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024A -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24A
KR20130138024A KR1020120061799A KR20120061799A KR20130138024A KR 20130138024 A KR20130138024 A KR 20130138024A KR 1020120061799 A KR1020120061799 A KR 1020120061799A KR 20120061799 A KR20120061799 A KR 20120061799A KR 20130138024 A KR20130138024 A KR 2013013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silicon core
rods
unit
jack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김승현
이욱기
이창래
강승오
박규동
장금상
Original Assignee
(주)세미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미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주)세미머티리얼즈
Priority to KR102012006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024A/ko
Priority to CN201210260881.1A priority patent/CN103482629B/zh
Publication of KR2013013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4Deposition of silic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실리콘이 증착 완료 후 제품의 생산에 따른 공정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반응 챔버와,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에 의해 통전되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를 가지고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공정가스의 반응에 의해 폴리실리콘이 증착되는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한 쌍의 실리콘 로드를 갖는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를 수용하고 공정가스가 공급되어 반응하는 M개의 수용홀을 형성하며 M개의 수용홀에 수용된 실리콘 코어로드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를 냉각하는 자켓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이를 수용하는 자켓유닛을 모듈화 시켜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자켓유닛의 상호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 사이클을 단축함과 더불어 장비의 세척 또는 세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실리콘 증착장치{CHEMICAL VAPOR DEPOSITION REACTOR FOR POLY-SILICON}
본 발명은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코어로드가 수용된 공정공간에 공정가스를 공급하여 실리콘 코어로드의 표면에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실리콘으로 지칭되는 다결정 실리콘은 반도체 및 태양광 산업 등과 같은 최첨단 산업 분야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및 태양광 산업 등과 같은 최첨단 산업 분야에 이용되는 폴리실리콘은 쿼츠나 모래 등을 탄소와 환원 반응 시켜 금속급 실리콘을 생성한 후, 추가적인 정제 공정을 거쳐 반도체의 웨이퍼 제조용 단결정 원료 또는 태양전지 기판의 원료로 사용된다.
금속급 실리콘의 정제 방식으로는 크게 분류하면 지멘스(Siemens) 방식, 유동층(Fluidized bed) 방식 및 VLD(Vapor-to-Liquid Deposition) 방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멘스 방식은 염화실란(chlorosilane) 또는 모노실란(monosilane)이 수소와 혼합된 공정가스를 열분해하여 실리콘 코어로드에 실리콘을 증착시키는 방식으로 다결정 실리콘을 제조한다. 여기서, 다결정 실리콘을 제조하는 지멘스 방식은 실리콘 코어로드에 전기를 통전시키고 이로 인한 저항 열에 의해 실리콘 코어로드를 자체 발열시킨다. 이때, 실리콘은 상온에서 전기 저항성이 매우 커서 통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수백 ℃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전기 저항성이 낮아지면서 통전이 잘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 종래의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9739"인 "폴리실리콘 반응기의 개선된 화학 기상 증착 시 가스 분배 방법 및 노즐 디자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문헌인 "폴리실리콘 반응기의 개선된 화학 기상 증착 시 가스 분배 방법 및 노즐 디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이 증착되는 로드와 각각의 로드에 대응되어 각각의 로드를 둘러 싸서 냉각하는 복수의 오일 재킷을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 및 특징은 로드 및 각각의 로드를 둘러싸서 냉각하는 복수개의 오일 재킷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로드의 외표면에 폴리실리콘 증착이 완료될 때 각각의 로드에 대해 오일 재킷을 분리해야 하고, 이에 따라 공정 사이클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로드는 오일 재킷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반응기 내부에서의 분말이 오일 재킷의 외부로 노출된 로드에 증착됨에 따라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9739: 폴리실리콘 반응기의 개선된 화학 기상 증착시 가스 분배 방법 및 노즐 디자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실리콘이 증착 완료 후 제품의 생산에 따른 공정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실리콘의 증착 공정 시 제품의 품질을 저하하는 분말 등과 같은 이물질의 증착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반응 챔버와,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에 의해 통전되는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가지고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공정가스의 반응에 의해 폴리실리콘이 증착되는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갖는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를 수용하고 공정가스가 공급되어 반응하는 M개의 수용홀을 형성하며 M개의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냉각하는 자켓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자켓유닛에 형성된 M개의 상기 수용홀은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갖는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에 대응하여 2N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와 상기 자켓유닛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의 하부에는 각각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는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배치되어 M개의 상기 수용홀을 가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자켓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켓유닛을 통해 상기 수용홀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자켓유닛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켓유닛을 통해 상기 수용홀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는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자켓유닛의 외부로 노츨되는 로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상기 로드 연결부를 커버하여, 상기 로드 연결부를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 공간에 대해 차폐하는 실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반응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자켓유닛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증착 공정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켓유닛의 상기 수용홀은 상하로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의 상부로 배출된 공정가스가 상기 수용홀의 하부로 재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응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켓유닛은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를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이를 수용하는 자켓유닛을 모듈화 시켜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자켓유닛의 상호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 사이클을 단축함과 더불어 장비의 세척 또는 세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자켓유닛의 상부에 자켓유닛 외부로 노출된 실리콘 코어로드의 일 영역을 반응 챔버의 내부 공간에 대해 차폐하여 자켓유닛의 상부에서 실리콘 분말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코어로드와 자켓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히팅부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코어로드를 차폐하기 위해 자켓유닛과 실드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1)는 베이스부(10), 반응 챔버(20), 실리콘 코어로드(30), 전극부(40), 자켓유닛(50), 히팅부(60: 도 3 참조), 가스 공급유닛(70), 냉각수 공급유닛(90), 모니터링부(110) 및 실드부재(120: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실리콘 증착장치(1)는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를 배치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킨다.
