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882A -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882A
KR20130137882A KR1020120061540A KR20120061540A KR20130137882A KR 20130137882 A KR20130137882 A KR 20130137882A KR 1020120061540 A KR1020120061540 A KR 1020120061540A KR 20120061540 A KR20120061540 A KR 20120061540A KR 20130137882 A KR20130137882 A KR 2013013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n tube
stern
propulsion shaft
tub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964B1 (ko
Inventor
지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6Shaft tubes

Abstract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는 일단에 프로펠러가 결합된 추진축을 둘러싸는 스턴 튜브(stern tube), 추진축과 스턴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추진축과 스턴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스턴 베어링(stern bearing) 및 스턴 튜브에 결합되어 추진축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Apparatus to Align Stern Tube}
본 발명은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체의 여러 부분 중에서 후미부를 스턴(stern)이라 칭하며, 해당 스턴 부분에는 선박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배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propeller)로 전달하기 위해 연장되는 추진축이 설치되며, 해당 추진축을 둘러싸도록 선체에 취부되는 스턴 튜브(stern tube)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턴 튜브는 프로펠러의 자중 및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력에 의한 과도한 하중, 그리고 선박 운항 중 급선회나 프로펠러를 통해 전달되는 외란 등의 과도한 하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축계 정렬 해석이 필요하게 된다.
만약 스턴 튜브가 적절하게 정렬이 되지 않아 스턴 베어링(stern bearing)의 일부분에만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스턴 베어링의 변형 내지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선박의 다양한 운항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정렬 조건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운항조건, 온도, 외력 등의 유효 인자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선박의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도 스턴 튜브를 적절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1260호 (2008.12.23.)
본 발명은 선박의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도 스턴 튜브를 적절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에 프로펠러가 결합된 추진축을 둘러싸는 스턴 튜브(stern tube), 추진축과 스턴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추진축과 스턴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스턴 베어링(stern bearing) 및 스턴 튜브에 결합되어 추진축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는 추진축과 스턴 튜브 양단간의 간격 차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간격 차이가 감소되도록 정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는 스턴 베어링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 차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응력 차이가 감소되도록 정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는 스턴 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유체에 부유되도록 스턴 튜브의 양단부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펌프가 스턴 튜브의 양단부에 공급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부는 스턴 튜브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스턴 튜브 일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유압 실린더의 작동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축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를 통해, 선박의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도 스턴 튜브를 적절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중 스턴 튜브 및 스턴 베어링이 추진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중 스턴 튜브 및 스턴 베어링이 추진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는 스턴 튜브(100), 스턴 베어링(200) 및 정렬부(300)를 포함하고, 센서부(40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턴 튜브(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프로펠러(10)가 결합된 추진축(20)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추진축(20)을 선박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추진축(20)이 동력을 프로펠러(10)에 전달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스턴 튜브(100)를 관통하며 선박의 선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턴 튜브(100)의 내경은 추진축(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추진축(2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턴 튜브(10)의 내주면과 추진축(20)의 외주면 사이 공간에는 스턴 베어링(200)이 개재된다.
스턴 베어링(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사이에 개재되어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분으로, 스턴 튜브(100)에 대하여 추진축(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턴 베어링(200)은 일체로 형성되어 스턴 튜브(100)의 내주면 전체에 배치되거나, 복수의 스턴 베어링(200)이 스턴 튜브(100) 내주면 중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추진축(20)의 정렬 방향과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턴 베어링(200)의 일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추진축(20)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스턴 베어링(200)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는 정렬부(300)를 통해 추진축(20)의 정렬 방향과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을 일치시켜, 스턴 베어링(20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렬부(300)는 스턴 튜브(100)에 결합되어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정렬부(300)는 스턴 튜브(10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추진축(20)의 정렬 방향과 일치하도록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부(300)를 통해 스턴 베어링(200)의 일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추진축(20)의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스턴 베어링(20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양단간의 간격 차이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 일치 여부를 감지하여 정렬부(300)를 자동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20)의 정렬 방향과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양단간의 간격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양단간의 간격 차이를 측정한다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 일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되는 간격 차이가 감소되도록 정렬부(300)를 제어하여,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턴 튜브(100)의 일단과 추진축(20)간의 간격이 스턴 튜브(100)의 타단과 추진축(20)간의 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정렬부(300)가 스턴 튜브(100) 일단 및 타단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간격 차이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추진축(20)과 스턴 튜브(100) 양단간의 간격이 같아지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에서, 센서부(400)는 스턴 베어링(200)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 차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되는 응력 차이가 감소되도록 정렬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진축(20)의 정렬 방향과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턴 베어링(200)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턴 베어링(200)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 차이를 측정한다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 일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되는 응력 차이가 감소되도록 정렬부(300)를 제어하여,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턴 베어링(200)의 일단에 가해지는 응력이 스턴 베어링(200)의 타단에 가해지는 응력보다 큰 경우에는, 정렬부(300)가 스턴 튜브(100) 일단 및 타단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스턴 베어링(200)에 균등한 응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턴 베어링(200)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이 같아지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에서, 정렬부(300)는 펌프(31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310)는 스턴 튜브(100)의 양단부가 각각 유체(311)에 부유되도록 스턴 튜브(100)의 양단부에 유체(311)를 공급할 수 있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턴 튜브(100)의 각 단부에 유체(311)를 많이 공급할수록 스턴 튜브(100)의 각 단부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펌프(310)가 스턴 튜브(100)의 양단부에 공급하는 유체(311)의 양을 제어하여,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10)가 스턴 튜브(100)의 일단부에 더 많은 유체(311)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면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는 필요에 따라 센서부(400)의 개수 내지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등 정렬부(300)의 구성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선박의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도 스턴 튜브(100)를 적절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2000)에서, 정렬부(300)는 유압 실린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320)는 스턴 튜브(1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스턴 튜브(100) 일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20)의 작동 유압을 조절하여 스턴 튜브(100) 일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유압 실린더(320)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여,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20)에 대한 스턴 튜브(100)의 정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20)가 스턴 튜브(100)의 일단부 높이를 더 높게 하도록 작동 유압을 제어하면 추진축(20)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스턴 튜브(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2000)는 상술한 정렬부(300)가 유압 실린더(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1000)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턴 튜브(100)를 상하로 조절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스턴 튜브(100)를 좌우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프로펠러 20: 추진축
100: 스턴 튜브 200: 스턴 베어링
300: 정렬부 310: 펌프
311: 유체 320: 유압 실린더
400: 센서부 1000, 2000: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Claims (5)

