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316A -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 Google Patents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316A
KR20130137316A KR1020120060787A KR20120060787A KR20130137316A KR 20130137316 A KR20130137316 A KR 20130137316A KR 1020120060787 A KR1020120060787 A KR 1020120060787A KR 20120060787 A KR20120060787 A KR 20120060787A KR 20130137316 A KR20130137316 A KR 2013013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played
scree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최관락
Original Assignee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원 filed Critical 최재원
Priority to KR102012006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316A/ko
Publication of KR2013013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SYSTEM INCLUDING A TERMINAL BASED ON A BLOCK AND TERMINAL INCLUD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하여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복잡한 과정으로 리스트를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모션, 음성 등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은 단말기의 화면에 리스트 등을 블록 단위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응답하여 리스트,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리스트 등을 찾기가 용이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리모콘 등이고, 제 2 단말기(200)는 TV 등일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모션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연동하고 있으며, 연동 상태에서 제 1 블록(210) 및 미리보기 개체들(212)을 화면(2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 상에서 손을 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단말기(100)가 모션을 인식한 경우, 제 1 블록(210)은 좌측으로 이동한 후 사라지거나바로 사라지고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새로운 제 2 블록(21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미리보기 개체들(212)은 직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특정 윈도우로 표시된 영역뿐만 아니라 특정 입력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즉, 일정 영역의 특정 리스트 등이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응답하여 블록 내에 존재하는 리스트 등이 화면(202)에 표시되거나 화면(202)으로부터 사라지고 다른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블록이 화면(202)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은 영역만을 의미하므로 화면(202)에 블록을 표시하는 실선 등은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채널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1 블록(210)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따라 화면(202)에 다른 프로그램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2 블록(21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들(210 및 214)은 카테고리별 프로그램 리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리스트들은 채널 리스트, 녹화물 리스트, VOD 리스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블록들은 사용자의 입력이 있기 전에 미리 생성되어 제 2 단말기(200) 또는 다른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02)에 추천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1 블록(2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른 추천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2 블록(214)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02)에 MY 채널의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1 블록(2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른 채널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2 블록(214)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02)에 댓글 또는 코멘트(Comment)를 표시한 제 1 블록(2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른 댓글 또는 코멘트를 표시한 제 2 블록(214)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코멘트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시청자들 또는 친구들의 시청 의견, 감상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02)에 선호 채널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1 블록(2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른 선호 채널 리스트들을 표시한 제 2 블록(214)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미리보기 개체들(212)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블록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 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을 수신하고, 특히 모션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202)에 하나의 블록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되던 블록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라지거나 바로 사라지고, 다음 블록이 특정 방향에서 이동하여 와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직접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라지는 블록은 좌우로 이동하여 사라질 수도 있고 상하로 이동하여 사라질 수도 있으며, 화면(202)에 표시되는 블록 또한 좌우에서 이동하여 오거나 상하에서 이동하여 와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에서 음성 인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다음", "업", "다운" 등의 음성에 따라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블록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현재는 사용자가 다수 단계의 선택 단계들을 통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러한 선택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가 연동한 상태에서 제 1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을 인식하였으나, 제 2 단말기(200)가 모션, 음성 등의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블록들을 설정하면, 메뉴 버튼을 클릭하지 않고도 원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의 일부에 제 1 블록(2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션, 음성 등을 입력하면 화면(202)의 제 1 블록(220)은 사라지고 제 2 블록(222)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들(220 및 222)은 미니 EPG일 수도 있고, PIP일 수도 있고, 프리뷰, 댓글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제 1 블록(3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으면, 제 1 블록(300)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인근에 제 2 블록(302)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록들(300 및 302)은 리스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프리뷰, 방송 프로그램, 댓글, 코멘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록(300)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블록(302)이 제 1 블록(300)의 인근에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블록(312)이 제 1 블록(310)의 상부또는 하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들(300 및 302)에 표시되는 카테고리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블록들(310 및 312)에 표시되는 카테고리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300)에는 댓글이 표시되고 블록(302)에는 감상평이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블록들 중 일부가 하이라이트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로테이팅(Rotating) 가능한 블록들(400, 402 및 404)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으면, 블록들(400, 402 및 404)이 로테이션되어 402, 404 및 400의 순서로 블록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블록들(400, 402 및 404)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로테이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된 블록들(400, 402 및 404) 외에 다른 설정된 블록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블록(400)은 사라지고 블록들(402 및 404)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새로운 블록이 블록(404) 인근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들(400, 402 및 404)은 3차원 방식으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블록들(400, 402 및 404)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블록들(400, 402 및 404)의 깊이만 달라질 뿐만 아니라 로테이션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가운데 위치한 블록이 하이라이트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큰 사이즈로 제 1 프로그램(5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작은 사이즈로 제 2 프로그램(50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으면 제 2 프로그램(502)이 이동되어 큰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1 프로그램(500)이 이동되어 작은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의 채널들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모션 인식 등을 통하여 원하는 채널을 하이라이트하여 시청할 수 있다.
