브형 클램프의 타측 단부(a2)가 위치하되, 상기 밸브형 클램프의 타측에 구비된 캠형 잠금레버(a3)을 이용하여 상기 일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a)과 타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424b)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형 클램프는 자전거 안장 등의 조립에 사용되는 공지의 결합수단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으로 제조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 의자의 지지판의 지지면을 조립으로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좌판(200)을 지지하는 다리(100)가 없이 좌식 의자 형태의 맞춤형 의자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기준으로 팔부분, 엉덩이부분의 체형데이터를 맞춤형 의자의 팔걸이부의 높낮이, 좌판의 형상 및 크기를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허리, 목, 옆구리, 어깨 및 견갑골등부 등과 같이 등의 외곽측으로 더욱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가 맞춤형 의자에 밀착되어 교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등받이는 엉덩이 옆부분부터 겨드랑이 밑까지 연장되어 옆구리 부분에 밀착됨과 함께 양 어깨부분 및 목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다리 200:좌판
300:메인프레임 410:목지지판
420:견갑골등부지지판 430:겨드랑이지지판
440:허리골반지지판

Claims (17)

  1.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조립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맞춤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연결되어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메인프레임 상에 조립되되,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판,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지지하는 견갑골등부지지판,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지지하는 허리골반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목 외형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등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리골반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간격조절부재가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관통한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간격조절부재가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지지판은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부에 힌지연결된 목지지프레임을 개재해서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골반지지판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허리골반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9.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견갑골등부지지판이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에 내장된 폭조절부재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겨드랑이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폭조절부재는 왼나사축, 오른나사축, 상기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을 축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왼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이 조립되는 일측조절부, 상기 오른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겨드랑이지지판이 조립되는 타측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부 - 일측조절부 및 타측조절부 포함 - 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의 위치를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로 전환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힌지연결하는 힌지핀, 제1 조절부에 대해 제2 조절부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조절부에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부 - 일측조절부 및 타측조절부 포함 - 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상기 겨드랑이지지판의 위치를 삽입측 위치 또는 배출측 위치로 전환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제1 조절부의 단부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조절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 상기 제2 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조절부의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 - 두께별로 규격화된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하여 조립됨 - 과 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는 상기 전방측 상하 슬라이딩 블록의 전면부에 조립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 또는 위치고정가능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 전면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조립되고 후면부에는 상기 상하 슬라이딩 블록과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 전후 슬라이딩 블록을 통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 체형에 근거하여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좌판을 선택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부분을 더욱 지지하기 위해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연결되어 양측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팔걸이부는 사용자의 팔 체형에 근거하여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된 팔걸이부를 선택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미착석시 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맞춤형 의자에 착석시 상기 복수의 지지판이 상기 사용자의 등부분을 압박 지지하는 상태로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맞춤형 의자의 좌판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크기와 형상별로 규격화되어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KR1020120061811A 2012-06-08 2012-06-08 맞춤형 의자 KR10145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11A KR101456970B1 (ko) 2012-06-08 2012-06-08 맞춤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11A KR101456970B1 (ko) 2012-06-08 2012-06-08 맞춤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32A true KR20130138032A (ko) 2013-12-18
KR101456970B1 KR101456970B1 (ko) 2014-11-04

Family

ID=499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811A KR101456970B1 (ko) 2012-06-08 2012-06-08 맞춤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5586A (zh) * 2018-02-12 2018-06-19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急诊科用多功能转运椅
WO2019108041A1 (ko) * 2017-12-01 2019-06-06 곽영성 척추지지용 의자
WO2021153990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척추 인장 및 교정을 위한 마사지 장치와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365B2 (ja) * 2004-03-25 2007-09-26 昌幸 中村 診療用いす
JP4919633B2 (ja) * 2005-08-23 2012-04-18 ピジョン株式会社 車椅子
KR101109456B1 (ko) * 2009-12-11 2012-02-29 이신근 의자 구조체
KR101118918B1 (ko) * 2011-04-22 2012-02-27 이형곤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8041A1 (ko) * 2017-12-01 2019-06-06 곽영성 척추지지용 의자
CN108175586A (zh) * 2018-02-12 2018-06-19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急诊科用多功能转运椅
WO2021153990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척추 인장 및 교정을 위한 마사지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10097924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척추 인장 및 교정을 위한 마사지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10129025A (ko) 2020-01-31 2021-10-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척추 인장 및 교정을 위한 마사지 장치와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970B1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129B2 (en) Adjustable backrest
US767686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atient in a prone position during diagnostic imaging
EP1894528B1 (en) Wheelchair
Baumgartner et al. The spinal curvature of three different sitting positions analysed in an open MRI scanner
US20110295170A1 (en) Orthotic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deformities of the vertebral column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101118918B1 (ko)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Bernard et al. The carbon brace
KR20140077888A (ko) 사용자의 두개골을 지지하기 위한 방법, 몸 지지 구조체, 및 2레벨 머리받침대
KR101456970B1 (ko) 맞춤형 의자
Berry et al. Lumbar spine angles and intervertebral disc characteristics with end-range positions in three planes of motion in healthy people using upright MRI
Li et al. Biomechanical evaluation of a novel wheelchair backrest for elderly people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KR101436747B1 (ko) 자세교정 의자
Lee et al. The effects of sitting with the right leg crossed on the trunk length and pelvic torsion of healthy individuals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Chaléat-Valayer et al. Impact of an ergonomic seat on the stand-to-sit strategy in healthy subjects: spinal and lower limbs kinematics
Van Geffen et al. Decoupled pelvis adjustment to induce lumbar motion: A technique that controls low back load in sitting
Gagnon et al. Adaptation of a seated postural control measure for adult wheelchair users
KR20210155151A (ko) 자세교정용 의자
EP3361400A1 (en) Method an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hape for a custom-made seat shell
van Geffen et al. Body segments decoupling in sitting: Control of body posture from automatic chair adjustments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Karwowski Sleeping Postures
Lalonde et al. Accessing the influence of repositioning on the pelvis'3-D orientation in wheelchair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