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748A -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748A
KR20130137748A KR1020120061242A KR20120061242A KR20130137748A KR 20130137748 A KR20130137748 A KR 20130137748A KR 1020120061242 A KR1020120061242 A KR 1020120061242A KR 20120061242 A KR20120061242 A KR 20120061242A KR 20130137748 A KR20130137748 A KR 2013013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let
guide
tubular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676B1 (ko
Inventor
이광균
Original Assignee
수성밸브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밸브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성밸브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67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을 허용하고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양단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소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 부품의 파손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체크 밸브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되, 일단이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되, 상기 관형 본체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유입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수직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유출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크 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을 허용하고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양단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소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 부품의 파손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 밸브는 한 쪽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역류를 막는 밸브로,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 파이프 라인의 물이 역방향으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때로는 하류에 있는 저장탱크가 고갈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체크 밸브는 펌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므로 구동모터의 브러쉬 기어 및 실(seal)의 손상으로 인한 역효과를 방지한다. 따라서, 체크 밸브는 통상 펌프의 유출(discharge) 쪽에 설치한다. 체크 밸브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이기 때문에, 급배수관 또는 냉매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크 밸브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고,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역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이기 때문에,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내부 부품의 떨림 현상이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부 부품의 파손 및 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더 나아가 큰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펌프를 통한 유체 공급시 내부 부품의 떨림 현상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체크 밸브 구조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내부 부품의 파손시 부품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체크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체크 밸브 또는 체크 밸브에 연결된 유로관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하여 체크 밸브 내 및 연결 유로관에 존재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같이, 역류가 불가능한 체크 밸브에서 유체를 바이패스시켜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의 구조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체크 밸브들은 일반적으로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소음이 크며, 조립 및 해체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양단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소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 부품의 파손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체크 밸브에 유로 바이패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체크 밸브 또는 연결 유로관의 교체 및 수리시에, 체크 밸브 및 연결 유로관 내의 유체를 손쉽게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체크 밸브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되, 일단이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되, 상기 관형 본체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유입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수직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유출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단속부는, 상기 관형 본체부의 지지턱에 접촉 안착되거나 이격 배치되도록 수직이동하는 단속판, 상기 단속판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는 수직 이동바, 상기 수직 이동바에 끼워지되, 상기 단속판과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속판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개방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체 공급이 중지된 경우, 상기 단속판은 상기 증가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턱에 접촉 안착된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속판은 중앙 부분에 상기 수직 이동바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오링과, 상기 오링의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기 오링의 테두리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오링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단속판이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유입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링과, 상기 제1 결합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1 결합링과 상기 제1 가이드링을 연결하되, 제1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1 연결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링과, 상기 제2 결합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결합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을 연결하되, 제2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2 연결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후면에는 상기 수직 이동바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링에 상단이 고정 결합되는 갓 형상의 역압 버퍼링부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 바이패스부는 상기 관형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로 뚫려 있는 제1 유로와,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부와 상기 유입부의 몸체 내부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제2 유로 및 상기 관형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로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개폐 조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의 입구와 상기 유출부의 출구에는 유체 이동을 위한 유로관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체크 밸브에 의하면,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펌프가 정지하였을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양단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소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 부품의 파손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크 밸브에 유로 바이패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체크 밸브 또는 연결 유로관의 교체 및 수리시에, 체크 밸브 및 연결 유로관 내의 유체를 손쉽게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속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동작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유체 바이패스 동작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체크 밸브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20)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유입된 유체를 전송하기 위한 유로관에 연결되는 유출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고,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체 단속부(40)를 수용하는 관형 본체부(10)가 상기 유입부(20)와 상기 유출부(30) 사이에서 일체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본체부(10),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유입부(20),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유출부(30),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유입부(20)와 유출부(30)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관형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부(30) 방향으로만 흐르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체 단속부(40),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20) 및 유출부(30)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50) 및 제2 가이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부(20)가 연통되도록 일체 연결되고, 상기 관형 본체부(20)의 타단에는 상기 유출부(30)가 연통되도록 일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20), 관형 본체부(10) 및 유출부(30)가 순서대로 일체로 연결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유입부(20), 관형 본체부(10) 및 유출부(30)의 결합에 의하여 관형이 형성된다.