물론, 블록들(500 및 502)은 프로그램이 아닌 리스트, 댓글, 프리뷰 등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채널 프로그램(600)이 블록으로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이 있으면 화면(202)에 다음 채널 프로그램(602)이 다른 블록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프로그램들(600 및 602)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상의 순차적인 채널들의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순차적인 VOD, 녹화물일 수도 있으며, 순차적인 시리즈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지정한 선호 프로그램들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제 1 블록(7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따라 제 1 블록(700) 인근에 제 2 블록(70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블록(700)은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 VOD, 채팅창, 녹화물일 수 있으며, 제 2 블록(702)은 메모, 댓글, 코멘트, 추천 의견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윈도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블록(700)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메모, 코멘트 등을 남길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의 감상평, 시청 의견 등을 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블록(702)에는 제 1 블록(700)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추천 프로그램,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상품 정보, 구매 정보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블록(702)에 MY 채널 리스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위의 제 2 블록(702)은 표시된 후 사용자의 다른 입력에 따라 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특정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제 1 블록(800)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따라 제 2 블록(802)이 제 1 블록(800)의 인근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 블록(802)에는 다른 프로그램이 방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시 방송하는 드라마와 스포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 드라마(800)를 시청 중에 스포츠 채널의 방송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 2 블록(802)을 통하여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제 2 블록(802)에서 시청되는 프로그램은 다른 채널(802)의 방송으로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녹화된 녹화물일 수 있으며, 녹화물은 화면(202)에 표시된 이후에는 고속으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블록(802)에 표시되는 스포츠 경기는 다른 채널에서 3회까지 진행되었으며, 1회에서 3회까지 녹화된 방송 경기가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되고 방송 경기가 고속을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라마와 스포츠를 동시에 생중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물론, 제 2 블록(802)에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의 요약, 하이라이트 등이 표시될 수도 있고 VOD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츠가 흥미로워서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들(800 및 802)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VOD, 녹화물, 시리즈물 등의 프리뷰 또는 인디케이터 등이 제 1 블록(900)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따라 제 1 블록(900)이 제 2 블록(902)으로 전환되고 제 2 블록(902)에는 다른 프리뷰, 인디케이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들(900 및 902)에는 컬럼 단위로 인디케이터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컬럼 단위로 인디케이터 등이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화면(202)에 제 1 인디케이터들과 새로 이동해온 제 2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특정 개체들, 예를 들어 검색 개체(1000), 선호 채널 개체(1002), 추천 개체(1004), MY 리스트 개체(1006), 최종 채널 개체(1008), 시리즈 개체(1010), 방송사 개체(1012), 전자상거래 개체(1014)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검색 개체(1000)는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며, 선호 채널 개체(1002)는 사용자가 선호 채널로서 등록한 리스트들을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며, 추천 개체(1004)는 친구들, 다른 시청자들, 방송사 등에 의해 추천된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다. MY 리스트 개체(1006)는 사용자가 등록한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며, 최종 채널 개체(1008)는 최종 채널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며, 시리즈 개체(1010)는 시리즈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다. 방송사 개체(1012)는 방송사별 프로그램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며, 전자 상거래 개체(1014)는 상품 구매 목록을 보여주거나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개체이다. 물론,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따라 다른 개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위의 개체들 중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검색 개체(1000)를 선택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란(1020)이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란(1020)에 특정 용어를 입력하거나 음성으로 검색 용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용어를 포함하는 리스트들이 블록 단위로 생성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들 중 일부, 바람직하게는 하나(1100)가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블록(1100)에 포함된 리스트 중 상기 용어와 일치하는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블록들의 미리보는 작은 사이즈의 미리보기 개체(1102)가 블록(1100)의 인근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등과 같이 특정 모션을 취하거나 음성 등을 입력하면 상기 생성된 블록들 중 블록(1100) 다음에 위치하는 블록(1104)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된다. 