  1. 일단에 프로펠러가 결합된 추진축을 둘러싸는 스턴 튜브(stern tube);
    상기 추진축과 상기 스턴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추진축과 상기 스턴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스턴 베어링(stern bearing); 및
    상기 스턴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축의 정렬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턴 튜브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축과 상기 스턴 튜브 양단간의 간격 차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간격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정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턴 베어링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 차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응력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정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스턴 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유체에 부유되도록 상기 스턴 튜브의 양단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스턴 튜브의 양단부에 공급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스턴 튜브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턴 튜브 일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KR1020120061540A 2012-06-08 2012-06-08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KR10137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40A KR101378964B1 (ko) 2012-06-08 2012-06-08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40A KR101378964B1 (ko) 2012-06-08 2012-06-08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82A true KR20130137882A (ko) 2013-12-18
KR101378964B1 KR101378964B1 (ko) 2014-03-27

Family

ID=4998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40A KR101378964B1 (ko) 2012-06-08 2012-06-08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871A (zh) * 2014-06-06 2014-10-01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具备自动匀载功能的船舶水润滑艉轴承
CN110566579A (zh) * 2019-08-20 2019-12-13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适用于全工况推进系统的船舶艉轴承及其推进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90A (ja) * 1994-07-11 1996-01-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管軸受の固定方法
KR20030085818A (ko) * 2002-05-02 2003-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축계 정렬 경사의 자동 조정이 가능한 탄성지지 스턴튜브
KR20080111260A (ko) * 2007-06-18 2008-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턴튜브체 지지용 작업받침대 장치
KR100788036B1 (ko) 2007-07-30 2007-12-24 지씨테크(주) 스턴튜브 부시 유니트 설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871A (zh) * 2014-06-06 2014-10-01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具备自动匀载功能的船舶水润滑艉轴承
CN110566579A (zh) * 2019-08-20 2019-12-13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适用于全工况推进系统的船舶艉轴承及其推进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64B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72394T4 (en) Automatic anti-roll stabilization system of a vessel
AU755331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urning a propulsion unit
KR101378964B1 (ko) 스턴 튜브의 정렬 장치
MX2014002636A (es) Sistema de control y posicionamiento para el intercambio de elementos de revestimiento de desgaste en una pared sometida a desgaste.
KR102070147B1 (ko) 동하중 보상
EP2378081A3 (en) Back-up featherer
KR20140142296A (ko)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밀봉하는 밀봉 장치 및 이 밀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CN105923105A (zh) 船舶可调导链轮
CN103140312B (zh) 用于在制造金属带材的连续的铸造过程中定位两个铸造辊中的至少一个铸造辊的装置和方法
US20080008536A1 (en) Laying apparatus for cables, lines, conductors or suchlike, and relative laying method
EP2845795B1 (en) 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KR20200115617A (ko) 마찰 교반 용접 동안 용접 공정의 중단, 특히 마찰 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62223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flywheel on a floating vessel and methods thereof
US9939011B2 (en) Self-aligning shaft assembly
SE530133C2 (sv) Förfarande för reglering av ett skördarhuvuds position
EP3279080B1 (en) Lubricant measurement system for azimuth thruster
KR20150039115A (ko) 선박용 러더
Avgouleas et al. Practical Aspects of Propulsion Shaft Alignment
US10267358B2 (en) Drill drive for a drilling rig
KR10174939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20150115040A (ko) 선박용 추진축계 베어링 장치
NO20130740A1 (no) Momentmåling på propelleraksling
KR101916697B1 (ko)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장치
JPH01263517A (ja) 水中推進軸における軸受間隙測定装置
JP2010105437A (ja) 可変ピッチプロペラ船の推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