상기 관형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개방된 양단 중, 일단에는 상기 유입부(20)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유출부(30)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된다.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양단 중, 일단은 타단의 형상과 달리, 중심축(도 3에서 c로 표기됨)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면은 완전히 막혀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입부(20)와 연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관형 본체부(10)는 그 일단이 중심축(c)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턱(11)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0)가 연통 가능하도록 일체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부(2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되,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턱(11)의 끝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20)의 내경은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20) 역시,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되, 일단은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일단에 상기 유입부(20)가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타단에는 상기 유출부(30)가 연통되도록 일체 연결된다. 즉, 상기 유출부(3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유로관에 유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부(3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되, 일단은 유체를 공급할 유로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로부터 연결된 유로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0)의 일단과 유출부(30)의 일단은 유로관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20)의 입구와 상기 유출구(30)의 출구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를 지나 상기 유출부(30)을 통해 유로관으로 유출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일방향(유입부(20)에서 관형 본체부(10) 내부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체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체 단속부(40)가 상기 관형 본체부(10), 유입부(20) 및 유출부(3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본체부(10), 유입부(20) 및 유출부(3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을 하면서 상기 유체 흐름을 단속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유입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수직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가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펌프에 의하여 유체가 유입부(2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펌프의 동작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체 단속부(40)의 수직 이동은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50)와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60)의 가이드 기능을 통하여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50)와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체 단속부(40)가 수직 이동만 가능하도록 가이드하고, 수평 이동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체가 한 쪽 방향(유입부(20)에서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를 개폐하는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판(41)과, 수직 이동바(43) 및 스프링(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거나 또는 이격 배치되도록 수직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단속판(41)은 원형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여 유체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지지턱(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이 가능하도록 개방 상태가 된다.
상기 단속판(41)이 상기 지지턱(11)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태는 펌프가 가동되어 유체의 압력이 상기 단속판(41)에 가해진 상태이고, 상기 단속판(41)이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는 상태는 펌프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후술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판(41)의 수직 이동(상기 지지턱(11)으로부터 이격되는 과정에서의 수직 이동과 이격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는 과정에서의 수직 이동)은 상기 단속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직 이동바(43)와 이 수직 이동바(45)에 끼워지는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상기 단속판(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속판(41)이 펌프의 가동에 따라 수직 상승하거나 펌프의 정지에 따라 수직 하강할 때, 상기 수직 이동바(43) 역시 수직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수직 이동만 가능하고 수평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딩된다. 즉,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50)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부(60)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이동이란 도 3에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이동이란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수직 이동만 가능하고 수평 이동은 방지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되게 수직 이동만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단속판(41)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펌프의 가동에 따라 수직 상승하였다가, 펌프가 정지되면 수직 강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 이동바(43)와 상기 단속판(41)의 위치 복원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4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이동바(43)에 끼워지되, 상기 단속판(41)과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가이드부(6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스프링(45)이 상기 단속판(41)과 상기 제2 가이드부(6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개재되기 때문에, 상기 단속판(41)이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가 가동되어 상기 단속판(41)이 수직 상승하면,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력은 더 커지고, 이 후 펌프 가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단속판(41)은 신속하게 원래 위치(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는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펌프가 가동되어 상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펌프가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의 유체 역류를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펌프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유입부(20)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력(복원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지지턱(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가 개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펌프를 통하여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입부(20), 관형 본체부(10) 및 유출부(3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상기 유체 공급이 중지된 경우(펌프의 가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유입부(20)를 통한 유체의 압력이 없기 때문에, 상기 증가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된 상태로 복원된다. 