베이스부(10)는 상술한 반응 챔버(20), 실리콘 코어로드(30), 전극부(40), 자켓유닛(50) 및 가스 공급유닛(70) 등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베이스부(10)에는 본 발명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폴리실리콘 증착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반응 챔버(20)는 실리콘 코어로드(30) 및 자켓유닛(50)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반응 챔버(20)는 베이스부(1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실리콘 코어로드(30) 및 자켓유닛(50)을 차단한다. 또한, 반응 챔버(20)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차단함과 더불어 진공 분위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반응 챔버(20)는 몸체(22) 및 배출포트(24)를 포함한다. 몸체(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리콘 코어로드(30) 및 자켓유닛(50)이 수용된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차단하도록 내부 공간을 밀폐한다. 그리고, 배출포트(24)는 몸체(22)의 상부에 배치되어 몸체(22) 내부의 공정가스를 몸체(22)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포트(24)는 몸체(22)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실리콘 코어로드(30)는 반응 챔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류에 통전에 따라 가열되어 공정가스의 반응에 의해 폴리실리콘을 증착시킨다. 즉, 실리콘 코어로드(30)는 순도가 우수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실리콘의 증착 공정 시 외표면을 따라 실리콘 분말이 증착되면서 폴리실리콘의 성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후술할 전극부(40)의 제1전극(42) 및 제2전극(44)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통전되고, 이때 발생하는 저항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열이 진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반응 챔버(20) 내부에 N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실리콘 코어로드(30)는 54개로 구비되나, 실리콘 코어로드(30)의 개수 N은 반응 챔버(20) 내부의 크기 또는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크기 등에 변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와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연결하는 로드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는 일정 이격거리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는 베이스부(10)의 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로드 연결부(34)는 베이스부(10)의 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연결하도록 베이스부(10)의 판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와 로드 연결부(34)는 상호 연결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른,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형상은 'U'자 형상을 갖는다. 'U'자 형상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가 베이스부(10)에 인접하고 로드 연결부(34)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전극부(40)는 베이스부(10)와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실리콘 코어로드(3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극부(40)는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에 각각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극(42) 및 제2전극(44)을 포함한다. 제1전극(42) 및 제2전극(44)은 내열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graphite) 재질로 마련된다. 그리고, 전극부(40)는 반응 챔버(20)의 저면, 즉 베이스부(10)의 상부면과 절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자켓유닛(50)은 반응 챔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리콘 코어로드(30)를 수용한다. 자켓유닛(50)은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에 대응하여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를 수용하는 M개의 수용홀(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켓유닛(50)의 수용홀(54)은 공정가스와 실리콘 코어로드(30)가 상호 접촉하는 반응 공간이다. 자켓유닛(50)은 자켓몸체(52) 및 수용홀(54)을 포함한다. 자켓몸체(52)는 자켓유닛(50)의 외관을 형성하며 실리콘 코어로드(30)의 외표면을 둘러싼다. 수용홀(54)은 자켓몸체(52)의 내부에 형성되어 실리콘 코어로드(30)를 수용하여 실리콘 코어로드(30)와 공정가스가 반응하는 반응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용홀(54)은 상하로 연통되어 수용홀(54)의 상부로 배출된 미반응된 공정가스를 하부로 재유입한다. 이렇게, 수용홀(54)이 상하로 연통되어 미반응된 공정가스를 재유입함으로써, 폴리실리콘 제조의 효율적인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자켓유닛(50)의 M개의 수용홀(54)은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에 대응하여 2N개로 마련된다. 즉,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홀(54)은 2N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실리콘 코어로드(30)는 54개로 배치되며 각각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리콘 코어로드(30)의 개수 54개를 N개라고 할 때 실질적으로 각각의 실리콘 코어로드(30)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포함하므로, 실리콘 코어로드(30)의 한 쌍의 실리콘 로드(32)를 수용하는 M개의 수용홀은 2N개가 되는 것이다.