기존 블록(1100)은 좌측으로 이동 후 사라지거나 이동없이 화면(202)에서 사라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미리보기 개체(1102)는 계속적으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보기 개체들(1102)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블록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개체들이 입력된 화면(202)에서 직접 검색어 등을 입력하여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단말기(202)가 블록들을 생성할 경우 리스트를 편집함이 없이 전체 리스트 중 해당 검색 용어가 포함된 리스트 부분을 블록들로 생성할 수도 있고 해당 검색 용어가 포함된 리스트들을 검출하여 해당 블록 내에 편집할 수도 있다. 검색 용이성을 고려하면, 검색 용어가 포함된 리스트를 블록들 내에 편집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시리즈 개체(1010)를 선택하면 시리즈 리스트들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특정 시리즈를 선택하면 해당 시리즈물의 하나가 블록으로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모션 또는 음성 등을 입력하는 경우 현재 시리즈 프로그램 다음의 프로그램이 다른 블록으로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시리즈 프로그램들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원하는 시리즈 프로그램을 간단한 모션 등을 통하여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개체(1014)를 선택하면 최저가 가격 검색란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면 해당 상품 리스트가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포함되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션, 음성 등의 입력을 통하여 블록들을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개체 선택을 통하여 원하는 리스트,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모션, 음성 등의 간단한 입력 방식을 통하여 블록들을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리스트, 프로그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프로그램 가이드(1200), 검색 개체(1210), 선호 채널 개체(1212), 추천 개체(1214), 시리즈 개체(1216)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검색 개체(1210)를 이용하여 특정 용어를 검색하면, 상기 용어를 포함하는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생성되며, 상기 블록들 중 일부, 바람직하게는 하나(1210)가 블록으로서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개체(1210), 선호 채널 개체(1212), 추천 개체(1214), 시리즈 개체(1216) 등은 화면(202)에 계속 유지되고 블록(1202) 인근에 미리보기 개체(12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모션, 음성 등의 입력에 따라 블록(1202)은 사라지고 새로운 블록이 화면(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 2 단말기(200)에 전체 리스트 등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 등을 하면 해당 블록들이 생성되고, 상기 블록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한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KR1020120060787A 2012-06-07 2012-06-07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KR2013013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87A KR20130137316A (ko) 2012-06-07 2012-06-07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87A KR20130137316A (ko) 2012-06-07 2012-06-07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316A true KR20130137316A (ko) 2013-12-17

Family

ID=4998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87A KR20130137316A (ko) 2012-06-07 2012-06-07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225B2 (en) 2014-05-01 2023-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interactive media content g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225B2 (en) 2014-05-01 2023-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interactive media content gu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017B1 (ko) 컨텐츠 검색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유저 인터페이스
US83812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nic program guides
US9787627B2 (en) Viewer interface for broadcast image content
JP5189748B2 (ja) グラフィカル・バー内のボタンの選択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受信器
US8615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ting site comments with program being viewed
KR102017437B1 (ko) 속성을 공유하는 상이한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를 연관시키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555167B2 (en) Interactive access to media or other content related to a currently viewed program
US97749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presentation with dynamic secondary content
US20080168501A1 (en) Media selection
CN104244064B (zh) 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US20070229706A1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US201000239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through tv video icons by category
JP200603309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5030169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related content
WO20130327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402453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US10296169B2 (en) Interactive cloud based content delivery service
JP2012209829A (ja) 番組表示制御装置
KR101517837B1 (ko) 스마트 tv의 컨텐츠 제공 방법
JP2007325310A (ja)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
KR20130137316A (ko) 블록 기반 단말기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단말기
JP20160255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95981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method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1481689B1 (ko) 숫자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탐색방법 및 장치
KR201501454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