그러면,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가 폐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체 단속부(40)는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역류)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체 단속부(40)의 단속판(41)은 펌프의 가동에 따라 상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턱(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고, 펌프의 정지에 따라 상기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도록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지지턱(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복원될 때, 정확하게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되어,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를 완전 폐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단속판(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상기 단속판(41)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단속판(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상기 수직 이동바(43)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41a')이 형성되는 상부판(41a)과, 상기 상부판(41a)의 관통홀(41a')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41b')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41a)의 하면에 부착되는 오링(41b)과, 상기 오링(41b)의 관통홀(41b')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41c')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41b)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기 오링(41b)의 테두리부(41b")가 노출되도록 상기 오링(41b)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단속판(41)이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유입부(20)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판(4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41a), 오링(41b) 및 하부판(41c)은 모두 중앙 부분에 관통홀(41a', 41b', 41c')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상기 관통홀(41a', 41b', 41c')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판(41a)이 상기 수직 이동바(43)에 끼워진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소정 부분에 걸림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판(41a)의 하측으로 연속해서 상기 오링(41b) 및 하부판(41c)이 상기 수직 이동바(43)에 끼워지도록 한 후, 너트 조임을 통하여 상기 하부판(41c)이 상기 오링(41b)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속판(41)을 상기 수직 이동바(4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동바(43)는 상기 단속판(41)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이동만 되고, 수평 이동은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양단은 가이드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제1 가이드부(50)와 제2 가이드부(60)가 각각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결합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4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50)는 상기 유체 단속부(4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 이동바(43) 일단(하단)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4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체 단속부(4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 이동바(43) 타단(상단)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유체 단속부(4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일단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50)는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가이드부(50)는 외주연에 나사산(51a)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링(51)과, 상기 제1 결합링(5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링(53) 및 상기 제1 결합링(51)과 상기 제1 가이드링(53)을 연결하되, 제1 통과공(57)을 형성하는 제1 연결 블럭(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 가이드부(50)는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제1 연결 블럭(55)은 상기 제1 결합링(51)에 상기 제1 가이드링(5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반드시 유체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통과공(57)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링(53)의 내주연에는 탄성링을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동바(43)가 상기 제1 가이드링(53)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수직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 이동바(43)가 상기 제1 가이드링(53)의 내주연에 지속적으로 접촉되고, 이에 따라, 마모에 따른 수명이 짧아지고 소음 발생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링(53)의 내주연에 탄성링을 고정 장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1 가이드부(50)에 의하여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일단이 가이드되고,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부(6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유체 단속부(4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타단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2 가이드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외주연에 나사산(61a)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링(61)과, 상기 제2 결합링(6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링(63) 및 상기 제2 결합링(61)과 상기 제2 가이드링(63)을 연결하되, 제2 통과공(67)을 형성하는 제2 연결 블럭(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2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출부(2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제2 연결 블럭(65)은 상기 제2 결합링(61)에 상기 제2 가이드링(6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반드시 유체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통과공(67)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링(63)의 내주연에는 탄성링을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동바(43)가 상기 제2 가이드링(63)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수직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 이동바(43)가 상기 제2 가이드링(63)의 내주연에 지속적으로 접촉되고, 이에 따라, 마모에 따른 수명이 짧아지고 소음 발생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이드링(63)의 내주연에 탄성링을 고정 장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2 가이드부(60)의 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갓 형상을 가지는 역압 버퍼링부(69)가 결합 형성된다. 상기 역압 버퍼링부(69)는 펌프를 가동시켜 체크 밸브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다고, 순간 펌프 가동을 정지할 때, 상기 유출부(3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방향으로 발생하는 역압(유체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역압 버퍼링부(69)가 상기 제2 가이드부(60)의 후면에 결합 형성되기 때문에, 순간적인 역압에 의한 소음 발생 및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역압 버퍼링부(69)는 갓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출부(30)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로 발생하는 순간적인 유체 압력을 완화시키고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역압 버퍼링부(6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부(60)의 후면에 결합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압 버퍼링부(69)는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링(63)에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그 형상은 갓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결합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입부(20), 관형 본체부(10) 및 유출부(30)가 서로 연통되도록 일체 형성된 관형 구조를 마련한 후, 상기 유입부(2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제1 가이드부(50)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런 후, 상기 단속판(41)에 관통되어 고정 결합된 상기 수직 이동바(43)를 상기 유출부(30)를 통해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부(50)의 가이드링(53)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지지턱(11)에 접촉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더 이상 상기 유입부(20) 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스프링(45)을 상기 수직 이동바(43)의 타단 쪽에서 끼워 넣는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45)의 일단은 상기 단속판(4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제2 가이드부(60)를 나사 결합시킨다.