자켓유닛(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반응 챔버(20)의 원형 단면에 대응되도록 3개로 분할되어 배치되나, 단일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단일 또는 복수개로 배치된 자켓유닛(50)의 형상에 대응하여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가 수용될 수 있다.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와 자켓유닛(50)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실리콘 코어로드(30)와 자켓유닛(50)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실리콘 코어로드(30)에 대한 폴리실리콘 증착 공정이 끝난 후 실리콘 코어로드(30)와 자켓유닛(50)을 모듈 방식으로 상호 분리하여 생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의 세척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자켓유닛(5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수용홀(54) 내로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켓유닛(50)의 내부에는 수용홀(54) 내벽의 온도 구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냉각수의 공급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다. 자켓유닛(50)의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됨으로써, 폴리실리콘의 증착 공정 중 실리콘 코어로드(30)에 증착되지 않은 실리콘 분말이 수용홀(54)의 내벽 또는 상측에 증착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코어로드와 자켓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히팅부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히팅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개의 수용홀(54)에 배치되어 M개의 수용홀(54) 내부를 가열한다. 히팅부(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실리콘 코어로드(30)가 인접한 수용홀(54)에 배치되나, 수용홀(54)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부(60)는 공지된 전열 히터와 같은 다양한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가스 공급유닛(70)은 자켓유닛(50)의 수용홀(54)들에 공정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유닛(7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염화실란(chlorosilane)과 모노실란(monosil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가스 공급유닛(70)은 상술한 염화실란 또는 모노실란 이외에도 염화실란 또는 모노실란과 반응하는 수소 혼합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유닛(70)은 자켓유닛(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켓유닛(50)을 통해 수용홀(54)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한다. 반면, 가스 공급유닛(70)은 자켓유닛(5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자켓유닛(50)을 통해 수용홀(54)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유닛(70)은 가스 배관(80)과 연결되어 공정가스를 수용홀(54)들로 공급한다. 가스 배관(80)은 가스 공급유닛(70)으로부터 연결되어 자켓유닛(50)을 관통한다.
냉각수 공급유닛(90)은 자켓유닛(50)의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수 공급유닛(9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물, 오일, 냉각가스와 같은 공지된 다양한 냉각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유닛(90)은 자켓유닛(50)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각수 배관(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냉각수 배관(100)은 자켓유닛(50)의 냉각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켓유닛(50)의 내부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부(110)는 반응 챔버(20)에 설치되며 개구부를 통해 실리콘 코어로드(30)의 증착 공정을 모니터링 한다. 즉, 모니터링부(110)는 증착 공정 중 실리콘 코어로드(30)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모니터링부(110)를 통해 실리콘 코어로드(30)의 증착 상황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10)는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30)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부(110)는 본 발명에서 미도시된 개구부 및 관측창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10)의 관측창에는 실리콘 분말 등이 침작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퍼지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10)는 미도시된 카메라 모듈 및 광 고온계(pyrometer)를 포함하여 증착 공정 중의 실리콘 코어로드(30)에 증착된 폴리실리콘의 증착 두께 및 실리콘 코어로드(30)의 온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코어로드를 차폐하기 위해 자켓유닛과 실드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실드부재(120)는 자켓유닛(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실리콘 코어로드(30)의 로드 연결부(34)를 커버한다. 실드부재(120)는 자켓유닛(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리콘 코어로드(30)의 로드 연결부(34)를 커버하고, 실리콘 코어로드(30)의 로드 연결부를 반응 챔버(20)의 내부 공간에 대해 차폐한다. 실드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코어로드(30)의 로드 연결부(34)를 차폐하여 폴리실리콘의 제조 공정 중 로드 연결부(34)로부터의 열에 의해 실리콘 분말이 다량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드부재(120)는 실드몸체(122) 및 배기홀(124)을 포함한다.
