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918B1 -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 Google Patents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918B1
KR101118918B1 KR1020110109163A KR20110109163A KR101118918B1 KR 101118918 B1 KR101118918 B1 KR 101118918B1 KR 1020110109163 A KR1020110109163 A KR 1020110109163A KR 20110109163 A KR20110109163 A KR 20110109163A KR 101118918 B1 KR101118918 B1 KR 10111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e
support plate
user
chair
shape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형곤
이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곤, 이태원 filed Critical 이형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918B1/ko
Priority to PCT/KR2012/0030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44858A2/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8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4Computer workstation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61G2200/52Under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1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orthoped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8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not mo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척추변형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들에게도 획일화된 맞춤형 의자가 아닌 개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으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의자의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A method for obtaining shape data for manufacturing support plate of customized chair,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pport plate of customized chair, support plate for customized chair and customized chair}
본 발명은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기 위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몸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의 요구, 사용장소, 및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그 구조도 다양하다.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며, 팔걸이대, 지지다리 등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의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척추를 교정하는 등과 같은 의자의 기능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척추 교정용 의자'는 좌판(20)과 지지판(30)이 하나의 몸체로 성형되고, 지지판(30)은 사용자의 척추 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며, 지지판(3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도록 돌기(3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걸이부(33)가 지지판(30)에서 일체로 수평하게 전방 돌출되어 있고, 지지판(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감싸서 지지해 주도록 경추지지수단(4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이부(33)에는 래칫장치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쿠션(35)이 구비된다. 한편, 좌판(20)의 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다리(50)는 좌판(20) 및 지지판(30)을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획일화된 좌판 또는 지지판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체형에 맞도록 개인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정상적인 척추 자세에서 벗어난 잘못된 척추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이 획일화된 좌판 또는 지지판 구조로는 착석시의 안락함이나 장기적 사용에 의한 척추의 교정 효과 등을 얻기에는 곤란함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척추측만증 환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척추전만증 환자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에게도 환자마다 변형의 정도가 상이하여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없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척추변형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으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의자의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의 편차가 1cm 이내이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의 편차가 2cm 이내이며, 경추는 30°~ 50°의 전만, 흉추는 20°~ 50°의 후만, 요추는 30°~ 70°의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척추자세의 유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통해 얻어진 신체 외형선을 획득하여 이뤄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촬영될 사용자 신체의 주요 부분에 상호 구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마커를 표시한 상태에서 X선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은,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신체 외형 좌표를 획득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방법을 통해 형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기계적 가공처리를 통해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개개인의 체형에 특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척추변형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증, 척추전만증 등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환자들에게도 획일화된 맞춤형 의자가 아닌 개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맞춤형 의자의 사용에 의해 사용자는 착석시의 안락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사용을 통해 척추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자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척추전만증 환자의 척추자세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한 정면 사진.
도 5a는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한 측면 사진.
도 5b는 기준척추자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일체형 지지판이 구비된 맞춤형 의자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분할형 지지판이 구비된 맞춤형 의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제작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은,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은 상기 사용자의 등판과 밀착되는 부분이지만, 상기 지지판은 상기 상용자의 등 이외에 목, 어깨, 옆구리, 허리 등과 같이 등의 외곽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면은 상기 사용자의 등판 이외에 목, 어깨, 옆구리, 허리 등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 시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가 요구된다.
이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하여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가 아닌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작된 지지판은 사용자의 척추자세를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C7) 또는 흉추1번(Th1)의 중심부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C7)의 중심부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이다.
더욱 바람직한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한 상태의 정면상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7번(C7) 또는 흉추1번(Th1)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의 편차가 1cm 이내이고, 측면상에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7번(C7)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C1), 경추7번(C7), 요추1번(L1), 천추1번(Os sacrum)의 편차가 2cm 이내이며, 경추는 30°~50°의 전만, 흉추는 20°~50°의 후만, 요추는 30°~70°의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이다.
의학적으로는 기립 후 전척추 측정이 보편적이지만, 본 실시예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에서 상술한 기준척추자세를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기준척추자세의 유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엑스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하면서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교정시켜주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X선 촬영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 사진자료를 보조적으로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최종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형데이터를 얻기 위한 신체 외형의 측정은 2차원 촬영 또는 3차원 촬영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2차원 촬영은, 예를 들어, X선 촬영(X-ray), 사진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등이 있을 수 있다. 3차원 촬영은, 예를 들어, 3차원 스캐닝,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은 X선 촬영에 비해 대략 400배의 방사선이 방출된다는 점에서 촬영횟수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한편,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3차원 촬영은 측정의 정확도나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촬영 비용이 상당하다.