상기 제2 가이드부(60)를 상기 유출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45)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지지턱(11)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술한 조립 과정을 역순하면 상기 체크 밸브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체크 밸브는 한 쪽 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을 허용하고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펌프를 가동하여 한 쪽 방향으로 유체를 흐르게 한 후, 펌프의 가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유체 단속부(40)에 의하여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 상태를 보면, 상기 관형 본체부(10) 및 상기 유출부(30)의 내부 공간에는 유체가 존재하게 되고, 상기 유출부(30)와 연결되어 있는 유로관 역시 유체가 존재하게 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 또는 유로관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부(30)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유로관의 연결 상태를 해체하면, 유체가 순간적으로 쏟아져서 작업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고, 순간적으로 쏟아지는 유체를 모두 받아 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본체부(10)에서 상기 유입부(20) 방향으로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 바이패스부(70)가 구비된다. 즉, 펌프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속판(41)이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 공간의 유체를 우회시켜 상기 유입부(10)로 빼낼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체크 밸브는 상기 유로 바이패스부(70)를 구비한다.
상기 유로 바이패스부(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내측면(12)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몸체(13) 내로 뚫려 있는 제1 유로(71)와,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몸체(13) 내부와 상기 유입부(20)의 몸체(23) 내부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20)의 내측면(22)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몸체(13) 내에 형성되는 제1 유로(71)와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제2 유로(73) 및 상기 관형 본체부(10)의 외측면(14)에서 상기 제1 유로(71) 또는 제2 유로(73)로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개폐 조정홀(7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유로(71)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71)에서 제2 유로(73)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 조정구(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유로 바이패스부(70)는 상기 제1 유로(71)와 상기 제2 유로(73)가 연결되어,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를 상기 유입부(20)로 유출시키는 우회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71)를 거쳐 상기 제2 유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동작은 상기 개폐 조정구(77)가 수행한다. 상기 개폐 조정구(77)는 상기 개폐 조정홀(75)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 조정구(77)의 전단은 상기 제1 유로(7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개폐 조정구(7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 조정구(77)의 전단은 상기 제1 유로(7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유로(71)를 막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 개폐 조정구(77)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 조정구(77)의 전단은 후퇴하여(제1 유로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제1 유로(71)를 개방시킨다.
결과적으로, 평소에는 상기 개폐 조정구(77)가 상기 제1 유로(71)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의 유체를 우회시켜 상기 유입부(10)로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조정구(77)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유로(71)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의 유체는 상기 제1 유로(71)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1 유로(71)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유로(73)를 거쳐 상기 유입부(20) 내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일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기능 이외에도,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를 빼내기 위한 유로 바이패스부(70)를 구비하여, 필요시에 관형 본체부(10)에서 유입부(20) 방향으로 우회하여 유체를 빼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는 펌프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고, 펌프에 일단이 연결된 유로관의 타단이 상기 유입부(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30)는 다른 유로관과 연결된다. 즉, 상기 체크 밸브의 유입부(20) 및 유출부(30)는 유로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20)의 입구와 상기 유출부(30)의 출구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동을 위한 유로관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80)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은 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체크 밸브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체크 밸브의 유입부(20)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속판(41)은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수직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형 본체부(10)와 상기 유입부(20)의 연결 통로가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유입부(20)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유입부를 지나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로 이동하고, 상기 유출부(30)를 통해 유로관으로 송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체크 밸브의 상태를 보면, 도 3에 도시된 체크 밸브의 상태와 상이하다. 즉,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속판(41)이 수직 상승하고, 상기 스프링(45)은 더 압축된 상태이며, 상기 수직 이동바(43) 역시 상측으로 더 상승된 상태로 존재한다.