실드몸체(122)는 자켓유닛(5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반응 챔버(20)의 내부 공간과 실리콘 코어로드(30)의 로드 연결부(34)를 차폐한다. 배기홀(124)은 실드몸체(122)에 형성되어 수용홀(54) 내부의 공정가스를 수용홀(54) 외부로 배기한다. 여기서, 배기홀(124)은 수용홀(54)에서 미반응된 공정가스가 수용홀(54)로 재유입되도록 미반응된 공정가스를 수용홀(54) 외부로 배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미도시된 냉각유로가 실드부재(120)에 형성된다. 실드부재(120)에 형성된 냉각유로는 실리콘 코어로드(30)의 열 방출에 인한 실드부재(12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에,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이를 수용하는 자켓유닛을 모듈화 시켜 복수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자켓유닛의 상호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 사이클을 단축함과 더불어 장비의 세척 또는 세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자켓유닛의 상부에 자켓유닛 외부로 노출된 실리콘 코어로드의 일 영역을 반응 챔버의 내부 공간에 대해 차폐하여 자켓유닛의 상부에서 실리콘 분말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이스부 20: 반응 챔버
24: 배출포트 30: 실리콘 코어로드
32: 실리콘 로드 34: 로드 연결부
40; 전극부 42: 제1전극
44: 제2전극 50: 자켓유닛
54: 수용홀 60: 히팅부
70: 가스 공급유닛 90: 냉각수 공급유닛
110: 모니터링부 120: 실드부재

Claims (12)

  1. 반응 챔버와;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에 의해 통전되는 한 쌍의 실리콘 로드를 가지고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공정가스의 반응에 의해 폴리실리콘이 증착되는 N개의 실리콘 코어로드와;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갖는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를 수용하고 공정가스가 공급되어 반응하는 M개의 수용홀을 형성하며, M개의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냉각하는 자켓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유닛에 형성된 M개의 상기 수용홀은,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갖는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에 대응하여, 2N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와 상기 자켓유닛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의 하부에는 각각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는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배치되어, M개의 상기 수용홀을 가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자켓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켓유닛을 통해 상기 수용홀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M개의 상기 수용홀에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자켓유닛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켓유닛을 통해 상기 수용홀들로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는 한 쌍의 상기 실리콘 로드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자켓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로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자켓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상기 로드 연결부를 커버하여, 상기 로드 연결부를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 공간에 대해 차폐하는 실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장치는,
    상기 반응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자켓유닛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의 증착 공정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유닛의 상기 수용홀은 상하로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의 상부로 배출된 공정가스가 상기 수용홀의 하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포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유닛은 N개의 상기 실리콘 코어로드를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KR1020120061799A 2012-06-08 2012-06-08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KR20130138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99A KR20130138024A (ko) 2012-06-08 2012-06-08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CN201210260881.1A CN103482629B (zh) 2012-06-08 2012-07-25 多晶硅沉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99A KR20130138024A (ko) 2012-06-08 2012-06-08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24A true KR20130138024A (ko) 2013-12-18

Family

ID=4998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99A KR20130138024A (ko) 2012-06-08 2012-06-08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6707A1 (de) 2013-11-14 2015-05-21 Hyundai Motor Company Abgaswärme-Rückgewinnungsvorrichtung mit eingebautem Ventilakt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6707A1 (de) 2013-11-14 2015-05-21 Hyundai Motor Company Abgaswärme-Rückgewinnungsvorrichtung mit eingebautem Ventilak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522B2 (en) High throughput multi-wafer epitaxial reactor
KR100892123B1 (ko) 폴리 실리콘 증착장치
US20090277386A1 (en)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SK587200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polysilicon
KR20070119328A (ko)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의 지속 가능한제조방법
JP2005501397A (ja) 半導体基板上にエピタキシャル膜を蒸着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79414B1 (ko) 폴리실리콘 제조장치 및 폴리실리콘 제조방법
CN102140678A (zh) 生产均匀多晶硅棒的方法、装置和cvd-西门子系统
US10718051B2 (en) Methods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in a movable liner assembly
KR20120020928A (ko) 폴리실리콘 제조용 cvd 반응기의 노즐 겸용 척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 제조용 cvd 반응기
KR20130138024A (ko)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CN103482629B (zh) 多晶硅沉积装置
JPH06172093A (ja) 半導体級多結晶シリコン製造反応炉
JPH07226384A (ja) 半導体グレード・シリコンの化学蒸着用反応器
KR20200094569A (ko) 폴리실리콘 증착장치 제조방법
CA2901262C (en) Gas distributor for a siemens reactor
KR20130138026A (ko) 폴리실리콘 제조용 자켓 어셈블리
KR20130016740A (ko) 폴리실리콘 제조장치
JP5642755B2 (ja) 多結晶シリコンを析出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590679B1 (ko) 2 중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KR101821006B1 (ko) 수평형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실리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626645B1 (ko) 폴리실리콘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실리콘 제조방법
KR20130138025A (ko) 고효율화 폴리실리콘 증착장치의 폴리실리콘 제조용 자켓 어셈블리
KR101538205B1 (ko) 히터 기능을 구비한 가스 공급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 제조 장치
CN216512891U (zh) 多晶硅还原炉的硅芯结构、多晶硅还原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