따라서, 2차원 촬영의 경우, X선 촬영(X-ray) 또는 사진 촬영이 바람직하고, 3차원 촬영의 경우, 3D 스캐닝 방식의 촬영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비접촉식 3D 레이져 스캐너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여 체형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3D 스캐닝에 대하여는 다수의 공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므로, 그 이론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선 촬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체형데이터를 얻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 스캐닝, 자기공명영상, 컴퓨터 단층촬영과 같은 촬영 방식을 이용하여 신체 외형을 측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면과 측면을 기준으로 X선 촬영을 하여 얻은 전면사진과 측면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 X선 촬영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사진을 보조적으로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X선 촬영에 의해 얻어진 전면사진과 측면사진은 신체가 투시된 사진으로서, 이러한 사진을 바탕으로 신체의 전체 외형 윤곽을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척추가 지나는 등판의 골짜기 부분, 옆구리의 굴곡 부분 등의 외형을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척추가 지나는 등판의 골짜기 부분, 옆구리의 굴곡 부분 등의 외형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X선 촬영 전, 촬영될 사용자 신체의 주요 부분에 상호 구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마커를 예를 들어, 부착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X선 촬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마커는 금속이나 조영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선으로 이뤄진 방사선마커의 경우에 각 방사선마커의 굵기를 다르게 하고, 점으로 이뤄진 방사선마커의 경우에 각 방사선마커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각각의 방사선마커가 상호 구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등판의 척추라인을 따라 가장 들어간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줄 타입의 마커(310)을 부착하여 표시하고, 등판의 양 날개뼈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가장 돌출된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줄 타입의 마커(320)를 부착하여 표시하며, 그 외에도 가로, 세로로 3차원 구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점 타입의 마커(330, 340, 350)를 표시한 뒤 전면, 측면 촬영을 하면, 상기 마커(310, 320, 330, 340, 350)들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외형에 대해 3차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외에도, 각 방사선마커에 고유의 표시나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구분하거나, 식별가능한 다수의 방사선마커가 표시된 의복을 입고 X선 촬영을 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2차원 촬영 또는 3차원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고, 이렇게 얻어진 사용자의 체형데이터를 맞춤형 의자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획득한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기계적 가공처리, 즉, 절삭, 사출, 프레스 등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지지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보면, 합성수지, 목재 등의 모재를 CNC 등의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형상데이터에 의해 절삭 가공할 수 있으며, 금형에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사출면을 형성시켜 지지판을 합성수지로 사출 가공하거나, 금속판재를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금형면을 통해 프레스 가공하는 등 다양한 기계적 가공처리를 통해 지지판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시,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제조된 지지판의 표면에 쿠션재를 부착하여 쿠션감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맞춤형 의자를 제작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가 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체형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체형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단계(S200),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이 구비된 맞춤형 의자를 제작하는 단계(S300)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맞춤형 의자는, 지지판과 좌판이 일체형으로 이뤄지되 다리 없는 좌식 의자의 형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a)과 좌판(100b)이 일체형으로 이뤄지고, 이에 다리(150)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60)에 고정된 지지판(200a) 및 다리(150)의 상부에 고정된 좌판(200b)이 상호 분리되어 구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60)에 상호 분할되어 고정된 복수의 지지판(200a1, 200a2, 200a3) 및 다리(150)에 고정된 좌판(200b)이 각각 분리되어 구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판(200b)을 기준으로 복수의 지지판(200a1, 200a2, 200a3) 전체가 고정된 지지대(260)가 다양한 각도로 변경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판(200b)에 대하여, 90˚, 120˚, 150˚등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변경되어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까지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지지판만을 별도로 제조하여, 일반 의자에 탈부착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팔걸이의 높낮이, 좌판의 형상 및 크기 등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기준으로 팔부분, 엉덩이부분의 체형데이터를 맞춤형 의자의 팔걸이의 높낮이, 좌판의 형상 및 크기를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허리, 목, 옆구리 및 어깨 등과 같이 등의 외곽측으로 더욱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가 맞춤형 의자에 밀착되어 교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등받이는 엉덩이 옆부분부터 겨드랑이 밑까지 연장되어 옆구리 부분에 밀착됨과 함께 양 어깨부분 및 목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a, 200a:지지판
100b, 200b:좌판
200a1, 200a2, 200a3:분할구성된 지지판
150, 250:다리
310, 320, 330, 340, 350:마커

Claims (10)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으로서,
    상기 맞춤형 의자를 사용할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기준척추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여 얻은 체형데이터를 상기 맞춤형 의자의 지지판의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데이터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이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경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 요추는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척추자세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상에서 경추7번 또는 흉추1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의 편차가 1cm 이내이고, 측면상에서 경추7번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추1번, 경추7번, 요추1번, 천추1번의 편차가 2cm 이내이며, 경추는 30°~ 50°의 전만, 흉추는 20°~ 50°의 후만, 요추는 30°~ 70°의 전만이 되는 척추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척추자세의 유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척추자세가 상기 기준척추자세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X선 촬영을 통해 얻어진 신체 외형선을 획득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촬영될 사용자 신체의 주요 부분에 상호 구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마커를 표시한 상태에서 X선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외형 측정은,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신체 외형 좌표를 획득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8.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적어도 구비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통해 형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의 지지면을 기계적 가공처리를 통해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제조방법.