한편, 도 8은 상술한 유로 바이패스부(70)에 의하여 유체가 우회하여 상기 유입부(20)로 빠져나가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에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에 존재하는 유체를 상기 유입부(20)로 빼낼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개폐 조정구(77)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유로(71)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준다.
그러면, 상기 관형 본체부(10) 내의 유체는 상기 제1 유로(71), 제2 유로(73)를 거쳐 상기 유입부(20)로 빠져나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형 본체부(10) 및 상기 유출부(30)와 연결된 유로관 내에 존재하는 유체를 천천히 우회시켜 상기 유입부(20)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순간 쏟아짐으로 인한 작업자 위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를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으며, 유체가 버려지지 않고 모두 받아 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 : 관형 본체부 11 : 지지턱
12 : 관형 본체부의 내측면 13 : 관형 본체부의 몸체
14 : 관형 본체부의 외측면 20 : 유입부
22 : 유입부의 내측면 23 : 유입부의 몸체
30 : 유출부 40 : 유체 단속부
41 : 단속판 41a : 단속판의 상부판
41a' : 단속판 상부판의 관통홀 41b : 단속판의 오링
41b' : 단속판 오링의 관통홀 41b" : 단속판 오링의 테두리부
41c : 단속판의 하부판 41c' : 단속판 하부판의 관통홀
43 : 수직 이동바 45 : 스프링
50 : 제1 가이드부 51 : 제1 결합링
51a : 제1 결합링의 외주연 나사산 53 : 제1 가이드링
55 : 제1 연결블럭 57 : 제1 가이드부의 통과공
60 : 제2 가이드부 61 : 제2 결합링
61a : 제2 결합링의 외주연 나사산 63 : 제2 가이드링
65 : 제2 연결블럭 67 : 제2 가이드부의 통과공
69 : 역압 버퍼링부 70 : 유로 바이패스부
71 : 제1 유로 73 : 제2 유로
75 : 개폐 조정홀 77 : 개폐 조정구
80 : 플랜지부

Claims (10)

  1.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되, 일단이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되, 상기 관형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유입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수직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부;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유출부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 단속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단속부는,
    상기 관형 본체부의 지지턱에 접촉 안착되거나 이격 배치되도록 수직이동하는 단속판, 상기 단속판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하여 수직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는 수직 이동바, 상기 수직 이동바에 끼워지되, 상기 단속판과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속판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개방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체 공급이 중지된 경우, 상기 단속판은 상기 증가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턱에 접촉 안착된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속판은 중앙 부분에 상기 수직 이동바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오링과, 상기 오링의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기 오링의 테두리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오링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단속판이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유입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링과, 상기 제1 결합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1 결합링과 상기 제1 가이드링을 연결하되, 제1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1 연결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링과, 상기 제2 결합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바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결합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을 연결하되, 제2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2 연결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후면에는 상기 수직 이동바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링에 상단이 고정 결합되는 갓 형상의 역압 버퍼링부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부에서 상기 유입부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바이패스부는 상기 관형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로 뚫려 있는 제1 유로와,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부와 상기 유입부의 몸체 