  9. 제8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10. 제8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맞춤형 의자.
KR1020110109163A 2011-04-22 2011-10-25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11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3076 WO2012144858A2 (ko) 2011-04-22 2012-04-20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가공 또는 조립을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7865 2011-04-22
KR1020110037865 2011-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918B1 true KR101118918B1 (ko) 2012-02-27

Family

ID=4584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8918B1 (ko) 2011-04-22 2011-10-25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8918B1 (ko)
WO (1) WO201214485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70B1 (ko) * 2012-06-08 2014-11-04 이태원 맞춤형 의자
WO2015060471A1 (ko) * 2013-10-23 2015-04-30 김정인 의자용 거더백받이
KR20170028014A (ko) 2015-09-03 2017-03-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시제품 의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20645D0 (en) * 2012-11-16 2013-01-02 Roma Medical Aids Ltd Measurement jig
KR101400496B1 (ko) 2013-02-25 2014-06-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추 안정화 재활기구
GB2521108A (en) * 2013-09-20 2015-06-17 Christopher Raymond Ergonomic Seating Machine
CN113768303B (zh) * 2021-08-24 2024-04-19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8A (ja) * 1992-10-21 1994-05-17 Itooki:Kk 椅子における着座者の背もたれによる支持方法とこの支持方法を用いた椅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365B2 (ja) * 2004-03-25 2007-09-26 昌幸 中村 診療用いす
KR100750299B1 (ko) * 2006-02-13 2007-08-20 (주)유진메디케어 체형 복제 방식의 등판과 좌판을 구비한 맞춤형 휠체어 및 그 제작 방법.
JP4551918B2 (ja) * 2007-08-03 2010-09-29 株式会社クオリ 椅子
KR100995967B1 (ko) * 2008-05-29 2010-11-22 (주) 에씨뉴 파트너스 의자 등받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8A (ja) * 1992-10-21 1994-05-17 Itooki:Kk 椅子における着座者の背もたれによる支持方法とこの支持方法を用いた椅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70B1 (ko) * 2012-06-08 2014-11-04 이태원 맞춤형 의자
WO2015060471A1 (ko) * 2013-10-23 2015-04-30 김정인 의자용 거더백받이
KR20170028014A (ko) 2015-09-03 2017-03-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시제품 의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858A9 (ko) 2013-04-18
WO2012144858A2 (ko) 2012-10-26
WO2012144858A3 (ko) 2013-01-17
WO2012144858A4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918B1 (ko)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를 위한 형상데이터 획득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의 제조방법, 맞춤형 의자용 지지판 및 맞춤형 의자
US8740303B2 (en) Customizable chair with multipoint adjustment
US7603730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atient in a prone position during diagnostic imaging
CN106061382B (zh) 一种用于测量身体特征的系统、设备和方法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2020002649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척추측만증 교정 솔루션 제공 방법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JP6596764B2 (ja) 禅チェアー
JP2020074860A (ja) 内部構造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56970B1 (ko) 맞춤형 의자
Verhaert et al. Modeling human-bed interaction: the predictive value of anthropometric models in choosing the correct bed support
Hatta et al. Evalu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stural adaptation of patients with profound cerebral pals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ing Buggy's seating support surface
Dvouletá et al. Utilization of anthropometry in the sphere of sitting and bed furniture
Hirose Development of clinical methods for measuring geometric alignment of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s of wheelchair-seated persons.
EP3361400A1 (en) Method an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hape for a custom-made seat shell
Lalonde et al. Differences between pelvic skin and bone landmark identification in different seated positions on spinal-cord injured subjects
RU283534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сон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ортопедического кресла и персонифицированно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кресло
Moon et al. Thoracic coupled motions of Korean men in good health in their 20s
JP7164105B2 (ja) 寝具評価方法
Green et al. Evaluation of the Posture of Tall Males in the T45 Bunk
Lalonde et al. Accessing the influence of repositioning on the pelvis'3-D orientation in wheelchair users
CN212972335U (zh) 一种磁疗和室椅
WO2023138683A1 (en) A module-wise posture correction mastectomy bra with thermal comfort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wok Development of posture correction tank-top synchronized with biofeedback muscle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early scol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