내부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형 본체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제2 유로 및 상기 관형 본체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로 연통되도록 뚫려 있는 개폐 조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입구와 상기 유출부의 출구에는 유체 이동을 위한 유로관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KR1020120061242A 2012-06-08 2012-06-08 체크 밸브 KR10138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42A KR101383676B1 (ko) 2012-06-08 2012-06-08 체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42A KR101383676B1 (ko) 2012-06-08 2012-06-08 체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48A true KR20130137748A (ko) 2013-12-18
KR101383676B1 KR101383676B1 (ko) 2014-04-10

Family

ID=4998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42A KR101383676B1 (ko) 2012-06-08 2012-06-08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6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675B1 (ko) * 2016-07-27 2016-10-07 강성훈 유체 흐름 유도장치
KR20190079153A (ko) * 2017-12-27 2019-07-05 이의호 체크밸브 장치
KR20190095985A (ko) * 2018-02-08 2019-08-19 수성밸브공업 주식회사 수충격 완화용 체크밸브
KR20210016029A (ko) * 2018-07-11 2021-02-1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듈식 유압 제어 하우징
KR102256031B1 (ko) * 2020-11-12 2021-05-24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EP3982019A1 (en) * 2020-10-12 2022-04-13 B/E Aerospace, Inc. Retainer guidance for rinsing valv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69Y1 (ko) 1999-07-01 2000-02-15 김인식 펌프용 체크밸브
KR20020045949A (ko) * 2000-12-12 2002-06-20 최민철 체크밸브
JP4547111B2 (ja) 2001-08-01 2010-09-22 株式会社川本製作所 逆流防止装置
JP3969107B2 (ja) * 2002-02-07 2007-09-05 三浦工業株式会社 逆止弁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675B1 (ko) * 2016-07-27 2016-10-07 강성훈 유체 흐름 유도장치
KR20190079153A (ko) * 2017-12-27 2019-07-05 이의호 체크밸브 장치
KR20190095985A (ko) * 2018-02-08 2019-08-19 수성밸브공업 주식회사 수충격 완화용 체크밸브
KR20210016029A (ko) * 2018-07-11 2021-02-1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듈식 유압 제어 하우징
US11702057B2 (en) 2018-07-11 2023-07-1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odular hydraulic control housing
EP3982019A1 (en) * 2020-10-12 2022-04-13 B/E Aerospace, Inc. Retainer guidance for rinsing valves
US11555552B2 (en) 2020-10-12 2023-01-17 B/E Aerospace, Inc. Retainer guidance for rinsing valves
US11867305B2 (en) 2020-10-12 2024-01-09 B/E Aerospace, Inc. Retainer guidance for rinsing valves
KR102256031B1 (ko) * 2020-11-12 2021-05-24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WO2022102808A1 (ko) * 2020-11-12 2022-05-19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676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76B1 (ko) 체크 밸브
KR102039184B1 (ko) 체크밸브 장치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JP2009036250A (ja) 逆流防止止水栓と逆止弁ユニット
US10125894B2 (en) System for preventing reverse flow
KR20170140566A (ko)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WO2016163344A1 (ja) 仕切弁及び急閉式逆止弁と、緩閉式副弁及び負圧時作動空気吸気弁を有するウォーターハンマー防止機能とを有する多機能バルブ
KR200488483Y1 (ko)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2051516B1 (ko) 수충격 완화용 체크밸브
KR102205867B1 (ko) 멀티 체크 밸브
KR101753280B1 (ko) 관붙이 앵글밸브
JP5724114B1 (ja) 多機能吐出管又は多機能バルフ゛及びポンプ施設
CN203750249U (zh) 一种半自动反冲洗过滤器
KR20170047519A (ko) 차량의 오토 텐셔너
CN103933766B (zh) 半自动反冲洗过滤器
KR101437594B1 (ko) 수충격 방지 디스크장치
JP4632082B2 (ja) 流路切り替え装置
JP7267669B2 (ja) 配管接続部材
RU2697898C1 (ru) Запорная арматура
KR101179375B1 (ko) 감압밸브
KR20180000710U (ko) 드레인 라인의 역류방지 구조
KR20100021864A (ko) 펌프용 체크밸브
CN210566474U (zh) 一种一体式泵流阀
JP4722166B2 (ja) 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